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528B1 - 지그 - Google Patents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528B1
KR101879528B1 KR1020170011974A KR20170011974A KR101879528B1 KR 101879528 B1 KR101879528 B1 KR 101879528B1 KR 1020170011974 A KR1020170011974 A KR 1020170011974A KR 20170011974 A KR20170011974 A KR 20170011974A KR 101879528 B1 KR101879528 B1 KR 10187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jig
center
center beam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문섭
안남건
김주윤
장진우
김동혁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D2260/31Retaining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에 관한 것으로,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빔과 하단빔 및 상단빔과 하단빔을 연결하는 연결빔을 구비하는 지그바디와 상기 상단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홀 및 상기 하단빔에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터빈에 쉴드 장착시 작업 편의성 및 안정성을 항샹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그{JIG}
본 발명은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의 쉴드(shield) 장착시 작업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turbine)은 가스(gas), 스팀(steam) 등 유체의 열에너지를 기계에너지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동력발생 장치로, 유체에 의해 축회전되도록 복수 개의 회전익(bucket)을 포함하는 로터(rotor)와, 로터의 둘레를 감싸며 설치되고 복수 개의 고정익(diaphram)이 구비된 케이싱(casing)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가스터빈은 압축기와 연소기 및 터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압축기의 회전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입, 압축된 후 연소기로 보내지고, 연소기에서 압축공기와 연료의 혼합에 의해 연소가 이루어진다. 연소기에서 발생된 고온·고압의 가스는 터빈을 통과하면서 터빈의 로터를 회전시켜 발전기를 구동시킨다.
스팀터빈의 경우, 고압터빈 섹션과 중압터빈 섹션 및 저압터빈 섹션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로터를 회전시키는데, 직렬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압터빈 섹션과 중압터빈 섹션 및 저압터빈 섹션이 하나의 로터를 공유한다.
스팀터빈에서 각각의 터빈들은 케이싱 내부의 로터를 중심으로 고정익과 회전익을 구비하고 있으며, 스팀이 고정익과 회전익을 통과하면서 로터를 회전시켜 발전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종래 터빈의 쉴드 장착부에 쉴드(S)를 장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터빈에서의 쉴드(S) 장착시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체인블록 또는 벨트(C)를 체결블록(3)에 의해 쉴드(S)의 쉴드브라켓(2)에 결합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밀어서 위치를 맞추었다.
이때 터빈의 플랜지 부위(T)가 돌출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손으로 쉴드(S)를 밀때, 체인블록 또는 벨트(C)가 터빈의 플랜지 부위(T)에 걸려 휘어지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쉴드(S)의 위치를 잡기 위해 보다 더 강한 힘으로 밀어야 한다.
여기서 체인블록 또는 벨트(C)가 구부러지는 때에는 금속재질로 된 쉴드(S)가 구부러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작업자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항시 존재하며, 더 강한 힘으로 밀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부하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터빈의 쉴드 장착부에 쉴드(S)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적절한 지그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특허 등록번호: KR 10-160461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빈의 쉴드 장착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지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그에 관한 것으로,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빔과 하단빔 및 상단빔과 하단빔을 연결하는 연결빔을 구비하는 지그바디와 상기 상단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홀 및 상기 하단빔에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단빔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을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볼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단빔의 단부에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지지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하단빔의 단부에 형성된 하단홈에 배치되는 탄성체와 일측면이 상기 탄성체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홈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밀착블록과 상기 밀착블록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탄성패드 및 상기 하단홈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블록에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단빔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빔의 길이를 신축하도록 제공되는 제1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신축부는, 상기 하단빔상에서 일측 중앙부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센터빔과 상기 하단빔상에서 타측 사이드부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센터빔과 겹치도록 제공되는 제1 사이드빔과 상기 제1 센터빔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이드빔의 제1 스톱홈으로 돌출된 제1 스톱블록 및 상기 제1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터빔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센터빔의 단부에 로드가 연결된 제1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스크류바 및 상기 제1 센터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바에 맞물리는 제1 나사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빔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빔의 길이를 신축하도록 제공되는 