KR101741500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500B1
KR101741500B1 KR1020160050035A KR20160050035A KR101741500B1 KR 101741500 B1 KR101741500 B1 KR 101741500B1 KR 1020160050035 A KR1020160050035 A KR 1020160050035A KR 20160050035 A KR20160050035 A KR 20160050035A KR 101741500 B1 KR101741500 B1 KR 10174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unit
unique number
key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웅
Original Assignee
(주)솔로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로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솔로몬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5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를 거리 제한 없이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무선키와 연동된 운전자의 제1 스마트폰 및 제1 스마트폰과 연동되면서 자동차에 장착되면서 제1 스마트폰의 조작에 의해 정해진 바에 따른 자동차를 제어하는 제2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 CAR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거리에서도 자동차를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 및 휴대폰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3세대 이동통신기술(3G) 또는 4세대 이동통신기술 LTE(Long Term Evolution)(4G)을 기반으로 인터넷 활용성을 높인 스마트폰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통신망을 통해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자가용은 운전자가 열쇠 없이도 도어를 무선으로 잠그고 해제할 수 있도록, 이모빌라이저 칩이 내재된 무선키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키는 자동차에 설치된 안테나 전파 범위 안에서만 무선키로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18853의 M2M 기반의 자동차 제어장치 및 방법은 서버가 통신회사 서버와 자동차를 제어하는 M2M 디바이스와 항상 세션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스마트폰에서 어플 실행 시 빠른 시간에 자동차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M2M 기반의 자동차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M2M 기반의 자동차 제어장치 및 방법은 개인정보(ID, 비밀번호, 자동차 전화번호, MAC 어드레스)등의 고정된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거리에서 자동차를 제어할 시 보안이 향상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무선키와 연동된 운전자의 제1 스마트폰 및 상기 제1 스마트폰과 연동되면서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조작에 의해 정해진 바에 따른 상기 자동차를 거리 제한 없이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2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폰을 동작시키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스마트폰을 동작시키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전달하는 제1 GPS 좌표값 전달부; 상기 무선키의 이모빌라이저칩에 저장된 무선키 고유번호 및 상기 제2 스마트폰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제1 고유번호 저장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과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상기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인증키 값을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생성된 인증키 값을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인증키 전송부; 상기 통신채널이 상기 자동차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채널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채널 전환 확인부 및 상기 제어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 GPS 좌표값 저장부;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제2 고유번호 저장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인증키 값을 수신하는 인증키 수신부; 상기 인증키 값이 수신되면,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상기 제2 스마트폰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검증키 값을 생성하는 검증키 생성부; 상기 인증키 값과 검증키 값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확인하는 키 값 비교부 및 상기 통신채널을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제어채널로 전환하는 채널 전환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자동차의 잠금 장치, 시동 또는 공조기를 on, off하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동차제어 명령으로 상기 자동차의 잠금 장치, 시동 또는 공조기를 on, off하는 자동차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자동차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키 생성부는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 전송 시,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와 상기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 전송 시점의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상기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는, 상기 암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을 암호화하여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검증키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와 상기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 수신 시점의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상기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복호화 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자동차 제어부는 상기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복호화하여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및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는 키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스마트폰과 제2 스마트폰이 케이블 통신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2 GPS 좌표값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지문의 특징점을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지문 인식부 및 상기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지문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저장하는 지문 저장부 및 상기 지문 전송부로 전달받은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지문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에 대입하여 일치 여부를 식별하는 지문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키 생성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과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지문 인식부로 변환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상기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인증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검증키 생성부는 상기 인증키 값이 수신되면, 상기 지문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상기 제2 스마트폰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검증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마트폰에 탑재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스마트폰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무선키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스마트폰에 