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711B1 - 액정표시패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711B1
KR101880711B1 KR1020110098600A KR20110098600A KR101880711B1 KR 101880711 B1 KR101880711 B1 KR 101880711B1 KR 1020110098600 A KR1020110098600 A KR 1020110098600A KR 20110098600 A KR20110098600 A KR 20110098600A KR 101880711 B1 KR101880711 B1 KR 10188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irings
wiring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539A (ko
Inventor
심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7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면적 액정표시장치에서 네로우 배젤(narrow bezel)을 구현하면서, 배선간 신호지연을 균일하게 개선한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은, 복수의 신호배선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고, 일 모서리에 구비된 드라이버의 중앙단자 및 가장자리 단자와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을 연결하는 링크배선이 형성되는 비표시영역, 그리고, 표시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비표시영역과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이 연장된 제1 및 제2 보조배선이 형성된 더미영역을 포함하고, 전술한 더미영역상에 상기 제1 및 제2 보조배선과 중첩되어 제1 및 제2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보조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패널의 더미영역상에 신호배선을 연장하며 이와 중첩되는 보상전극을 더 형성함으로서, 신호배선간 RC 딜레이(RC DELAY) 값이 균일하도록 하여 화질을 개선한 액정표시패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면적 액정표시장치에서 네로우 배젤(narrow bezel)을 구현하면서, 배선간 신호지연을 균일하게 개선한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현재 표시장치 분야에서는 기존의 브라운관 디스플레이(CRT, Cathode Ray Tube)와 같은 낮은 해상도와 무거운 중량 및, 큰 부피와 같은 단점들을 개선한 새로운 영상 표시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Panel Display Device)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중,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포터블 기기에서부터 대형 TV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두 전극 사이에 유전율 이방성 및 굴절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물질이 배열되도록 하고, 두 전극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여 이의 세기 조절을 통해 배면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투과량을 제어함으로써,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을 구현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 및 이를 제어하는 드라이버(20,30)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은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영역(12)과, 이의 가장자리 영역인 비표시영역(13)으로 이루어진다.
표시영역(12)에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게이트배선(25)과,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데이터배선(35)이 형성되고, 게이트배선(25) 및 데이터배선(35)이 교차하는 지점에 화소(P)를 정의한다. 화소(P)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된다.
또한, 비표시영역(13)에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20) 및 데이터 드라이버(30)가 배치되며, 게이트 드라이버(20)는 표시영역(12)상의 게이트배선(25)과 연결되고 데이터 드라이버(30)은 데이터배선(35)과 연결된다. 게이트 드라이버(20) 및 데이터 드라이버(30)은 IC가 박막필름에 실장된 형태로 액정표시패널(10)에 부착되거나, 액정표시패널(10) 자체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의 대형화 및 IC의 다채널화에 따라, 하나의 드라이버IC에 더 많은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이 연결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각 IC에서 중앙부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신호배선이 외곽부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신호배선보다 길이가 점점 더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각 배선간 RC 딜레이의 편차가 발생되며, 이는 화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전술한 신호배선간 저항 편차에 따른 화질저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각 드라이버와 배선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배선의 배선폭을 조절하거나, 지그재그(zig-zag)형상으로 형성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도 2는 종래 신호배선간 저항편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신호배선간 저항편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액정표시패널(10)의 표시영역(12)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데이터배선(35)과, 데이터 드라이버(30)의 각 출력단자와 데이터배선(35)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배선(45)을 비표시영역(13)상에 형성하고 본딩된 데이터 드라이버(30)에 연결한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30)의 중앙단자와 연결되는 링크배선(45a)을 가장자리단자에 연결되는 링크배선(45b)보다 그 길이를 짧게 형성함으로서 신호배선간의 저항을 개선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데이터드라이버(30)의 중앙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배선(35a)은 외곽단자와 연결되는 데이터배선(35b)과 그 RC 딜레이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배선간 링크배선(45)을 지그재그(zig-zag)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중앙부와 외곽부의 그 꺽임형상의 개수를 다르게 하여 저항값을 조절하면, 제한된 폭의 비표시영역(13)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와, 액정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 공간을 점점 더 좁게 구현하는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추세에 