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812B1 -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 Google Patents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812B1
KR101880812B1 KR1020160127520A KR20160127520A KR101880812B1 KR 101880812 B1 KR101880812 B1 KR 101880812B1 KR 1020160127520 A KR1020160127520 A KR 1020160127520A KR 20160127520 A KR20160127520 A KR 20160127520A KR 101880812 B1 KR101880812 B1 KR 10188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vertical
bending point
pod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412A (ko
Inventor
김종삼
장승호
Original Assignee
김종삼
정안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삼, 정안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삼
Priority to KR102016012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8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천정 거푸집 설치시 사용되는 멍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샷포드를 연결 시 작업자 혼자서도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후 멍에의 일측 쏠림현상 및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벽체(2)의 상부 토대(3)에 직교방향으로 연결된 멍에(80)의 밑면(81)과 양측 세로면(83,84)의 하부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1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용공간부(10)는, 멍에(80)의 밑면(81)이 밀착되는 바닥부(20)와, 상기 바닥부(20)의 일측부에 상향 연장절곡되어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이 밀착되는 측면탄성부(30)와, 상기 바닥부(20)의 타측부에 상향 연장절곡되어 멍에(80)의 타측 세로면(84)이 밀착되는 측면지지부(40)에 둘러싸여 상부 개방된 “
Figure 112016095797097-pat00007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20)의 하부에 결합봉(50)이 돌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샷포드(70)의 상부 관통공(72)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Support for yoke of mold}
본 발명은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 거푸집 설치시 사용되는 멍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샷포드를 연결 시 작업자 혼자서도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후 멍에의 일측 쏠림현상 및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거푸집은 도 1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설치된 벽체거푸집(110)의 상부 내측면에 슬라브합판에 못질을 함과 동시에 멍에(180)를 설치하기 위하여 세로 방향의 장선(300)을 못이나 철사 등으로 벽체거푸집(110)과 고정하고, 상기 세로 방향의 장선(300)과 멍에(110)는 다시 연결목(220)으로 못에 의해 고정시킨 다음, 상기 멍에(110)에 멍에(110)와 같은 방향으로 가로 방향의 장선(310)을 연결하면서 샷포드(170)로 받친 후, 상기 가로 방향의 장선(310)의 상부로 세로 방향의 장선(300)을 못 등으로 고정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멍에(110)와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장선(300,3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벽체거푸집(110)과 세로 방향의 장선(300) 상부에 슬라브합판을 올려 못질을 하여 고정함에 따라 천정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멍에(180)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와 같이 천정거푸집을 설치하여 천정 슬라브를 시공 후, 벽체거푸집을 재활용하기 위해 분리시키고자 할 때 상기 멍에(180)와 연결목(220)을 해체함으로써 벽체거푸집을 원활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임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방식에 의해 멍에(180)를 설치할 경우에는 많은 작업인력이 요구됨에 따라, 즉 양측의 벽체거푸집(110)으로 각각 1명의 작업자가 올라가 벽체거푸집(110)의 내측면에 세로 방향의 장선(300)을 못이나 철사 등으로 고정하고, 다시 멍에(180)와 연결목(220)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 등을 행해야 할 뿐 아니라, 바닥에서는 멍에(180)와 가로 방향의 장선(3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샷포드(170)를 받쳐주기 위한 각각의 작업자가 필요한 관계로 많은 작업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은 물론, 벽체거푸집(1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세로 방향의 장선(300)과 연결목(220) 및 멍에(180)는 못질이나 철사 등을 통하여 고정함에 따라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한편, 상기 종래방식에 사용되는 통상의 샷포드(170) 상단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멍에(180)의 하부측을 지지하기 위해 수평지지부(173)와 수직지지부(174)로 된 “ㄴ”자 형태의 받침브라켓(175)이 구비되고, 이러한 받침브라켓(175)을 멍에(180)의 하부측에 받쳐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도 2에서와 같이 멍에(180)의 하부측에 받침브라켓(175)을 동일 방향으로 설치하게 되면 수직지지부(174)가 없는 받침브라켓(175)의 일측으로 멍에(180)가 쏠리게 되어 상당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멍에(180)의 하부측에 받침브라켓(175)의 방향을 번갈아 가면 설치할 수 있으나, 이 또한 흔들림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확실한 방지책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호 마주하여 양측 멍에(180)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이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해서는 마주하여 인접한 부분의 하부측에 별도의 연결목(190)을 구비한 다음, 철사(182) 등으로 고정시킨 후, 그 연결목(190)의 하부측에 받침브라켓(175)이 구비된 샷포드(170)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64994호 공개특허 제10-1109-004700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천정 거푸집 설치시 사용되는 멍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샷포드를 연결 시 작업자 혼자서도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후 멍에의 일측 쏠림현상 및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벽체(2)의 상부 토대(3)에 직교방향으로 연결된 멍에(80)의 밑면(81)과 양측 세로면(83,84)의 하부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1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용공간부(10)는, 멍에(80)의 밑면(81)이 밀착되는 바닥부(20)와, 상기 바닥부(20)의 일측부에 상향 연장절곡되어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이 밀착되는 측면탄성부(30)와, 상기 바닥부(20)의 타측부에 상향 연장절곡되어 멍에(80)의 타측 세로면(84)이 밀착되는 측면지지부(40)에 둘러싸여 상부 개방된 “
