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244B1 -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 Google Patents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0244B1 KR101310244B1 KR1020120069578A KR20120069578A KR101310244B1 KR 101310244 B1 KR101310244 B1 KR 101310244B1 KR 1020120069578 A KR1020120069578 A KR 1020120069578A KR 20120069578 A KR20120069578 A KR 20120069578A KR 101310244 B1 KR101310244 B1 KR 1013102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resonance
- actuator
- moving frame
-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661 fatigue tes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7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blad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16—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aircraft wings or bla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는, 단일의 엑츄에이터와, 풍력 블레이드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의 외측에 위치하고, 엑츄에이터의 길이 신축과 연동하여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에 공진을 발생시키는 closed loop 형태의 무빙프레임과, 상기 단일의 엑츄에이터 로드의 신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무빙프레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엑츄에이터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폭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력 블레이드(Blade)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일의 엑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엑츄에이터의 길이 가변시에 블레이드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과, 블레이드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는 동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유닛을 동작유닛보다 가볍게 구성하여 공진발생장치의 전체 무게를 경량화하고, 동작유닛의 일 구성인 무빙프레임(moving frame)은 closed loop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블레이드의 span 방향 및 chord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로 엑츄에이터의 거동 방향과 평행하게 왕복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굽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에 사용되는 블레이드(Blade)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기모터를 회전시키기에 필요한 회전력을 얻기 위하여 사용하며, 회전익 항공기에 사용되는 블레이드는 항공기가 비행에 필요한 양력, 추력 및 조종력 등을 발생하기 위해 사용한다.
블레이드는 회전으로 인해 블레이드 주위의 공력분포에 대한 변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블레이드 자체에 굽힘하중과 비틀림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블레이드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공력하중 모니터링과 블레이드 반경 방향으로의 공력분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공력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공력하중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진발생장치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999호에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공력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의 일 구성으로서, 교정기(40)가 구비된다.
상기 교정기(40)는 웨이트가 설치되는 다수의 고리부(41,42,43,44)가 구비되며, 블레이드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교정기(40)는 고리부(41,42,43,44)에 와이어의 단부를 연결한 후 인장력을 반복적으로 가하여 공력하중을 측정하게 되므로, 정확한 피로 한도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국제공개번호 WO2009/135136호에는 도 2와 같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엑츄에이터(10,20,30)을 이용하여 블레이드(2)의 공진 시험이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1)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블레이드(2)의 공진 시험을 위한 시스템(1)을 구성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2)를 루트(root)에서 가진(加振)시키기 때문에 가진력이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피로시험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블레이드의 상면에 프레임(7)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7)에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엑츄에이터(5)가 구비되며, 상기 엑츄에이터(5)의 하단에는 웨이트(6)를 매달아 상/하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흔들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블레이드의 진동 시 엑츄에이터의 하단 웨이트(6)에서 받게 되는 블레이드 span방향 및 chord방향 하중이 엑츄에이터로 전달도어 유압 장비의 내구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4 는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또 다른 피로시험장비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좌우측에 각각 엑츄에이터(8)가 구비되고, 상기 엑츄에이터(8)는 웨이트(9)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여 진폭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엑츄에이터(8)의 동작 라인과 웨이트(9)의 무게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side lode가 엑츄에이터(8)에 발생하며 엑츄에이터(8) seal을 마모시켜 누유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블레이드(Blade)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pitch axis 근방에 수직 거동하는 단일의 액추에이터 로드(rod)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 로드에 장착되며 경량 mounting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 span 방향 및 chord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어 액추에이터의 거동 방향으로만 평행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는 closed loop로 구성된 동작유닛을 구비하고, 액추에이터 몸체와 블레이드를 연결하여 공진발생장치가 블레이드 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경량의 고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진발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유닛의 무게가 공진발생장치 전체 무게의 많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성하고, 동작유닛이 closed loop 구조를 갖도록 하여 굽힙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며, 공진발생장치가 경량화될 수 있도록 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작유닛의 무게중심을 블레이드 pitch axis 근방에 위치시켜 블레이드 가진 