따라 링크배선이 형성되는 비표시영역(13)의 최소 마진(margin)폭(BW)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어 전술한 링크배선의 구조변경만으로는 배선저항의 편차를 보상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면적 액정표시장치에서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면서도, 각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의 위치에 따라 배선간 RC 딜레이 차에 의한 신호편차를 개선한 액정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은, 복수의 신호배선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는 표시영역;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고, 일 모서리에 구비된 드라이버의 중앙단자 및 가장자리 단자와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을 연결하는 링크배선이 형성되는 비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비표시영역과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이 연장된 제1 및 제2 보조배선이 형성된 더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영역상에 상기 제1 및 제2 보조배선과 중첩되어 제1 및 제2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보조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더미영역은, 상기 보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통배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보조배선 및 제2 보조배선은 각각 상기 드라이버의 중앙단자 및 외곽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캐패시터는 상기 제2 캐패시터보다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제1 보조배선을 중심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역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보조배선은 상기 제2 보조배선보다 선 폭이 더 굵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보조배선은 'ㄷ'자형이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상(zig-za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보조배선은 상기 제2 보조배선보다 더 많은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에 형성되는 화소전극과 동일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은,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데이터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표시패널에서 드라이버가 부착되는 위치에 대향하는 더미영역을 형성하고, 더미영역상에 신호배선을 연장하며 이와 중첩되는 보상전극을 더 형성함으로서, 신호배선간 RC 딜레이(RC DELAY) 값이 균일하도록 하여 화질을 개선한 액정표시패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신호배선간 저항편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액정표시패널의 신호배선간 RC 딜레이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해 참조된 도면은 구성요소의 연결형태 및 배치가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특히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조 및 형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구성요소의 스케일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표현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패널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0) 및 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120, 130)으로 이루어진다.
액정표시패널(100)은 각종 신호배선 및 전극이 형성된 두 기판을 대향하도록 합착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을 개재한 것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영역(112)과, 이의 가장자리 영역인 비표시영역(113)으로 이루어진다.
표시영역(112)에는 제1 방향으로 다수의 게이트배선(125)과,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다수의 데이터배선(135)이 배치되고, 게이트배선(135) 및 데이터배선(135)이 교차하는 지점에 화소(P)를 정의한다.
화소(P)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은 전술한 게이트배선(GL)과 연결되며, 소스전극은 데이터전극과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은 화소전극과 연결된다. 또한 화소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공통전압원과 연결되는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비표시영역(113)에는 액정표시패널(10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이 본딩되며, 링크배선(145)을 통해 각각 표시영역(112)의 게이트배선(125) 및 데이터배선(135)과 연결된다. 이러한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은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버IC를 포함하며, 각 IC의 실장방식에 따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칩 온 글래스(COG) 또는 칩 온 필름(COF) 등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영역(113)에는 게이트 및 데이터드라이버(125, 135)와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125, 135)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링크배선(145)이 형성되며, 특히, 비표시영역(113)에서 데이터 드라이버(130)이 배치되고 링크배선(145)이 형성되는 영역은 링크영역(Link Area, LA)으로 정의된다.
한편, 게이트 드라이버(12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화소(P)에 구비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수평라인별 순차적으로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는 각각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한 주사신호를 게이트배선(125)을 통해 순차적으로 화소에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은 전술한 게이트 드라이버(120)과 동기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시신호에 응답하여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기준전압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전압을 데이터배선(135)을 통해 화소(P)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드라이버(130)은 기준전압들을 생성 및 공급하는 기준전압생성수단(미도시)과 연결된다.
