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078B1 -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078B1
KR101881078B1 KR1020170047578A KR20170047578A KR101881078B1 KR 101881078 B1 KR101881078 B1 KR 101881078B1 KR 1020170047578 A KR1020170047578 A KR 1020170047578A KR 20170047578 A KR20170047578 A KR 20170047578A KR 101881078 B1 KR101881078 B1 KR 10188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mbustion chamber
heat storage
small block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70047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은, 지상에서 연락관을 조립하는 연락관 조립단계; 및 조립된 상기 연락관을 연소실 및 축열실 상부로 올린 후 설치하는 연락관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METHOD FOR INSTALLING CONNECTION PIPE OF HOT STOVE}
본 발명은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으로서, 열풍로에서의 연락관을 설치하는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용광로(Blast Furnace, 이하 고로)에 철광석, 코크스(Coke) 및 부원료를 장입한 후, 고온의 환원반응을 통한 용선(Pig Iron)생산을 위해서는, 약 1,200℃의 열풍(熱風, Hot Blast)이 필요하다.
이러한 열풍은 열풍로(Hot Stove)에 의해 공급되는데, 상기 열풍로는 고로가스(BFG)와 코크스가스(COG)의 혼합가스(Mixed Gas)를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서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을 축열실(Heat Storage Chamber)에 저장 후, 원하는 시점에 일정온도의 열풍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설비이다.
그런데, 상기 열풍로는 고온, 고압의 열풍을 공급하는 설비로서 고온으로 인한 열팽창과 고압으로 인한 피로응력으로 인하여, 그 중 가장 취약한 부위인 연소실과 축열실을 연결하는 연락관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손상된 연락관을 제거한 후 새로운 연락관을 설치하는데, 이러한 연락관의 설치는 지상 30m 상부의 고소지역에서 작업이 실시됨에 따라, 작업 중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크고, 공사품질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은, 연소실(11)과 축열실(21)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상부구조물(12)(22), 이러한 두 개의 상부구조물(12)(22)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연락관(30)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중앙연락관(30)은 제1 단위관(31), 제2 단위관(32), 및 상기 제1 단위관(31)과 제2 단위관(32)을 연결하는 신축이음부(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열풍로의 연락관은, 비록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구조물(12)(22), 제1 단위관(31), 제2 단위관(32), 및 신축이음부(33) 각각이 복수 개의 피스(piece)들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피스들을 크레인으로 올려서 연락관의 설치위치인 고소지역에서 일일이 서로 용접하여 결합함에 따라, 많은 크레인 작업 및 용접작업으로 인하여 고소지역에 위치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크며, 나아가 작업의 곤란성으로 인하여 용접품질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1-00013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고소지역에서 작업이 안정적이면서도 용접품질이 우수한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은, 지상에서 연락관을 조립하는 연락관 조립단계; 및 조립된 상기 연락관을 연소실 및 축열실 상부로 올린 후 설치하는 연락관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락관은,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종방향 설치되는 연소실연결부와, 상기 축열실의 상부에 종방향 설치되는 축열실연결부; 및 상기 연소실연결부와 축열실연결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연소실연결부와 축열실연결부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락관 조립단계는, 복수 개의 제1 피스로 상기 연소실연결부가 되는 연소실연결소블럭을 조립하는 연소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 복수 개의 제2 피스로 상기 축열실연결부가 되는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조립하는 축열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 및 복수 개의 제3 피스로 상기 수평연결부가 되는 수평연결소블럭을 조립하는 수평연결소블럭 조립공정;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락관 조립단계는, 상기 수평연결소블럭으로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과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연결시켜, 상기 연락관이 되는 한 개의 연락관대블럭을 조립하는 연락관대블럭 조립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락관 설치단계는, 상기 연소실과 축열실을 상기 연락관대블럭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연락관대블럭에서 일부분인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을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다른 부분인 상기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상기 축열실의 상부에 연결시키는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락관 설치단계는,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을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 