탑재된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스마트폰에 저장된 무선키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과 제2 스마트폰 간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인증 키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생성된 인증 키 값을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인증 키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키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스마트폰에 저장된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검증 키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인증 키 값과 검증 키 값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통신채널을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자동차를 제어하는 제어채널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자동차의 공조기 on, 원격시동 on, 주간단위 예약시동 on, 비상사이렌 on, 비상점멸등 점등, 자동차 실시간 위치정보 on, 블랙박스(실시간) 영상정보 on, 도어 열림, 트렁크 열림 및 저전압 자동 시동 on을 할 수 있는 자동차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의 자동차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근거로 상기 자동차의 공조기 off, 원격시동 off, 주간단위 예약시동 off, 비상사이렌 off, 비상점멸등 소등, 자동차 실시간 위치정보 off, 블랙박스(실시간) 영상정보 off, 도어 잠김, 트렁크 잠김 및 저전압 자동 시동 off를 할 수 있는 자동차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의 자동차제어 명령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은 무선키가 없이도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제1 스마트폰을 통해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제1 스마트폰과 자동차에 탑재되는 제2 스마트폰 간에 합의된 바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되는 키 값을 이용하여 제1 스마트폰을 통한 자동차를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게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스마트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스마트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스마트폰과 제2 스마트폰 간 제어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스마트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스마트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모듈 형태로 구현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구성부를 도 2의 제어부(110) 및 도 3의 제어부(31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1)은 제1 스마트폰(100) 및 무선키(400)를 사용하는 자동차(500)에 장착되는 제2 스마트폰(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1)은 무선키(400)를 사용하는 자동차(500)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키를 사용하는 항공기, 굴삭기, 지게차, 트렉터 및 불도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스마트폰(100)은 제어부(110), 화면 출력부(120), 키 입력부(130), 사운드 출력부(140), 사운드 입력부(150), 카메라부(160), 지문 스캔부(170),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0),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 NFC 통신부(200), USIM 리더부(210), 메모리부(230) 및 배터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프로세서를 통해 제1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제1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고유번호 저장부(111), 지문 인식부(112A), 지문 전송부(112B), 인증 키 생성부(113), 인증 키 전송부(114), 채널 전환 확인부(115), 인터페이스 출력부(116), 제어명령 전송부(117), 제2 GPS 좌표값 저장부(118) 및 제1 GPS 좌표값 전달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유번호 저장부(111)는 화면 출력부(120)를 통해 제2 스마트폰(300)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키 입력부(130)를 통해 무선키 고유번호 및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를 입력 받아 메모리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무선키 고유번호는 무선키(400)에 내재된 이모빌라이저 칩에 등록된 핀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는 제2 스마트폰(300)의 일련번호 또는 임의로 설정된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지문 인식부(112A)는 후술할, 지문 스캔부(170)로 스캔 된 지문의 특징점을 좌표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지문 전송부(112B)는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제2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은 융선의 구성 요소 중 융선 위에 존재하는 중심점, 끝점, 분기점 및 삼각주 등을 찾아 이를 기준 좌표축으로 검출한 값이다.
인증 키 생성부(11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스마트폰(300)과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합의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지정된 크기의 인증 키 값을 동적으로 생성한다.
인증 키 전송부(114)는 통신채널을 통해 인증 키 값을 제2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전환 확인부(115)는 제2 스마트폰(300)에 의해 통신채널이 자동차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채널로 전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채널은 제1 스마트폰(100)에서 자동차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제2 스마트폰(300)이 자동차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자동차제어를 처리하는 통신채널을 의미한다.
인터페이스 출력부(116)는 통신채널이 제어채널로 전환되는 경우, 제2 스마트폰(300)을 통해 자동차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화면은 공조기 on, off, 원격시동 on, off, 주간단위 예약시동, 비상사이렌 on, off, 비상점멸등 점등/소등, 자동차 실시간 위치정보, 블랙박스(실시간) 영상정보, 도어 열림/잠김, 트렁크 열림/잠김, 저전압 자동 시동 on, off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인터페이스 화면에 자동차의 도어를 자동으로 해제하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 제어명령 전송부(117)는 자동차의 도어를 해제하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제어채널을 통해 제2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
만약, 인터페이스 화면에 자동차의 도어를 수동(예컨대,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으로 해제하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거나, 또는 제2 스마트폰(300)이 자동차를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고,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자동차를 제어하는 자동차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명령 전송부(117)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제어채널을 통해 제2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
인증키 생성부(113)는 자동차제어 명령이 전송될 때마다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명령 전송부(117)는 생성된 암호화 키 값을 통해 자동차제어 명령을 암호화한 후 제어채널을 통해 제2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GPS 좌표값 저장부(118)는 제2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가 도난당할 시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제1 GPS 좌표값 전달부(119)는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제2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전달할 수 있다.