시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토크(torque)에 의한 블레이드의 비틀림(torsion) 모드를 억제하여 되도록 순수한 굽힘 모드를 구현하는데 있으며, 엑츄에이터의 위치 또한 동작유닛의 무게중심에 일치시켜 엑츄에이터에 걸리는 횡방향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엑츄에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유현상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는, 단일의 엑츄에이터와, 풍력 블레이드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의 외측에 위치하고, 엑츄에이터의 길이 신축과 연동하여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에 공진을 발생시키는 closed loop 형태의 무빙프레임과, 상기 단일의 엑츄에이터 로드의 신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무빙프레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엑츄에이터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폭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 로드는 무빙프레임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블레이드의 spar cap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안내부는, 상기 무빙프레임의 span 방향 및 chord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안내부는, 상기 고정유닛과 무빙프레임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접촉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하여 무빙프레임의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고정부와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다수 부품으로 이루어져 블레이드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결합력을 제공하여 블레이드와 안착부를 일체화하는 결합부와, 상기 엑츄에이터와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엑츄에이터의 로드 동작시에 결합부에 대하여 무빙프레임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빙프레임의 외측에는 웨이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무빙프레임과 연동하며, 상기 고정부보다 큰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은, 단일의 엑츄에이터와, 풍력 블레이드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의 외측에 위치하고, 엑츄에이터의 길이 신축과 연동하여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에 공진을 발생시키는 closed loop 형태의 무빙프레임과, 상기 단일의 엑츄에이터 로드의 신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무빙프레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블레이드에 설치하는 장치설치단계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길이를 가변하여 블레이드 및 고정유닛에 대하여 동작유닛만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강제하여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설치단계에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블레이드의 spar cap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진발생단계에서, 상기 무빙프레임은 직선안내부에 의해 블레이드의 span 방향 및 chord 방향 움직임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설치단계에서, 상기 동작유닛의 일측에는 웨이트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pitch axis부근 수직 거동하는 단일의 액추에이터가 신장시에 공진발생수단의 많은 부분이 연동하여 움직임으로써 공진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공진발생장치의 고정유닛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를 감싼 상태로 결합하는 안착부는 결합부에 의해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 움직임이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기 결합부는 직선안내부에 의해 무빙프레임의 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무빙프레임은 다수의 웨이트가 설치되어도 굽힘상겅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closed loop로 구성되므로 공진발생장치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999호에 첨부된 교정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국제공개번호 WO2009/135136호에 개시된 공진 시험 시스템의 개략도.
도 3 은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피로시험장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는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또 다른 피로시험장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다른 실시에의 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2 는 국제공개번호 WO2009/135136호에 개시된 공진 시험 시스템의 개략도.
도 3 은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피로시험장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는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개발한 또 다른 피로시험장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다른 실시에의 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이하 '공진발생장치(100)'이라 칭함)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1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수십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MW급 풍력 블레이드의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진발생장치의 무게는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모멘트 분포의 크기를 제한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공진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키는 하중은 공진발생장치의 moving mass에 비례하여 커진다. 하지만 무거운 공진발생장치는 블레이드의 처짐량을 크게 발생시켜 응력상태가 높아지기 때문에 피로하중의 평균응력을 왜곡시켜 피로시험 구현의 정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공진발생장치 총중량의 많은 부분이 moving mass가 되도록 지지구조물을 경량화하면서도 수직방향 이외의 블레이드 span 방향, chord 방향 관성력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굽힘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블레이드의 순수 굽힘 진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비틀림 모드를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공진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관성력이 블레이드의 pitch axis에서 벗어나게 되면 토크가 발생하여 블레이드 공진과정에서 비틀림 모드가 함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관성력을 블레이드의 pitch axis 부근에 위치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관성력의 로딩라인(loading line)을 엑츄에이터 로드의 무빙라인(moving line)과 일치시켜야만 엑츄에이터의 seal 마모에 의한 누유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진발생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구성하였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유닛(200)과 동작유닛(300)으로 크게 