Figure 112016095797097-pat00001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20)의 하부에 결합봉(50)이 돌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샷포드(70)의 상부 관통공(72)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측면탄성부(30)는 바닥부(20)의 일측단부에서 내각(a)으로 절곡되는 하부경사면(32)과, 상기 하부경사면(32)의 단부에서 바닥부(20)를 수평 기준하여 외각(b)으로 절곡되는 상부안내경사면(34)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경사면(32)과 상부안내경사면(34) 사이에 절곡점(36)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10)로 삽입되는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이 상부안내경사면(34)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절곡점(36)을 거쳐 삽입되며, 상기 절곡점(36)이 외측으로 탄성 이동되면서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부(40)는 수용공간부(10) 내로 진입되는 멍에(80)의 타측 세로면(84)이 밀착되는 수직면(41)과, 상기 수직면(4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수평면(43)과, 상기 수평면(43)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탄성면(45)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41), 수평면(43) 및 탄성면(45)에 둘러싸여 하부 개방된 “
Figure 112016095797097-pat00002
”자 형태의 수용부(49)가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샷포드(70)의 상부 받침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가 수용부(49)에 삽입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면(45)은 수평면(43)의 단부에서 내각으로 절곡되는 경사면(46)과, 상기 경사면(46)의 단부에서 수평면(43)을 수평 기준하여 외각으로 절곡되는 안내면(47)으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면(46)과 안내면(47) 사이에 절곡점(48)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49)로 삽입되는 받침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가 안내면(47)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절곡점(48)을 거쳐 삽입되고, 상기 절곡점(48)이 외측으로 탄성 이동되면서 받침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는 상호 마주하여 인접한 양측 멍에(80)의 밑면(81)에 동시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멍에 설치시 멍에 받침 걸이대를 미리 끼워두게 되면 멍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샷포드를 연결 시 샷포드의 상단 안착브라켓을 이용하여 단순 삽입하는 과정으로서 작업이 완료되므로 작업자 혼자서도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멍에 받침 걸이대의 수용공간부로 인해 멍에의 밑면과 양측 세로면의 하부측 일부를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구조를 택하고 있어 천정 거푸집 설치 후 멍에의 일측 쏠림현상 및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샷포드의 안정적인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멍에의 길이 한계로 인해 양측 멍에가 상호 마주하여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양측 멍에의 밑면에 동시 삽입되게 하여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멍에의 일측 세로면이 밀착되는 측면탄성부를 하부경사면과 상부안내경사면으로 절곡 형성함으로써 멍에의 삽입을 유연하게 안내함과 아울러, 하부경사면과 상부안내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절곡점이 멍에의 삽입과정에서 외측으로 탄성 이동되면서 멍에의 일측 세로면에 복귀탄성력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상호 밀찰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멍에 받침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의 사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와 멍에의 결합 전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의 측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와 멍에의 결합 상태 상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측면탄성부의 탄성 이동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와 샷포드의 결합 전 상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와 샷포드의 결합 상태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정 거푸집 설치시 사용되는 멍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샷포드를 연결 시 작업자 혼자서도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 후 멍에의 일측 쏠림현상 및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A)에 관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보면 바닥부(20)와, 측면탄성부(30)와, 측면지지부(40)에 둘러싸여 멍에(8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10)가 형성되고, 샷포드(70)가 결합되도록 바닥부(20)의 하부에 결합봉(5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멍에 받침 걸이대(A)를 설명하기 위한 멍에(80)는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천정 거푸집 설치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멍에 받침 걸이대(A)는 멍에(8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10)와, 샷포드(7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봉(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부(10)는 도 5 및 도 12에서와 같이 수직벽체(2)의 상부 토대(3)에 직교방향으로 연결된 멍에(80)의 밑면(81)과 양측 세로면(83,84)의 하부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12에서 도면부호 (4)는 기둥, (5)는 테두리 장선, (6)은 장선임.
