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27B1 - 회전자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 및 편물기 - Google Patents

회전자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 및 편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327B1
KR101879327B1 KR1020110099332A KR20110099332A KR101879327B1 KR 101879327 B1 KR101879327 B1 KR 101879327B1 KR 1020110099332 A KR1020110099332 A KR 1020110099332A KR 20110099332 A KR20110099332 A KR 20110099332A KR 101879327 B1 KR101879327 B1 KR 10187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knitting
sinker
teeth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035A (ko
Inventor
히데오 히라노
고스케 노구치
Original Assignee
오카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회전자의 회전 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어 실용적인 편물기에 채용 가능한 뜨개코 편성구를 제공한다. 회전자(2)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뜨개코 편성구(1)에 있어서, 원반형을 이루는 회전자(2)의 주면을 슬라이딩면으로 한다. 회전자의 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판(13),(14)을 회전자(2)의 직경 방향으로 이간시켜 배치한다. 회전자(2) 및 베어링판(13),(14)을, 회전자(2)를 사이에 두고 판두께 방향의 양측에 배치한다. 이들 베어링판(13),(14) 및 지지판(12)을 박판형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한다. 회전자(2)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주면측으로부터 안쪽으로 개구됨으로써 형성된 걸어멈춤 오목부(22)를 마련한다. 회전자(2)의 주연부에는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복수의 톱니(21)를 형성하고, 한쌍의 지지판(12)에는 걸어멈춤 오목부(22)에 편사를 진입시킴과 아울러 탈출시키기 위한 편사 삽입 통과구(12a)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회전자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 및 편물기{Knitting element having rotator, and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회전자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 및 편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분야의 기술로서, 원반형의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자에 의한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로터리 편물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로터리 편물기에서는, 원반형의 회전자 본체의 주면(周面)에 편사(編絲)를 걸어멈춤하기 위한 후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자 본체의 주면에는 직선 운동하는 랙과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자 본체는, 그 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에 지지되어 랙의 직선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로터리 편물기에서는, 뜨개코 편성에 필요한 복수의 회전자가 일체 구조의 지지 가이드에 지지되어 있다.
또 회전자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 및 편물기로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뜨개코 편성구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가지고, 이 회전자에는 축선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제3,971,232호 명세서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2010-12683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뜨개코 편성에 필요한 복수의 회전자가 일체 구조의 지지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의 회전 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실용적인 편물기에 채용 가능한 뜨개코 편성구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회전자에 축선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간소한 구성 회전자를 구비하여 회전자의 회전 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는 뜨개코 편성구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전자의 회전 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어 실용적인 편물기를 채용 가능한 뜨개코 편성구, 이 뜨개코 편성구를 구비한 편물기, 뜨개코 편성구의 회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뜨개코 편성구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가지며, 회전자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뜨개코 편성구에 있어서, 원반형을 이루고 주면이 슬라이딩면인 회전자와, 회전자의 직경 방향으로 이간되어 회전자의 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판과, 회전자 및 한쌍의 베어링판을 사이에 두고 회전자의 판두께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회전자 및 한쌍의 베어링판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판을 구비하고, 베어링판 및 지지판이 일체가 되어 박판형을 구성하고, 회전자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주면측으로부터 안쪽으로 개구됨으로써 형성된 걸어멈춤 오목부가 마련되고, 회전자의 주연부에는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한쌍의 지지판에는 걸어멈춤 오목부에 편사를 진입시킴과 아울러 탈출시키기 위한 편사 삽입 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뜨개코 편성구에 의하면, 회전자의 주면이 슬라이딩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자를 바람직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회전자의 주면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복수의 톱니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자, 베어링판, 지지판이 전부 판재로 형성 가능하여 가공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이들 회전자, 베어링판, 지지판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의 회전 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회전자, 베어링판, 지지판이 박판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하여 편물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모든 부품을 판형으로 함으로써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회전자의 주연부에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이 톱니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를 사용하여 회전자별로 독립적으로 회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회전자는,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뜨개코 편성구의 회전자에서, 원반형을 이루고 주면이 슬라이딩면인 회전자 본체를 구비하고, 회전자 본체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주면측으로부터 안쪽으로 개구됨으로써 형성된 걸어멈춤 오목부가 마련되고, 회전자의 주연부에는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자에 의하면, 회전자 본체의 주면이 슬라이딩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자를 바람직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회전자 본체의 주면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복수의 톱니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자를 판재로 형성 가능하여 가공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회전자의 주연부에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이 톱니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를 사용하여 회전자별로 독립적으로 회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걸어멈춤 오목부는 복수의 톱니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보다 회전자 본체의 직경 방향에서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걸어멈춤 오목부의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루프 길이를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걸어멈춤 오목부는, 측면에서 보아 회전자 본체의 중심을 넘어 반대쪽까지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걸어멈춤 오목부의 깊이를 깊게 조정함으로써 루프 길이를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걸어멈춤 오목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복수의 편사를 다른 위치에서 걸어멈춤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파일 짜기에 적합한 회전자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환(丸)편물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가지며, 회전자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뜨개코 편성구와, 뜨개코 편성구에 공급된 편사를 지지하는 싱커와, 뜨개코 편성구 및 싱커를 지지하며,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 둘레로 뜨개코 편성구 및 싱커를 회전 운동시키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뜨개코 편성구는, 원반형을 이루고 주면이 슬라이딩면인 회전자와, 회전자의 직경 방향으로 이간되어 회전자의 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판과, 회전자 및 한쌍의 베어링판을 사이에 두고 회전자의 판두께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회전자 및 한쌍의 베어링판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판을 구비하고, 베어링판 및 지지판이 일체가 되어 박판형을 구성하고, 회전자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주면측으로부터 안쪽으로 개구됨으로써 형성된 걸어멈춤 오목부가 마련되고, 회전자의 주연부에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한쌍의 지지판에는 걸어멈춤 오목부에 편사를 진입시킴과 아울러 탈출시키기 위한 편사 삽입 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환편물기에 의하면, 뜨개코 편성구가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구비하고, 회전자의 주면이 슬라이딩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사용하지 