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602B1 -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 Google Patents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602B1
KR101878602B1 KR1020170066811A KR20170066811A KR101878602B1 KR 101878602 B1 KR101878602 B1 KR 101878602B1 KR 1020170066811 A KR1020170066811 A KR 1020170066811A KR 20170066811 A KR20170066811 A KR 20170066811A KR 101878602 B1 KR101878602 B1 KR 101878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acket
plate
brackets
up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숙
Original Assignee
심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숙 filed Critical 심규숙
Priority to KR102017006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인상용 강재 브라켓 설치시 인력운반이 가능한 소규모의 크기로 제작된 단위 브라켓을 단순 조합 및 설치하여 중량의 구조물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단위 브라켓의 다양한 조합으로 상부구조의 하중변화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은, 콘크리트 벽체측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측에 접하여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거나 양 방향을 상호 조합시켜 콘크리트 벽체측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상부 브라켓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분배시키는 하나 이상의 단위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단위 브라켓을 삽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 이상의 고강도 강봉과; 상기 고강도 강봉에 나사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상부 브라켓과 단위 브라켓, 이웃한 단위 브라켓을 상호 밀착되게 연결시키는 다수의 강봉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Jacking steel bracket unit for weight change and easy assembly/disassembly}
본 발명은 구조물을 인상하는데 요구되는 지지력을 얻기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 인상을 위한 인상용 강재 브라켓 설치시 인력운반이 가능한 소규모의 크기로 제작된 단위 브라켓을 단순 조합 및 설치하여 중량의 구조물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단위 브라켓의 다양한 조합으로 상부구조의 하중변화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경우 교량받침을 교체 보수하기 위해 상부구조물을 유압잭으로 인상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유압잭을 하부구조물측에서 지지하기 위해 강재브라켓을 설치하게 된다. 강재브라켓은 상부하중별로 구조해석 검토결과에 대한 산정된 다양한 크기의 것이 적용된다. 이 때문에 강재브라켓의 재사용시 하중이 상이해지면 다시 브라켓을 제작 및 설치하기 때문에 자재 소모가 커진다. 통상적으로 기존 교량받침의 교체는 협소한 공간의 고공에서 시행되는데, 중량의 강재브라켓을 인력에 의한 운반이 극히 어렵고 목적된 위치에 거치시에는 체인블럭 등의 장비를 사용하므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운반이 쉬운 소형의 강재브라켓이 요구되는데 이 경우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60833호로서, '개별 조립식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지지인상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연결판의 체결을 위해 상부에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공 및 하부에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된 연결공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판과; 상기 수직지지판에 비해 짧은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다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된 수직채움판과; 상기 수직지지판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지압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관통 형성된 고정홈 및 하부에 다수 개가 천공 형성된 연결공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외부판과; 상기 수직외부판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유압잭의 인상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압판과; 상기 지압판이 안착되는 수직지지판 및 수직채움판의 일측면에 돌기 형상으로 수직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유압잭의 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이탈방지턱과; 상기 수직지지판과 수직채움판 및 수직외부판의 연결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연결볼트와; 상기 수직지지판과 수직채움판과의 사이에 삽입되며,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된 상부연결판과; 상기 수직지지판과 상부연결판의 원형 삽입공에 삽입 고정되는 상부연결볼트와; 상기 수직지지판과 상부연결판의 사각형 삽입공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의 이탈방지를 위해 체결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수직형 판형부재로 제작된 부재를 현장에 인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는 이점을 갖는데 반해, 인상 하중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61375호로서, '교량의 교좌장치 유지보수용 브라켓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교각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하부에 2조의 보조 브라켓을 설치하고, 각각의 보조 브라켓을 교각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보조 브라켓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 부재1,2를 결합시켜 유압 잭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배경기술은 연결 부재1,2만 가지고는 지지력을 강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인상 하중의 변화에 대처할 수 없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60833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61375호
본 발명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인상용 강재 브라켓 설치시 인력운반이 가능한 소규모의 크기로 제작된 단위 브라켓을 단순 조합 및 설치하여 중량의 구조물 취급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단위 브라켓의 다양한 조합으로 상부구조의 하중변화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은, 콘크리트 벽체측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측에 접하여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거나 양 방향을 상호 조합시켜 콘크리트 벽체측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상부 브라켓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분배시키는 하나 이상의 단위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단위 브라켓을 삽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 이상의 고강도 강봉과; 상기 고강도 강봉에 나사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상부 브라켓과 단위 브라켓, 이웃한 단위 브라켓을 상호 밀착되게 연결시키는 다수의 강봉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브라켓은 일정 길이와 최대 폭을 가지고 유압잭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 이상의 강봉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강봉 연결홀과 동일 수직선상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강봉 연결홀과, 강봉 연결홀과 가까이 위치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브라켓 연결홀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각기 일측 장변에 접합되고 장변 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앵커볼트연결홀을 갖는 앵커볼트 연결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직각 