상기한 구조를 갖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부(10)는 일예로서 도 6 및 도 8에서와 같이 바닥부(20)와, 측면탄성부(30)와, 측면지지부(40)에 둘러싸여 상부 개방된 “
Figure 112016095797097-pat00003
”자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20)와, 측면탄성부(30)와, 측면지지부(40)는 판체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바닥부(20)는 멍에(80)의 밑면(81)이 밀착되는 부분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바닥부(20) 상에는 샷포드(70)에 형성된 관통공(72)이 연통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20)의 일측부에 상향 연장절곡되는 측면탄성부(30)는 도 8에서와 같이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이 밀착되는 부분이다. 이때, 측면탄성부(30)는 멍에(80)의 삽입을 안내함과 아울러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바닥부(20)의 일측단부에서 내각(a)으로 절곡되는 하부경사면(32)과, 상기 하부경사면(32)의 단부에서 바닥부(20)를 수평 기준하여 외각(b)으로 절곡되는 상부안내경사면(34)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안내경사면(34)에 의해 도 8의 (a)에서와 같이 멍에(80)의 삽입 안내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측면탄성부(30)의 구조로 인해 상기 하부경사면(32)과 상부안내경사면(34) 사이에 절곡점(36)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10)로 삽입되는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이 상부안내경사면(34)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절곡점(36)을 거쳐 삽입되며, 상기 절곡점(36)이 도 8의 (b) 및 도 9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탄성 이동되면서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에 복귀탄성력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부(20)의 타측부에 상향 연장절곡되는 측면지지부(40)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멍에(80)의 타측 세로면(84)이 밀착되도록 수직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지지부(40)는 상술된 바처럼 멍에(80)의 타측 세로면(84)이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 형성되는 것만으로 만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멍에 받침 걸이대(A)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된 샷포드(70)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좀 더 진보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도 6 및 도 10에서와 같이 수용공간부(10)를 구성하는 바닥부(20)의 하부에는 멍에 받침 걸이대(A)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된 샷포드(70)의 상부 관통공(72)에 삽입되도록 결합봉(50)을 돌출 형성하였다. 이때, 샷포드(70)의 상단부에는 수평지지부(73)와 수직지지부(74)가 “ㄴ”자 형태로 형성된 안착브라켓(75)이 구비되고, 안착브라켓(75) 상에 관통공(72)이 연통 형성된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되는 상기 측면지지부(40)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수용공간부(10) 내로 진입되는 멍에(80)의 타측 세로면(84)이 밀착되는 수직면(41)과, 상기 수직면(4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수평면(43)과, 상기 수평면(43)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탄성면(45)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면(41), 수평면(43) 및 탄성면(45)에 둘러싸여 하부 개방된 “
Figure 112016095797097-pat00004
”자 형태의 수용부(49)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49)에 지면에 설치된 샷포드(70)의 상부 안착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면(45)은 기 상술된 측면탄성부(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술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할 것이며, 이를 다시한번 설명하면, 상기 탄성면(45)은 수평면(43)의 단부에서 내각으로 절곡되는 경사면(46)과, 상기 경사면(46)의 단부에서 수평면(43)을 수평 기준하여 외각으로 절곡되는 안내면(47)으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면(46)과 안내면(47) 사이에 도 7에서와 같이 절곡점(48)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49)로 삽입되는 안착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가 안내면(47)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절곡점(48)을 거쳐 삽입되고, 상기 절곡점(48)이 외측으로 탄성 이동되면서 안착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에 복귀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밀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멍에 