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563B1 -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563B1
KR101880563B1 KR1020160084189A KR20160084189A KR101880563B1 KR 101880563 B1 KR101880563 B1 KR 101880563B1 KR 1020160084189 A KR1020160084189 A KR 1020160084189A KR 20160084189 A KR20160084189 A KR 20160084189A KR 101880563 B1 KR101880563 B1 KR 101880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r
terminal
moving picture
management server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528A (ko
Inventor
백민호
Original Assignee
(주)에어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사운드 filed Critical (주)에어사운드
Priority to KR102016008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5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using load balancing strategies, e.g. by placing or distributing content on different disks, different memories or different servers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강의자 단말로부터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식별번호인 동영상 식별번호와 편집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상기 동영상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요청해 전송 받아, 상기 강의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강의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재편집된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해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해 상기 재편집된 동영상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PROVIDING MOVING IMAGE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목적에 따라 수강되는 강의는 오프라인(off-line) 방식뿐만 아니라 온라인(on-line) 방식으로도 널리 행해지고 있다.
온라인 방식의 강의는 강의실에 직접 가지 않고 지역에 관계없이 수강이 가능하지만, 미리 제작되는 동영상 강의를 위한 강의 콘텐츠(contents) 즉, 동영상 콘텐츠는 강의의 다양성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오프라인 방식의 강의는 수강자가 강의실에 직접 찾아가야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만, 수강자의 지적 수준이나 수강자의 인원수 등과 같은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강의가 진행되므로 수강자의 만족도를 온라인 방식의 강의보다 좀더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 방식의 강의는 필요한 경우 수강자가 반복 수강 가능하고 지역에 관계없이 질 좋은 강의의 수강이 가능하므로, 온라인 강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방식의 강의를 위해서는 동영상 콘텐츠를 별도로 제작해야 되는데, 현재의 경우, 녹화 시설이 갖춰진 별도로 마련된 스튜디오에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강의자의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고 강의자가 원할 경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제작에 제한이 발생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74968호(공개일자: 2010년 07월 02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간과 장소에 무관하게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강의자의 필요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강의자와 수강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강의자 단말로부터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식별번호인 동영상 식별번호와 편집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상기 동영상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요청해 전송 받아, 상기 강의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강의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재편집된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해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해 상기 재편집된 동영상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관리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강의자와 수강자의 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수강자 단말로부터 강의자 목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강의자 목록을 요청해 전달받아 상기 수강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수강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강의자에 대한 강의자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강의자 정보에 해당하는 강의자 단말로 상기 강의자에게 할당된 강의방으로의 입장 요청을 실시하고, 강의자 단말로부터 입장 요청에 대한 결정 결과가 전송되면, 상기 수강자 단말로 상기 결정 결과를 전송해 상기 수강자 단말에 상기 강의방으로의 입장 허락 여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는 각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강의 횟수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강의자 단말로부터 동영상의 정보와 수강 횟수 요청이 전달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동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강의 횟수를 요청해 전달 받아 상기 강의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에 상기 동영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 횟수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강의자 단말이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식별호인 동영상 식별번호와 편집 선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상기 강의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식별번호와 편집 선택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동영상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해 전송받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전송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강의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강의자 단말은 전송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시킨 후 재생 바의 선택 동작으로 삭제 구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강의자 단말은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삭제 구간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삭제하여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재편집하는 단계, 상기 강의자 단말은 재편집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는 전송된 재편집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수강자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로 강의자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강의자 목록을 요청해 전송받아 상기 수강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강자 단말은 전송된 상기 강의자 목록 중에서 하나의 강의자를 선택하여 선택된 강의자에 대한 강의자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강의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자 단말로 강의방으로의 입장 요청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강의자 단말은 입장 요청에 대한 결정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는 결정 결과를 상기 수강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강의자는 자신의 동영상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구간에 대한 콘텐츠를 삭제하는 재편집 동작을 실시하므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강의자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또한, 수강자는 자신이 원하는 강의자를 선택할 수 있고, 강의자는 원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강의 횟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당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주변 반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강의자 단말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 강의자 단말의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 수강자 단말의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 강의자 단말의 강의목록 편집 메뉴가 선택될 때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 수강자 단말이 강의자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 수강자 단말이 선택된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생성 장치(10),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생성 장치(10)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20), 관리 서버(20)와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30),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20)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자 단말(40) 및 적어도 하나의 수강자 단말(50)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생성 장치(10)는 강의자가 행한 강의(즉, 동영상)의 콘텐츠인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가 혼합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20)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신호 획득부, 강의자가 강의하는 모습을 촬영하여 동영상을 위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획득부, 음성신호 획득부와 영상신호 획득부에서 각각 획득된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혼합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동영상 콘텐츠 생성부, 그리고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음성신호 획득부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영상신호 획득부는 카메라를 구비한다.