구분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고정유닛(200)은 블레이드(B)의 외측에 결합되어 고정된 다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며, 동작유닛(300)은 엑츄에이터(150)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B)에 대하여 동작하는 다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5와 같이 공진발생장치(100)는 피로시험 대상인 블레이드(B)의 외면에 결합되어 공진을 발생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는 블레이드(B)가 관통한 상태로 죄어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공진발생장치(100)는 좌/우측에 웨이트(W)가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W)는 블레이드(B)의 크기, 형상,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진발생장치(100)는 블레이드(B)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공진을 발생하는 동작유닛(300)이 외측에 폐루프(closed loop)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동작유닛(300) 내측에는 블레이드(B)에 대하여 일정 위치를 유지하는 고정유닛(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유닛(300)은 공진발생장치(100) 전체 무게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가 전/후 방향으로 뚫려있고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이 차폐된 폐루프(Closed loop) 구조를 이루어 굽힘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동작유닛(300)의 외측에는 웨이트(W)가 구비되며, 상기 웨이트(S)는 선택적으로 가감될 수 있고, 상기 동작유닛(300)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200)에는 엑츄에이터(150)가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엑츄에이터(150)의 로드(154)는 동작유닛(300)과 결합하여 연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150)는 공진발생장치(100)의 길이 방향으로 선택적인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시에는 블레이드(B)의 spar cap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동작유닛(300)과 고정유닛(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공진발생장치(100)의 구성 중 엑츄에이터(150)는 몸체(152)가 고정유닛(200)에 고정되고, 상기 엑츄에이터(150)의 로드(154)는 동작유닛(30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150)는 몸체(152)의 경우 고정유닛(200)의 일 구성이며, 로드(154)는 동작유닛(300)의 일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엑츄에이터(150)는 동작유닛(300)의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마운팅부(240)의 설치 위치 역시 엑츄에이터(150)의 설치 위치 변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우선 상기 고정유닛(20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다수 부품으로 이루어져 블레이드(B)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안착부(210)와, 상기 안착부(210)에 결합력을 제공하여 블레이드(B)와 안착부(210)를 일체화하는 결합부(220)와, 상기 결합부(220) 외측에서 상기 결합부(200) 및 안착부(210)가 블레이드(B)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지프레임(230)과, 상기 엑츄에이터(150)와 결합부(220) 사이에 고정되어 엑츄에이터(150)가 결합부(220)에 대하여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마운팅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10)는 내부에 블레이드(B)의 외형과 대응하는 안착홈(212)이 형성된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상측과 하측의 부품이 서로 근접하여 블레이드(B)의 외면과 면접촉함으로써 공진발생장치(100)로부터 제공된 힘이 블레이드(B)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210)의 상/하측에는 결합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20)는 다수 부품으로 이루어진 안착부(210)에 결합력을 제공하고, 상기 안착부(210)가 전/후방, 좌/우측방향,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상기 상측에 위치한 결합부(220)는 상측에 위치한 안착부(210)의 상면, 전/후면 및 좌/우측면의 전체 면적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하측에 위치한 결합부(220)는 하측에 위치한 안착부(210)의 하면, 전/후면 및 좌/우측면의 전체 면적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220)의 좌/우측에는 상/하로 위치한 결합부(220)가 서로 근접하도록 하여 상기 안착부(210)의 내부면이 블레이드(B)의 외면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222)가 구비되며, 고정부재(2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나사 결합 방식을 채택하였으나,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변경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20)의 상측 및 좌/우측에는 결합부(220) 및 안착부(210)의 외측에 구성되어 상기 안착부(21) 및 결합부(2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는 지지프레임(23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30)은 고정부재(222)에 의해 결합부(220)와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동작유닛(300) 내부에서 결합부(2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220)는 지지프레임(230)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30)이 동작유닛(300)을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결합부(220)의 좌/우측에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게 될 이동부(382)를 직접 구비하여 공진발생수단(200)에 대하여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면, 상기 지지프레임(230)은 선택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엑츄에이터(150)와 결합부(220) 사이에는 마운팅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부(240)는 고정유닛(200)에 대하여 엑츄에이터(150)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마운팅부(240) 역시 고정유닛(200)의 일 구성이므로 얇은 두께를 갖는 판재를 이용하여 경량화하였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150)의 몸체(152) 역시 마운팅부(24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정지해 있으므로, 공진발생장치(100) 내에서 큰 무게를 차지하지 않도록하기 위해 복수 개가 아닌 단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동작유닛(3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동작유닛(300)은 지지프레임(230)의 외측에 closed loop 구조로 형성되고, 엑츄에이터(150)의 길이 신축과 연동하여 결합부(220)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B)에 공진을 발생시키는 무빙프레임(320)과, 상기 결합부(220)와 무빙프레임(320) 사이에 위치하여 엑츄에이터(150)의 신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무빙프레임(320)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안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빙프레임(320)은 엑추에이터(150)의 로드(154)와 결합되어 연동하며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공진을 발생하는 요부 구성으로, closed loop 구조로 형성되어 굽힘 강성이 향상된다.