받침 걸이대(A)는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멍에(80)의 하부측에 탄성 밀착되면서 삽입 고정되어지고, 이 고정된 멍에 받침 걸이대(A)의 하부측에 안착브라켓(75)을 갖는 샷포드(70)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멍에 받침 걸이대(A)를 멍에(80) 설치시 그 하부측에 미리 끼워둘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천정 거푸집 설치시 사용되는 멍에(8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되는 샷포드(70)를 연결 시 샷포드(70)의 상단 안착브라켓(75)을 이용하여 단순 삽입하는 과정으로서 작업이 완료되므로 작업자 혼자서도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멍에 받침 걸이대(A)의 수용공간부(10)로 인해 멍에(80)의 밑면(81)과 양측 세로면(83,84)의 하부측 일부를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구조를 택하고 있어 천정 거푸집 설치 후 멍에(80)의 일측 쏠림현상 및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샷포드(70)의 안정적인 받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멍에 받침 걸이대(A)는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하나의 멍에(80) 하부측에 다수개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도 14에서와 같이 멍에(80)의 길이 한계로 인해 양측 멍에(80)가 상호 마주하여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양측 멍에(80)의 밑면(81)에 동시 삽입되게 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양측 멍에(80)를 받침하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멍에 받침 걸이대(A)의 수용부(10)를 확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서처럼 양측 멍에(80)가 마주하여 인접한 부분의 하부측에 별도의 연결목을 구비하고, 이를 철사 등으로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수직벽체 3 : 토대
10 : 수용공간부 20 : 바닥부
30 : 측면탄성부 40 : 측면지지부
50 : 결합봉 70 : 샷포드
72 : 관통공 80 : 멍에
81 : 밑면 83, 84 : 양측 세로면

Claims (5)

  1. 수직벽체(2)의 상부 토대(3)에 직교방향으로 연결된 멍에(80)의 밑면(81)과 양측 세로면(83,84)의 하부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1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용공간부(10)는, 멍에(80)의 밑면(81)이 밀착되는 바닥부(20)와, 상기 바닥부(20)의 일측부에 상향 연장절곡되어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이 밀착되는 측면탄성부(30)와, 상기 바닥부(20)의 타측부에 상향 연장절곡되어 멍에(80)의 타측 세로면(84)이 밀착되는 측면지지부(40)에 둘러싸여 상부 개방된 “
    Figure 112018017804698-pat00005
    ”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20)의 하부에 결합봉(50)이 돌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샷포드(70)의 상부 관통공(72)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탄성부(30)는 바닥부(20)의 일측단부에서 내각(a)으로 절곡되는 하부경사면(32)과, 상기 하부경사면(32)의 단부에서 바닥부(20)를 수평 기준하여 외각(b)으로 절곡되는 상부안내경사면(34)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경사면(32)과 상부안내경사면(34) 사이에 하나의 절곡점(36)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10)로 삽입되는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이 상부안내경사면(34)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절곡점(36)을 거쳐 삽입되며, 상기 절곡점(36)이 외측으로 탄성 이동되면서 멍에(80)의 일측 세로면(83)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측면지지부(40)는 수용공간부(10) 내로 진입되는 멍에(80)의 타측 세로면(84)이 밀착되는 수직면(41)과, 상기 수직면(4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수평면(43)과, 상기 수평면(43)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탄성면(45)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41), 수평면(43) 및 탄성면(45)에 둘러싸여 하부 개방된 “
    Figure 112018017804698-pat00006