음성 신호 획득부와 영상신호 획득부는 하나의 장비로 일체화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별개의 장치로 제작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 생성부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혼합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한 후 통신부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를 혼합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식은 이미 알려진 방식을 이용한다.
이때, 동영상 콘텐츠 생성부는 저장부(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는 각 동영상 생성 장치(10)에 대한 생성장치 식별 번호를 읽어와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동영상 콘텐츠에는 동영상의 시작 일시와 종료 일시를 구비한 일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 일시 정보는 영상 신호를 획득할 때 생성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각 동영상 생성 장치(20)로부터 동영상 콘텐츠가 전송되면,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전송된 생성장치 식별 번호에 대응되게 동영상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한다.
관리 서버(20)는 또는 강의자 단말(40)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를 삭제하는 재편집 동작,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삭제 동작,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이름을 변경하는 이름 바꾸기 동작 및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권한 부여 동작과 같은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수강자 단말(50)의 요청에 의해, 수강자 단말(50)을 통해 지정된 동영상 콘텐츠를 수강하거나 수강자 단말(50) 또는 강의자 단말(40)의 요청에 따른 강의자 선택 동작이나 수강자 선택 동작을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30)는 강의자 단말(40)과 수강자 단말(50)을 이용하여 회원 등록을 신청한 강의자와 수강자에 대한 회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생성 장치(10)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가 생성장치 식별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 및 강의자 단말(40)와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상태에 따른 화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인 화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화면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를 구비한다.
이때,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 각각에는 식별정보인 동영상 식별 번호가 부여되어 저장되어 있다.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에는 또한, 각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 이외에도 각 동영상 콘텐츠의 수강 횟수(즉, 동영상 수강 횟수),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의 목록(즉, 동영상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강의자 단말(40)은 강의자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수강자 단말(50)은 수강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강의자 단말(40)와 수강자 단말(50)은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과 같은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와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본 예에서, 강의자는 선생님, 교수, 강사, 목사 등과 같이 강의, 수업, 설교 등을 하는 사람이고, 수강자는 학생, 학부모, 교수, 신도 등과 같이 강의자가 하는 강의, 수업, 또는 설교 등을 시청하는 사람이나 수강자에 대한 보호자일 수 있다.
이러한 강의자 단말(40)과 수강자 단말(50)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 통신부(41), 사용자 입력부(42), 통신부(41)와 사용자 입력부(120)에 연결된 동작 제어부(43), 동작 제어부(43)에 연결된 출력부(44), 그리고 동작 제어부(43)에 연결된 저장부(45)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41-45)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강의자 단말(40)과 수강자 단말(50) 중 적어도 하나는 이들 구성 요소(41-45)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41)는 강의자 단말(40)나 수강자 단말(50)와 관리 서버(20) 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한 예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41)는 이동통신 모듈(411), 인터넷 모듈(4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413)을 구비한다.
이동 통신 모듈(4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2)는 사용자(즉, 강의자나 수강자)가 해당 단말인 강의자 단말(40)이나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입력이나 사용자가 생각한 정답 입력 등과 같은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동작 제어부(43)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42)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jog) 스위치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43)는 사용자 입력부(4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44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강의자 단말(40)이나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중 발생한 데이터의 처리를 실시하고 제어한다.
