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028B1 -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 - Google Patents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028B1
KR101879028B1 KR1020160007711A KR20160007711A KR101879028B1 KR 101879028 B1 KR101879028 B1 KR 101879028B1 KR 1020160007711 A KR1020160007711 A KR 1020160007711A KR 20160007711 A KR20160007711 A KR 20160007711A KR 101879028 B1 KR101879028 B1 KR 10187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rrugated steel
packing
cap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751A (ko
Inventor
조계성
송헌영
정성만
신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슨
Priority to KR102016000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0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1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for sealing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는 상하로 중첩되는 파형 강판(20)을 이루는 하부 파형 강판(11)과 상부 파형 강판(13)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강판 볼트부(20) 상에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파형 강판들(11,13)과 상기 강판 볼트부(20) 간의 결합 부위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밀 구조체는, 상기 강판 볼트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파형 강판(13) 상에 배치되는 너트(30)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캡(50), 상기 보호캡(50) 및 상기 상부 파형 강판(13)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 부재(40), 및 상기 보호캡(50)의 측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너트(30)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되는 캡 볼트(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Protective Structure for Water Sealing of Corrugated Steel Plate}
본 발명은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하로 중첩되는 복수의 파형 강판 간을 연결하는 볼트 너트 결합구의 외측에 배치되어져 상기 결합구를 통한 수분의 침투 또는 누수를 방지하는 수밀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 분야 등에서 시공되는 다양한 구조물 중, 비교적 하중이 작은 구조물 등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는 경우에, 거푸집, 배근, 콘크리트 타설 등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고 시공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파형 강판을 이용한 시공방법(예를 들어, 터널의 라이닝 시공방법, 브릿지 플레이트 시공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파형 강판은 금속판을 파형으로 굴곡 성형하여 형상강도를 높인 것으로, 이러한 파형 강판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 등에 비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이 단축됨은 물론, 구조 자체가 연성구조물로서 부등침하 등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지하통로, 용수 또는 배수용 암거 등의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하천을 횡단하는 소교량이나, 수조 및 건축용 건자재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파형 강판 구조물은 파형 강판을 조립하여 완성하는 구조물이므로, 각 파형 강판의 조합에 따라 이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물의 크기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파형 강판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상부 파형 강판과 하부 파형 강판을 상하부로 중첩시킨 후,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구를 사용하여 결합제작한다. 이때, 기밀성이 요구되는 파형 강판 구조물의 경우에는 상하부 파형 강판의 중첩 부위에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패킹을 삽입배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패킹 등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밀 정도가 미약하다. 그 이유를 보면,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할 때, 볼트 및 너트의 결합부위가 파형강판에 밀착되지 않아서 틈새가 발생될 수 있고, 또한 파형 판에 형성된 체결공과 볼트의 나사부 간의 가공오차로 인한 공극발생으로 완전한 수밀성 보장이 어렵다.
이에 따라, 체결공 및 볼트 체결부 등의 이격부분에 폴리우레탄 등으로 방수처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아연도금된 파형강판에 대한 폴리우레탄의 부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파형강판 구조물에 진동 등의 외부충격이 발생하면, 파형 강판과 폴리우레탄이 쉽게 분리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형강판을 이용한 저류조의 경우 빗물이나 하천수 등을 파형강판 구조물 내부로 흘려보내 도시지역 등의 침수방지와 건물의 생활용수로 이용하고 그리고 하천의 갈수기 시에 유량을 조절하는 목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한편, 외부에 노출되는 볼트의 풀림방지 및 외부 노출을 커버하는 볼트 너트 보호캡을 제시하는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773042호를 들 수 있는데, 별도 분리되어 구성되던 보호캡 몸체와 너트부재를 일체로 하여 단일부품화함으로써 상호 분리될 염려를 없애고 취급관리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하며 온도편차로 인한 체결력 약화를 방지하는 볼트 너트 보호캡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파형 강판 구조물을 이루는 복수의 파형 강판 간에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선체결을 수행한 후에 보호캡을 밀폐력 있게 체결하는 방방에 대해서는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다는 점 및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물의 유입과 구조물 내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 밀폐 구조의 보호 캡, 상기 보호캡의 하부에 배치되는 패킹 부재 및 상기 보호캡을 결합구에 결속하게 하는 캡 볼트부로 이루어진 수밀 구조체를 통해 상기 보호캡을 파형 강판 상에 견고하게 결합하게 하는 동시에, 상하로 중첩되는 복수의 파형 강판 간을 연결하는 볼트 너트 결합구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되어져 상기 결합구를 통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수밀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류조에서는 누수를 방지하는 수밀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는 상하로 중첩되는 파형 강판(20)을 이루는 하부 파형 강판(11)과 상부 파형 강판(13)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강판 볼트부(20) 상에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파형 강판들(11,13)과 상기 강판 볼트부(20) 간의 결합 부위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밀 구조체는, 상기 강판 볼트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파형 강판(13) 상에 배치되는 너트(30)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캡(50); 상기 보호캡(50) 및 상기 상부 파형 강판(13)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 부재(40); 및 상기 보호캡(50)의 측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너트(30)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되는 캡 볼트(60);를 포함한다.