않고도 회전자를 바람직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회전자의 주면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복수의 톱니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자, 베어링판, 지지판이 전부 판재로 형성 가능하여 가공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 이들 회전자, 베어링판, 지지판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의 회전 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회전자, 베어링판, 지지판이 박판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하여 편물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모든 부품을 판형으로 함으로써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회전자의 주연부에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이 톱니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를 사용하여 회전자별로 독립적으로 회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회전자의 주연부에 마련된 복수의 톱니와 맞물리는 회전자용 구동 톱니바퀴와, 회전자용 구동 톱니바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자용 서보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서보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자의 회전각을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있다. 종전의 캠을 사용하여 회전자를 구동하는 방식과 달리 회전자마다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자를 사용하여 복잡한 짜임 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뜨개코 편성구, 편물기 및 회전자에 의하면, 회전자의 회전 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어 실용적인 편물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환편물기의 홀더 베이스, 홀더 베이스에 고정된 뜨개코 편성구 및 뜨개코 편성구의 로터를 구동시키는 구동 톱니바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로터, 로터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 및 구동 톱니바퀴를 구동하는 서보 모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를 사용하여 평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를 사용하여 플로트 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를 사용하여 플로트 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를 사용하여 턱(tuck)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를 사용하여 턱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파일용 로터 및 싱커의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파일용 로터를 사용하여 파일 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니팅 사이클로 편성된 파일 짜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로터리 싱커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로터리 싱커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로터리 싱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환편물기의 홀더 베이스, 홀더 베이스에 고정된 로터리 싱커 및 로터리 싱커의 링 싱커를 구동시키는 구동 톱니바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은, 뜨개코 편성구의 로터 및 로터리 싱커의 배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는, 링 싱커 및 링 싱커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로터 및 로터리 싱커의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4는, 로터 및 로터리 싱커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5는, 로터, 링 싱커 및 이들에 의해 형성된 뜨개코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6은, 링 싱커 및 링 싱커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파일 싱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8은, 파일 싱커 및 파일 싱커를 사용하여 편성된 파일 짜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환편물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홀더 베이스, 뜨개코 편성구, 로터리 싱커 및 구동 톱니바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2는, 뜨개코 편성구 및 뜨개코 편성구의 로터에 맞물리는 구동 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구동 잭에 의한 로터의 구동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편물기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5는, 홀더 베이스, 로터, 링 싱커의 회전 제어 동작 시기를 도시한 타임 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로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로터(2)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뜨개코 편성구(1)(도 4∼도 6 참조)에 탑재되어 소정의 회전축(L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2)의 회전축(L1)방향에 대향하는 주면(2a)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로터(2)에서는, 회전축(L1)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동일 두께를 가지고 있다. 로터(2)의 주연부에는 로터(2)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로터 톱니(21)(기어)가 마련되어 있다. 로터 톱니(21)는 전둘레에 걸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로터(2)에서는 톱니수가 8개로 되어 있다. 로터 톱니(21)는 로터 구동용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된 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이 부여되어 로터(2)가 회전축(L1)둘레로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2)의 톱니수는 8개로 되어 있는데, 로터(2)의 톱니수는 8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로터(2)의 주면(로터 톱니(21)의 끝단면)은 슬라이딩면으로서 기능한다. 로터(2)는 후술하는 이너 플레이트(13),(14)(도 6 참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2)(회전자 본체)에는 편사를 짜넣는 한쌍의 후크(22)(걸어멈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22)는 로터(2)의 주면측에서 중심쪽(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후크(22)는 로터(2)의 직경 방향에서 중앙을 넘어 반대쪽까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후크(22)는 로터(2)의 두께 방향에서 한쪽의 주면(2a)에서 다른 쪽 주면(2a)까지 관통하고 있다. 회전자의 후크(22)가 그 원주상의 상대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다. 또 후크(22)는 2개 이상(예를 들면, 3개, 4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후크(22)는 로터 톱니(21)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보다 로터(2)의 직경 방향에서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로터 톱니(21) 사이의 오목부와 같은 정도의 깊이여도 좋다.
(제2 실시형태의 로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제2 실시형태의 로터(2B)가 제1 실시형태의 로터(2)와 다른 점은, 후크(22B)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이다. 후크(22B)에는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고, 편사가 형성되는 바닥부(23),(24)가 2군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크(22B)에는 단차부가 마련되고 복수의 바닥부(23),(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부마다 별도의 편사를 형성함으로써 루프 길이가 다른 2개의 뜨개코를 형성하여 파일 짜임을 편성할 수 있다. 로터(2B)는 파일용 로터로서 사용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의 로터)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3 실시형태의 로터(2C)가 제1 실시형태의 로터(2)와 다른 점은, 주연부에 형성된 로터 톱니(21)의 톱니수가 다르다는 점이다. 로터(2C)에서는 톱니수가 4개로 되어 있다.
(뜨개코 편성구)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뜨개코 편성구(1)의 설명에서, 뜨개코 편성구(1)를 환편물기(100)에 탑재한 경우에 환편물기(100)의 중앙쪽을 향하는 면을 뜨개코 편성구(1)의 배면으로 하고, 환편물기(100)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을 뜨개코 편성구(1)의 정면으로 한다.
도 4∼도 6에 도시된 뜨개코 편성구(knitting element)(1)는, 예를 들면 환편물기(100)에 탑재되어 양말 등의 니팅에 이용되는 것이다. 뜨개코 편성구(1)는 로터(2), 아우터 플레이트(12),(12), 이너 플레이트(13),(14)를 구비하고 있다. 뜨개코 편성구(1)는 로터(2) 대신에 로터(2B) 또는 로터(2C)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그 밖의 로터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여도 좋다. 뜨개코 편성구(1)는 양말뿐 아니라 기타 편물의 니팅에 이용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12),(12)는 판형을 이루고 로터(2)를 축선 방향(L1)의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것이다. 아우터 플레이트(12)는 도시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너 플레이트(13),(14)는 판형을 이루고 로터(2)를 도시 상하 방향의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것이다. 이너 플레이트(13),(14)는 로터(2)를 사이에 두고 도시 상하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너 플레이트(13),(14)는 축선 방향(L1)의 양측에서 한쌍의 아우터 플레이트(12),(12)(지지판)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뜨개코 편성구(1)에서는, 아우터 플레이트(12), 이너 플레이트(13),(14), 아우터 플레이트(12)가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너 플레이트(13)는 인접한 아우터 플레이트(12),(12)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너 플레이트(14)는 인접한 아우터 플레이트(12),(12)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뜨개코 편성구(1)에서는, 아우터 플레이트(12), 이너 플레이트(13),(14), 아우터 플레이트(12)가 일체가 되어 박판형을 이루고 있다.