또한, 동작 제어부(43)는 해당 사용자 입력부(4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44)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강의자 단말(40)이나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중 발생한 데이터 처리나 명령 처리를 실시하고 제어한다.
출력부(44)는 시각, 청각 및 촉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441), 음향 출력 모듈(442) 및 햅틱(haptic) 모듈(443)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41)은 강의자 단말(40)이나 수강자 단말(5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43)의 동작에 따라 동작 제어부(43)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44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음향 출력 모듈(442)은 동작 제어부(43)의 동작에 의해 동작 제어부(4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42)은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또는 버저(buzz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44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예에서, 햅틱 모듈(44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443)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동작 제어부(43)의 제어 동작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이러한 햅틱 모듈(443)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moto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45)는 강의자 단말(40)이나 수강자 단말(4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고로 하여, 강의자 단말(40)을 이용하여 강의자가 관리 서버(20)에 회원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강의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입력된 강의자의 회원 등록 요청에 의해 관리 서버(20)에 접속해 회원 가입을 요청한다(S11).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부(30)의 화면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회원 가입용 화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인 회원 가입용 화면 데이터를 요청해 전송 받은 후(S12), 강의자 단말(40)로 전송한다(S13).
그러면, 강의자 단말(40)는 전송된 회원 가입용 화면 데이터를 출력부(44)의 디스플레이 모듈(441)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41)에 회원 가입용 화면을 출력한다(S14).
따라서, 강의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회원 가입을 위한 필요한 정보인 강의자 회원 정보를 입력한다(S15).
이때, 회원 가입용 화면에는 강의자와 수강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분에 맞게 강의자 또는 수강자를 선택하면, 동작 제어부(43)는 수신한 회원 가입용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강의자 또는 수강자에 맞는 회원 가입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강의자를 선택하면, 회원 가입 화면에는 강의자의 이메일 주소 입력창, 비밀번호 입력창, 비밀번호 확인창, 이름 입력창 및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 생성 장치(10)의 생성장치 식별번호 입력창이 표시된다.
따라서, 강의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해당 입력창에,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 이름 및 생성장치 식별번호로 이루어진 강의자 회원 정보를 입력한 후, 가입하기 버튼을 선택하여 동작 제어부(43)로 해당 상태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이처럼, 사용자 입력부(42)를 통해 강의자 회원 정보가 입력되면, 강의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입력된 강의자 회원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전달하고(S16).
그러면, 관리 서버(20)는 입력된 강의자 회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달하고(S17), 데이터베이스부(30)는 생성장치 식별번호에 대응하게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에 강의자 회원 정보를 저장한다(S18).
또한, 관리 서버(20)는 수신된 생성장치 식별번호에 대응하게 강의방을 할당한다(S19). 이때, 강의 방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할당되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강의방은 강의자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으로서, 예를 들어, 약 1기가바이트(1Gbyte)의 용량을 가질 수 있지만, 저장용량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강의방에는 해당 강의방이 할당된 해당 강의자에 대응하는 생성장치 식별 번호와 함께 해당 동영상 생성 장치(10)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 즉, 해당 강의자가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 생성 장치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가 저장된다.
이러한 동작을 실시하는 강의자 단말(40)의 동작에 의해 각 강의자는 관리서버(20)에 강의자의 자격으로 회원 등록을 실시하며 자신의 생성장치 식별번호에 대응하게 강의방을 개설하게 된다.
다음, 도 4를 참고로 하여, 수강자 단말(50)을 이용하여 수강자가 관리 서버(20)에 회원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강의자 단말(40)의 경우와 동일하게,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제어부(43) 역시 사용자 입력부(42)를 통해 회원 가입 요청이 입력되면, 동작 제어부(43)는 관리 서버(20)로 회원 가입을 요청한다(S21).
그러면,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부(30)의 화면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회원 가입용 화면 데이터를 전송 받아(S22), 수강자 단말(50)로 전송 받은 회원 가입용 화면 데이터를 전송한다(S23).