즉, 상기 무빙프레임(320)은 좌/우측에 웨이트(W)가 설치되어 공진발생장치(100)에서 가장 큰 중량을 가지며, 상기 엑츄에이터(150)의 신장시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프레임(32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B)에는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무빙프레임(3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앙부가 전/후 방향으로 천공되어 사각 형상의 틀 모양을 가지며, 이러한 형상은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무빙프레임(320)의 외측에는 웨이트(W)가 구비되며, 상기 웨이트(W)는 블레이드의 시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W)는 무빙프레임(320)의 외측 방향으로 두께가 늘어나 무게를 늘리게 되는 결합 구조를 가지므로, 공간의 제약을 가지지 않게 되며, 이로써 상기 공진발생장치(100)의 전체 무게에 대하여 동작유닛(300)의 무게비를 늘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무빙프레임(320)과 지지프레임(230) 사이에는 직선안내부(380)가 구비된다.
상기 직선안내부(380)는 엑츄에이터(240)의 신축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무빙프레임(220)이 움직이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직선안내부(380)는 안착부(210) 및 결합부(220)가 무빙프레임(32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만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직선안내부(380)는 상기 무빙프레임(320)과 결합부(220)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접촉하며, 상기 결합부(220)에 대하여 무빙프레임(320)의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고정부(384)와 이동부(3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84)는 고정유닛(200)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이동부(382)는 동작유닛(300)과 일체화되어 움직이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작유닛(300)이 고정유닛(200)에 대하여 큰 무게를 갖도록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상기 이동부(382)와 고정부(384)는 무빙프레임(320)이 지지프레임(230)에 대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이며, 상기 이동부(382)가 고정부(384)보다 무거워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382)는 무빙프레임(320)의 내측면 좌/우에 각각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84)는 지지프레임(230)의 좌/우 측면에서 이동부(382)의 전/후면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84)와 이동부(382)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210)와 결합부(220) 및 지지프레임(230)은 무빙프레임(320)에 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직선안내부(380)는 안착부(210), 결합부(220) 및 지지프레임(230)이 무빙프레임(320)에 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380)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다른 실시에의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380)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직선안내부(380)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A"부 또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상기 고정부(384)와 이동부(382)는 서로 형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되 도 8 내지 도 10에서 볼 때 좌/우 방향 빛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서로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변경하여 채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은, 길이가 가변하는 단일의 엑츄에이터(150)를 구비하고 엑츄에이터(150)의 길이 가변시에 풍력 블레이드(B)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200)과, 상기 엑츄에이터(150)의 길이 가변시에 블레이드(B)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여 공진을 발생하고 상기 고정유닛(200) 보다 큰 하중을 가지는 동작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100)를 블레이드(B)에 설치하는 장치설치단계(S100)와, 상기 엑츄에이터(150)의 길이를 가변하여 블레이드(B) 및 고정유닛(200)에 대하여 동작유닛(300)만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강제하여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단계(S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설치단계(S100)에서, 상기 엑츄에이터(150)는 블레이드(B)의 spar cap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동작유닛(300)의 외측에는 웨이트(W)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설치단계(S100)에서 엑츄에이터(150)의 몸체(152)는 결합부(220)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엑츄에이터(150)와 블레이드(B)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22)는 죄어져 안착부(210), 결합부(220) 및 