화면 출력부(120)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화면 출력부(120)는 제어부(11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12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키 입력부(130)는 제어부(11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제어부(11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40)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40)는 제어부(11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모듈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운드 입력부(150)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운드 입력부(15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운드 모듈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광학부를 통해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스캔부(170)는 지문을 스캔할 수 있는 스캔 장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0)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NFC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0)은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과 통합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0)은 제1 스마트폰(100)을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한다.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제어부(11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및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할 수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제1 스마트폰(100)을 음성 통화망에 연결하며, 경우에 따라 제1 스마트폰(100)을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할 수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및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및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3세대 이동통신기술(3G) 또는 4세대 이동통신기술 LTE(Long Term Evolution)(4G)이 사용될 수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NFC 통신부(200)는 RF카드 또는 RFID와 근접 통신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NFC 통신부(200)는 제2 스마트폰(300)에 구비된 NFC 통신모듈(예컨대,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모듈)과 근접 거리의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USIM 리더부(210)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제1 스마트폰(100)에 탑재 또는 착, 탈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데이터 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USIM(220)은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USIM 리더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제1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IC칩용 프로그램 코드를 연산하거나 데이터 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및 입출력(I/O)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접점을 통해 USIM리더부(210)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IC칩 메모리는 IC칩의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보안모듈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고정된 저장영역에 제1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망 접속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를 저장한다.
IC칩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에서 제작한 프로그램 코드(=애플릿)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 별 저장영역(예컨대, SD(Security Domai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USIM(220)은 제1 스마트폰(100)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자동차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저장 값을 저장한다.
고유 저장 값은 전화번호, USIM 일련번호, 디바이스 토큰(예컨대, APNS 규격에 따라 제1 스마트폰(100)에 할당되는 토큰 값), 장치일련정보 및 MAC주소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제1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다. 메모리부(230)는 제어부(1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제1 스마트폰(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제1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 및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제1 스마트폰(100)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자동차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저장 값을 저장할 수 있다.
고유 저장 값은 전화번호, USIM 일련번호, 디바이스 토큰(예컨대, APNS 규격에 따라 제1 스마트폰(100)에 할당되는 토큰 값), 장치일련정보 및 MAC주소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마트폰(300)은 제어부(310), 메모리부(330) 및 자동차제어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스마트폰(300)은 제1 스마트폰(100)의 화면 출력부(120), 키 입력부(130), 사운드 출력부(140), 사운드 입력부(150), 카메라부(160),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80),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190), USIM 리더부(210), 지문 스캔부(170) 및 배터리(24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나, 편의상 중복되는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310)는 제2 고유번호 저장부(311), 인증키 수신부(312), 검증 키 생성부(313), 키 값 비교부(314), 채널 전환부(315), 자동차 제어부(316), 제1 GPS 좌표값 저장부(317), 지문 저장부(318) 및 지문 식별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유번호 저장부(311)는 제1 스마트폰(100)과 제2 스마트폰(300) 간 연결된 케이블 통신을 통해 제1 스마트폰(100)에 저장된 무선키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인증키 수신부(312)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인증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검증 키 생성부(313)는 인증키 값이 암호화되어 전송되면,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복호화 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키 값 비교부(314)는 인증 키 값과 검증 키 값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채널 전환부(315)는 인증 키 값과 검증 키 값이 일치하면, 통신채널을 제1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자동차를 제어하는 제어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자동차 제어부(316)는 제어채널을 통해 제어장치 식별 값과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자동차 제어부(316)는 검증 키 생성부에서 생성된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암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근거로 자동차제어모듈(340)을 통해 자동차의 지정된 특정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마트폰(100)에서 제어채널을 통해 자동차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제2 스마트폰(300)은 제어채널을 통해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근거로 자동차제어모듈(340)을 통해 자동차의 지정된 특정 제어장치를 제어한다.
또는, 제1 스마트폰(100)에서 제어채널을 통해 자동차 내 제어장치 중 특정 제어 대상의 제어장치 식별 값과 해당 제어장치에 대한 자동차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자동차 제어부(316)는 제어채널을 통해 제어장치 식별 값과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근거로 자동차제어모듈(340)을 통해 제어장치 식별 값에 대응하는 제어장치를 제어한다.
채널 전환부(315)는 인증 키 값과 검증 키 값이 일치하면, 통신채널을 제1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자동차를 제어하는 제어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자동차 제어부(316)는 제어채널을 통해 제어장치 식별 값과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자동차 제어부(316)는 검증 키 생성부에서 생성된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암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근거로 자동차제어모듈(340)을 통해 자동차의 지정된 특정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GPS 좌표값 저장부(317)는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지문 저장부(318)는 지문 인식부(112A)로 변환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저장할 수 있다. 지문 저장부(318)는 제1 스마트폰(100)과 제2 스마트폰(300)이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면서, 제1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달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지문 식별부(319)는 지문 전송부(112B)로 전달받은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지문 저장부(318)에 저장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에 대입하여 일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무선키 고유번호 및 제2 스마트폰(30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를 저장한다.
