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931B1 -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931B1
KR102188931B1 KR1020190074758A KR20190074758A KR102188931B1 KR 102188931 B1 KR102188931 B1 KR 102188931B1 KR 1020190074758 A KR1020190074758 A KR 1020190074758A KR 20190074758 A KR20190074758 A KR 20190074758A KR 102188931 B1 KR102188931 B1 KR 10218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uthentication
portable terminal
task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티
Priority to KR102019007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은 상기 차량 제어 모듈과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 제어 모듈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고, 차량을 동작시키기 위해 키를 열쇠구멍에 넣고 돌리는 '턴 키 스타터', 차 문을 원격으로 잠그는 '리모트 키', 운전자가 차량에 근접하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스마트 키' 등이 이용되었다.
최근에는 물리적인 키 없이 운전자가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고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키'가 이용되고 있다. 디지털 키는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을 동작시킬 수 있어 운전자가 물리적인 키를 소지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디지털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1-0125791호는 보안을 위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키의 경우, 해당 디지털키가 차량을 실제 운행하는 사용자의 디지털키인지 인증하기 위하여 첫번째, 행정시스템의 자동차 등록자 정보, 두번째, 자동차 판매사의 CRM 시스템에 등록된 구매자 정보, 세번째,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휴대폰 본인인증을 종합하여 차량을 실제 운행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하고 있으나, 상술한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량을 실제 운행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제어, 차량 모니터링 등 차량용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 및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을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로 인증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인증이 완료된 후, 휴대 단말에서 차량을 원격 제어하거나,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보유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제어 모듈과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 제어 모듈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과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차량 제어 모듈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 모듈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증 임무의 수행을 통해 차량을 실제 제어할 수 있는 운전자의 휴대 단말로 디지털키를 제공하여 차량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을 실제 운행할 수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함으로써,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제공자는 전술한 행정시스템의 자동차 등록자 정보, 자동차 판매사의 CRM 시스템에 등록된 구매자 정보,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휴대폰 본인인증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아도 차량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실제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가 인증을 완료한 휴대 단말을 분실하거나, 또는 타인에 의해 운전자의 휴대 단말이 불법적으로 입수된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타인에 의해 차량이 제어되지 않도록 생체 인증 또는 운전자가 등록한 PIN 입력을 통해 추가 인증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이도록 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차량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을 차량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이동 통신 모뎀을 구비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을 차량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차량 제어 모듈(110, 115), 휴대 단말(120), 서버(130) 및 관리자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 (110, 115), 휴대 단말(120), 서버(130) 및 관리자 단말(140)은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 115) 또는 서버(13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100)은 자체 통신 장치를 보유한 차량이거나, 또는 자체 통신 장치 대신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이 탑재된 차량일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은 블루투스 모듈형의 차량 제어 모듈(110) 또는 이동 통신 모뎀형의 차량 제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형의 차량 제어 모듈(11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1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뎀형의 차량 제어 모듈(115)은 3G, LTE(Long Term Evolution) 및 5G 등의 이동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20) 또는 서버(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차량 제어 모듈은 NFC, Wi-Fi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은 차량(100)의 내부 통신망에 접속하여 차량(1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휴대 단말(120) 또는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형의 차량 제어 모듈(110)은 차량(100)의 OBD 단자를 통해 통신망(CAN: Controller Area Network)에 연결되어 차량(100)의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모뎀형의 차량 제어 모듈(115)은 차량(100)의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은 차량(100)의 차량 상태 정보, 차량(100)의 고유 번호(VIN,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차량 제어 모듈(110)의 고유 번호를 함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120)로 전송하거나, 이동 통신을 통해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용 서비스의 회원 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운전자로부터 운전자 성명, 연락처, 이메일, 휴대 단말(120)의 고유번호(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을 입력받아 차량용 서비스의 회원 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차량용 서비스의 회원 가입을 진행한 후, 차량 제어 모듈(110, 115)과 최초 연결 시,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서비스는 차량(100)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120)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되어 휴대 단말(120), 차량 제어 모듈(110, 115) 및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가 매칭되어 서버(130)에 저장되면,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운전자임을 인증하여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PIN 번호, 생체 인증, 패턴 인증 등의 추가 인증 방법을 등록 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추가 인증의 등록이 완료된 후, 차량(100)의 원격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30)는 휴대 단말(120)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된 경우, 휴대 단말(120)의 계정 정보와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의 고유 번호(serial), 차량(100)의 고유 번호(VIN)를 매칭하여 매칭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서버(130)는 휴대 단말(120)이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 및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된 경우, 인증 내용에 기초하여 저장된 매칭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에 등록된 휴대 단말(120)에서 차량(100)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110)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110)과 연결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실행하여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과 