상기 패킹 부재(40)는, 소정 두께의 패킹 기저부(41), 상기 패킹 기저부(4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패킹 돌출부(45) 및 상기 패킹 기저부(41)와 상기 패킹 돌출부(45)를 연통하여 수직으로 관통하는 패킹홀(43)을 포함한다.
상기 패킹 부재(40)는, 상기 패킹 돌출부(45)와 상기 패킹 기저부(41)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보호캡(50)은, 중공의 캡바디(51), 상기 캡바디(51)의 상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 헤드(52), 상기 캡바디(51)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외부 밀폐벽(53), 상기 외부 밀폐벽(53)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캡바디(51)의 내부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내부 밀폐벽(55)을 포함한다.
상기 강판 볼트부(20)를 이루는 강판 볼트 나사(23)가 상기 캡 헤드(52)에 형성된 볼트 고정홀(54)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보호캡(50)을 상기 상부 파형 강판(13) 상에 밀착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조체는 이중 밀폐 구조의 보호캡 구조를 통하여 파형 강판에 결합하는 강판 볼트부를 보호캡과 직접 결합하게 하는 동시에 보호캡을 관통하는 캡 볼트부를 파형 강판에 결합된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보호캡을 파형 강판 상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캡의 하부에 배치되는 패킹 부재 및 보호캡을 결합구에 결속하게 하는 별도의 캡 볼트부로 이루어진 수밀 구조체를 통해 보호캡을 파형 강판 상에 견고하게 결합하게 하고, 그리고 다단으로 형성된 패킹 부재가 보호캡의 하부 공간 상에 삽입되는 배치를 통해서 수분의 침투 또는 누수를 방지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에 적용되는 수밀 구조체의 결합되는 형태를 보이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조체를 구성하는 보호캡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를 저류조 상에 체결한 모습을 보이는 상태도 및
도 5는 산과 골이 형성된 파형 강판에 수밀 구조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의 결합되는 형태를 보이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조체를 구성하는 보호캡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를 저류조 상에 체결한 모습을 보이는 상태도 및 도 5는 산과 골이 형성된 파형 강판에 수밀 구조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상부 파형 강판(13)과 하부 파형 강판(11)을 강판 볼트부(20) 및 너트(30) 등의 결합구를 사용하여 파형 강판 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형 강판들(11,13)과 상기 결합구(20,30) 간의 결합 부위에 덮도록 배치되어지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수밀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밀 구조체를 설명한다.
수밀 구조체는 상하로 중첩되는 파형 강판(20)을 구성하는 하부 파형 강판(11)과 상부 파형 강판(13)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강판 볼트부(20) 상에 결합되어짐으로써 파형 강판들(11,13)과 강판 볼트부(20) 간의 결합 부위에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수밀 구조체는, 강판 볼트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파형 강판(13) 상에 배치되는 너트(30)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캡(50), 보호캡(50)과 상부 파형 강판(13)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 부재(40) 및 보호캡(50)의 측부를 관통한 상태로 너트(30)의 외주부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되는 캡 볼트부(60)를 포함한다.