제2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연결빔상에서 일측 중앙부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2 센터빔과 상기 연결빔상에서 타측 사이드부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센터빔과 겹치도록 제공되는 제2 사이드빔과 상기 제2 센터빔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사이드빔의 제2 스톱홈으로 돌출된 제2 스톱블록 및 상기 제2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터빔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센터빔의 단부에 로드가 연결된 제2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2 스크류바 및 상기 제2 센터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류바에 맞물리는 제2 나사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스톱홈과 상기 제2 스톱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빈의 쉴드 장착부의 돌출된 플랜지 형상에 대응하여 지그 형상을 ㄷ 자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작업자가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로 지그를 이동시키는 작업 자체만으로 쉴드를 터빈에 원활히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지그는 길이가 신축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터빈에 사용될 수 있다. 즉 터빈의 쉴드 장착부는 터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일 수 있고, 이에 따른 돌출된 플랜지 형상도 그 크기가 제각각일 수 있는데, 이때 지그의 길이 신축이 가능하여 작업상황에 대응하여 적절히 지그의 길이를 변경하여 쉴드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쉴드를 터빈에 결합시키는 방식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지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지그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A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B 부분에 대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B 부분에 대한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C 부분에 대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C 부분에 대한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인 지그(1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전면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지그(10)의 제1 실시예에서는 지그바디(12), 링크홀(14) 및 결합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이동대상물은 쉴드(S)로 한정하여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지그바디(12)는 상부에는 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빔(12a)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단빔(12a)과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단빔(12b)이 배치되며, 상기 상단빔(12a)과 상기 하단빔(12b)을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빔(12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그바디(12)는 철과 같은 금속재질로 된 쉴드(S)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홀(14)은 상기 상단빔(12a)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미도시)에 체인블록 또는 벨트(C)로 상기 지그바디(12)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홀(14)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결합부(17)에 체결되는 쉴드(S)의 크기에 따라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의 체결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결합부(17)는 상기 하단빔(12b)에 배치되고, 쉴드(S)가 체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7)는 연결브라켓(15) 및 체결볼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5)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단빔(12b)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15)의 양측부에는 쉴드브라켓(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볼트(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5) 및 상기 체결볼트(16) 또한 쉴드(S)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그(10) 형태와 체결 구조를 통해 도 2에서와 같이 터빈의 플랜지 부위(T)가 돌출되어 있더라도, ㄷ 자 형상의 지그(10)는 터빈의 플랜지 부위(T)를 감싸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상기 결합부(17)에 체결된 쉴드(S)는 지그(10)에 의해 이동되며, 터빈의 쉴드(S) 장착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인 지그(1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A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B 부분에 대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B 부분에 대한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C 부분에 대한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에서 C 부분에 대한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지그(10)의 제2 실시예에서는 지그바디(12), 링크홀(14) 및 결합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이동대상물은 쉴드(S)로 한정하여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지그바디(12)는 상부에는 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빔(12a)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단빔(12a)과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단빔(12b)이 배치되며, 상기 상단빔(12a)과 상기 하단빔(12b)을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빔(12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그바디(12)는 철과 같은 금속재질로 된 쉴드(S)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홀(14)은 상기 상단빔(12a)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미도시)에 체인블록 또는 벨트(C)로 상기 지그바디(12)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링크홀(14)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결합부(17)에 체결되는 쉴드(S)의 크기에 