연결된 후, 서버(130)에 의해 기등록된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20)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과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실행하여 인증 임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정보는 휴대 단말(120)의 계정 정보,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의 고유 번호 및 차량(100)의 고유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운전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하여 차량(100)이 조작된 경우,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100)의 엔진 상태, 기어 상태, 브레이크 상태, 엑셀 위치 상태, 냉각수 온도 상태, 조명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스티어링휠의 조향 상태, 사이드 미러 접힘 상태, 와이퍼 동작 상태, 연료 소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증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한 뒤, 서버(13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120)은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결과는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시간 및 횟수 이내에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인증이 실패할 경우, 휴대 단말(120)의 인증 시도를 소정 시간 동안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이동 통신 모뎀이 탑재된 차량용 서비스 모듈(115)을 이용하여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에 의해 기등록된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20)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과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인증 임무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운전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하여 차량(100)이 조작된 경우, 서버(130)로부터 차량 제어 모듈(115)에 의해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차량(100)이 자체 통신 장치를 보유한 차량인 경우, 휴대 단말(12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차량(100)의 자체 통신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수신하거나,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실행하여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자체 통신 장치를 보유한 차량(100)과 연결된 후, 서버(130)에 의해 기등록된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20)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과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 임무를 진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120)은 운전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하여 차량(100)이 조작된 경우, 자체 통신 장치를 보유한 차량(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이동 통신 모뎀이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115)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20)을 거치지 않고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140)은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SMS 또는 통화를 통해 운전자의 휴대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하여 차량(100)이 조작된 경우, 서버(130)는 이동 통신 모뎀이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115)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140)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40)은 서버(13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앱(APP)/웹(WEB)/소프트웨어(SW) 등을 이용하여 차량(100)을 실제 조작할 수 있는 운전자만이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차량 조작 명령을 내리고, 차량(100)의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를 통해 운전자에 의해 차량(100)의 조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OTC(On Time Control) 인증을 통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OTC 인증은 차량(100)의 운전자의 휴대 단말(120)이 변경되거나,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재설치된 경우, 운전자가 PIN 번호를 분실한 경우, 차량(100)의 소유권이 이전되어 새로운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차량을 실제 조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통신망에 접속된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을 통해 수집된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을 조작할 수 없는 타인에 의한 임의 인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종래의 서류 인증, 실물 인증, 외부 인증 시스템 연계 등의 인증 방식과 달리 비대면 및 무비용, 시공간 제약 없이 휴대 단말(120) 및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통신부(210), 인증 수행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차량 제어 모듈(110)과 연결할 수 있다.
인증 수행부(220)는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수행부(220)는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 기능을 실행하여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증 수행부(220)는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수행부(220)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과 연결된 후, 서버(130)에 의해 기등록된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20)이 차량(100)의 원격제어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과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후, 인증 수행부(22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 기능을 실행하여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거나,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정보는 휴대 단말(120)의 계정 정보,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의 고유 번호 및 차량(100)의 고유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이 차량용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차량(100)과 연결된 경우, 인증 수행부(220)는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 기능을 실행하여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증 수행부(220)는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이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되었음에도, 차량(100)의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PIN 번호가 오입력됨으로써, PIN 번호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증 임무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는 예를 들어, 3개의 인증 임무가 수행되나,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수행되는 인증 임무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인증 수행부(220)에서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증 임무는 차량(100)의 기어(300), 페달(310), 조명(320), 스티어링휠(330), 사이드 브레이크(340), 사이드 미러(350), 공조(360), 도어(370) 및 와이퍼(380)와 같이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임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임무는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복수의 인증 임무 중 적어도 하나가 랜덤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각각의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300) 조작의 경우,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하고, 페달(310) 조작의 경우, "브레이크를 밟고 있으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하고, 조명(320) 조작의 경우, "전조등을 켜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하고, 스티어링휠(330) 조작의 경우, "스티어링휠을 좌측으로 끝까지 돌리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하고, 사이드 브레이크(340) 조작의 경우, "사이드 브레이크를 체결하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하고, 사이드 미러(350) 조작의 경우, "사이드 미러를 접으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하고, 공조(360) 조작의 경우, "에어컨 또는 히터를 가동시키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하고, 도어(370) 조작의 경우, "문을 잠그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하고, 와이퍼(380) 조작의 경우, "와이퍼를 작동시키세요."