전술한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은 하나의 드라이버IC에 다수의 링크배선(145)이 연결되는 형태이며, 특히 네로우 베젤(slim bezel)화에 따라 링크영역(LA)의 폭(BW1)이 매우 좁게 형성되어 하나의 드라이버에 연결되는 링크배선(145)간에 그 배선저항이 매우 큰 편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배선 저항차는 액정표시패널이 표시하는 화상에 영향을 주어 크로스 토크(cross talk)의 원인이 되며, 특히 게이트배선(125)보다 데이터배선(135)에서 더 큰 문제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100)은 전술한 표시영역(112)을 사이에 두고, 데이터드라이버(130)가 본딩되는 위치의 반대편 액정표시패널(100)의 링크영역(LA)과 대향하는 더미영역(Dummy Area, DA)이 정의되며, 그 상부로 신호배선간 저항차 보상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더미영역(DA)은 종래 정전기 발생방지 회로 등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기타 유효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으로, 비표시영역(113)에서 상부의 링크영역(LA)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소정의 폭(BW2)만큼 확보되어 있는 비 활용 영역이다.
상세하게는, 더미영역(DA)상에는 표시영역(112)에 배치된 데이터 배선(135)의 끝단이 연장되는 보조배선(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보조배선(155)의 상부층 또는 하부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보조배선(155)과 중첩되는 보조전극(150)이 더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보조전극(150)은 각 데이터 배선과 캐패시터를 형성함으로 기생 캐패시턴스(capacitance) 추가하는 것으로, 보조배선(155)과의 중첩면적이 클수록 이에 비례하여 데이터배선(135)의 RC 딜레이를 더 크게 가지도록 하여, 각 신호배선의 신호지연을 균일하게 한다.
이를 위해, 하나의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기준으로 하여,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배선(155)은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출력단자의 중앙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보조전극(150)과의 중첩영역이 작아지는 형태가 되며, 이에 따라 보조전극(150)은 삼각형 또는 역삼각형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각 보조배선(155)간의 더미영역상의 보조배선(155)은 지그재그(zig-zag)구조 또는 기타 꺾임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 더미영역(DA)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더미영역상의 배선구조를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액정표시패널의 신호배선간 RC 딜레이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은, 표시영역(112)상에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게이트배선(125)이 형성되어 데이터배선(135)과 직교하는 영역에 복수의 화소(P)를 정의한다. 각 화소(P)에는 게이트전극이 게이트배선(125)과 접속되고 소스전극이 데이터배선(1315)과 접속되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비된다. 또한, 화소(P)는 공통전극(미도시)과 중첩되며 박막트랜지스터(T)와 접속되는 화소전극(115)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영역(112)상의 데이터배선(135)은 수직방향으로 상부에서 링크배선(도 3의 145)와 접속되며, 하부에서 표시영역(112)과 인접한 비표시영역(113)인 더미영역(DA)으로 연장되어 보조배선(155)을 형성한다.
여기서, 데이터배선(135)은 그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드라이버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 제1 및 제2 데이터배선(135a, 135b)은 데이터 드라이버의 중앙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및 제4 데이터배선(135c, (135d)는 외곽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각 제1 내지 제4 데이터배선들(135a,b,c,d)은 더미영역(DA)으로 연장되어 제1 내지 제4 보조배선들(155a,b,c,d)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보조배선들(155a,b,c,d)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데이터 드라이버에서 링크배선을 거쳐 제1 내지 제4 보조배선들(155a,b,c,d)까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게 된다. 결국 제1 보조배선(155a)의 신호지연이 가장 크게 되고, 제4 보조배선(155d)의 신호지연이 가장 작은 특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더미영역(DA)상에는 각 보조배선들(155a,b,c,d)과 서로 다른 면적으로 중첩되는 보조전극(150)이 형성된다. 보조전극(150)은 상부가 하부보다 그 길이가 긴 역삼각형 구조로 형성되되,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하는 형상으로 보조배선(150)에 대하여 중첩되어 기생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보조배선(150)에 따라 서로 다른 캐패시턴스를 가지도록 하여 링크배선(미도시)의 길이에 따른 RC 딜레이 차를 균일하게 맞추어 주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보조배선(155a)은 보조전극(150)과 제1 영역만큼 중첩하여 제1 캐패시턴스(C1)를 갖게 되며, 제2 보조배선(155b)는 보조전극(150)과 제 1 영역보다 작은 제2 영역만큼 중첩하여 제1 캐패시턴스(C1)보다 작은 제2 캐패시턴스(C2)를 갖게 된다(C1>C2). 또한, 제3 보조배선(155c)는 보조전극(150)과 제2 영역보다 작은 제3 영역만큼 중첩하여 제2 캐패시턴스보다 작은 제3 캐패시턴스(C3)를 갖게 되며(C2>C3), 제4 보조배선(155d)는 보조전극(150)과 제3 영역보다 작은 제4 영역만큼 중첩하여 제3 캐패시턴스보다 작은 제4 캐패시턴스(C4)를 갖게 된다(C3>C4).
