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575B1 -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575B1
KR101879575B1 KR1020160122823A KR20160122823A KR101879575B1 KR 101879575 B1 KR101879575 B1 KR 101879575B1 KR 1020160122823 A KR1020160122823 A KR 1020160122823A KR 20160122823 A KR20160122823 A KR 20160122823A KR 101879575 B1 KR101879575 B1 KR 101879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water
cup
hot wat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638A (ko
Inventor
백종수
백경현
Original Assignee
백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수 filed Critical 백종수
Priority to KR102016012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5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내부에 복수의 내부급수꼭지를 구비하고, 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트레이를 구비하여 복수의 컵에 동시에 물을 부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여러 개의 컵이나 물병에 동시에 냉수나 온수를 따를 수 있어서 식당이나 급식시설 등과 같이 다중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물을 받을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물을 받을 수 있으며, 물을 받는 동안 사용자가 냉온수기 앞에서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WATER DISPENSER WITH PLURALITY OF COCK}
본 발명은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내부에 복수의 내부급수꼭지를 구비하고, 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트레이를 구비하여 복수의 컵에 동시에 물을 부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전용 용기에 담긴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해서 배출하거나, 내부의 필터로 원수를 정화한 후 배출하는 급수장치이다.
일반적인 냉온수기에는 물을 저장하는 수단,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수단,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 모터와 펌프 등을 제어하는 수단 등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물병을 장착하거나, 수도관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 급수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급수꼭지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온수나 냉수를 사용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냉온수기는 냉수와 온수를 각각 배출하는 급수꼭지를 하나씩만 가지기 때문에 한 번에 한 개의 컵에만 물을 따를 수 있다. 급수꼭지가 온수측과 냉수측에 각각 설치된 경우에는 두 개의 컵에 냉수와 온수를 동시에 따를 수 있기는 하지만, 여러 개의 컵에 냉수를 동시에 따를 수는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밸브를 사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체 급수용 식수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단체 급수용 식수대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정수기, 정수된 물을 저장하여 가열하는 히터, 가열된 물을 저장하는 온수저장조, 정수된 물을 저장하여 냉각하는 냉각기, 냉각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저장조 등을 구비한다.
또한 외부에는 다수의 밸브(t1, t2)를 구비하여 여러 명의 사람이 동시에 냉수 또는 온수를 받아서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밸브를 조작하여 독립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를 받는다. 만약 식당이나 급식시설 등과 같이 한 명의 관리자가 여러 개의 물병 또는 컵에 물을 따라서 고객에게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밸브를 동시에 조작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KR 20-2009-0013120 U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몸체의 내부에는 복수의 내부급수꼭지를 구비하고, 트레이에 안착되어 들어온 컵에 물을 채워서 배출하도록 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트레이의 안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초음파센서를 설치하여 컵의 존재와 크기를 확인하고, 컵이 안착되어 있는 부분에만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온수를 컵에 따른 경우에는 트레이의 배출시에 안전램프를 발광시키고 자동안내음성이 나오도록 하여 어린이나 노약자, 장애인 등이 뜨거운 물로 인한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복수의 컵(10)에 동시에 물을 부을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로서, 몸체(202)와; 상기 몸체(202)의 전면에 설치되는 컨트롤패널(208)과; 상기 몸체(202)의 전면 가운데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차단판(210)과; 상기 몸체(2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210)의 개폐를 조정하는 스위치(212)와; 상기 몸체(202)의 개구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몸체(202)의 외부로 나오거나 내부로 들어가며, 표면에는 상기 컵(10)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214a)이 형성되는 트레이(214)와; 상기 트레이(214)가 들어가는 상기 몸체(202)의 안쪽 상부에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내부급수꼭지(216);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212)를 누르면, 상기 차단판(210)이 열리면서 상기 트레이(214)가 상기 몸체(202)의 바깥으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착홈(214a)에 복수의 컵(10)을 올려놓고 스위치(212)를 누르면, 상기 트레이(214)가 상기 몸체(202)의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판(210)이 닫히고, 상기 복수의 내부급수꼭지(216)에서 물이 배출되면서 상기 트레이(214)에 놓여진 복수의 컵(10)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컵(10)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컵(10)의 