상기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상기 축열실의 상부에 설치하는 축열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 및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과 축열실소블럭 설치공정 이후에, 상기 수평연결소블럭으로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과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연결시키는 수평연결소블럭 설치공정;을 구비하여,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 축열실연결소블럭, 및 수평소연결블럭 각각이 독립적으로 상기 연소실과 축열실 상부로 올려져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은, 지상에서 연락관을 조립하는 연락관 조립단계와, 조립된 상기 연락관을 연소실 및 축열실 상부에 올린 후 설치하는 연락관 설치단계로 구성됨으로써, 크레인 작업과 고소지역에 있어서의 용접작업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고소지역에 위치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을 줄이며, 나아가 고소지역에 있어서의 작업 곤란성으로 인하여 용접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에서 복수 개의 피스들로 이루어진 연락관대블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연락관대블럭을 연소실과 축열실 상부에 올리는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에서 연소실연결소블럭, 축열실연결소블럭, 및 수평연결소블럭 각각을 연소실과 축열실 상부에 올리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는 수평연결소블럭을 연소실연결소블럭과 축열실연결소블럭 상부에 올리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이 포함된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4의 연소실연결소블럭, 축열실연결소블럭, 및 수평연결소블럭 각각의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진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에서 복수 개의 피스들로 이루어진 연락관대블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연락관대블럭을 연소실과 축열실 상부에 올리는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에서 연소실연결소블럭, 축열실연결소블럭, 및 수평연결소블럭 각각을 연소실과 축열실 상부에 올리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는 수평연결소블럭을 연소실연결소블럭과 축열실연결소블럭 상부에 올리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의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이 포함된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7은 도 4의 연소실연결소블럭, 축열실연결소블럭, 및 수평연결소블럭 각각의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진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방법은 지상에서 연락관(100)을 조립하는 연락관 조립단계(S100)와, 조립된 연락관(100)을 연소실(11) 및 축열실(21) 상부로 올린 후 설치하는 연락관 설치단계(S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상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연소실(11) 및 축열실(21)의 상부와 같이 고소지역이 아닌 상대적으로 현저히 낮은 지역을 지칭하며, 용접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낮은 높이의 지역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조립은 가장 바람직한 일례로서 용접결합이 활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조립방법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연락관(100)은 연소실연결부(101)와 축열실연결부(102), 및 수평연결부(103)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소실연결부(101)는 연소실(11)의 상부에 종방향 설치되고, 상기 축열실연결부(102)는 축열실(21)의 상부에 종방향 설치되며, 상기 수평연결부(103)는 연소실연결부(101)와 축열실연결부(102)를 연통시키도록 연소실연결부(101)와 축열실연결부(102)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은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연락관(100)을 고소지역이 아닌 지상과 같이 안정적인 낮은 높이의 장소에서 하나의 대블럭인 연락관대블럭(100)으로 조립한 후, 연소실(11)과 축열실(21)을 연결하도록 고소지역인 연소실(11)과 축열실(21)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을 주요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지역이 아닌 지상과 같이 안정적인 낮은 높이의 장소에서 세 개의 소블럭인 연소실연결소블럭(101), 축열실연결소블럭(102), 및 수평연결소블럭(103)으로 조립한 후, 연소실(11)과 축열실(21)을 연결하도록 고소지역인 연소실(11)과 축열실(21)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을 또 다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101)은 상술된 연소실연결부(101), 상기 축열실연결소블럭(102)은 상술된 연소실연결부(101), 상기 수평연결소블럭(103)은 상술된 수평연결부(103) 각각에 해당되는 소블럭으로서, 도면에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락관 조립단계(S100)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S110), 축열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S120), 및 수평연결소블럭 조립공정(S1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S110)은 복수 개의 제1 피스(101a)로 연소실연결부(101)가 되는 연소실연결소블럭(101)을 조립하는 공정이다.
또한, 상기 축열식연결소블럭 조립공정은 복수 개의 제2 피스(102a)로 축열실연결부(102)가 되는 축열실연결소블럭(102)을 조립하는 공정이다.