따라서, 보조배선(150)은 연결되는 데이터배선(135)의 RC 딜레이가 작을수록 큰 기생 캐패시턴스를 갖게 됨으로서, 전체 신호배선의 신호지연을 균일하게 보상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보조전극(150)을 역삼각형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나, 제1 보조배선(155a)부터 제4 보조배선(155d)까지 순차적으로 작은 캐패시턴스가 형성되도록 삼각형 또한 마름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전극(150)은 보조배선(155)으로의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캐패시턴스를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는 액정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제어신호 들 중,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더미영역(DA)내에 표시영역(112)에 형성되는 공통배선과 동일 공정에서 보조공통배선(165)을 더 형성하고, 콘택홀(17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전극(150)은 보조배선(155)의 상부층 또는 하부층 중 어느 층에서도 배치될 수 있으나, 화소에 구비되는 화소전극(115)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액정표시패널은 종래 보조배선(sub line)의 위치별로 큰 RC 딜레이 값을 갖는 형태(a)에서, 중앙부근의 신호지연이 더 커짐에 따라, 거의 균일한 RC 딜레이를 갖는 형태(b)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은, 표시영역(212)상에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게이트배선(225)이 형성되어 데이터배선(235)과 직교하는 영역에 복수의 화소를 정의한다. 각 화소에는 게이트전극이 게이트배선(125)과 접속되고 소스전극이 데이터배선(1315)과 접속되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비된다. 또한, 화소는 공통전극(미도시)과 중첩되며 박막트랜지스터(T)와 접속되는 화소전극(215)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영역(212)상의 데이터배선(235)은 수직방향으로 상부에서 링크배선(도 3의 245)와 접속되며, 하부에서 표시영역(212)과 인접한 비표시영역(213)인 더미영역(DA)으로 연장되어 보조배선(255)을 형성한다.
여기서, 데이터배선(135)은 그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드라이버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 제1 및 제2 데이터배선(235a, 235b)은 데이터 드라이버의 중앙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및 제4 데이터배선(235c, (235d)는 외곽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각 제1 내지 제4 데이터배선들(235a,b,c,d)은 더미영역(DA)으로 연장되어 제1 내지 제4 보조배선들(255a,b,c,d)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보조배선들(255a,b,c,d)들은 하나이상의 'ㄷ' 형상을 갖는 지그재그(zig-zag)구조로 형성되며, 위치에 따라 그 지그재그 개수에 차이가 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 데이터배선(235a)과 연결되는 제1 보조배선(255a)은 지그재그 구조의 꺾임부가 제2 데이터배선(235b)와 연결되는 제2 보조배선(255b)의 지그재그 구조의 꺽임부보다 조밀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3 데이터배선(235c)과 연결되는 제3 보조배선(255c)은 지그재그 구조의 꺾임부가 제4 데이터배선(235d)와 연결되는 제4 보조배선(255d)의 지그재그 구조의 꺽임부보다 조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이 아닌 일자형의 보조배선(도 4a의 155)보다 지그재그 형상의 보조배선(255)이 보조전극(250)과의 중첩면적이 더 커지게 되어 그만큼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더 커지게 됨으로서, 보다 큰 신호지연을 갖는 액정표시패널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 보조배선(255a)은 보조전극(250)과 제1 영역만큼 중첩하여 제1 캐패시턴스(C1)를 갖게 되며, 제2 보조배선(255b)는 보조전극(250)과 제 1 영역보다 작은 제2 영역만큼 중첩하여 제1 캐패시턴스(C1)보다 작은 제2 캐패시턴스(C2)를 갖게 된다(C1>>C2). 제4 보조배선(155d)는 보조전극(150)과 제3 영역보다 작은 제4 영역만큼 중첩하여 제3 캐패시턴스보다 작은 제4 캐패시턴스(C4)를 갖게 되며(C3>>C4), 제1 및 제2 캐패턴스(C1, C2)보다도 작은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보조배선(250)은 연결되는 데이터배선(235)의 RC 딜레이가 작을수록 큰 기생 캐패시턴스를 갖게 됨으로서, 전체 신호배선의 신호지연을 균일하게 보상하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LA : 링크영역 DA : 더미영역
BW1, BW2 : 상부 및 하부 비표시영역의 폭
110 : 액정표시패널 112: 표시영역
113 : 비표시영역 120 : 게이트 드라이버
125 : 게이트배선 130 : 데이터드라이버
135 : 데이터배선 145 : 링크배선
150 : 보조전극 155 : 보조배선

Claims (10)

  1. 복수의 신호배선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는 표시영역;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고, 일 모서리에 데이터 드라이버가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의 중앙단자 및 가장자리 단자와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을 연결하고 상이한 배선저항을 갖는 직선 형태의 제1 및 제2링크배선이 형성되는 링크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가 구비된 상기 링크영역과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이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링크배선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보조배선이 형성된 더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영역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보조배선과 중첩되어 제1 및 제2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보조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보조배선은 동일한 길이의 직선 형태를 갖는 액정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영역에는,