이너 플레이트(13)의 하단면(13a)은 로터(2)의 주면(2b)과 대면하여 로터(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면으로서 기능한다. 이너 플레이트(14)의 상단면(14a)은 로터(2)의 주면(2b)과 대면하여 로터(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슬라이딩면으로서 기능한다. 이너 플레이트(13)는 로터(2)의 직경 방향으로 이간되어 로터(2)의 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판으로서 기능한다.
아우터 플레이트(12)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2a)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아우터 플레이트(12)의 폭방향(W)의 한쪽 단부로부터 반대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12)는 폭방향(W)의 다른 쪽 단부측에서는 개구되어 있지 않다. 아우터 플레이트(12)는 다른 쪽 단부측에서는 도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개구부(12a)는 폭방향(W)의 다른 쪽 단부측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a)(편사 삽입 통과구)는 편사를 로터(2)의 후크(22)에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후크(22)에 걸린 편사를 외부로 탈출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한다. 또 개구부(12a)의 원호 형상은, 후크(22)에 걸린 편사를 소정의 회전축(L1) 둘레로 주회(周回) 운동시킬 때의 안내부가 된다. 즉, 후크(22) 및 개구부(12a)에 둘러싸인 공간내에 존재하는 편사는, 후크(22)의 회전 운동에 따라 소정의 회전축(L1) 둘레로 주회 운동한다.
로터(2)는 뜨개코 편성구(1)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우터 플레이트(12)보다 폭방향(W)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터(2)의 로터 톱니(21)가 외부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로터의 구동 방법)
도 7은, 환편물기의 홀더 베이스, 홀더 베이스에 고정된 뜨개코 편성구 및 뜨개코 편성구의 로터를 구동시키는 구동 톱니바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로터, 로터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 및 구동 톱니바퀴를 구동하는 서보 모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뜨개코 편성구(1)는 예를 들면 환편물기(100)의 홀더 베이스(11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홀더 베이스(110)의 외주쪽에는 구동 톱니바퀴(72)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톱니바퀴(72)는, 도 8에 도시한 서보 모터(71)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톱니바퀴(72)는 로터(2)의 주연부에 형성된 로터 톱니(21)와 맞물려 서보 모터(71)에 의한 구동력을 로터(2)에 전달하여 로터(2)를 회전 구동한다.
(로터를 사용한 뜨개코 편성 방법; 평짜기)
로터리 원리에 의한 뜨개코 편성 사이클(니팅 사이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를 사용하여 평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로터(2)는 화살표(a)방향(도시 좌회전)으로 회전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로터(2)의 위치를 기준 위치(0도)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로터(2)가 0도의 위치(기준 위치)에 있을 때 로터(2)에 편사(202)가 공급된다. 이 때 하방측 후크(22)에는 올드 루프(201)가 걸어멈춤된 상태이다.
로터(2)는, 도 9의 (b)에 도시한 45도의 위치에서 45도 회전하여 도 9의 (c)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로터(2)가 45도의 위치에서 90도의 위치로 회전 이동할 때에 편사(202)는 뉴 루프를 형성하면서 올드 루프(201) 속을 통과하기 시작한다.
로터(2)는, 도 9의 (c)에 도시한 90도의 위치에서 45도 회전하여 도 9의 (d)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로터(2)가 90도의 위치에서 135도의 위치로 회전 이동할 때 뉴 루프(202)가 올드 루프(201) 속을 통과한다.
로터(2)는, 도 9의 (d)에 도시한 135도의 위치에서 45도 회전하여 도 9의 (e)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로터(2)가 135도의 위치에서 180도의 위치로 회전 이동할 때 올드 루프(201)가 후크(22)로부터 탈출한다. 이로써 뉴 루프(202)가 올드 루프(201) 속을 통과하여 평짜기가 가능하다. 로터(2)가 180도 회전하여 하나의 뜨개코(루프)가 생긴다.
(로터를 사용한 뜨개코 편성 방법; 플로트 짜기)
도 10,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를 사용하여 플로트 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것처럼, 로터(2)가 0도의 위치(기준 위치)에 있을 때 로터(2)에 편사(202)가 공급된다. 이 때 하방측 후크(22)에는 올드 루프(201)가 걸어멈춤된 상태이다.
로터(2)는 후크(22)에 편사(202)를 건 상태에서 0도에서 45도 회전하여 도 10의 (b)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로터(2)는 도 10의 (b)에 도시한 45도의 위치에서 화살표(b)방향(도시 우회전)으로 45도 회전하여 도 10의 (c)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로터(2)가 45도의 위치에서 0도의 위치로 역회전할 때 편사(202)가 후크(22)로부터 탈출한다.
로터(2)가, 도 11의 (c)에 도시한 것처럼 0도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로터(2)에 편사(203)가 공급된다. 이 때 하방측 후크(22)에는 올드 루프(201)가 걸어멈춤된 상태 그대로이다.
로터(2)는, 도 11의 (c)에 도시한 0도의 위치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상술한 평짜기와 마찬가지로 뉴 루프(203)가 올드 루프(201) 속을 통과하여 하나의 뜨개코가 생긴다. 이 때 편사(202)는 짜넣지 않은 상태에서, 즉 플로트된다.
(로터를 사용한 뜨개코 편성 방법; 턱짜기)
도 12,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로터를 사용하여 턱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것처럼, 로터(2)가 0도의 위치(기준 위치)에 있을 때 로터(2)에 편사(202)가 공급된다. 이 때 하방측 후크(22)에는 올드 루프(201)가 걸어멈춤된 상태이다.