무선키 고유번호 및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는 키 입력되거나, 또는 제1 스마트폰(100)과 케이블 통신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자동차제어모듈(340)은 제어부(310)의 디지털 신호를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제어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 변환하여 자동차에 구비된 제어 대상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모듈의 총칭이다. 자동차제어모듈(340)은 자동차에 구비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인증키 생성부(113)는 보안성을 높이도록, 인증키 값을 생성할 시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에 지문 인식부(112A)로 변환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더 포함하여,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인증키 값을 생성하고, 검증키 생성부(313)는 검증키 값을 생성할 시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에 지문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더 포함하여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검증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스마트폰과 제2 스마트폰 간 제어채널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마트폰(100)은 무선키 고유번호 및 제2 스마트폰(300)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를 저장하고(S1), 제2 스마트폰(300)은 무선키 고유번호를 저장한다(S2).
제1 스마트폰(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스마트폰(100)과 제2 스마트폰(300) 간 통신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S3).
제1 스마트폰(100)과 제2 스마트폰(300) 간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제1 스마트폰(100)은 통신채널을 통해 제2 스마트폰(300)으로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전송하고(S4), 제2 스마트폰(300)은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한다(S5).
제1 스마트폰(100)은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인증 키 값을 생성하고(S6), 통신채널을 통해 제2 스마트폰(300)으로 생성된 인증 키 값을 전송한다(S7).
제2 스마트폰(300)은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검증 키 값을 생성하고(S8), 인증 키 값과 검증 키값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확인한다(S9).
만약, 인증 키 값과 검증 키 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스마트폰(300)은 통신채널을 통해 제1 스마트폰(100)으로 인증 오류를 전송한다(S10).
만약, 인증 키 값과 검증 키 값이 일치하면, 제2 스마트폰(300)은 통신채널을 통해 제1 스마트폰(100)으로 통신채널이 제어채널로 전환되었음을 감지시키는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통신채널을 제어채널로 전환한다(S1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암/복호화하는 구성을 부가하였으나, 암/복호화 구성은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마트폰(100)과 제2 스마트폰(300) 사이에 연결된 제어채널이 연결되면, 제1 스마트폰(100)은 자동차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S20), 인터페이스 화면을 근거로 자동차제어 명령이 입력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결정되면, 제1 스마트폰(100)은 제1 스마트폰(100)에 저장된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하고(S21), 암호화 키 값을 통해 자동차제어 명령을 암호화한 후(S22), 암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제어채널을 통해 제2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S23).
제2 스마트폰(300)은 제2 스마트폰(300)에 저장된 무선키 고유번호,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복호화 키 값을 생성하고(S24),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암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복호화한 후(S25), 복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통해 자동차를 제어하며(S26), 제1 스마트폰(100)으로 자동차 제어 결과를 전송한다(S27).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100 : 제1 스마트폰
110 : 제어부
111 : 제1 고유번호 저장부
112A : 지문 인식부
112B : 지문 전송부
113 : 인증 키 생성부
114 : 인증 키 전송부
115 : 채널 전환 확인부
116 : 인터페이스 출력부
117 : 제어명령 전송부
118 : 제2 GPS 좌표값 저장부
119 : 제1 GPS 좌표값 전달부
120 : 화면 출력부
130 : 키 입력부
140 : 사운드 출력부
150 : 사운드 입력부
160 : 카메라부
170 : 지문 스캔부
180 :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190 : 원거리 무선 통신모듈
200 : NFC 통신부
210 : USIM 리더부
220 : USIM
230 : 메모리부
240 : 배터리
300 : 제2 스마트폰
310 : 제어부
311 : 스마트폰 식별부
312 : 인증키 수신부
313 : 검증키 생성부
314 : 키 값 비교부
315 : 채널 전환부
316 : 자동차 제어부
317 : 제1 GPS 좌표값 저장부
318 : 지문 저장부
319 : 지문 식별부
330 : 메모리부
340 : 자동차제어모듈
350 : 배터리
400 : 무선키
500 : 자동차

Claims (10)

  1. 자동차의 무선키와 연동된 운전자의 제1 스마트폰 및 상기 제1 스마트폰과 연동되면서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조작에 의해 정해진 바에 따른 상기 자동차를 거리 제한 없이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2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폰을 동작시키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스마트폰을 동작시키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전달하는 제1 GPS 좌표값 전달부;
    상기 무선키의 이모빌라이저칩에 저장된 무선키 고유번호 및 상기 제2 스마트폰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제1 고유번호 저장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과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상기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인증키 값을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생성된 인증키 값을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인증키 전송부;
    상기 통신채널이 상기 자동차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채널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채널 전환 확인부 및
    상기 제어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 GPS 좌표값 저장부;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제2 고유번호 저장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인증키 값을 수신하는 인증키 수신부;
    상기 인증키 값이 수신되면,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상기 제2 스마트폰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검증키 값을 생성하는 검증키 생성부;
    상기 인증키 값과 검증키 값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확인하는 키 값 비교부 및