    상기 보조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통배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배선 및 제2 보조배선은 각각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의 중앙단자 및 외곽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캐패시터는 상기 제2 캐패시터보다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제1 보조배선을 중심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역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배선은 상기 제2 보조배선보다 선 폭이 더 굵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복수의 화소에 형성되는 화소전극과 동일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배선은,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데이터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10. 삭제
KR1020110098600A 2011-09-28 2011-09-28 액정표시패널 KR10188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600A KR101880711B1 (ko) 2011-09-28 2011-09-28 액정표시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600A KR101880711B1 (ko) 2011-09-28 2011-09-28 액정표시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39A KR20130034539A (ko) 2013-04-05
KR101880711B1 true KR101880711B1 (ko) 2018-07-24

Family

ID=4843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600A KR101880711B1 (ko) 2011-09-28 2011-09-28 액정표시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659B1 (ko) * 2014-09-25 2021-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55586B1 (ko) 2014-11-10 2021-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78551B1 (ko) 2015-06-25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91240B1 (ko) * 2015-09-24 202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911786A (zh) * 2016-06-30 2016-08-31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水平电场型液晶显示装置及阵列基板
KR20180041281A (ko) * 2016-10-13 2018-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52109B1 (ko) * 2016-11-10 2024-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2411345B1 (ko) * 2017-09-29 2022-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7808638B (zh) * 2017-11-03 2021-07-09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343250B (zh) * 2018-12-17 2021-01-26 惠科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CN111312152B (zh) * 2020-04-10 2022-07-05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99B1 (ko) * 2009-10-27 2016-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39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711B1 (ko) 액정표시패널
KR101153528B1 (ko)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KR10200938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4817B1 (ko)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US7495737B2 (en) Horizontal stri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6564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n-plane switching mode having particular pixel electrodes
JP5351498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EP202319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80049296A (ko) 관통 홀을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101746862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20007843A1 (en) Tft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110887A (ko) 액정표시패널
EP2757411B1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890734B1 (ko) 액정표시패널
US6750925B2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US107411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164236A (ja) 表示装置
JP5124297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基板、及び表示装置
KR20050041355A (ko) 스토리지 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킨 액정표시패널
KR20080019800A (ko)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
KR10169648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347122B2 (en) Display apparatus
KR101842715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76016A (ko)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