로터(2)는 후크(22)에 편사(202)를 건 상태에서 0도에서 45도 회전하여 도 12의 (b)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로터(2)는, 도 12의 (b)에 도시한 45도 위치에서 화살표(b)방향(도시 우회전)으로 45도 회전하여 도 12의 (c)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로터(2)가 45도의 위치에서 0도의 위치로 역회전할 때 편사(202)는 후크(22)에 걸린 상태 그대로이다.
로터(2)가, 도 13의 (c)에 도시한 것처럼 0도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로터(2)에 편사(203)가 공급되어 상방측 후크(22)에는 편사(202),(203)가 걸린 상태이다. 이 때 하방측 후크(22)에는 올드 루프(201)가 걸어멈춤된 상태 그대로이다.
로터(2)는, 도 13의 (c)에 도시한 0도의 위치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뉴 루프(202),(203)가 함께 올드 루프(201) 속을 통과하여 뜨개코가 생긴다. 이와 같이 1코스째 편사(202)와 2코스째 편사(203)을 겹쳐서 니팅함으로써 턱짜임을 편성할 수 있다.
로터(2)의 회전 방향(a방향, b방향)을 변경할 경우에는 서보 모터(71)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서보 모터(71)로의 전기 신호 지시를 바꿈으로써 로터(2)의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 로터(2)의 회전 방향을 변경한다. 이것이 서보 모터 구동의 큰 특징이다.
(파일용 로터를 사용한 뜨개코 편성 방법; 파일 짜기)
도 14는, 파일용 로터 및 싱커의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파일용 로터를 사용하여 파일 짜기를 행할 경우의 니팅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에 도시한 것처럼, 로터(2B)가 0도의 위치(기준 위치)에 있을 때 로터(2B)에 편사(202F),(202B)가 공급된다. 편사(202F)는, 로터(2B)의 1단 갈고리(걸어멈춤 오목부의 바닥부)(24)에 걸어멈춤되고, 편사(202B)는, 로터(2B)의 2단 갈고리(걸어멈춤 오목부의 바닥부)(23)에 걸어멈춤된다. 이 때 하방측 후크(22B)에는 올드 루프(201F),(201B)가 걸어멈춤된 상태이다.
파일용 로터(2B)는, 도 15의 (a)에 도시한 0도의 위치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뉴 루프(202F),(202B)가 함께 올드 루프(201F),(201B) 속을 통과하여 뜨개코가 형성된다. 이 때 1단 갈고리(24)에 걸어멈춤된 편사(202F)와, 2단 갈고리(23)에 걸어멈춤된 편사(202B)에서는 형성되는 뜨개코의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사(202F)에 의한 뜨개코는 편사(202B)의 뜨개코보다 길어진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니팅 사이클로 편성된 파일 짜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뒤쪽, 도 16의 (b)는 앞쪽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편사(202F)에 의한 루프(파일 루프)는 편사(202B)에 의한 루프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니팅 사이클에 의한 편성 방법에서는, 종래의 파일 짜기(싱커 루프에 의한 파일)와 달리, 로터 루프(종래의 편사에 의한 니들 루프에 상당한다)가 파일이 된다.
(로터리 싱커)
다음으로 로터리 싱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도 19는, 로터리 싱커를 도시한 각 도면이다. 로터리 싱커(3)의 설명에서, 로터리 싱커(3)를 환편물기(100)에 탑재한 경우에 환편물기(100)의 중앙쪽을 향하는 면을 로터리 싱커의 배면으로 하고, 환편물기(100)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을 로터리 싱커의 정면으로 한다.
도 17∼도 19에 도시된 로터리 싱커(3)(회전식 싱커)는, 예를 들면 환편물기(100)에 탑재되어 양말 등의 니팅에 이용되는 것이다. 로터리 싱커(3)는 링 싱커(회전체)(4), 아우터 플레이트(32),(32), 이너 플레이트(33) 및 싱커축(34)을 구비하고 있다.
링 싱커(4)는 평판으로 형성되어 링형(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링 싱커(4)는 로터리 싱커(3)에 탑재되어 소정의 회전축(L2) 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로터리 싱커(4)의 주연부에는, 링 싱커(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싱커 톱니(41)가 마련되어 있다. 싱커 톱니(41)는 전둘레에 걸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링 싱커(4)에서는 톱니수가 12개로 되어 있다. 싱커 톱니(41)는 링 싱커 구동용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된 기어와 맞물려 구동력이 부여되어 링 싱커(4)가 회전축(L2) 둘레로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 싱커(4)의 톱니수는 12개로 되어 있는데 링 싱커(4)의 톱니수는 1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링 싱커(4)의 내주면(4a)은 링 싱커(4)가 회전할 때의 슬라이딩면으로서 기능한다. 링 싱커(4)는 싱커축(34) 및 아우터 플레이트(32),(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링 싱커(4)의 싱커 톱니(41)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 싱커 루프를 지지하는 걸어멈춤부로서 기능한다. 종래의 싱커는 왕복 운동에 의해 뜨개코 편성을 보조하는 작용을 하는데, 링 싱커(4)는 회전 운동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싱커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며, 싱커 루프의 지지와 구동력 전달의 책임을 맡고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32),(32)는 판형을 이루어 링 싱커(4)를 축선 방향(L2)의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것이다. 아우터 플레이트(32)는 링 싱커(4)를 덮는 원형부(32a)와, 원형부(32a)에 연속하여 형성된 고정부(32b)를 가진다. 도 17에 도시한 것처럼 링 싱커(4)의 싱커 톱니(41)는 원형부(32a)의 외형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가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32)는 측면에서 보아 싱커 톱니(41),(41)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1 만곡 형상(32c)과, 제1 만곡 형상보다 곡률 반경이 큰 제2 만곡 형상을 원형부(32a)의 주연에 가지고 있다. 제1 만곡 형상(32c)은 원형부(32a)의 주연에서, 하부쪽에서 정면쪽을 경유하여 상부쪽을 넘는 위치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만곡 형상(32d)은 원형부(32a)의 주연에서 배면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만곡 형상의 곡률 반경은 제1 만곡 형상의 제1 곡률 반경보다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링 싱커(4)가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만곡 형상(32c)에서 싱커 톱니(41)가 외부로 노출되고, 제2 만곡 형상(32d)에서 싱커 톱니(41)가 아우터 플레이트(32)안에 서서히 가려지게 된다. 이로써 싱커 톱니(41)에 걸어멈춤된 편사(304)가 제2 만곡 형상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싱커 톱니(41)로부터 탈출하게 된다(도 23 참조).