    상기 통신채널을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자동차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제어채널로 전환하는 채널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2 GPS 좌표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자동차의 잠금 장치, 시동 또는 공조기를 on, off하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동차제어 명령으로 상기 자동차의 잠금 장치, 시동 또는 공조기를 on, off하는 자동차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동차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자동차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생성부는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 전송 시,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와 상기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 전송 시점의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상기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는
    상기 암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을 암호화하여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검증키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와 상기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 수신 시점의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상기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복호화 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자동차 제어부는
    상기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자동차제어 명령을 복호화하여 상기 자동차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및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는 키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스마트폰과 제2 스마트폰이 케이블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지문의 특징점을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지문 인식부 및 상기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상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지문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저장하는 지문 저장부 및 상기 지문 전송부로 전달받은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을 지문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에 대입하여 일치 여부를 식별하는 지문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키 생성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과 통신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지문 인식부로 변환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상기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상기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인증키 값을 생성하고,
    상기 검증키 생성부는
    상기 인증키 값이 수신되면, 상기 지문 저장부에 저장된 지문의 특징점 좌표값, 상기 무선키 고유번호, 상기 제2 스마트폰에 저장된 제2 스마트폰 고유번호 및 제1 스마트폰의 GPS 좌표값을 지정된 키 생성 함수에 대입하여 검증키 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50035A 2016-04-25 2016-04-25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KR10174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35A KR101741500B1 (ko) 2016-04-25 2016-04-25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35A KR101741500B1 (ko) 2016-04-25 2016-04-25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500B1 true KR101741500B1 (ko) 2017-05-30

Family

ID=5905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035A KR101741500B1 (ko) 2016-04-25 2016-04-25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923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Ble 5.0 기반의 차량용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102188931B1 (ko) * 2019-06-24 2020-12-09 주식회사 지아이티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WO2022149702A1 (ko) * 2021-01-11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전한 보행을 위한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5149A (ja) 2006-05-29 2007-12-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認証システムと電子鍵、認証サーバおよび電子錠
WO2010051455A2 (en) 2008-10-31 2010-05-06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Integrated vehicle key and mobile phone system for preventing mobile phone use while driv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5149A (ja) 2006-05-29 2007-12-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認証システムと電子鍵、認証サーバおよび電子錠
WO2010051455A2 (en) 2008-10-31 2010-05-06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Integrated vehicle key and mobile phone system for preventing mobile phone use while driv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923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Ble 5.0 기반의 차량용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102188931B1 (ko) * 2019-06-24 2020-12-09 주식회사 지아이티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WO2022149702A1 (ko) * 2021-01-11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전한 보행을 위한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78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6626565B2 (ja) 車両の起動方法
KR101480880B1 (ko) 자물쇠 시스템의 무선 제어 및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328278A (zh) 用于将移动电话与机动车辆配对的方法以及锁定/解锁装置
JP2007132085A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通信ユニット
CN107564145B (zh) 内置安全芯片的汽车双模式自动开关车门系统及其方法
KR10174150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JP6054773B2 (ja) 通信システム
KR20060107315A (ko) 호스트 장치, 인증 시스템, 인증 방법 및 입퇴장 관리시스템
KR10202734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스위칭 제어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992708B1 (ko) 차량을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의 차량 제어 방법
CN109695383A (zh) 钥匙单元、控制系统、控制方法和具有存储在其中的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056498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JP2019191752A (ja) 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KR20180130940A (ko) 음성구분을 통한 자동차 제어
KR20150011031A (ko)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6505A (ko) 공유자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JP6272721B2 (ja) 携帯端末キーシステム
JP2019199723A (ja) 共用システム及びインロック防止方法
CN111497719B (zh) 一种信标模块
KR20180110280A (ko) Obd연동장치 인증 방법
CN111183660B (zh) 用于操作发射器的系统和方法
KR20170134861A (ko)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KR20170121004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101901792B1 (ko) 샤크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