내부 공간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218) 또는 근접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센서(218)는 상기 컵(10)의 안쪽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제1초음파센서(218a)와, 상기 컵(10)의 옆쪽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제2초음파센서(218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02)에서 상기 트레이(214)가 들어가는 내부 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는 안전램프(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안전램프(220)는 상기 트레이(214)에 놓여진 컵(10)에 온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214)가 바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패널(208)에는 음성안내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208)은 상기 트레이(214)에 놓여진 컵(10)에 온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214)가 바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경고문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02)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222);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여러 개의 컵이나 물병에 동시에 냉수나 온수를 따를 수 있어서 식당이나 급식시설 등과 같이 다중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물을 받을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물을 받을 수 있으며, 물을 받는 동안 사용자가 냉온수기 앞에서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체 급수용 식수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트레이가 바깥으로 나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트레이가 바깥으로 나온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5는 트레이의 안착홈에 컵을 올려놓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트레이가 안으로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7은 초음파 센서 또는 근접센서가 컵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컵에 물이 담긴 채 트레이가 바깥으로 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9는 자외선램프에 의해 살균작용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이하, '냉온수기'라 함)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트레이가 바깥으로 나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트레이가 바깥으로 나온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5는 트레이의 안착홈에 컵을 올려놓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냉온수기(200)는 몸체(202)의 내부에 원수공급수단, 냉수저장수단, 온수저장수단, 여과수단, 모터 또는 펌프 등의 이송수단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통상적인 냉온수기나 정수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구성이며,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과는 다른 요소이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몸체(202)의 전면 또는 상부에는 컵받침대(204)가 구비되며, 컵받침대(204)의 상부에는 외부급수꼭지(206)가 설치된다. 그리고 몸체(202)의 전면에는 컨트롤패널(208)이 설치된다. 외부급수꼭지(206)는 통상적인 냉온수기에 설치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밀거나 누르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물 배출수단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급수꼭지(206)는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몸체(202)의 전면 가운데에는 차단판(210)이 설치된다. 차단판(210)은 전면 가운데에 설치된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차단판(210)이 열린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판(210)은 상단부의 가장자리가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앞뒤로 회전하면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셔터처럼 어느 한쪽으로 말려들어가면서 열리는 등, 차단판(210)이 개폐되는 방식이나 투명도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몸체(202)의 하부에는 스위치(212)가 설치된다. 스위치(212)는 사용자가 발이나 손으로 눌러서 작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차단판(210)을 열어서 트레이(214)를 꺼내거나 다시 집어넣는 동작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러 개의 컵(10)을 들기 위해서 사용자는 쟁반이나 카트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발로 밟을 수 있는 스위치(212)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본 발명의 냉온수기(200)를 사용할 수 있다.
차단판(210)에 의해 입구가 밀폐되는 개구부의 내부에는 트레이(214)가 설치된다. 트레이(214)는 별도의 구동수단(모터, 실린더, 크랭크 등)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사용자가 스위치(212)를 누르면 차단판(210)이 열리는 것과 동시에 트레이(214)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몸체(202)의 바깥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컵(10)을 트레이(214)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시 스위치(212)를 누르면, 트레이(214)가 몸체(202)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차단판(210)이 닫힌다.
트레이(214)는 물을 받을 컵(10)이나 물병을 올려놓는 부분이며, 컵(10)이 미끄러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트레이(214)의 표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오목한 안착홈(214a)이 다수 형성된다. 사용자는 안착홈(214a)에 컵(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트레일()를 몸체(202)의 내부로 집어넣는다.