이로 인해, 수강자 단말(50)은 전송된 회원 가입용 화면 데이터를 출력부(44)로 출력하여, 출력부(44)의 디스플레이 모듈(441)에 회원 가입용 화면을 출력한다(S24).
이처럼, 출력부(44)의 디스플레이 모듈(441)에 회원 가입용 화면이 표시되면, 강의자는 먼저 자신의 신분인 수강자를 선택하면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제어부는 회원 가입용 화면의 회원 정보 입력창을 수강자용으로 표시하고, 이에 따라 수강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회원 가입을 위한 필요한 정보인 수강자 회원 정보를 입력한다(S25).
강의자 회원 정보와 달리, 수강자 회원 정보는 수강자의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 및 이름이 필요하므로, 수강자 단말(50)의 출력부(44)에는 이들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표시된다.
대안적인 예에서, 수강자의 종류가 학부모와 같이 다른 수강자(예, 학생)와 관련이 있는 보호자인 경우, 추가로 피보호자의 정보(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입력창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수강자가 출력부(44)에 표시되는 화면의 입력창을 통해 수강자 회원 정보에 대한 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 가입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제어부(43)는 입력된 수강자 회원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하여(S26), 데이터베이스부(3)의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에 수강자에 대한 회원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S27, S28).
이러한 동작을 통해, 강의자 단말(40)과 수강자 단말(50)에 대한 회원 가입이 완료되면, 강의자는 자신의 강의자 단말(40)을 이용하여 자신의 동영상 콘텐츠를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 관리를 위한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강의자는 강의자 단말(4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로의 로그인(log-in) 동작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부(30)의 화면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로부터 초기 화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인 초기 화면 데이터를 전송받아(S32), 해당 강의자 단말(40)로 전달한다(S33).
따라서 강의자 단말(40)의 출력부(44)에는 초기 화면이 출력된다(S34).
초기 화면에는, 한 예로서, 동영상 강의 목록 편집 메뉴, 앨범 메뉴, 게시글(동영상, 사진 문서) 메뉴, 공지 사항 메뉴, 구성원 관리(가입허가) 메뉴, 및 설정(프로필, 알림설정) 메뉴를 구비한다.
동영상 강의 목록 편집 메뉴는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메뉴로서, 그 하위 메뉴로는 동영상 목록 메뉴, 편집 메뉴, 삭제 메뉴, 권한 설정 메뉴가 존재한다.
동영상 목록 메뉴는 현재 자신의 강의방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강의 목록인 동영상 목록을 확인하기 메뉴이고, 편집 메뉴는 선택된 동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여 동영상을 재편집하기 위한 메뉴이고, 삭제 메뉴는 선택된 동영상을 삭제하여 동영상 목록에서도 삭제하기 위한 메뉴이다.
또한 이름 바꾸기 메뉴는 선택된 동영상의 이름을 바꾸기 위한 메뉴이다.
앨범 메뉴는 사진을 추가하거나 추가된 사진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이고,
게시글 메뉴는 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구성원 관리(가입허가) 메뉴는 자신의 강의방으로 원하는 수강자를 초대하거나 강의방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수강하기 위한 수강자의 수강 허락 여부를 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설정(프로필, 알림설정) 메뉴은 설정되어 있는 개인 정보 등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강자의 초기 화면에는 해당 강의방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에 대한 아이콘이 이름과 함께 표시된다.
해당 동영상 생성 장치(10)로부터 생성되어 관리 서버(20)로 전송되는 각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의 이름은 생성장치 식별번호, 강의 시작 년월일, 강의 종료 년월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해당 강의자 단말(40)로 초기 화면이 출력되면, 강의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출력부(44)의 화면에 표시되는 각 동영상에 아이콘이나 동영상 목록 중 하나의 동영상 이름을 선택하여 편집을 원하는 동영상을 선택한다(S35).