아울러, 상기 수평연결소블럭 조립공정(S130)은 복수 개의 제3 피스(103a)로 수평연결부(103)가 되는 수평연결소블럭(103)을 조립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연소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S110), 축열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S120), 및 수평연결소블럭 조립공정(S130)은 서로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조립공정도 가장 먼저 수행되거나 가장 나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락관 조립단계(S1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관대블럭 조립공정(S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락관대블럭 조립공정(S140)은 지상에서 수평연결소블럭(103)으로 연소실연결소블럭(101)과 축열실연결소블럭(102)을 연결시켜, 연락관(100)이 되는 한 개의 연락관대블럭(100)을 조립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열풍로 연락관 설치공법은 상술된 바와 같은 연락관 조립단계(S100) 이후에,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관 설치단계(S200)가 수행된다.
상기 연락관 설치단계(S200)는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S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S210)은 연소실(11)과 축열실(21)을 연락관대블럭(100)으로 연결하도록, 연락관대블럭(100)에서 일부분인 연소실연결소블럭(101)을 연소실(11)의 상부에, 다른 부분인 축열실연결소블럭(102)을 축열실(21)의 상부에 연결시키는 공정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열풍로 연락관 설치공법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세 개의 소블럭을 한 개의 연락관대블럭(100)으로 조립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연소실(11)과 축열실(21) 상부로 올려져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101), 축열실연결소블럭(102), 및 수평연결소블럭(103)을 각각 크레인(C)으로 연소실(11)과 축열실(21) 상부에 올려서 연소실(11)과 축열실(21)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락관 설치단계(S200)는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10'), 축열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20'), 및 수평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10')은 연소실연결소블럭(101)을 연소실(11)의 상부에 설치하는 공정이다.
또한, 상기 축열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20')은 축열실연결소블럭(102)을 축열실(21)의 상부에 설치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10')과 축열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20')은 서로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조립공정도 먼저 수행되거나 나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30')은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S210')과 축열실연결소블럭(102) 설치공정 이후에, 수평연결소블럭(103)으로 연소실연결소블럭(101)과 축열실연결소블럭(102)을 연결시키는 공정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에 있어서, 연소실연결소블럭(101)과 축열실연결소블럭(102)은 손상되지 않고 수평연결소블럭(103)만이 손상되어 교체해야 되는 경우에는, 수평연결소블럭(103)만을 별도로 조립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C)으로 연소실연결부(101)와 축열실연결부(102)의 상부에 올려서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은, 지상에서 연락관(100)을 조립하는 연락관 조립단계(S100)와, 조립된 상기 연락관(100)을 연소실(11) 및 축열실(21) 상부에 올린 후 설치하는 연락관 설치단계(S200)로 구성됨으로써, 크레인(C) 작업과 고소지역에 있어서의 용접작업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고소지역에 위치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을 줄이며, 나아가 고소지역에 있어서의 작업 곤란성으로 인하여 용접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 연소실 21 : 축열실
C : 크레인 100 : 연락관
101 : 연소실연결소블럭(연소실연결부) 101a: 제1 피스
102 : 축열실연결소블럭(축열실연결부) 102 : 제2 피스
103 : 수평연결소블럭(수평연결부) 103a : 제3 피스
104 : 연락관대블럭(연락관)
S100 : 연락관 조립단계
S110 : 연소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 S120 : 축열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
S130 : 수평연결소블럭 조립공정 S140 : 연락관대블럭 조립공정
S200 : 연락관 설치단계
S210 :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
S210' :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 S220' : 축열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
S230' : 수평연결소블럭 설치공정

Claims (5)