고정부(32b)는 홀더 베이스(110)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 고정부(32b)는 대면하는 아우터 플레이트(32),(32)에서 다른 폭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를 마련할 수 있다. 이 단차는 로터리 싱커(3)의 위치 결정용 단차로서 기능한다. 또 이 단차는, 로터리 싱커(3)가 홀더 베이스(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로터리 싱커(3)의 홀더 베이스(110)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싱커축(34)은 평판으로 형성되어 원반형을 이루고 있다. 싱커축(34)은 링 싱커(4)의 개구부에 수용되고 축선 방향(L2)의 양측에서 아우터 플레이트(32),(32)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싱커축(34)은 아우터 플레이트(32)의 원형부(32a)에 끼워져 있다. 싱커축(34)의 외경은 링 싱커(4)의 개구부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싱커축(34)의 외주면(34a)은 링 싱커(4)의 내주면(4a)과 맞닿는 슬라이딩면으로서 기능한다.
이너 플레이트(33)는 판형을 이루고 싱커축(34)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너 플레이트(33)는 축선 방향(L2)의 양측에서 한쌍의 아우터 플레이트(32),(32)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너 플레이트(33)는 아우터 플레이트(32)의 고정부(32b)에 끼워져 있다.
로터리 싱커(3)에서는 아우터 플레이트(32), 이너 플레이트(33), 싱커축(34), 아우터 플레이트(32)가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너 플레이트(33)는 인접한 아우터 플레이트(32)의 고정부(32b)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싱커축(34)은 인접한 아우터 플레이트(32)의 원형부(32a)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링 싱커의 구동 방법)
도 20은, 환편물기의 홀더 베이스, 홀더 베이스에 고정된 로터리 싱커 및 로터리 싱커의 링 싱커를 구동시키는 구동 톱니바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2는, 링 싱커 및 링 싱커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로터리 싱커(3)는, 예를 들면 환편물기(100)의 홀더 베이스(11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홀더 베이스(110)의 외주쪽에는 구동 톱니바퀴(82)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톱니바퀴(82)는 링 싱커 구동용 서보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톱니바퀴(82)는 링 싱커(4)의 주연부에 형성된 싱커 톱니(41)과 맞물려 서보 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링 싱커(4)에 전달하여 링 싱커(4)를 회전 구동한다.
(로터 및 링 싱커의 배치)
도 21은, 뜨개코 편성구의 로터 및 로터리 싱커의 배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로터(2) 및 로터리 싱커(3)(링 싱커(4))는,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환편물기(100)의 홀더 베이스(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홀더 베이스(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로터 및 로터리 싱커를 사용하여 뜨개코 편성을 행할 경우의 로터 및 로터리 싱커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로터(2) 및 링 싱커(4)의 중심은 측면에서 보아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있다. 도 23에서는, 싱커 톱니(41)로 싱커 루프(304)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싱커 루프(304),(303)는 싱커 톱니(41)에 의해 한코씩 걸어맞춤되어 있다. 링 싱커(4)는 화살표(c)방향(도시 좌회전)으로 회전하여 싱커 루프(304)를 도시 왼쪽으로 이송한다. 링 싱커(4)가 회전을 계속하여 싱커 톱니(41)가 아우터 플레이트(32)에 가려지는 위치에서 싱커 루프(302),(303),(304)는 싱커 톱니(41)로부터 탈출한다.
(링 싱커의 작용)
도 25는, 로터, 링 싱커 및 이들에 의해 형성된 뜨개코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링 싱커(4)의 싱커 톱니(41)는 편사(205)를 걸어멈춘다. 이 상태에서, 로터(2)가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하여 뜨개코를 형성한다. 로터(2)의 회전과 동시 또는 회전 후 링 싱커(4)는 화살표(c)방향으로 1톱니분만큼(싱커 톱니(41)의 1톱니분만큼) 회전한다.
1톱니분만큼 회전 이동한 싱커 톱니(41)는 싱커 루프(304)를 지지함과 동시에 로터(2)에 형성된 올드 루프(203)를 탈출시킨다.
(링 싱커의 구동 방법의 실시예)
도 26은, 링 싱커 및 링 싱커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에 도시한 것처럼 캠(48)을 사용하여 링 싱커(4)를 회전 구동시켜도 좋다. 링 싱커(4)를 화살표(R)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캠(48)과 걸어맞춤되는 싱커 톱니(41)의 위치가 안내되어 링 싱커(4)가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한다.
(파일 싱커)
도 27은, 파일 싱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링 싱커의 다른 형태로서, 도 27에 도시한 파일 싱커(4B)를 들 수 있다. 파일 싱커(4B)가 도 19에 도시한 링 싱커(4)와 다른 점은, 단차를 가진 싱커 톱니(45)를 구비한 점이다. 이 단차진 싱커 톱니(45)는 오목부(42)의 오른쪽 옆에 1단째 싱커 톱니(45a)를 가지고, 이 싱커 톱니(45a)의 오른쪽 옆에 2단째 싱커 톱니(45b)를 가진다. 파일 싱커(4B)는 파일 짜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1단째 싱커 톱니(45a)에 겉실(파일사)이 걸어멈춤되고, 2단째 싱커 톱니(45b)에 속실(바탕실)이 걸어멈춤되어 파일 짜임이 형성된다.
도 28은, 파일 싱커 및 파일 싱커를 사용하여 편성된 파일 짜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에서는, 파일 싱커(4B)에 의해, 루프가 긴 파일 루프와, 파일 루프보다 루프가 짧은 싱커 루프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겉실은 1단째 싱커 톱니(45a)에 걸어멈춤되고, 속실은 2단째 싱커 톱니(45b)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싱커 톱니(45)에 단차를 마련으로써 파일 짜기에 적합한 링 싱커를 실현할 수 있다.
