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980B1 - 죠인트를 구비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 Google Patents

죠인트를 구비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980B1
KR101879980B1 KR1020170027115A KR20170027115A KR101879980B1 KR 101879980 B1 KR101879980 B1 KR 101879980B1 KR 1020170027115 A KR1020170027115 A KR 1020170027115A KR 20170027115 A KR20170027115 A KR 20170027115A KR 101879980 B1 KR101879980 B1 KR 10187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electric wire
wire
join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최정욱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전용 컨넥터에서 방수용 씰과 전선의 일부를 클램핑하여 씰 및 아웃터미널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죠인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 죠인트는, 하우징 사이의 방수를 위하여 하우징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씰과, 전선의 심선에 압착되는 센터터미널, 그리고 차폐를 위하여 상기 센터터미널을 감싸면서 전선과 결합되는 아웃터미널을 구비하는 컨넥터에서, 상기 전선과 씰을 연결하기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죠인트는, 전선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압착하는 전선클램핑부와, 상기 전선클램핑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씰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램핑홈에서 전선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압착하는 씰클랭핑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선클램핑부는, 압착돌출편이 성형된 제1단부와, 상기 압착돌출편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압착홈이 성형된 제2단부를 포함하고,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돌출편과 압착홈이 접촉하는 부분에도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선클램핑부에는 전선의 견고한 압착을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슬롯이 성형되고, 죠인트의 씰클램핑부의 모서리에는 모따기 처리되는 씰을 보호한다.