보호캡(50)은 중공의 캡바디(51), 캡바디(51)의 상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 헤드(52), 캡바디(51)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외부 밀폐벽(53), 외부 밀폐벽(53)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캡바디(51)의 내부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내부 밀폐벽(55)을 포함한다.
캡바디(51)는 소정 두께의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중앙 부위 및 캡 헤드(5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볼트 고정홀(54)이 형성된다. 즉, 강판 볼트부(20)가 파형 강판들(11,13)을 관통하여 너트(30)에 결합된 후에, 상기 강판 볼트부(20)를 이루는 강판 볼트 나사(23)의 끝단부는 볼트 고정홀(54)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보호캡(50)을 상부 파형 강판(13) 상에 밀착하게 한다. 강판 볼트부(20)를 이루는 강판 볼트 헤드(21)는 하부 파형 강판(11)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형태가 된다. 한편, 캡 헤드(52)는 그 외면이 다각 형상일 수 있는데, 일예로서 6각 형태를 이룸으로써 보호캡(5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 보호캡(50)은 그 내부에 복수의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공 원통 형상을 갖는 내부 밀폐벽(55)의 내부 영역을 지칭하는 나사 위치 공간(56) 및 중공 원통 형상을 갖는 외부 밀폐벽(53)과 내부 밀폐벽(55)의 사이 공간을 지칭하는 패킹 위치 공간(57)을 포함한다.
외부 밀폐벽(53)과 내부 밀폐벽(55)은 패킹 부재(40)와의 결속을 통해 수밀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밀폐벽(53,55) 하단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 밀폐벽(55)의 하부단은 외부 밀폐벽(53)의 하부단보다는 하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는 패킹 부재(40)가 배치되는 경우에 수분의 침투 가능성을 현저히 약화하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패킹 부재(40)는 소정 두께의 패킹 기저부(41), 패킹 기저부(4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패킹 돌출부(45), 패킹 기저부(41)와 패킹 돌출부(45)를 연통하여 수직으로 관통하는 패킹홀(43), 및 패킹 기저부(41)의 저면 상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압 돌기체(47)를 포함한다. 패킹 돌출부(45)의 직경은 패킹 기저부(41)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패킹 부재(40)는 전체적으로 패킹 돌출부(45)로부터 외측 하부로 단차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가압 돌기체(47)는 패킹홀(43)에 인접한 상태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단면은 일 예로서 반원 형상일 수 있다.
패킹 돌출부(45)는 외부 밀폐벽(53)과 내부 밀폐벽(55)의 사이 공간인 패킹 위치 공간(57)에 삽입된다. 한편, 패킹 기저부(41)는 외부 밀폐벽(52)의 하단부를 지나는 상태로 하부 파형강판(11)에 밀착된다.
보호캡(50)은 강판 볼트부(20) 및 캡 볼트부(60)를 통해 상부 파형강판(13) 상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강판 볼트부(20)를 구성하는 볼트 나사(23)가 보호캡(50) 내부에 1차적으로 나사 결합되는 동시에, 캡 볼트부(60)를 구성하는 캡 볼트 나사(63)가 보호캡(50)의 측부를 관통하여 너트(30)의 외주면에 2차적으로 강하게 밀착되는 과정을 통해 결합된다.
강판 볼트부(20)를 구성하는 볼트 나사(23)가 상하로 중첩되는 파형 강판(20)을 관통하여 너트(30)에 나사결합한 이후에, 볼트 나사(23)가 캡 헤드(52)의 볼트 고정홀(54)에 결합함으로써 보호캡(50)을 1차적으로 상부 파형 강판(13) 상에 밀착하게 한다.
캡 볼트부(60)는 캡 볼트 헤드(61) 및 캡 볼트 헤드(61)로부터 연장되는 캡 볼트 나사(63)를 포함한 상태에서 보호캡(50)을 관통 결합한다. 보호캡(50) 외면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58)을 통해 진입한 캡 볼트 나사(63)는 내부 밀폐벽(55) 상에 형성된 나사홀(미도시)을 통해 나사 결합한 후에 내부 밀폐벽(55)의 내부인 나사 위치 공간(56) 상에 배치된 너트(30)의 외면을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보호캡(50)을 2차적으로 고정한다.