(환편물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 및 로터리 싱커를 구비한 환편물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환편물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에서는, 뜨개코 편성구(1) 및 로터리 싱커(3)의 기재는 일부만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환편물기(100)는,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뜨개코 편성구(1)와, 뜨개코 편성구(1)에 공급된 편사를 지지하는 로터리 싱커(3)와, 뜨개코 편성구(1) 및 로터리 싱커(3)를 지지하고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 둘레로 뜨개코 편성구(1) 및 로터리 싱커(3)를 회전 운동시키는 홀더 베이스(지지대)(110)를 구비하고 있다. 환편물기(100)는 로터 구동용 서보 모터(71), 링 싱커 구동용 서보 모터(81) 및 홀더 베이스 구동용 서보 모터(121)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고 있다.
홀더 베이스(110)는 원통형을 이루고, 도시 상측의 단면에는 뜨개코 편성구(1)를 지지하기 위한 편성구 지지구(111) 및 로터리 싱커(3)를 지지하기 위한 싱커 지지구(112)를 구비하고 있다. 편성구 지지구(111) 및 싱커 지지구(112)는 둘레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뜨개코 편성구(1)는 편성구 지지구(111)에 삽입되고 홀더 베이스(110)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리 싱커(3)는 싱커 지지구(112)에 삽입되고 홀더 베이스(110)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구동용 서보 모터(71)는 뜨개코 편성구(1)의 로터(2)를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서, 서보 모터(71)의 출력축에는 구동 톱니바퀴(7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동 톱니바퀴(72)가 로터(2)의 로터 톱니(21)와 맞물려 로터(2)를 회전 구동한다.
링 싱커 구동용 서보 모터(81)는 로터리 싱커(3)의 링 싱커(4)를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서, 서보 모터(81)의 출력축에는 구동 톱니바퀴(8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동 톱니바퀴(82)가 링 싱커(4)의 로터 톱니(21)와 맞물려 링 싱커(4)를 회전 구동한다.
홀더 베이스 구동용 서보 모터(121)는 홀더 베이스(110)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보 모터(121)의 출력축에는 구동 톱니바퀴가 마련되고, 이 구동 톱니바퀴가 홀더 베이스(110)에 마련된 기어와 맞물려 홀더 베이스(110)를 회전 구동한다. 홀더 베이스(110)는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30은, 홀더 베이스, 뜨개코 편성구, 로터리 싱커 및 구동 톱니바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0에 도시한 것처럼 뜨개코 편성구(1)가 장착되는 지지구(111)는, 로터리 싱커(3)가 장착되는 지지구(112)보다 홀더 베이스(110)의 직경 방향에서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로터(2)의 외경은, 링 싱커(4)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환편물기(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로터(2)의 중심은 링 싱커(4)의 중심보다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로터(2)의 중심은 링 싱커(4)의 중심보다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2)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72)는 링 싱커(4)와 맞물리는 구동 톱니바퀴(82)보다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구(111)가 홀더 베이스(110)의 직경 방향에서 지지구(112)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30에 도시한 것처럼 뜨개코 편성구(1)에서는 홀더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하부쪽이, 로터(2)를 지지하는 상부쪽보다 홀더 베이스(110)의 직경 방향에서 안쪽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뜨개코 편성구(1)는 로터(2)를 지지하는 상부쪽과, 홀더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하부쪽 사이에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뜨개코 편성구(1)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하부쪽이 상부쪽보다 홀더 베이스(110)의 직경 방향의 안쪽에 배치되는 구성이므로 홀더 베이스(110)의 바깥쪽에 구동 톱니바퀴(82)를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환편물기(100)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즉,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편물기 제어 장치)
다음으로 실시형태에 관한 편물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는, 편물기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4에 도시한 편물기 제어 장치(150)는 연산 처리를 하는 CPU, 기억부가 되는 ROM 및 RAM, 입력 신호 회로, 출력 신호 회로, 전원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물기 제어 장치(150)에서는 기억부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홀더 베이스 제어부(151), 로터 제어부(152), 링 싱커 제어부(153)가 구축되어 있다.
홀더 베이스 제어부(151)(지지대 제어 수단)는 홀더 베이스 구동용 서보 모터(121)(지지대용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홀더 베이스(11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 홀더 베이스 제어부(151)는 홀더 베이스 구동용 서보 모터(121)를 제어하여 홀더 베이스(11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로터 제어부(152)(회전자 제어 수단)는 로터 구동용 서보 모터(71)(회전자용 회전 구동 수단)를 제어하여 로터(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 로터 제어부(152)는 로터 구동용 서보 모터(71)를 제어하여 로터(2)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링 싱커 제어부(153)(로터리 싱커 제어 수단)는 링 싱커 구동용 서보 모터(81)(로터리 싱커용 회전 구동 수단)를 제어하여 링 싱커(4)의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 링 싱커 제어부(153)는 링 싱커 구동용 서보 모터(81)를 제어하여 링 싱커(4)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편물기 제어 장치(150)는 홀더 베이스(110)가 제1 회전 각도분만큼 이동한 후에 로터(2)를 제2 회전 각도분만큼 이동시키고, 링 싱커 제어부(153)는 로터(2)가 제2 회전 각도분만큼 이동한 후에 링 싱커(4)를 제3 회전 각도분만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5는, 홀더 베이스, 로터, 링 싱커의 회전 제어 동작 시기를 도시한 타임 차트이다. 도 35에서는 각 서보 모터의 동작 개시 시기, 동작 기간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 베이스(110)에 장착된 뜨개코 편성구(1)의 갯수가 40개, 홀더 베이스(110)에 장착된 로터리 싱커(3)의 갯수가 40개, 로터(2)의 로터 톱니(21)의 톱니수가 8개, 링 싱커(4)의 싱커 톱니(41)의 톱니수가 12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홀더 베이스 제어부(151)가 지령 신호를 송신하여 홀더 베이스 구동용 서보 모터(121)를 작동시킨다(스텝S1). 이로써 홀더 베이스 구동용 서보 모터(121)는 홀더 베이스(110)를 화살표(R)방향으로 9도분만큼 회전 이동시킨다. 이 때 홀더 베이스(110)에 장착된 뜨개코 편성구(1)가 화살표(R)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터(2)와 구동 톱니바퀴(72)가 맞물리는 회전 위치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홀더 베이스(110)에 장착된 로터리 싱커(3)가 화살표(R)방향으로 이동하여 링 싱커(4)와 구동 톱니바퀴(82)가 맞물리는 회전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홀더 베이스(110)의 회전 이동(S1)후 로터 제어부(152)가 지령 신호를 송신하여 로터 구동용 서보 모터(71)를 작동시킨다(스텝S2). 이로써 로터 구동용 서보 모터(71)는 로터(2)를 화살표(a)방향으로 180도분만큼 회전 이동시킨다. 이 때 로터(2)의 후크(22)가 편사를 걸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뜨개코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로터(2)의 회전 이동(S2)후 링 싱커 제어부(153)가 지령 신호를 송신하여 링 싱커 구동용 서보 모터(81)를 작동시킨다(스텝S3). 이로써 링 싱커 구동용 서보 모터(81)는 링 싱커(4)를 화살표(c)방향으로 30도분만큼 회전시킨다. 이 때 링 싱커(4)가 1톱니분만큼 보내져 로터(2)에 걸려 있는 올드 루프가 후크(22)로부터 탈출한다.