그러면, 강의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사용자 입력부(4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을 판정하여,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정보(예, 동영상 식별번호)를 저장부(45)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는 편집을 원하는 동영상을 선택한 후,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동영상 강의목록 편집 메뉴 중에서 원하는 하위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43)는 사용자 입력부(42)로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위 메뉴를 판정한다(S36).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하위 메뉴가 편집 메뉴이면(S37), 동작 제어부(4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의 정보와 편집 메뉴가 선택되었다는 편집 메뉴 선택 신호를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S38).
관리 서버(20)는 전달된 편집 메뉴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하위 메뉴의 종류를 판정하고 또한 동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을 원하는 동영상을 판정한다.
따라서, 관리 서버(20)는 동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을 원하는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30)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로 요청해 전송받는다(S39).
그런 다음, 전송받은 동영상 콘텐츠를 해당 강의자 단말(40)로 전달한다(S310).
강의자 단말(40)은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저장부(45)에 저장한 후, 해당 동영상 콘텐츠에 관련된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강의자는 출력부(44)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을 보면서 자신이 삭제하고자 하는 구간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강의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삭제구간 시작 시점과 삭제구간 종료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마우스 등의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재생바를 선택하는 동작을 이용하여 삭제 구간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영상 중에서 삭제를 원하는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재생바를 1차적으로 선택한 후 삭제를 원하는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재생 바를 2차적으로 선택한다. 따라서, 1차로 재생 바가 선택된 시점에서부터 2차로 재생 바가 선택된 시점까지의 구간이 삭제 구간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삭제 구간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S312), 강의자 단말(40)의 삭제 구간에 대응하는 영상 콘텐츠를 삭제한 후 재편집된 영상 콘텐츠를 저장부(45)에 저장한다(S313).
이러한 해당 동영상에 대한 재편집 동작, 즉 일부 구간의 내용 삭제가 완료되어 사용자 입력부(42)로부터 동작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S314), 강의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저장부(45)에 저장된 재편집된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를 관리 서버(20)로 전달하고(S315), 관리 서버(20)는 전송된 재편집된 해당 동영상 콘텐츠를 다시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부(30)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베이스(32)에 저장되도록 한다(S316, S317).
다시 단계(S37)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위 메뉴의 종류가 편집 메뉴가 아니고 삭제 메뉴이면, 강의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출력부(44)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목록 중에서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아이콘이나 이름이 삭제되도록 하고(S318),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의 정보와 삭제 메뉴가 선택되었다는 삭제 메뉴 선택 신호를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S320).
관리 서버(20)는 전달된 삭제 메뉴 선택 신호와 삭제를 원하는 동영상의 정보를 다시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송하고, 이로 인해, 데이터베이스부(30)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는 전송된 동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삭제하고 동영상 목록에서 삭제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이름을 삭제한 후 저장한다(S321, S322).
따라서,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목록에는 삭제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이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위 메뉴가 이름 바뀌기 메뉴이면(S323), 강의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강의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로 변경하길 원하는 이름을 입력한다(S324).
이로 인해, 강의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출력부(44)를 통해 표시되는 선택된 동영상의 이름을 입력된 이름을 변경하고, 선택된 동영상의 정보, 입력된 이름, 즉 변경을 원하는 이름 그리고 이름 바꾸기 메뉴가 선택되었다는 이름 바뀌기 메뉴 선택 신호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이로 인해, 관리 서버(20)에 의해 강의자 단말(40)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신호는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달된다(S325, S326).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30)는 동영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동영상 콘텐츠의 이름을 전송된 이름으로 변경해 새롭게 저장한다(S327). 따라서, 동영상 목록에 표시되는 해당 동영상 콘텐츠의 이름은 변경된 이름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된 하위 메뉴가 권한 설정 메뉴이면(S328), 강의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사용자 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되는 권한의 종류를 판정하고(S329), 판정된 권한의 종류와 권한 설정을 위한 동영상의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S330).
본 예에서, 각 동영상에 부여되는 권한의 종류는 '공개', 일부 공개' 및 '비공개' 중 하나이다.