한편, 캡 볼트부(60)가 보호캡(50)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캡 볼트 헤드(61)가 캡 볼트부(60)의 외부면 상에 노출되는 상태가 되어 빗물 등이 상기 캡 볼트 헤드(61)와 캡 볼트부(60)의 접촉면 사이를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캡 볼트부(60)의 볼트 관통홀(58)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캡 볼트부(6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 형성되는 수분 방지구(미도시)를 형성한다. 상기 수분 방지구는 일예로 볼트 관통홀(58)의 상부 측에 반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밀 구조체를 통한 수밀 방식을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킹 부재(40)가 보호캡(50)과 상부 파형강판(13)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외부 밀폐벽(53)의 하단부가 패킹 돌출부(45)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패킹 기저부(41)의 상단을 가압하는 형상이 된다. 즉, 외부 밀폐벽(53)의 하단부는 패킹 부재(40)의 단차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침입 가능한 수분을 1차적으로 방수하게 된다.
더불어, 패킹 돌출부(45)는 패킹 기저부(4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져 패킹 위치 공간(57)에 삽입됨으로써 수분의 침입을 2차적으로 방수한다.
한편, 패킹 위치 공간(57)을 형성하는 외부 밀폐벽(53)의 내면과 내부 밀폐벽(55)의 내면 상에는 돌기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기체는 패킹 부재(40) 상에 압입되어짐으로써 접촉 면적으로 증가하게 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 강화한다.
또한, 패킹 부재(40)의 패킹 기저부(41)가 상부 파형강판(13) 상에 눌리는 과정에서 가압 돌기체(47)가 추가적으로 상부 파형강판(13)에 가압 작용을 시행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 증대시킨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수밀 구조체가 저류조를 이루는 파형 강판의 조립에 사용되는 것을 보인다.
즉, 보호캡(50)인 파형강판(1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강판 볼트부(20)를 파형강판(10)의 상부를 통해 체결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통해 저류조에서 파형강판(10)의 하부에 저장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에서는 산과 골이 형성된 파형강판(10)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패킹 부재(40)의 패킹 기저부(41)가 결합된 구성을 보인다. 이를 통해 수밀성을 더욱 증강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조체는 이중 밀폐 구조의 보호캡 구조를 통하여 파형 강판에 결합하는 강판 볼트부를 보호캡과 직접 결합하는 동시에 보호캡을 관통하는 캡 볼트부를 파형 강판에 결합된 너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보호캡을 파형 강판 상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파형강판
20 : 강판 볼트
30 : 너트
40 : 패킹 부재
41 : 패킹 기저부
43 : 패킹홀
45 : 패킹 돌출부
50 : 보호캡
51 : 캡바디
52 : 외부 밀폐벽
53 : 지지벽
54 : 볼트 침입 공간
55 : 내부 밀폐벽
56 : 나사 위치 공간
57 : 패킹 위치 공간
60 : 캡 볼트부

Claims (5)

  1. 상하로 중첩되는 파형 강판(10)을 이루는 하부 파형 강판(11)과 상부 파형 강판(13)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강판 볼트부(20) 상에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파형 강판들(11,13)과 상기 강판 볼트부(20) 간의 결합 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밀 구조체는,
    상기 강판 볼트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파형 강판(13) 상에 배치되는 너트(30)를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캡(50);
    상기 보호캡(50) 및 상기 상부 파형 강판(13)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 부재(40); 및
    상기 보호캡(50)의 측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너트(30)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되는 캡 볼트(60);를 포함하는,
    상기 보호캡(50)은,
    중공의 캡바디(51), 상기 캡바디(51)의 상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 헤드(52), 상기 캡바디(51)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외부 밀폐벽(53), 상기 외부 밀폐벽(53)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캡바디(51)의 내부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내부 밀폐벽(55), 상기 내부 밀폐벽(55)의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나사 위치 공간(56) 및 상기 외부 밀폐벽(53)과 내부 밀폐벽(55)의 사이 공간에 해당하는 패킹 위치 공간(57)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밀폐벽(55)의 하부단은 상기 외부 밀폐벽(53)의 하부단보다는 하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 부재(40)가 상기 보호캡(50)과 상부 파형강판(13)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밀폐벽(53)의 하단부가 상기 패킹 부재(40)를 이루는 패킹 돌출부(45)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패킹 부재(40)를 이루는 패킹 기저부(41)의 상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외부 밀폐벽(53)의 하단부는 상기 패킹 부재(40)의 단차부를 가압하여 침입 가능한 수분을 1차적으로 방수하고,