와 같은 인증 임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인증 임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일부 조작의 경우 예를 들어, "브레이크를 3회 밟았다 떼세요."와 같이 변경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인증 수행부(220)는 차량 제어 모듈(110) 또는 서버(13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100)의 엔진 상태, 기어 상태, 브레이크 상태, 엑셀 위치 상태, 냉각수 온도 상태, 조명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스티어링휠의 조향 상태, 사이드 미러 접힘 상태, 와이퍼 동작 상태, 연료 소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형의 차량 제어 모듈(110)의 경우, 인증 수행부(220)는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수행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인증 임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증 수행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한 후, 서버(13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모뎀형의 차량 제어 모듈(115)의 경우, 인증 수행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서버(130)로부터 수신하고, 이 후, 서버(13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수행부(220)는 수신한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결과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시간 및 횟수 이내에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인증 수행부(220)는 인증이 실패할 경우, 휴대 단말(120)의 인증 시도를 소정 시간 동안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수행부(220)는 최초 인증의 3회 실패시, 휴대 단말(120)이 5분간 인증 시도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2회차 인증의 3회 실패시, 휴대 단말(120)이 1시간 동안 인증 시도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3회차 인증의 3회 실패시, 휴대 단말(120)이 24시간 동안 인증 시도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4회차 인증의 3회 실패시, 휴대 단말(120)이 영구적으로 인증 시도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단말(120)이 영구적으로 인증 시도가 제한된 경우, 인증 수행부(220)는 별도의 SMS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ARS 인증 등을 통해 영구적으로 제한된 인증 시도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인증 수행부(220)는 휴대 단말(120)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된 이후, 원격제어, 차량상태 확인 등 차량용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생체 인증, PIN 번호를 이용한 인증, 패턴을 이용한 인증, SMS를 이용한 인증, ARS 인증,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인증 등을 통해 차량(100)의 운전자를 추가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PIN 번호를 이용한 인증 시에 PIN 번호가 특정 횟수 이상 오입력된 경우, 인증 수행부(220)는 PIN 번호의 재설정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PIN 번호를 재설정하는 경우, 휴대 단말(120)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인지에 대한 인증 과정이 재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인증이 완료된 후, 서버(130) 또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서비스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인증이 완료된 후, 서버(130) 또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 차량 상태 모니터링(예를 들어, 시동 상태, 엔진 상태, 기어 상태, 브레이크 상태, 연료 소모량 등)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서버(130) 또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부터 모니터링된 차량 상태를 수신하여 운전자가 디지털키가 없이도 차량(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인증이 완료된 후, 서버(130) 또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 원격 시동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서버(130) 또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에 의해 운전자가 디지털키를 보유하지 않고도 차량(100)의 시동이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인증이 완료된 후, 서버(130) 또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 원격 제어(예를 들어, 전조등 점등)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서버(130) 또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에 의해 운전자가 디지털키를 보유하지 않고도 차량(100)이 원격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차량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휴대 단말(120)의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화면에 표시된 조건(400)을 확인하여 수행한 후, 인증을 개시(401)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400)은 차량(100)의 엔진이 온(on) 상태여야 하며, 휴대 단말(120)의 블루투스 통신이 온(on) 상태여야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기 위한 제 1 단계(41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1 인증 임무(411)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실행하여 인증 임무(411)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인증 임무(411)는 조명 조작과 관련된 "비상등을 켜세요."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부터 소정의 시간(412) 내에 제 1 인증 임무(411)와 관련된 차량(100)의 제 1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1 차량 상태 정보가 소정의 시간(412) 내에 수신되었는지에 대해 결정된 인증 결과(413)를 수신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1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인증 임무(411)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다음 단계(414)로 진입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기 위한 제 2 단계(42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2 인증 임무(421)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실행하여 제 2 인증 임무(421)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증 임무(421)는 브레이크 조작과 관련된 "브레이크를 밟고 있으세요."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부터 소정의 시간(422) 내에 제 2 인증 임무(421)와 관련된 차량(100)의 제 2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2 차량 상태 정보가 소정의 시간(422) 내에 수신되었는지에 대해 결정된 인증 결과(423)를 수신하거나, 또는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2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인증 임무(421)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다음 단계(424)로 진입할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이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기 위한 제 3 단계(43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3 인증 임무(431)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실행하여 제 3 인증 임무(431)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인증 임무(431)는 조명 조작과 관련된 "전조등을 켜세요."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부터 소정의 시간(432) 내에 제 3 인증 임무(431)와 관련된 차량(100)의 제 3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도 4g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3 차량 상태 정보가 소정의 시간(432) 내에 수신되었는지에 대해 결정된 인증 결과(433)를 수신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3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인증 임무(431)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하고, 인증이 성공(440)한 경우,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도 4h).