'공개' 권한이 부여된 동영상은 모든 회원에게 제공되는 동영상이고, '일부 공개' 권한이 부여된 동영상은 강의자에 의해 선택된, 즉 초대된 회원과 해당 강의방에 입장을 허락받은 회원 중 적어도 하나의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동영상이며, '비공개'권한의 동영상은 회원에게 공개되는 않는 동영상이다.
따라서, 강의자는 자신의 동영상에게 부여되는 권한의 종류를 이용하여 공개 여부 및 공개 범위를 정하게 된다.
강의자 단말(4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는 관리 서버(20)를 거쳐 데이터베이스부(S331, S332)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데이터베이스부(30)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는 해당 동영상에 대응되게 권한의 종류를 저장한다(S333).
다음, 도 6을 참고로 하여, 수강자 단말(50)을 이용하여 수강자가 강의자를 선택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강자 단말(50)이 로그인 동작을 실시하면(S41),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부(30)의 화면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3)에서 초기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와 수강자 단말(50)로 전달하여, 수강자 단말(50)의 출력부(44)에 초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S42-S44).
그러면, 수강자 단말(50)은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출력부(44)에 표시되는 메뉴 중에서 강의자 목록을 요청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제어부(43)는 관리 서버(20)에 수강자 목록을 요청한다(S45).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부(30)의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로 강의자 목록을 요청하여 전송받은 후, 강의자 목록을 수강자 단말(50)로 전달한다(S46, S47).
따라서, 수강자 단말(50)은 전송된 강의자 목록을 출력부(44)로 출력한다(S48).
이로 인해, 수강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화면에 출력되는 강의자 목록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강의자를 선택한다(S49).
수강자에 의해 강의자 선택 동작이 완료되면, 수강자 단말(50)은 선택된 강의자의 정보(예, 강의자 이름)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410).
강의자의 정보를 전달 받은 관리 서버(20)는 강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자에 의해 선택된 강의자를 판정하고, 판정된 강의자에 대한 강의자 단말(40)로 해당 수강자의 강의방 입장 요청을 실시한다(S411). 이때, 관리 서버(20)는 해당 강의방으로의 입장을 요청하는 수강자의 정보(예, 이름)도 함께 강의자 단말(40)로 전달한다.
따라서, 강의자 단말(40)의 강의자는 수강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강의방의 입장 여부를 결정해, 해당 강의방으로의 입장을 허락하거나 불허하는 결정 결과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412, S413).
관리 서버(20)는 강의자 단말(40)로부터 전송된 결정 결과를 해당 수강자 단말(50)로 전달하여 해당 강의방으로의 입장이 허락되었는지 아니면 불허되었는지를 수강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14, S415).
또한, 관리 서버(20)는 결정 결과가 허락 상태이면, 데이터베이스부(30)로 결정 결과를 전달한다(S416).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30)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31)는 강의자에 대응하는 수강자 목록에 해당 수강자의 정보(예, 이름)를 추가하여, 강의자에 대응하는 수강자의 매핑 테이블을 작성하여 저장한다(S417).
이러한 매팅 테이블에 의해 각 강의자의 강의방에 입장이 허락된 수강자의 목록이 용이하게 판정된다.
이와는 달리, 강의자 단말(40)을 이용하여 각 강의자는 자신이 원하는 수강자를 자신의 강의방으로 초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강의자 단말(40)의 강의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수강자의 정보(예,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한 단문자(SNS) 서비스나 이메일(email)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수강자 단말(40)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수강자 단말(50)의 수강자는 자신의 단말로 수신된 문자나 이메일을 확인한 후 이미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관리 서버(20)로 로그인을 실시한 후 강의자 선택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41-417).
도 7을 참고로 하여, 수강자의 동영상 재생 동작을 설명한다
수강자 단말(5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에 로그인한 수강자는 수강자 단말(50)의 출력부(44)에 출력되는 초기 화면 중에서 동영상 강의 목록 메뉴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을 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강의 목록 메뉴가 선택되면,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제어부(43)는 동영상 강의 목록을 관리 서버(20)로 요청하고,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부(30)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로부터 동영상 강의 목록을 전송받아 수강자 단말(50)로 전달하고(S51-S54), 수강자 단말(50)은 전송된 동영상 강의 목록을 출력부(44)를 통해 출력한다(S55).