지지프레임(23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치설치단계(S100)가 완료되면 상기 공진발생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공진발생단계(S200)는 블레이드(B)에 설치 완료된 공진발생장치(100)에서 로드(154)를 신축하여 동작유닛(300)을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공진을 발생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공진발생단계(S200)에서, 상기 동작유닛(300)은 고정유닛(20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closed loop 구조를 형성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직선안내부(380)는 동작유닛(300)이 직선 왕복운동할 때 고정유닛(200)에 대하여 블레이드(B)의 span 방향 및 chord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공진발생장치 150. 엑츄에이터
152. 몸체 154. 로드
200. 고정유닛 210. 안착부
212. 안착홈 220. 결합부
222. 고정부재 230. 지지프레임
240. 마운팅부 300. 동작유닛
320. 무빙프레임 380. 직선안내부
382. 이동부 384. 고정부
B . 블레이드 S100. 장치설치단계
S200. 공진발생단계 W . 웨이트
152. 몸체 154. 로드
200. 고정유닛 210. 안착부
212. 안착홈 220. 결합부
222. 고정부재 230. 지지프레임
240. 마운팅부 300. 동작유닛
320. 무빙프레임 380. 직선안내부
382. 이동부 384. 고정부
B . 블레이드 S100. 장치설치단계
S200. 공진발생단계 W . 웨이트
Claims (12)
- 단일의 엑츄에이터와,
풍력 블레이드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의 외측에 위치하고, 엑츄에이터의 길이 신축과 연동하여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에 공진을 발생시키는 closed loop 형태의 무빙프레임과,
상기 엑츄에이터의 로드 동작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무빙프레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엑츄에이터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의 폭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 로드는 무빙프레임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블레이드의 spar cap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안내부는,
상기 무빙프레임의 span 방향 및 chord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안내부는,
상기 고정유닛과 무빙프레임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접촉하며, 상기 고정유닛에 대하여 무빙프레임의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고정부와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다수 부품으로 이루어져 블레이드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결합력을 제공하여 블레이드와 안착부를 일체화하는 결합부와,
상기 엑츄에이터와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엑츄에이터의 로드 동작시에 결합부에 대하여 무빙프레임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프레임의 외측에는 웨이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무빙프레임과 연동하며, 상기 고정부보다 큰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단일의 엑츄에이터와, 풍력 블레이드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의 외측에 위치하고, 엑츄에이터의 길이 신축과 연동하여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에 공진을 발생시키는 closed loop 형태의 무빙프레임과, 상기 엑츄에이터의 로드 동작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무빙프레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직선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블레이드에 설치하는 장치설치단계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길이를 가변하여 블레이드 및 고정유닛에 대하여 동작유닛만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강제하여 공진을 발생하는 공진발생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설치단계에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블레이드의 spar cap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발생단계에서,
상기 무빙프레임은 직선안내부에 의해 블레이드의 span 방향 및 chord 방향 움직임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설치단계에서,
상기 동작유닛의 일측에는 웨이트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9578A KR101310244B1 (ko) | 2012-06-28 | 2012-06-28 |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9578A KR101310244B1 (ko) | 2012-06-28 | 2012-06-28 |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0244B1 true KR101310244B1 (ko) | 2013-09-24 |
Family
ID=4945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9578A KR101310244B1 (ko) | 2012-06-28 | 2012-06-28 |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024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83075A (zh) * | 2018-11-07 | 2019-01-29 | 连云港中复连众复合材料集团有限公司 | 伺服电机驱动的风电叶片疲劳试验激振装置及试验方法 |