Description

죠인트를 구비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High frequency connectors having joints}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후단부에서 하우징과 전선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씰과 컨넥터 선단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동시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방수 기능을 가지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의 구성이 완성되기 까지의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도 2를 같이 참고하면서, 고주파 전용 컨넥터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2)을 씰(4)에 삽입하고, 이어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씰(4)의 전방에 페룰(6)을 삽입한다. 그 다음에는 (c)에서와 같이 센터터미널(8)을 전선에 압착함으로써, 상대편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d)에서와 같이 센터터미널(8)의 외측에, 외부의 노이즈 및 교란신호를 차폐하면서 접지 기능을 하는 통 형상의 아웃터미널(10)을 삽입한다.
아웃터미널(10)은 후방으로 일정한 깊이까지 밀어 넣어지게 되고[도 2의 (e) 참조], 완전히 후방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룰(6)의 외측면을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페룰(6)의 압착에 의하여 아웃터미널(10)의 후단부 및 전선이 고정 상태가 되면, (g)에서와 같이 씰(4)의 선단부를 페룰(6)의 후단부에 체결한 후, 이렇게 조립한 조립체를 하우징(12) 내부에 조립함으로써, 전체적인 공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완성된 컨넥터 어셈블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씰(4)은 하우징(12)과 전선(2) 사이에서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2) 선단부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미널(10) 및 상술한 씰(4)을 서로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페룰(6)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조립 과정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페룰(6)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과정이 아주 복잡하게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씰과 아웃터미널을 서로 고정하기 위하여 페룰을 이용하는 종래의 작업 공정은 실질적으로 많은 공정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의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많은 과정에 비하여 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생산 가능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생산성의 향상 및 이에 기초하는 생산 단가의 저감이 가능해질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조립 고정을 제공할 수 있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의 죠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핑 시 전선 및 씰이 손상되지 않음과 동시에 보다 견고한 압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고주파 3전용 컨넥터의 죠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죠인트를 적용하게 되면 조립공정이 현저하게 단순화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과 하우징 사이의 방수를 위하여 하우징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씰과, 전선의 심선에 압착되는 센터터미널, 그리고 차폐를 위하여 상기 센터터미널을 감싸면서 전선과 결합되는 아웃터미널을 구비하는 컨넥터에서, 상기 전선과 씰을 연결하기 지지하기 위한 죠인트로써; 전선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압착하는 전선클램핑부와, 상기 전선클램핑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씰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램핑홈에서 전선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압착하는 씰클랭핑부로 구성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죠인트의 전선클램핑부는, 압착돌출편이 성형된 제1단부와, 상기 압착돌출편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압착홈이 성형된 제2단부를 포함하고,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돌출편과 압착홈이 접촉하는 부분에도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한 죠인트의 전선클램핑부에는 전선의 견고한 압착을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슬롯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죠인트의 씰클램핑부는, 씰을 감싸면서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단부에서 씰과 접촉하는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따기 처리에 의하여, 금속재 죠인트가 클램핑 시 모서리의 날카로운 부분이 씰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미널과 씰이 죠인트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로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죠인트는, 하우징의 방수를 위한 씰, 아웃터미널, 그리고 전선을 견고하게 클램핑하고 있음과 동시에, 어떠한 부품도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예를 들면 씰클램핑부는 압착 시 씰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모따기 부분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전선클램핑부는 압착되는 전선과의 마찰을 극대화함으로써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죠인트를 이용함으로써, 죠인트가 전선의 차폐선과 씰을 동시에 압착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 어셈블리의 조립에서 중요한 공정이 간단하게 완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아웃터미널은 차폐선의 내측으로 미리 삽입(조립)된 상태에서 압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컨넥터의 조립 공정이 매우 간단해 질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넥터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컨넥터의 조립 과정을 예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넥터의 조립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죠인트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컨넥터의 종단면을 예시한 단면도.
다음에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고주파 전용 컨넥터에 사용되는 죠인트의 구조 및 조립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죠인트(60)의 전체적인 구조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죠인트(60)는, 한 장의 금속판에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전선을 감싸면서 압착하는 전선클램핑부(62)와 씰(40)을 감싸면서 압착하는 씰클램핑부(64)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전선클램핑부(62)와 씰클램핑부(64)는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전선클램핑부(62)와 씰클램핑부(64)는, 클램핑되면 각각의 내부에 있는 부품(전선 및 씰의 일부)을 감싸면서 원통형상 또는 외력에 의하여 조금 변형된 원통형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전선클램핑부(62)는, 상술한 전선(30) 중에서 씰(40)의 전방에 노출되어 있는 차폐선(33)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압착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전선클램핑부(62)는 클램핑되면 서로 만나는 