수강자는 사용자 입력부(42)를 이용하여 수강자 단말(50)의 출력부(44)로 출력되는 동영상 강의 목록 중에서 수강하고 싶은 동영상의 이름이나 아이콘을 선택하여 원하는 동영상을 선택하면(S56), 수강자 단말(50)의 동작 제어부(43)는 선택된 동영상의 정보(예, 동영상 식별번호)를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S57).
따라서,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부(40)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에 동영상의 정보에 해당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요청해 전송 받은 후, 해당 동영상을 선택한 수강자 단말(50)로 전송한다(S58, S59).
이로 인해, 수강자 단말(50)은 전송된 동영상을 동영상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출력부(44)를 통해 재생하여 수강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S510).
이처럼, 해당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를 해당 수강자 단말(50)로 전송한 후, 관리 서버(20)는 해당 동영상에 대한 수강 횟수를 '1' 증가시킨 후, 변경된 해당 동영상에 대한 수강 횟수를 데이터베이스부(30)로 전송한다(S511, S512).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30)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는 해당 동영상에 대한 수강 횟수를 전송된 수강 횟수로 수정하여 저장한다(S513).
이처럼, 데이터베이스부(30)의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2)에는 동영상에 대응되게, 즉 동영상 식별번호에 대응되게 해당 동영상 콘텐츠도 저장되어 있지만 수강 횟수로 함께 저장된다.
따라서, 강의자는 자신의 강의자 단말(40)을 이용하여 해당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수강 횟수를 알고 싶은 경우, 관리 서버(20)로 해당 동영상의 정보와 함께 수강횟수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면(S514), 관리 서버(20)는 해당 동영상에 대한 수강 횟수를 강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로부터 전송받아 해당 강의자 단말(50)로 전달한다(S515, S516).
그러면, 강의자 단말(50)로 출력부(44)로 해당 동영상에 대한 수강 횟수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강의자는 원하는 동영상을 수강자가 몇 번 수강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해당 동영상에 대한 인기도를 판정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수강횟수를 기초로 하여 해당 동영상의 삭제 여부, 재편집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동영상 생성장치 20: 관리 서버
31: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32: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33: 화면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40: 강의자 단말
50: 수강자 단말

Claims (5)

  1. 강의자가 행한 강의인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장치 식별 번호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동영상 생성 장치;
    상기 동영상 생성 장치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생성장치 식별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장치 식별 번호에 대응되게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강의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
    상기 생성장치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강의자 정보 및 수강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관리하며,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편집한 후 편집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수강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강자의 강의방 입장을 결정하는 강의자 단말;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강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강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수신된 상기 생성장치 식별번호에 대응하게 상기 강의자의 강의방을 할당하고
    상기 강의자 단말은,
    상기 수강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자 서비스나 이메일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강의자가 원하는 상기 수강자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강의자 정보와 상기 수강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강자 단말로부터 강의자 목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강의자 목록을 요청해 전달받아 상기 수강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수강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강의자에 대한 강의자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강의자 정보에 해당하는 강의자 단말로 상기 강의자에게 할당된 강의방으로의 입장 요청을 실시하고, 강의자 단말로부터 입장 요청에 대한 결정 결과가 전송되면, 상기 수강자 단말로 상기 결정 결과를 전송해 상기 수강자 단말에 상기 강의방으로의 입장 허락 여부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는 각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강의 횟수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강의자 단말로부터 동영상의 정보와 수강 횟수 요청이 전달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동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강의 횟수를 요청해 전달 받아 상기 강의자 단말로 전달하여, 상기 강의자 단말에 상기 동영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 횟수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동영상 생성 장치가 강의자가 행한 강의인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장치 식별 번호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동영상 생성 장치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 및 상기 생성장치 식별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장치 식별 번호에 대응되게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수신된 상기 생성장치 식별번호에 대응하게 상기 강의자의 강의방을 할당하는 단계;