  1. 지상에서 연락관을 조립하는 연락관 조립단계; 및 조립된 상기 연락관을 연소실 및 축열실 상부로 올린 후 설치하는 연락관 설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락관은,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종방향 설치되는 연소실연결부와, 상기 축열실의 상부에 종방향 설치되는 축열실연결부; 및 상기 연소실연결부와 축열실연결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연소실연결부와 축열실연결부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락관 조립단계는, 복수 개의 제1 피스로 상기 연소실연결부가 되는 연소실연결소블럭을 조립하는 연소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 복수 개의 제2 피스로 상기 축열실연결부가 되는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조립하는 축열실연결소블럭 조립공정; 및 복수 개의 제3 피스로 상기 수평연결부가 되는 수평연결소블럭을 조립하는 수평연결소블럭 조립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관 조립단계는,
    상기 수평연결소블럭으로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과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연결시켜, 상기 연락관이 되는 한 개의 연락관대블럭을 조립하는 연락관대블럭 조립공정;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관 설치단계는,
    상기 연소실과 축열실을 상기 연락관대블럭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연락관대블럭에서 일부분인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을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다른 부분인 상기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상기 축열실의 상부에 연결시키는 연락관대블럭 설치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관 설치단계는,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을 상기 연소실의 상부에 설치하는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
    상기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상기 축열실의 상부에 설치하는 축열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 및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 설치공정과 축열실소블럭 설치공정 이후에, 상기 수평연결소블럭으로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과 축열실연결소블럭을 연결시키는 수평연결소블럭 설치공정;을 구비하여,
    상기 연소실연결소블럭, 축열실연결소블럭, 및 수평소연결블럭 각각이 독립적으로 상기 연소실과 축열실 상부로 올려져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KR1020170047578A 2017-04-12 2017-04-12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KR101881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78A KR101881078B1 (ko) 2017-04-12 2017-04-12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78A KR101881078B1 (ko) 2017-04-12 2017-04-12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078B1 true KR101881078B1 (ko) 2018-07-24

Family

ID=6305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578A KR101881078B1 (ko) 2017-04-12 2017-04-12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1012A (en) * 1981-03-30 1982-10-04 Kawasaki Steel Corp Adjusting method fof thermal displacement of outside burning type hot stove
KR20010001337A (ko) 1999-06-03 2001-01-05 윤종용 칼라 프로젝트장치
JP2006022381A (ja) * 2004-07-08 2006-01-26 Kobe Steel Ltd 熱風炉の操業方法および熱風炉
JP2009052123A (ja) * 2007-08-29 2009-03-12 Jfe Steel Kk 熱風炉の建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1012A (en) * 1981-03-30 1982-10-04 Kawasaki Steel Corp Adjusting method fof thermal displacement of outside burning type hot stove
KR20010001337A (ko) 1999-06-03 2001-01-05 윤종용 칼라 프로젝트장치
JP2006022381A (ja) * 2004-07-08 2006-01-26 Kobe Steel Ltd 熱風炉の操業方法および熱風炉
JP2009052123A (ja) * 2007-08-29 2009-03-12 Jfe Steel Kk 熱風炉の建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7067B (zh) 焦炉维修方法
KR101445516B1 (ko) 용광로 열풍로의 열풍지관 구축방법 및 열풍지관
CN105369002A (zh) 一种热风炉热风支管内衬修补工装及其修补方法
KR101881078B1 (ko) 열풍로의 연락관 설치공법
CN105694920B (zh) 生产过程中焦炉蓄热室碳化硅砖墙串漏修补方法
CN206257967U (zh) 一种分体式烧结台车及其台车端体
CN205191632U (zh) 顶燃式热风炉圆弧拟合悬链线的独立拱顶结构
JP5347872B2 (ja) 高炉の熱風炉の熱風支管構築方法
CN205258515U (zh) 一种热风炉热风支管内衬修补工装
CN210367420U (zh) 一种窑炉蓄热室墙体和顶碹的密封砖结构与随动钢结构
CN206989229U (zh) 可滑移的炉底机械密封装置及干式除渣系统
CN208520197U (zh) 一种加热炉支撑梁防护组件
CN205172736U (zh) 隔热罩及具有该隔热罩的隔热结构
CN101760208A (zh) 干熄焦熄焦槽壳体安装方法
CN204550640U (zh) 一种高炉炉体结构
CN204404205U (zh) 空气预热器膨胀节
CN109807511A (zh) 减小氢裂倾向的在役焊接用套筒
CN204676130U (zh) 一种助燃空气管道以及安装有该助燃空气管道的不锈钢罩式退火炉
JP7135779B2 (ja) 大ベル補修時の作業環境温度低減方法
CN208952696U (zh) 篦冷机热油梭阀连接管防断裂结构
CN103924018B (zh) 更换风口中套的方法
CN210506204U (zh) 复热式焦炉边火道进行补充加热设备
CN217585456U (zh) 一种燃气锅炉用耐高温蓄热装置
KR101249061B1 (ko) 연락관 벨로우즈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락관 벨로우즈 보수방법
CN202647045U (zh) 一种低温膨胀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