CN113390617A (zh) * | 2021-04-30 | 2021-09-14 | 洛阳双瑞风电叶片有限公司 | 一种用于风电叶片疲劳测试的模块式工装 |
CN114526901A (zh) * | 2022-02-24 | 2022-05-24 | 常州达姆斯检测技术有限公司 | 风电叶片测试工装 |
CN117928924A (zh) * | 2024-03-04 | 2024-04-26 | 常州达姆斯检测技术有限公司 | 一种组合加载式风电叶片疲劳测试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37402A1 (en) | 2002-07-03 | 2006-02-23 | Walter Musial | Resonance test system |
KR20100079680A (ko) * | 2008-12-31 | 2010-07-08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피로시험장치 |
US20100263448A1 (en) | 2007-12-14 | 2010-10-21 |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 Dual- axis resonance testing of wind turbine blades |
US20110041617A1 (en) | 2008-05-02 | 2011-02-24 |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 Base excitation testing system using spring elements to pivotally mount wind turbine blades |
-
2012
- 2012-06-28 KR KR1020120069578A patent/KR1013102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37402A1 (en) | 2002-07-03 | 2006-02-23 | Walter Musial | Resonance test system |
US20100263448A1 (en) | 2007-12-14 | 2010-10-21 |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 Dual- axis resonance testing of wind turbine blades |
US20110041617A1 (en) | 2008-05-02 | 2011-02-24 |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 Base excitation testing system using spring elements to pivotally mount wind turbine blades |
KR20100079680A (ko) * | 2008-12-31 | 2010-07-08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피로시험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83075A (zh) * | 2018-11-07 | 2019-01-29 | 连云港中复连众复合材料集团有限公司 | 伺服电机驱动的风电叶片疲劳试验激振装置及试验方法 |
CN113390617A (zh) * | 2021-04-30 | 2021-09-14 | 洛阳双瑞风电叶片有限公司 | 一种用于风电叶片疲劳测试的模块式工装 |
CN114526901A (zh) * | 2022-02-24 | 2022-05-24 | 常州达姆斯检测技术有限公司 | 风电叶片测试工装 |
CN117928924A (zh) * | 2024-03-04 | 2024-04-26 | 常州达姆斯检测技术有限公司 | 一种组合加载式风电叶片疲劳测试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2975B1 (ko) | 사이드로드를 감소시킨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 |
KR101418322B1 (ko) | 이송질량의 비를 최대화한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로시험 방법 | |
US10209160B2 (en) | Fatigue testing of a wind turbine blade | |
EP3433594B1 (en) | Fatigue testing of a wind turbine blade | |
KR101310244B1 (ko) | 풍력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공진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의 공진발생방법 | |
US7953561B2 (en) | Resonance test system | |
CN102680215B (zh) | 风轮机叶片测试机 | |
DK2741069T3 (da) | Prøvebænk til rotorblade eller rotorbladesegmenter, arrangemenet omfattende sådan prøvebænk og prøvefremgangsmåde | |
US11579039B2 (en) | Torsional testing of a wind turbine blade | |
CN106680119A (zh) | 一种适用于风电叶片的电动往复式疲劳加载试验装置 | |
KR101438801B1 (ko) | 블레이드 피로시험용 안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
KR20150119990A (ko) | 수평방향 가진을 이용한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플랩방향 피로시험 방법 및 2축 공진 피로시험 방법 | |
CA2735345A1 (en) | Vibration control apparatus of wind turbine generator and wind turbine generator | |
CN105593661B (zh) | 用于叶片疲劳测试的具有最大化移动质量比的共振发生装置和使用该共振发生装置的疲劳测试方法 | |
CN109323834A (zh) | 一种六维动态力产生装置 | |
KR101246722B1 (ko) | 타원단면 실린더 와유기진동 에너지 추출장치 | |
RU2637606C2 (ru) | Крыло с двумя режимами работы | |
Pan et al. | Horizontal dual-point excitation and fatigue test of full-scale wind turbine blade | |
CN109210140A (zh) | 阻尼器、风力发电机组以及风力发电机组的防振方法 | |
Moon | Study on non-linear structural effects in large and flexible wind turbine blades for aeroelastic analysis | |
ITRM20080187A1 (it) | Turbina ad asse verticale per la generazione di energia elettric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