    ”자 형태의 수용부(49)가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샷포드(70)의 “ㄴ”자 형태로 형성된 안착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가 수용부(49)에 삽입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탄성면(45)은 수평면(43)의 단부에서 내각으로 절곡되는 경사면(46)과, 상기 경사면(46)의 단부에서 수평면(43)을 수평 기준하여 외각으로 절곡되는 안내면(47)으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면(46)과 안내면(47) 사이에 하나의 절곡점(48)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49)로 삽입되는 안착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가 안내면(47)을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절곡점(48)을 거쳐 삽입되고, 상기 절곡점(48)이 외측으로 탄성 이동되면서 안착브라켓(75)의 수직지지부(74)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는 상호 마주하여 인접한 양측 멍에(80)의 밑면(81)에 동시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KR1020160127520A 2016-10-04 2016-10-04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KR10188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520A KR101880812B1 (ko) 2016-10-04 2016-10-04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520A KR101880812B1 (ko) 2016-10-04 2016-10-04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12A KR20180037412A (ko) 2018-04-12
KR101880812B1 true KR101880812B1 (ko) 2018-07-20

Family

ID=6196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520A KR101880812B1 (ko) 2016-10-04 2016-10-04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121B1 (ko) * 2020-07-17 2022-12-12 김동산 유로폼용 데크패널
DE102022112698A1 (de) * 2022-05-20 2023-11-23 Peri Se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mit einer Stütz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17U (ko) * 1989-07-20 1991-03-22
JP3028517U (ja) * 1996-02-28 1996-09-03 城東化学工業株式会社 床束の大引受け
KR20090028398A (ko) * 2007-09-14 2009-03-18 김시영 서포트의 멍에 지지방법 및 지지시스템
KR20140141194A (ko) * 2013-05-31 2014-12-10 노용규 시스템 동바리용 멍에 지지구
KR200479787Y1 (ko) * 2014-10-06 2016-03-21 최은수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293B1 (ko) 2007-11-07 2009-08-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트렌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17U (ko) * 1989-07-20 1991-03-22
JP3028517U (ja) * 1996-02-28 1996-09-03 城東化学工業株式会社 床束の大引受け
KR20090028398A (ko) * 2007-09-14 2009-03-18 김시영 서포트의 멍에 지지방법 및 지지시스템
KR20140141194A (ko) * 2013-05-31 2014-12-10 노용규 시스템 동바리용 멍에 지지구
KR200479787Y1 (ko) * 2014-10-06 2016-03-21 최은수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28517호(1996.09.0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12A (ko)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063B2 (en) Construction bracket and method of use
RU2543015C2 (ru) Сейсмоустойчивый зажим
KR101880812B1 (ko) 천정 거푸집용 멍에 받침 걸이대
US20120096806A1 (en) Assembly for the temporary attachment of a vertical masonry guide to the inner leaf of a cavity wall
US10056748B2 (en) Electrical box support
RU159985U1 (ru) Анкерны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лемм рельсовых скреплений
KR102641569B1 (ko) 지지 헤드, 천장 지지부, 및 이러한 천장 지지부를 구비한 천장 거푸집
AU2017203768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US6367704B1 (en) Rail fastening system constructed to allow pre-assembly of a rail clip and shoulder
KR20080098756A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KR102133723B1 (ko) 지지스프링부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090005909U (ko) 배선박스
KR101779063B1 (ko) 거푸집용 클램프
JPS6012805Y2 (ja) 板体支持用具
EP2341198A2 (en) Modular inlet sleeve
KR102270664B1 (ko)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CN215818187U (zh) 一种便于防护的物联网边缘计算智能网关设备
JPS6118621B2 (ko)
KR102063943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KR101270485B1 (ko) 함체의 케이블 고정장치
KR200397269Y1 (ko) 갱폼 고정용 클램프
JP2018131845A (ja) 受枠の固定構造
KR20150143911A (ko) 콘크리트 바닥면을 기준하는 레벨러
KR20200000418U (ko)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KR20170089241A (ko) 스페이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