따라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의 체결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결합부(17)는 상기 하단빔(12b)에 배치되고, 쉴드(S)가 체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7)는 연결브라켓(15) 및 체결볼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5)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단빔(12b)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15)의 양측부에는 쉴드브라켓(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볼트(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5) 및 상기 체결볼트(16) 또한 쉴드(S)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달리 밀착부(30), 제1 신축부(50) 및 제2 신축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밀착부(30)는 상기 하단빔(12b)의 단부에 배치되고, 쉴드(S)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밀착부(30)는 탄성체(31), 밀착블록(33), 탄성패드(35) 및 스토퍼(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1)는 상기 하단빔(12b)의 단부에 형성된 하단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31)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탄성체(31)의 양단부는 고정판(32a, 32b)에 의해 각각 하단빔(12b)과 밀착블록(33)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1)는 하단빔(12b)의 단부가 쉴드(S)에 접촉될 때, 완충작용을 하며 쉴드(S)의 표면손상을 방지하고 하단빔(12b)의 단부와 쉴드(S)의 표면간의 형상 오차를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상기 밀착블록(33)은 일측면은 상기 탄성체(31)에 고정판(32b)으로 볼트체결되어 연결되며, 상기 하단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밀착블록(33)의 타측면은 쉴드(S)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약간 경사지게 가공될 수 있으나, 이는 쉴드(S)의 표면에 대응한 한 형태이므로 다른 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35)는 상기 밀착블록(33)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35) 또한 상기 탄성체(31)와 마찬가지로 하단빔(12b)의 단부가 쉴드(S)에 접촉될 때, 완충작용을 하며 쉴드(S)의 표면손상을 방지하고 하단빔(12b)의 단부와 쉴드(S)의 표면간의 형상 오차를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패드(35)는 유연한 재질이며 또한 마모에 강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39)는 상기 하단홈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블록(33)에 형성된 가이드홈(38)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9)는 밀착블록(3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밀착블록(33)이 하단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밀착부(30)의 구성은 쉴드(S)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그(10)에 밀착되도록 하며, 이동간에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게 된다.
다음 도 6 및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신축부(50)는 상기 하단빔(12b)에 배치되고, 터빈의 쉴드 장착부 주변의 플랜지 부위(T)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하단빔(12b)의 길이를 신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쉴드(S)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신축부(50)는 제1 센터빔(51), 제1 사이드빔(52), 제1 스톱블록(51a) 및 제1 구동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센터빔(51)은 상기 하단빔(12b)상에서 일측 중앙부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사이드빔(52)은 상기 하단빔(12b)상에서 타측 사이드부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센터빔(51)과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톱블록(51a)은 상기 제1 센터빔(51)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이드빔(52)의 제1 스톱홈(52a)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톱블록(51a) 및 제1 스톱홈(52a)은 신축 작동시 제1 센터빔(51)이 제1 사이드빔(52)의 내부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센터빔(51)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1 구동부(54)는 상기 제1 사이드빔(5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터빔(51)의 단부에 연결되며, 제1 센터빔(51)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부(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우선 도 6에서는 상기 제1 구동부(54)가 상기 제1 센터빔(51)의 단부에 로드로 연결되는 제1 유압실린더(53)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제어판을 통해 제1 유압실린더(53)를 작동시키면, 제1 유압실린더(53)의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되며 제1 센터빔(51)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하단빔(12b)의 길이가 신축되게 된다.
다음 도 7에서는 상기 제1 구동부(54)가 제1 모터(58), 제1 스크류바(59) 및 제1 나사산부(57a)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58)는 상기 제1 사이드빔(52)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크류바(59)는 상기 제1 모터(58)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나사산부(57a)는 상기 제1 센터빔(51)의 내부공간(57)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바(59)와 맞물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제어판을 통해 제1 모터(58)를 구동시키면, 제1 스크류바(59)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나사산부(57a)를 따라 제1 센터빔(51)이 이동하면서, 하단빔(12b)의 길이가 신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신축 구조를 통해 하단빔(12b)은 터빈의 플랜지 부위(T) 깊이에 대응하여 하단빔(12b)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어, 쉴드(S)를 보다 안정적으로 터빈의 쉴드 장착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센터빔(51)과 상기 사이드빔(52)간의 원활한 상대 운동을 위해 상기 사이드빔(52)상에는 윤활공급홀(52c)가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윤활유 주입을 통해 상대운동은 부드럽게 이뤄질 수 있다.