그리고 이들 스텝S1∼S3의 동작을 40회 반복함으로써 1코스분의 뜨개코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편물기 제어 장치(150)를 사용하여 환편물기(1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서보 모터(71),(81),(121)의 회전 타이밍, 회전 각도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동기 컨트롤할 수 있다. 다른 타이밍으로 로터(2), 링 싱커(4), 홀더 베이스(110)의 회전 운동을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로터(2)의 회전 이동(S2)중에 링 싱커(4)의 회전을 작동시켜도 좋다.
(뜨개코 편성구의 변형예)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뜨개코 편성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1에 도시한 뜨개코 편성구(1B)는 로터(2), 이너 플레이트(13),(14) 및 아우터 플레이트(12),(12)를 구비하고 있다. 뜨개코 편성구(1B)의 아우터 플레이트(12)는 이너 플레이트(13),(14)보다 정면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면에서 보아 로터(2)의 로터 톱니(21)는 이너 플레이트(13),(14)보다 정면쪽으로 튀어나와 있는데, 아우터 플레이트(12)보다 정면쪽으로 튀어나와 있지는 않다.
도 32는, 뜨개코 편성구 및 뜨개코 편성구의 로터에 맞물리는 구동 잭을 도시한 도면이다. 변형예의 뜨개코 편성구(1B)의 로터(2)는 왕복 이동하는 구동 잭(5)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구동 잭(5)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는 로터 톱니(21)와 걸어맞춤되는 톱니형의 복수의 잭 톱니(5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잭(5)에서는, 예를 들면 5개의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잭(5)은 뜨개코 편성구(1)의 판두께 방향에서 한쌍의 아우터 플레이트(12),(12)에 삽입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한 상태에서 구동 잭(5)이 화살표(e)방향으로 상승하면 잭 톱니(51)에 의해 로터(2)가 구동되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잭(5)은 환편물기(100)의 홀더 베이스(1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홀더 베이스(110)와 함께 둘레방향으로 회전한다. 홀더 베이스(110)의 둘레방향에서 구동 잭(5)은 뜨개코 편성구(1B)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잭(5)의 하부쪽에는 잭 톱니(51)와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배트(52)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 베이스(110)에는 미도시된 캠이 마련되어 있다. 홀더 베이스(110)가 회전 구동되면 캠에 의해 배트(52)가 가이드되어 구동 잭(5)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구동 잭(5)의 잭 톱니(51)가 로터(2)를 회전시킨다.
도 33은, 구동 잭에 의한 로터의 구동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잭 톱니(51a)가 로터 톱니(21)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구동 잭(5)이 화살표(e)방향으로 상승하여 로터(2)가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도 33의 (a) 참조).
또한 구동 잭(5)이 화살표(e)방향으로 상승하여 잭 톱니(51b)∼(51e)에 의해 로터(2)가 회전 구동된다(도 33의 (b)∼(e) 참조). 잭 톱니(51a)∼(51d)에 의해 로터 톱니(21)의 4톱니분만큼 이송됨으로써 로터(2)가 180도 회전한다.
도 33의 (e)에 도시한 상태에서 구동 잭(5)의 상승이 멈추고, 도 33의 (f)에 도시한 것처럼 구동 잭(5)의 끝단부가 로터(2)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터 톱니(21)와 잭 톱니(5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2에 도시한 것처럼 구동 잭(5)의 하단에 마련된 배트(53)가 화살표(g)방향으로 눌림으로써 구동 잭(5)의 끝단부가 화살표(f)방향으로 빠져나간다. 이 상태에서 구동 잭(5)을 화살표(e)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강시켜 도 33의 (a)의 상태로 되돌린다. 이 때 로터(2)의 회전은 정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도 33의 (a)∼(f)에 도시한 상태를 반복함으로써 구동 잭(5)을 사용하여 로터(2)를 회전 구동하여 뜨개코 편성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뜨개코 편성구의 환편물기에 대한 적용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예를 들면 횡(橫)편물기, 경(經)편물기 등 기타 편물기에 본 발명의 뜨개코 편성구를 적용해도 좋다.
뜨개코 편성구(1B)에 지지되는 로터(2)는 다른 형상의 로터(2B),(2C)여도 좋고, 또 다른 형상의 로터여도 좋다. 또 회전자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뜨개코 편성구에 대해 로터리 싱커를 적용해도 좋다.
뜨개코 편성구(1)를 환편물기 이외의 다른 편물기에 적용해도 좋다. 또 로터리 싱커(3) 대신에 종래의 왕복 이동하는 싱커를 구비한 편물기에 뜨개코 편성구(1)를 적용해도 좋다. 또 편물기는 싱커를 구비하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
또 뜨개코 편성구(1)의 고정부, 로터리 싱커(3)의 고정부에 단차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부에 단차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대응하는 홀더 베이스(110)의 홈에도 단차를 마련함으로써 뜨개코 편성구(1), 로터리 싱커(3)의 위치를 결정하여 직경 방향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로써 홀더 베이스(110)가 회전하더라도 뜨개코 편성구(1) 및 로터리 싱커(3)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운동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뜨개코 편성구에 있어서,
    1개의 상기 뜨개코 편성구는,
    원반형을 이루고 주면이 슬라이딩면인 1개의 상기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직경 방향으로 이간되어 상기 회전자의 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판과,
    상기 회전자 및 상기 한쌍의 베어링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자의 판두께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 및 상기 한쌍의 베어링판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판 및 상기 지지판이 일체가 되어 박판형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에는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주면측으로부터 안쪽으로 개구됨으로써 형성된 걸어멈춤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자의 주연부에는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판에는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편사를 진입시킴과 아울러 탈출시키기 위한 편사 삽입 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뜨개코 편성구.