    수강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 강의자 목록을 요청하고 수신한 강의자 목록 중에서 원하는 강의자를 선택한 후 선택한 강의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강의자 단말로 강의방에 입장하고자 하는 수강자 단말 및 수강자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강의자 단말이 상기 수강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강의방의 입장 여부를 결정하거나, 상기 수강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자 서비스나 이메일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강의자가 원하는 상기 수강자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강의자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관리하며,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편집한 후 편집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편집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단계는,
    강의자 단말이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식별호인 동영상 식별번호와 편집 선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관리 서버는 상기 강의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식별번호와 편집 선택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동영상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 요청해 전송받는 단계;
    관리 서버는 전송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강의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강의자 단말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저장한 이후 재생 바의 선택 동작으로 삭제 구간을 선택하는 단계;
    강의자 단말은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삭제 구간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삭제하여 전송된 동영상 콘텐츠를 재편집하는 단계;
    강의자 단말은 재편집된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는 전송된 재편집된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0084189A 2016-07-04 2016-07-04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8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89A KR101880563B1 (ko) 2016-07-04 2016-07-04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89A KR101880563B1 (ko) 2016-07-04 2016-07-04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28A KR20180004528A (ko) 2018-01-12
KR101880563B1 true KR101880563B1 (ko) 2018-08-24

Family

ID=6100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189A KR101880563B1 (ko) 2016-07-04 2016-07-04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59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KR20200088551A (ko)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승진교육 사용자의 두뇌 성향을 기반으로 두뇌 발달 효과와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인공지능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5255B (zh) * 2021-09-28 2022-08-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媒体数据的编辑方法、媒体数据的封装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7374A (ja) * 2007-05-15 2008-11-27 Fumiyuki Yoshino 講義履歴データベースと受講履歴データベースとを備えた遠隔講義システム
KR101618087B1 (ko) * 2015-02-05 2016-05-04 주식회사 우리파트너즈 사내 강사용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7374A (ja) * 2007-05-15 2008-11-27 Fumiyuki Yoshino 講義履歴データベースと受講履歴データベースとを備えた遠隔講義システム
KR101618087B1 (ko) * 2015-02-05 2016-05-04 주식회사 우리파트너즈 사내 강사용 오프라인 강의 콘텐츠 관리 및 강의 운영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59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KR20200088551A (ko)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승진교육 사용자의 두뇌 성향을 기반으로 두뇌 발달 효과와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인공지능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28A (ko)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1686B (zh) 网络接入设备与用户间交互的方法和装置
CN106411687B (zh) 网络接入设备与绑定用户间交互的方法和装置
CN105376442B (zh) 云系统以及由云系统显示内容的方法
CN103997688B (zh) 智能交互系统、装置和方法
EP2624165A1 (en) Live representation of users within online systems
JP5944920B2 (ja) 端末、電子機器のログイン設定情報の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電子機器
CN105916042A (zh) 虚拟物品赠送方法、用户终端、网络直播平台和系统
JP7205697B2 (ja) 通信端末、共用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80563B1 (ko) 동영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4077026A (zh) 显示用于执行应用的服务页的方法和设备
CN111695094A (zh) 通信管理系统、通信系统、通信管理装置、图像处理方法
US1139475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data
US20210150423A1 (en) Resource reservation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764580B1 (ko) Qr코드를 이용하여 현장 참여 인원에게 강의 발표를 제공하는 강의 발표 제공 시스템
WO2021015284A1 (ja) 対話型入力支援システム及び対話型入力支援方法
CN111047339B (zh) 房屋装修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1518218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78403B2 (ja) カラオケ管理システム
KR102190882B1 (ko)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30308622A1 (en) Display terminal, display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59267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20220035958A1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540516B1 (ko) AR(Augmented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사용자 단말 및 방법
JP2018182715A (ja) 動画の作成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10885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