도 4i를 참조하면, 인증이 실패(450)한 경우, 휴대 단말(120)은 소정의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하여 인증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을 차량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S501).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1 인증 임무를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502).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1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제 1 인증 임무와 관련된 제 1 차량 상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S503),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1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인증 결과를 판단 할 수 있다 (S504).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1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지 않은 경우(S505), 휴대 단말(120)은 인증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S506).
다른 예를 들어, 제 1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된 경우(S507),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2 인증 임무를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508).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2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제 2 인증 임무와 관련된 제 2 차량 상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S509),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2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인증 결과를 판단 할 수 있다(S510).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2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지 않은 경우(S511), 휴대 단말(120)은 인증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S506).
다른 예를 들어, 제 2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된 경우(S512),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3 인증 임무를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513).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로부터 제 3 인증 임무와 관련된 제 3 차량 상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S514),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3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인증 결과를 판단 할 수 있다 (S515).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3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3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지 않은 경우(S516), 휴대 단말(120)은 인증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S506).
이때, 휴대 단말(120)은 인증 실패의 3회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실패가 3회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S520),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1 인증 임무를 다시 표시하거나,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 1 인증 임무를 다시 표시함으로써(S502), 휴대 단말(120)이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인지에 대한 인증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증 실패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S521), 휴대 단말(120)은 소정 시간 동안 인증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S522).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22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이동 통신 모뎀을 구비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을 차량의 원격의 제어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1 인증 임무를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601).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1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이동 통신 모뎀을 구비한 차량 제어 모듈(115)에 의해 수집된 제 1 인증 임무와 관련된 제 1 차량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S602),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1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인증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S603).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1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지 않은 경우(S604), 휴대 단말(120)은 인증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S605).
다른 예를 들어, 제 1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된 경우(S606),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2 인증 임무를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607).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2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이동 통신 모뎀을 구비한 차량 제어 모듈(115)에 의해 수집된 제 2 인증 임무와 관련된 제 2 차량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S608),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2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인증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S609).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2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지 않은 경우(S610), 휴대 단말(120)은 인증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S605).
다른 예를 들어, 제 2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된 경우(S611),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3 인증 임무를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3 인증 임무를 표시할 수 있다(S612).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제 3 인증 임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이동 통신 모뎀을 구비한 차량 제어 모듈(115)에 의해 수집된 제 3 인증 임무와 관련된 제 3 차량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S613),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3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인증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S614). 또는, 휴대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 3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된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3 인증 임무가 제한 시간 내에 수행되지 않은 경우(S615), 휴대 단말(120)은 인증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S605).