  2.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회전자별로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뜨개코 편성구의 회전자에 있어서,
    원반형을 이루고 주면이 슬라이딩면인 회전자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 본체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주면측으로부터 안쪽으로 개구됨으로써 형성된 걸어멈춤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자의 주연부에는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뜨개코 편성구의 회전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톱니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보다 상기 회전자 본체의 직경 방향에서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뜨개코 편성구의 회전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걸어멈춤 오목부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회전자 본체의 중심을 넘어 반대쪽까지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뜨개코 편성구의 회전자.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걸어멈춤 오목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복수의 편사를 다른 위치에서 걸어멈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뜨개코 편성구의 회전자.
  6. 제4항에 있어서,
    걸어멈춤 오목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복수의 편사를 다른 위치에서 걸어멈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뜨개코 편성구의 회전자.
  7.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뜨개코 편성을 행하는 뜨개코 편성구와,
    상기 뜨개코 편성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 둘레로 상기 뜨개코 편성구를 회전 운동시키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1개의 상기 뜨개코 편성구는,
    원반형을 이루고 주면이 슬라이딩면인 1개의 상기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직경 방향으로 이간되어 상기 회전자의 주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판과,
    상기 회전자 및 상기 한쌍의 베어링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자의 판두께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 및 상기 한쌍의 베어링판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판 및 상기 지지판이 일체가 되어 박판형을 구성하고,
    상기 회전자에는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주면측으로부터 안쪽으로 개구됨으로써 형성된 걸어멈춤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자의 주연부에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판에는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편사를 진입시킴과 아울러 탈출시키기 위한 편사 삽입 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주연부에 마련된 복수의 톱니와 맞물리는 회전자용 구동 톱니바퀴와,
    상기 회전자용 구동 톱니바퀴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자용 서보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KR1020110099332A 2010-09-30 2011-09-29 회전자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 및 편물기 KR101879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1470 2010-09-30
JPJP-P-2010-221470 2010-09-30
JPJP-P-2011-195418 2011-09-07
JP2011195418A JP5849301B2 (ja) 2010-09-30 2011-09-07 回転子を備えた編目編成具、及び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035A KR20120034035A (ko) 2012-04-09
KR101879327B1 true KR101879327B1 (ko) 2018-07-17

Family

ID=4465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332A KR101879327B1 (ko) 2010-09-30 2011-09-29 회전자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 및 편물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15131B2 (ko)
EP (1) EP2436813B1 (ko)
JP (1) JP5849301B2 (ko)
KR (1) KR101879327B1 (ko)
CN (1) CN102534997B (ko)
TW (1) TWI5838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9625B2 (ja) * 2010-09-30 2016-03-08 岡本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シンカー、編機、及び編機制御装置
JP5923828B2 (ja) * 2012-04-11 2016-05-25 岡本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シンカー、編機、および編目編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232A (en) * 1972-07-21 1976-07-27 Darling Phillip H Rotary knitting machine
JPH0721789U (ja) * 1993-09-24 1995-04-21 紀和 前沢 パイルシンカー
JP2010126830A (ja) * 2008-11-26 2010-06-10 Okamoto Kk 回転子を備えた編目編成具及び編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6211C1 (ko) * 1909-01-09
DE1809347B1 (de) * 1968-11-16 1970-04-30 Gollung Dipl Ing Walter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FR2283253B1 (fr) * 1974-07-18 1977-01-07 Rhone Poulenc Textil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realisation de tricots a mailles transversales et tricots obtenus
DE2551323A1 (de) * 1974-11-19 1976-05-2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Verfahren zur bildung von maschen fuer ein gestrick und strickvorrichtung fuer die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FR2389699A1 (en) * 1977-05-03 1978-12-01 Rhone Poulenc Textile Formation of knitted stitches - on a machine not using knitting needles
JPS571377A (en) * 1980-06-03 1982-01-06 Tomy Kogyo Co Knitting machine to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232A (en) * 1972-07-21 1976-07-27 Darling Phillip H Rotary knitting machine
JPH0721789U (ja) * 1993-09-24 1995-04-21 紀和 前沢 パイルシンカー
JP2010126830A (ja) * 2008-11-26 2010-06-10 Okamoto Kk 回転子を備えた編目編成具及び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15131B2 (en) 2012-07-10
JP5849301B2 (ja) 2016-01-27
KR20120034035A (ko) 2012-04-09
JP2012092479A (ja) 2012-05-17
US20120079854A1 (en) 2012-04-05
CN102534997A (zh) 2012-07-04
TWI583842B (zh) 2017-05-21
EP2436813B1 (en) 2016-07-20
EP2436813A1 (en) 2012-04-04
CN102534997B (zh) 2014-12-24
TW201229346A (en)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5633B (zh) 双针经编机的主传动装置
KR101879327B1 (ko) 회전자를 구비한 뜨개코 편성구 및 편물기
CN101008136B (zh) 电动机控制装置及具有电动机控制装置的缝纫机
KR101820870B1 (ko) 로터리 싱커, 편물기 및 편물기 제어 장치
US7870760B2 (en) Knitting element with rotor and knitting machine
WO2014073340A1 (ja) 丸編機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406310B1 (ko) 꼬임실 제조장치
TWI551746B (zh) 旋轉式沉降片、編織機及編織方法
JP4847982B2 (ja) タフティング機、及びタフティング機用の調整軸
KR20040065666A (ko) 자수기의 루프 생성장치 및 상기 장치를 장착한 자수기
Acar A Mechatronic Design of a Circular Warp Knitting Machine
JP2011052368A (ja) 回転子を用いた編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