트레이(214)가 들어가는 몸체(202)의 안쪽 상부에는 다수개의 내부급수꼭지(216)가 설치된다. 내부급수꼭지(216)는 몸체(202) 내부로 완전히 들어온 트레이(214)의 안착홈(214a)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안착홈(214a)과 내부급수꼭지(216)는 서로 1:1로 대응되도록 구성한다. 하나의 내부급수꼭지(216)는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인접한 두 개의 내부급수꼭지(216)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진 두 개의 내부급수꼭지(216)가 각각 온수와 냉수를 배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내부급수꼭지(216)와 인접한 곳에는 각각 대응하는 초음파센서(218)가 설치된다. 초음파센서(218)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안착홈(214a) 위에 컵(10)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컵(10)의 내부에 얼마만큼의 공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센서(218)를 사용하여 컵(10)의 위치와 공간을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물체의 존재와 윤곽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초음파센서(218)와 근접센서는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트레이가 안으로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몸체(202) 바깥에 있는 스위치(212)를 발로 누르면, 차단판(210)이 열리면서 트레이(214)가 앞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몸체(202)의 바깥으로 나온다. 사용자가 트레이(214) 위의 안착홈(214a)에 여러 개의 컵(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스위치(212)를 한 번 더 누르면, 트레이(214)가 몸체(202)의 안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차단판(210)이 닫힌다.
트레이(214)가 몸체(202)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오면 각각의 내부급수꼭지(216)의 아래에 각각의 컵(10)이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르는 버튼의 종류에 따라서 온수나 냉수가 배출되어 컵(10)에 담기게 된다.
한편, 도 7은 초음파 센서가 컵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초음파센서(218)는 내부급수꼭지(216)의 옆에 설치되어 컵(10)의 안쪽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제1초음파센서(218a)와, 몸체(202)의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컵(10)의 옆쪽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제2초음파센서(218b)로 구성된다.
제1초음파센서(218a)에 의해 각각의 컵(10)의 내부의 비어있는 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초음파센서(218b)에 의해 어느 안착홈(214a)에 컵(10)이 놓여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218)에 의한 컵의 존재와 용량을 파악하는 것은 종래기술로 개시된 내용이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8은 컵에 물이 담긴 채 트레이가 바깥으로 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조작한 내용대로 물이 배출된 후에는 차단판(210)이 열리면서 트레이(214)가 다시 바깥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올려놓은 컵(10)을 꺼내서 손님에게 제공한다.
또한 트레이(214)가 들어가는 내부 공간의 입구 근처에는 안전램프(220)가 설치되며, 컨트롤패널(208)에는 음성안내기능이 구비된다. 안전램프(220)는 입구의 윗부분이나 아랫부분,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램프(220)는 엘이디나 전구, 기타 발광수단으로 구성되며, 적색광을 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램프(220)는 사용자가 컨트롤패널(208)에서 뜨거운 물을 눌러서 컵(10)에 뜨거운 물이 담긴 채로 트레이(214)가 바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켜지도록 한다. 적색 빛이 나오는 동안 사용자는 컵(10)에 뜨거운 물이 들어있음을 인지함으로써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게 된다.
그리고 장애인이나 어린이, 노약자 등을 위해 컨트롤패널(208)에 구비된 음성안내기능을 실행하여 "온수주의" 등의 경고문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물을 받은 상태에서 트레이(214)가 바깥으로 나와있는데도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가 컵(10)을 가져가지 않으면, 다시 트레이(214)가 몸체(202)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먼지나 이물질 등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자외선램프에 의해 살균작용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몸체(202)의 내부, 즉 차단판(210)에 의해 입구가 밀폐되는 개구부의 내부 양측면에는 자외선램프(222)가 설치된다. 자외선램프(222)는 세균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며, 차단판(210)이 닫힌 상태에서 컵(10)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컵(10)의 내외부에 있을 수도 있는 세균을 제거한다. 자외선램프(222)는 차단판(210)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자동으로 켜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냉온수기 202 : 몸체
204 : 컵받침대 206 : 외부급수꼭지
208 : 컨트롤패널 210 : 차단판
212 : 스위치 214 : 트레이
214a : 안착홈 216 : 내부급수꼭지
218 : 초음파센서 220 : 안전램프
222 : 자외선램프

Claims (5)

  1. 복수의 컵(10)에 동시에 물을 부을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로서,
    몸체(202)와;
    상기 몸체(202)의 전면에 설치되는 컨트롤패널(208)과;
    상기 몸체(202)의 전면 가운데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차단판(210)과;
    상기 몸체(2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210)의 개폐를 조정하는 스위치(212)와;
    상기 몸체(202)의 개구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몸체(202)의 외부로 나오거나 내부로 들어가며, 표면에는 상기 컵(10)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214a)이 형성되는 트레이(214)와;