    상기 패킹 돌출부(45)는 상기 패킹 기저부(41)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져 상기 패킹 위치 공간(57)에 삽입됨으로써 수분의 침입을 2차적으로 방수하는,
    수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40)는,
    상기 패킹 기저부(41)와 상기 패킹 돌출부(45)를 연통하여 수직으로 관통하는 패킹홀(43)을 더 포함하는,
    수밀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40)는,
    상기 패킹 돌출부(45)와 상기 패킹 기저부(41)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수밀 구조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볼트부(20)를 이루는 강판 볼트 나사(23)가 상기 캡 헤드(52)에 형성된 볼트 고정홀(54)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보호캡(50)을 상기 상부 파형 강판(13) 상에 1차적으로 밀착하게 하고,
    상기 캡 볼트(60)를 이루는 캡 볼트 나사(63)는 상기 보호캡(50) 외면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58)을 통해 진입하여 나사 결합한 후에 상기 내부 밀폐벽(55)의 내부인 상기 나사 위치 공간(56) 상에 배치된 상기 너트(30)의 외면을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보호캡(50)을 2차적으로 고정하는,
    수밀 구조체.
KR1020160007711A 2016-01-21 2016-01-21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 KR10187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11A KR101879028B1 (ko) 2016-01-21 2016-01-21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11A KR101879028B1 (ko) 2016-01-21 2016-01-21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751A KR20170087751A (ko) 2017-07-31
KR101879028B1 true KR101879028B1 (ko) 2018-08-17

Family

ID=5941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11A KR101879028B1 (ko) 2016-01-21 2016-01-21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0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214B2 (ja) * 1994-09-27 2000-12-25 株式会社クボタ 鋳造品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302U (ko) * 1990-01-17 1991-09-26
JP3121214U (ja) * 2006-02-16 2006-04-27 良司 渡辺 回転阻止カバー付ワッシャを有する防犯連結ボルト装置
KR20100006314U (ko) * 2008-12-12 2010-06-22 오덕준 착탈 가능한 볼트 너트 보호 캡
KR101202372B1 (ko) * 2010-08-27 2012-11-16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용 수밀결합구
KR200464710Y1 (ko) * 2011-03-18 2013-01-15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체결용 방수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214B2 (ja) * 1994-09-27 2000-12-25 株式会社クボタ 鋳造品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751A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331B1 (ko)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879803B1 (ko)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ITMI20081624A1 (it) Metodo e sistema per il fissaggio di membrane impermeabili ad opere idrauliche
KR101618325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옥상 슬라브 방수구조 및 방법
JP2007277892A (ja) 角形鋼管を用いた覆工板
KR100725997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방수구조
KR101202372B1 (ko) 파형강판용 수밀결합구
KR100874033B1 (ko)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879028B1 (ko) 파형 강판용 수밀 구조체
JP3788464B2 (ja) マンホール連結体
JP4117309B2 (ja) 可撓継手構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可撓ジョイント
KR200407613Y1 (ko)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10076536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100950222B1 (ko)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패널, 콘크리트 수조 방수용 라이닝 장치 및 콘크리트 수조의 라이닝 시공 방법
JP2007092305A (ja) 暗渠の耐水圧可撓継手
KR200448265Y1 (ko) 파형강판용 결합구
JP4368690B2 (ja) 海洋構造物の遮水構造
JP3446640B2 (ja) 柔構造式沈埋トンネル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101311203B1 (ko) 방수 구조체
JP2009167681A (ja) 貯留槽
KR101991071B1 (ko) 앵커와 스터드로 보강된 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 구조물
JP5169924B2 (ja) 床版橋および床版ユニット並びに床版橋の構築方法
JP3537415B2 (ja) 二次覆工省略型暗渠の継手
JP4793736B2 (ja) 遮水シートの接合構造
JP4227498B2 (ja) 遮水シートの接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