단부(62M,62N)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단부(62N)에는 압착돌출편(62b)가 성형되어 있고, 제2단부(62M)에는 상기 압착돌출편(62b)가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들어와서 고정되는 압착홈(62a)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클램핑부(62)가 전선(30)의 차폐선(33)의 외측면을 압착하게 되면, 압착돌출편(62b)은 압착홈(62a)의 내측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압착돌출편(62b)과 압착홈(62a)은, 그 접촉부분(압착돌출편과 압착홈의 접촉부분)에서도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실질적으로 충분한 마찰력이 생긴 상태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선(30)의 압착 효과가 최대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클램핑부(62)의 몸통에는,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선에 대하여 직각을 가지는 원주(방사)(Radial) 방향으로 다수의 슬롯(63)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롯(63)은, 전선클램핑부(62)가 차폐선(33)을 감싸면서 압착될 때, 차폐선(33)이 약간의 변형을 가지면서도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클램핑에 대한 충분한 신뢰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죠인트(60)의 후방에 성형된 씰클램핑부(64)도 서로 원주방향에서 접촉 상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단부(64a,64b)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단부(64a,64b)는 씰(40)의 클램핑홈(42) 내에서, 축방향(전선방향)이 아닌 원주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면서, 씰(40)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단부(64a,64b)가 서로 만나는 선(접촉선)은 원통형상의 죠인트(60)에서 약간의 경사가 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한 쌍의 단부(64a,64b)가 뿌리부분(64e)에서는 폭이 넓게 성형되도록 하고, 자유단부(64d)에서는 폭이 좁게 성형하고, 한 쌍의 단부(64a,64b)가 서로 접촉 상태로 압착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죠인트(60)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씰(40)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따기 처리부(64c)을 형성하고 있다. 즉, 금속재 죠인트(60)가 씰(40)에 접촉하는 부분이 90도의 예리한 단면을 가지게 되면 압착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씰(4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죠인트(60)가 씰(40)을 압착할 때, 씰(40)과 접촉하는 한 쌍의 단부(64a,64b)의 모서리부분에 모따기처리부(64c)을 형성하여, 체결압에 의한 씰(40)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죠인트(60)의 기술적 특징은 실질적으로는 씰(40) 및 전선(30)과의 충분한 압착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압착 시 발생하는 힘이 씰(40)을 손상시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하는 표리 관계를 모두 만족시키는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죠인트(60)가 씰(40) 및 전선(30)을 충분한 힘으로 압착하여 강한 마찰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압착 시의 강한 힘에 의하여 부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죠인트(60)를 이용하여, 컨넥터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을 도 3를 참고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a)과정에서, 씰(40)에 전선(30)을 삽입한다. 여기서 전선(30)은, 실질적인 전기의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심선(31)과, 상기 심선(31)의 외측면을 감싸는 절연체(32), 상기 절연체(32)를 감싸고 있는 차폐선(편조선)(33), 그리고 상기 차폐선(33)의 외부를 감싸는 피복(34)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씰(40)의 실질적인 형상 및 구조는 종래와 동일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원통상 몸체 전방 부부에는 오목하게 성형된 클램핑홈(4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씰(40)은 컨넥터의 후단부에서 하우징(70)과 전선(30) 사이를 통한 물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씰(40)은 전선(30)의 피복(34) 부분까지 삽입되어, 차폐선(33)이 씰(40)에서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이다. 그리고 (b)과정에서, 씰(40)이 전선(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30)의 단부에는 센터터미널(48)이 압착된다. 여기서 상기 센터터미널(48)은 상대물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것으로, 전선(30)의 심선(31)을 감싸면서 압착되어 심선(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터미널(50)을 전선(30)과 결합시킨다. 아웃터미널(50)과 전선(30)이 결합된 상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상의 본체에서 축소된 직경을 가지는 아웃터미널의 후단부(52)가 전선(30) 사이에 삽입된 상태이다. 즉, 전방에서 후방으로 아웃터미널의 후단부(52)가 전선(30)의 차폐선(33)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도 2의 (c)에서는 이와 같은 아웃터미널(50)의 후단부(52)가 차폐선(33)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도 5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아웃터미널(50)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죠인트(60)가 차폐선(33)의 후단부 및 씰(40)의 선단부을 압착하게 된다. d)과정에서 죠인트(60)의 압착이 수행되면, 죠인트(60)가 씰(40) 및 전선(30)을 동시에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가 되며, 상술한 죠인트(60)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의 하우징(70)의 내부로 상술한 조립체를 삽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고주파 전용 컨넥터의 조립과정이 완료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d)에 도시한 조립체(As)는 하우징(70)에 대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조립체(As)가 하우징(70)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서 멈추는 것은, 예를 들면 하우징 내부의 스토퍼() 및 아웃터미널의 외형에 의한 것으로, 도 4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의 조립 및 유지는 실질적으로 종래의 구성에서도 수행되는 구조 및 조립과정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죠인트는, 방수를 위한 씰과 전선을 동시에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강한 클램핑 힘에 의하여 씰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한 번의 클램핑에 의하여 전선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죠인트를 적용하게 되면, 한 번의 죠인트 압착 공정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중요한 과정이 완료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제조 공정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단하게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서 해석되는 것은 특허법의 규정 및 취지에 비추어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30 ..... 전선
31 ..... 심선
32 ..... 절연체
33 ..... 차폐선
34 ..... 피복
40 ..... 씰
42 ..... 클램핑홈
50 ..... 아웃터미널
60 ..... 죠인트
62 ..... 전선클램핑부
62a ..... 압착홈
62b ..... 압착돌출편
62N ..... 제1단부
62M ..... 제2단부
64 ..... 씰클램핑부
70 ..... 하우징