다음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 신축부(70)는 상기 연결빔(12c)에 배치되고, 터빈의 쉴드 장착부 주변의 플랜지 부위(T) 폭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빔(12c)의 길이를 신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또한 쉴드(S)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신축부(70)는 제2 센터빔(71), 제2 사이드빔(72), 제2 스톱블록(71a), 제2 구동부(74) 및 완충유닛(7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2 센터빔(71)은 상기 연결빔(12c)상에서 일측 중앙부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사이드빔(72)은 상기 연결빔(12c)상에서 타측 사이드부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센터빔(71)과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톱블록(71a)은 상기 제2 센터빔(71)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사이드빔(72)의 제2 스톱홈(72a)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톱블록(71a) 및 제2 스톱홈(72a)은 신축작동시 제2 센터빔(71)이 제2 사이드빔(72)의 내부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센터빔(71)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2 구동부(74)는 상기 제2 사이드빔(7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터빔(71)의 단부에 연결되며, 제2 센터빔(71)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동부(7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우선 도 8에서는 상기 제2 구동부(74)가 상기 제2 센터빔(71)의 단부에 로드로 연결되는 제2 유압실린더(73)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제어판을 통해 제2 유압실린더(73)를 작동시키면, 제2 유압실린더(73)의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되며 제2 센터빔(71)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빔(12c)의 길이가 신축되게 된다.
다음 도 9에서는 상기 제2 구동부(74)가 제2 모터(78), 제2 스크류바(79) 및 제2 나사산부(77a)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78)는 상기 제2 사이드빔(72)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류바(79)는 상기 제2 모터(78)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나사산부(77a)는 상기 제2 센터빔(71)의 내부공간(77)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류바(79)와 맞물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제어판을 통해 제2 모터(78)를 구동시키면, 제2 스크류바(79)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나사산부(77a)를 따라 제2 센터빔(71)이 이동하면서, 연결빔(12c)의 길이가 신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신축 구조를 통해 연결빔(12c)은 터빈의 플랜지 부위(T) 깊이에 대응하여 연결빔(12c)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어, 쉴드(S)를 보다 안정적으로 터빈의 쉴드 장착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빔(12c)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연결빔(12c)의 신축 작동시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센터빔(71)이 상기 제2 사이드빔(72)에서 이탈하려고 하는 하방향으로 보다 많은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완화하기 위해 상기 완충유닛(75)이 상기 제2 스톱홈(72a)과 상기 제2 스톱블록(7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톱블록(71a)이 상방향으로 힘이 작용되어, 중력에 의한 상기 제2 센터빔(71)이 상기 제2 사이드빔(72)에서 이탈되려고 하는 작용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력은 완충유닛(75)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탄성이 다른 스프링의 교체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빔(71)과 상기 사이드빔(72)간의 원활한 상대 운동을 위해 상기 사이드빔(72)상에는 윤활공급홀(72c)가 가공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윤활유 주입을 통해 상대운동은 부드럽게 이뤄질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지그(10)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지그 12:지그바디
12a:상단빔 12b:하단빔
12c:연결빔 14:연결홀
15:연결브라켓 16:체결볼트
17:결합부
30:밀착부 31:탄성체
33:밀착블록 35:탄성패드
38:가이드홈 39:스토퍼
50:제1 신축부 51:제1 센터빔
52:제1 사이드빔 53:제1 유압실린더
54:제1 구동부
57:제1 센터빔의 내부공간
58:제1 모터 59:제1 스크류바
70:제2 신축부 71:제2 센터빔
72:제2 사이드빔 73:제2 유압실린더
74:제2 구동부 75:완충유닛
77:제2 센터빔의 내부공간
78:제2 모터 79:제2 스크류바

Claims (13)

  1.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빔과 하단빔 및 상단빔과 하단빔을 연결하는 연결빔을 구비하는 지그바디;
    상기 상단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홀;
    상기 하단빔에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이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하단빔의 단부에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지지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하단빔의 단부에 형성된 하단홈에 배치되는 탄성체;
    일측면이 상기 탄성체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홈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밀착블록;
    상기 밀착블록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탄성패드; 및
    상기 하단홈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밀착블록에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돌출된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단빔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이동대상물을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볼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빔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빔의 길이를 신축하도록 제공되는 제1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부는,