    상기 트레이(214)가 들어가는 상기 몸체(202)의 안쪽 상부에 설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내부급수꼭지(216);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212)를 누르면, 상기 차단판(210)이 열리면서 상기 트레이(214)가 상기 몸체(202)의 바깥으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착홈(214a)에 복수의 컵(10)을 올려놓고 스위치(212)를 누르면, 상기 트레이(214)가 상기 몸체(202)의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판(210)이 닫히고, 상기 복수의 내부급수꼭지(216)에서 물이 배출되면서 상기 트레이(214)에 놓여진 복수의 컵(10)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컵(10)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컵(10)의 내부 공간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218) 또는 근접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센서(218)는
    상기 컵(10)의 안쪽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제1초음파센서(218a)와, 상기 컵(10)의 옆쪽으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제2초음파센서(218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2)에서 상기 트레이(214)가 들어가는 내부 공간의 입구에 설치되는 안전램프(22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안전램프(220)는 상기 트레이(214)에 놓여진 컵(10)에 온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214)가 바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208)에는 음성안내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패널(208)은 상기 트레이(214)에 놓여진 컵(10)에 온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214)가 바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경고문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2)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222);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KR1020160122823A 2016-09-26 2016-09-26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KR101879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823A KR101879575B1 (ko) 2016-09-26 2016-09-26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823A KR101879575B1 (ko) 2016-09-26 2016-09-26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638A KR20180033638A (ko) 2018-04-04
KR101879575B1 true KR101879575B1 (ko) 2018-07-18

Family

ID=6197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823A KR101879575B1 (ko) 2016-09-26 2016-09-26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5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2214B1 (en) * 1997-12-22 2003-04-02 Restaurant Technology, Inc. Automated beverage system
WO2003048027A2 (en) * 2001-11-30 2003-06-12 Beverage Works, In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6607013B1 (en) * 1999-03-26 2003-08-19 Mauro Leoni Automatic bar
US20090120958A1 (en) * 2007-11-06 2009-05-14 Landers Jerry L Multiflavor beverage dispensing nozzle and dispenser using same
JP2012252688A (ja) * 2011-05-06 2012-12-20 Murakami Shoten:Kk 試飲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2214B1 (en) * 1997-12-22 2003-04-02 Restaurant Technology, Inc. Automated beverage system
US6607013B1 (en) * 1999-03-26 2003-08-19 Mauro Leoni Automatic bar
WO2003048027A2 (en) * 2001-11-30 2003-06-12 Beverage Works, In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20090120958A1 (en) * 2007-11-06 2009-05-14 Landers Jerry L Multiflavor beverage dispensing nozzle and dispenser using same
JP2012252688A (ja) * 2011-05-06 2012-12-20 Murakami Shoten:Kk 試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638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954B1 (ko) 워터 서버
US20080035241A1 (en) Multiple function liquid dispenser
JP5529237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20160052769A1 (en) Water dispenser
AU2002353588A1 (en)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EP2962982A1 (en) Water server
KR101879575B1 (ko) 복수의 급수꼭지를 가진 냉온수기
ES2643071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detectar el modo de funcionamiento de un sistema de bebida
KR102085326B1 (ko) 자동 공급 성수대
JP5571218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8747664B2 (en) Water filtration and sterilisation device
JP5520404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TW201119910A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producing bottled water
KR20230022337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9665641A (zh) 一种净水饮水机
KR102405322B1 (ko) 정수기용 받침대
KR102391178B1 (ko)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KR200322784Y1 (ko) 살균수단을 갖는 냉장고 디스펜서
EP1270500B1 (en) Unit for dispensing liquid food products
GB2596779A (en) Sink unit
KR20090125919A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20230000342U (ko)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21169720A (ja) 自動水栓装置
KR20230022338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버블러 수전을 구비한 전기 냉ㆍ온수기 및 이의 구동 방법
ES1062559U (es) Lavamanos porta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