Claims (4)

  1. 전선의 심선에 압착되는 센터터미널(48);
    차폐를 위하여 센터터미널(48)을 감싸도록, 후단부(52)가 전선의 차폐선 내부에 삽입되는 아웃터미널(50);
    방수를 위하여, 아웃터미널의 후방에서 전선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씰(40); 그리고
    아웃터미널(50)의 후단부(52)가 삽입된 부분의 전선의 차폐선 외측면을 감싸도록 압착하는 전선클램핑부와, 상기 전선클램핑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씰(40)의 선단부에 형성된 클램핑홈을 감싸도록 압착하는 씰클랭핑부로 구성되어, 씰(40) 및 아웃터미널(50)을 전선에 동시에 압착하는 죠인트로 구성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클램핑부에는 전선의 견고한 압착을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성형된 슬롯이 구비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죠인트의 씰클램핑부는, 씰을 감싸면서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단부에서 씰과 접촉하는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클램핑부는, 압착돌출편이 성형된 제1단부와, 상기 압착돌출편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압착홈이 성형된 제2단부를 포함하고,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돌출편과 압착홈이 접촉하는 부분에도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KR1020170027115A 2017-03-02 2017-03-02 죠인트를 구비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KR10187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115A KR101879980B1 (ko) 2017-03-02 2017-03-02 죠인트를 구비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115A KR101879980B1 (ko) 2017-03-02 2017-03-02 죠인트를 구비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980B1 true KR101879980B1 (ko) 2018-07-18

Family

ID=6304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115A KR101879980B1 (ko) 2017-03-02 2017-03-02 죠인트를 구비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701B1 (ko) * 2019-05-07 2024-06-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파워 코드 연결용 접촉 터미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636A (ja) * 2000-12-28 2002-07-19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ゴム栓と端子金具との圧着構造
JP2002324618A (ja) * 2001-04-25 2002-11-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防水コネクタ
JP2012134096A (ja) * 2010-12-24 2012-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KR20130070409A (ko) * 2011-12-19 2013-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636A (ja) * 2000-12-28 2002-07-19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ゴム栓と端子金具との圧着構造
JP2002324618A (ja) * 2001-04-25 2002-11-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防水コネクタ
JP2012134096A (ja) * 2010-12-24 2012-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KR20130070409A (ko) * 2011-12-19 2013-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701B1 (ko) * 2019-05-07 2024-06-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파워 코드 연결용 접촉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408B2 (en) Connector
JP562230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744975B1 (ko) 다극 커넥터
US6840804B2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JP6695350B2 (ja) 屈曲プラグ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JP3421555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JP2009099266A (ja) 同軸ケーブル用シールド端子
JP201300434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05392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12199188A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KR20180108403A (ko) L형 내부 단자, l형 내부 단자를 포함하는 l형 동축 커넥터 및 l형 동축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010102914A (ko) 전기콘택트 및 전기콘택트를 전선에 압착하는 방법
JP2020057493A (ja) シールド電線の端子接続構造
US6048227A (en) Connector backshell
CN109273939B (zh) 连接器装置
KR101879980B1 (ko) 죠인트를 구비하는 고주파 전용 컨넥터
KR101283620B1 (ko)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JP4473367B2 (ja) 防水型同軸コネクタ
KR101875318B1 (ko) 고주파 전용 컨넥터의 제조방법
JP5913194B2 (ja) コネクタ
JP2011065882A (ja) アウター端子、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の組付構造
JP3977094B2 (ja) シールド電線コネクタ
KR101255788B1 (ko)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WO2019082498A1 (ja) コネクタ
JP6039487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