    상기 하단빔상에서 일측 중앙부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센터빔;
    상기 하단빔상에서 타측 사이드부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센터빔과 겹치도록 제공되는 제1 사이드빔;
    상기 제1 센터빔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이드빔의 제1 스톱홈으로 돌출된 제1 스톱블록; 및
    상기 제1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터빔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센터빔의 단부에 로드가 연결된 제1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스크류바; 및
    상기 제1 센터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바에 맞물리는 제1 나사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빔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빔의 길이를 신축하도록 제공되는 제2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연결빔상에서 일측 중앙부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2 센터빔;
    상기 연결빔상에서 타측 사이드부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센터빔과 겹치도록 제공되는 제2 사이드빔;
    상기 제2 센터빔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사이드빔의 제2 스톱홈으로 돌출된 제2 스톱블록; 및
    상기 제2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터빔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센터빔의 단부에 로드가 연결된 제2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사이드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2 스크류바; 및
    상기 제2 센터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크류바에 맞물리는 제2 나사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톱홈과 상기 제2 스톱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KR1020170011974A 2017-01-25 2017-01-25 지그 KR101879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74A KR101879528B1 (ko) 2017-01-25 2017-01-25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74A KR101879528B1 (ko) 2017-01-25 2017-01-25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528B1 true KR101879528B1 (ko) 2018-07-17

Family

ID=6304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974A KR101879528B1 (ko) 2017-01-25 2017-01-25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5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46B1 (ko) * 2008-02-29 2010-03-03 서울메트로 전동차 주공기압축기 모터의 전기자와 계자 착탈지그
KR101334336B1 (ko) * 2012-06-14 2013-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20130143418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KR101604617B1 (ko) 2013-12-09 2016-03-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취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46B1 (ko) * 2008-02-29 2010-03-03 서울메트로 전동차 주공기압축기 모터의 전기자와 계자 착탈지그
KR101334336B1 (ko) * 2012-06-14 2013-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의 그립핑 장치
KR20130143418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KR101604617B1 (ko) 2013-12-09 2016-03-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취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979B2 (en) Oil tank mount arrangement on a geared turbofan engine
US10724385B2 (en) Installation or removal of turbine blade at turbine blade base
KR101482975B1 (ko) 사이드로드를 감소시킨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CA2963854C (en) Multi-point mounting system for rotating machinery
CN108019241B (zh) 涡轮叶片在涡轮叶片基部处的安装或移除
US20140290414A1 (en) Industrial robot provided with balancer device
JP2017207028A (ja) 風車用ナセル及び風力発電装置並びに風力発電装置の部品昇降方法
RU2556730C2 (ru)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ащения турбинного валопровода и турбогене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1799354B1 (ko) 풍력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 세트
KR101879528B1 (ko) 지그
US106556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al of a wind turbine gearbox from a main rotor shaft
CN106151784A (zh) 用于燃机的基底框架组件
KR102214202B1 (ko) 중력보상장치가 구비된 로봇 암의 링크 구조
CN115464670A (zh) 一种tbm换刀机器人
KR101251196B1 (ko) 고로 설비, 고로 설비의 내진 성능 향상 방법 및 연결 제진 장치
KR101310244B1 (ko)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JP5759403B2 (ja) 振動試験機
US11268611B2 (en) Driving machine module
CN106015753A (zh) 一种具有补偿调节功能的航空发动机管路支架装置
US20190195083A1 (en) Backup device for link mechanism of steam turbine, steam turbine, and method for modifying steam turbine
US8590380B2 (en) Vibration test arrangement
KR101862946B1 (ko) 지그
CN110181455A (zh) 液压缸拆卸装置
CN109114222A (zh) 一种消除真空室变形影响的柔性密封刚性连接装置
CN112253018B (zh) 一种限位插销以及应用该限位插销的钻杆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