이때, 휴대 단말(120)은 인증 실패의 3회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실패가 3회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S619),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120)에 설치된 차량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인증기능을 통해 제 1 인증 임무를 다시 표시하거나,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 1 인증 임무를 다시 표시함으로써(S602), 휴대 단말(120)이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인지에 대한 인증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증 실패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S620), 휴대 단말(120)은 소정 시간 동안 인증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S621).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2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휴대 단말(120)에서 차량(100)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을 이용하여 차량(100)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20)에서 차량(100)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110, 115)을 이용하여 차량(100)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 115)과 연결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휴대 단말(120)은 차량(100)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휴대 단말(120)은 차량 제어 모듈(110, 115) 또는 서버(13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120)을 차량(100)의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휴대 단말(120)은 인증이 완료된 후, 서버(130) 또는 차량 제어 모듈(110, 115)로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단말(120)은 휴대 단말(120)이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된 이후, 생체 인증, PIN 번호를 이용한 인증, 패턴을 이용한 인증, SMS를 이용한 인증, ARS 인증,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휴대 단말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휴대 단말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 진단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110, 115: 차량 제어 모듈
120: 휴대 단말
130: 서버
140: 관리자 단말
210: 통신부
220: 인증 수행부
230: 제어부

Claims (15)

  1.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모듈과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 제어 모듈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하고,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인증이 실패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인증 시도를 소정 시간 동안 제한하는 것인, 휴대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수신하는 것인, 휴대 단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차량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것인, 휴대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이 후, 상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는 것인, 휴대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에 대한 상기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것인, 휴대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것인, 휴대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결과는 상기 차량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시간 및 횟수 이내에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인, 휴대 단말.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차량 제어 모듈과 연결된 후, 상기 서버에 의해 기등록된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용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과 동일한지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 제어 모듈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임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하는 것인, 휴대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의 계정 정보, 상기 차량 제어 모듈의 고유 번호 및 상기 차량의 고유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 단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엔진 상태, 기어 상태, 브레이크 상태, 엑셀 위치 상태, 냉각수 온도 상태, 조명 상태, 도어 개폐 상태, 스티어링휠의 조향 상태, 사이드 미러 접힘 상태, 와이퍼 동작 상태, 연료 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 단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된 이후, 생체 인증, PIN 번호를 이용한 인증, 패턴을 이용한 인증, SMS를 이용한 인증, ARS 인증,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차량의 운전자를 추가 인증하는 것인, 휴대 단말.
  14. 차량의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후, 서버로 상기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하고,
    상기 인증 수행부는 상기 인증이 실패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인증 시도를 소정 시간 동안 제한하는 것인, 휴대 단말.
  15. 휴대 단말에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 제어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모듈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조작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 모듈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차량용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용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와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임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실패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인증 시도를 소정 시간 동안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074758A 2019-06-24 2019-06-24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18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58A KR102188931B1 (ko) 2019-06-24 2019-06-24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58A KR102188931B1 (ko) 2019-06-24 2019-06-24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931B1 true KR102188931B1 (ko) 2020-12-09

Family

ID=7378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758A KR102188931B1 (ko) 2019-06-24 2019-06-24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9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512A (ko) * 2012-04-04 2013-10-14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41500B1 (ko) * 2016-04-25 2017-05-30 (주)솔로몬시스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KR20170138031A (ko) * 2016-06-03 2017-12-14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키 권한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36091A (ja) * 2017-08-14 2019-03-07 Kddi株式会社 車両保安システム及び車両保安方法
KR20190029920A (ko) * 2017-09-13 2019-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512A (ko) * 2012-04-04 2013-10-14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41500B1 (ko) * 2016-04-25 2017-05-30 (주)솔로몬시스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 시스템
KR20170138031A (ko) * 2016-06-03 2017-12-14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키 권한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36091A (ja) * 2017-08-14 2019-03-07 Kddi株式会社 車両保安システム及び車両保安方法
KR20190029920A (ko) * 2017-09-13 2019-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6225690B4 (de) Zubehörgerät und -system zum Bilden einer Fahrgemeinschaft
US104349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CN107689092B (zh) 使用数字临时车辆钥匙的方法和设备
CN108882200A (zh) 在汽车共享系统中操作密钥卡
DE102018123656A1 (de) Zusatzmodul und system für die gemeinsame nutzung von fahrzeugen
JP6069039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1881167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US11405779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of emergency information to first responders
US11021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vehicle function control
JP6696942B2 (ja) 車両保安システム及び車両保安方法
CN109727358A (zh) 基于蓝牙钥匙的车辆分享系统
US956940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one or more users of a vehicle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ystem
CN106416332A (zh) 能够与机动车辆自动配对的移动电话以及自动配对方法
CN109830018A (zh) 基于蓝牙钥匙的车辆借用系统
CN113556314A (zh) 用于使用移动装置来控制车辆操作的系统及其相关方法
KR20130112512A (ko) 차량 운행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173820A (zh) 基于特定账户的车辆授权方法和系统
CN109286595A (zh) 汽车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及计算机设备
KR102188931B1 (ko) 차량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20240025374A1 (en) Lock control device and vehicle digital key system
CN114555429A (zh) 使用移动终端解锁车门的方法
JP715869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70993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5027411A (zh) 一种车辆的预启动控制方法及系统
WO2023189543A1 (ja) 車両用パーソナライズ設定システム、及び車両用パーソナライズ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