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브라켓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일정 간격마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각기 브라켓 연결홀과 강봉연결홀을 갖고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단위 장판과; 한 쌍의 단위 장판의 각기 일측 장변에 연결 접합되어 있고 일정 간격마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앵커볼트연결홀을 갖는 단위 연결판과; 한 쌍의 단위 장판과 단위 연결판의 각기 양 단변에 접합되어 있고, 브라켓 연결홀과 강봉연결홀을 갖는 단위 측판과; 한 쌍의 장판의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직각 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는 장판 수직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브라켓의 폭이 상부 브라켓의 폭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을 사용하게 되면, 상부 브라켓의 하부로 단위브라켓을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인상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배시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력운반이 가능한 소규모의 단위 브라켓을 수평 혹은 수직으로 단순배치하기 때문에 설치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단위 브라켓의 단순배치를 조합하여 다양한 하중변화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다. 또한 단위 브라켓의 단순조합이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기존 브라켓의 단점인 하중별 크기가 상이한 브라켓의 제작이 불필요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로 조합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을 이용한 상부구조물의 인상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로 조합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의 조립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2c는 도 2b의 C-C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에 적용되는 상부 브라켓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에 적용되는 단위 브라켓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조합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의 각기 정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10)은 하부구조물(100)의 콘크리트 벽체(102)측에 강재로 제작되어 앵커볼트(30)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12)을 구비한다. 상부 브라켓(12)은 예로 교량의 상부구조물(110)을 인상시키기 위한 유압잭(50)을 지지하여 상부구조물의 인상시 발생되는 수직하중(W)을 지지한다. 상부 브라켓(12)은 앵커볼트(30)에 체결되는 너트의 체결력으로 콘크리트 벽체(102)측에 확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부 브라켓(12)은 앵커볼트(30)에 체결된 너트의 풀림 해체로 쉽게 탈거될 수 있다. 앵커볼트(30)는 예로 케미칼 앵커볼트가 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상부 브라켓(12)은 일정 길이(L1)와 최대 폭(W1)에 의해 유압잭(50)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 이상의 강봉 연결홀(121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121)과, 상부판(121)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강봉 연결홀(121a)과 동일 수직선상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강봉 연결홀(122a)과 강봉 연결홀(122a)과 가까이 위치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브라켓 연결홀(122b)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122)과, 상부판(121)과 하부판(122)의 각기 일측 장변에 접합되고 장변 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앵커볼트연결홀(123a)을 갖는 앵커볼트 연결판(123)과, 상부판(121)과 하부판(122)의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직각 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수직보강재(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부판(122)은 상부판(121)과 동일 길이(L1)를 가진다.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10)은 강재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단위 브라켓(14)을 구비한다. 단위 브라켓(14)은 상부 브라켓(12)의 하부측에 접하여 상부 브라켓(12)에 작용하는 수직하중(W)을 분배시켜 콘크리트 벽체(102)측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단위 브라켓(14)은 수평 방향(H)과 수직 방향(V) 중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거나 양 방향을 상호 조합시켜 콘크리트 벽체(102)측에 동일한 앵커볼트(30)로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수직 방향(V)은 수직하중(W)이 작용하는 방향이고, 수평 방향(H)은 수직 방향(V)에 직각인 방향을 의미한다. 이같이 단위 브라켓(14)은 앵커볼트(30)로 콘크리트 벽체(102)에 고정 설치되므로, 상부 브라켓(12)과 동일하게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단위 브라켓(14)은 강재로 제작된다. 단위 브라켓(14)은 일정 길이(L2)와 폭(W2)을 갖고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각기 브라켓 연결홀(141a)과 강봉연결홀(141b)을 갖고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단위 장판(141,141)과, 한 쌍의 단위 장판(141,141)의 각기 일측 장변에 연결 접합되어 있고 일정 간격마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앵커볼트연결홀(142a)을 갖는 단위 연결판(142)과, 한 쌍의 단위 장판(141,141)과 단위 연결판(142)의 각기 양 단변에 접합되어 있고, 브라켓 연결홀(143a)과 강봉연결홀(143b)을 갖는 단위 측판(143)과, 한 쌍의 장판(141,141)의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직각 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는 장판 수직보강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단위 브라켓(14)의 길이(L2)는 상부 브라켓(12)의 길이(L1)와 같거나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단위 브라켓(14)의 길이(L2)를 상부 브라켓(12)의 길이(L1)보다 작게 구성하면, 도 5와 같이 단위 브라켓(14)을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조합되게 배치하여 상부 브라켓(12)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단위 브라켓(14)의 폭(W2)을 상부 브라켓(12)의 폭(W1)보다 작게 하면, 단위 브라켓(14)이 상부 브라켓(12)보다 소형화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10)에는 상부 브라켓(12)과 단위 브라켓(14)을 삽통하여 수직방향(V)으로 배치되는 복수개 이상의 고강도 강봉(16)이 구비된다. 고강도 강봉(16)은 전구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고강도 강봉(16)은 상부 브라켓(12)측 강봉연결홀(121a,122a)과 단위브라켓(14)측 강봉연결홀(141b 또는 143b)을 통해 삽입되어져 다수의 강봉 체결너트(18)로 고정된다.
다수의 강봉 체결너트(18)는 고강도 강봉(16)에 나사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상부 브라켓(12)과 단위 브라켓(14), 이웃한 단위 브라켓(14와 14)을 상호 밀착되게 연결하여 구조적 일체화를 도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10)은 수직하중(W)의 크기 및 분포에 따라 상부 브라켓(12)에 단위 브라켓(14)이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되어져 설치된다.
제1형태의 조합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교량 하부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102)측에 설치된 앵커볼트(30)를 이용하여 상부 브라켓(12)을 고정되게 설치한다. 그 다음, 상부 브라켓(12)의 하부로 3개의 단위 브라켓(14)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가면서 볼트(20)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상부 브라켓(12)과 3개의 단위 브라켓(14)을 상호 연결한 후, 동일한 앵커볼트(30)를 이용하여 3개의 단위 브라켓(14)을 콘크리트 벽체(102)측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부 브라켓(12)과 최상층의 단위 브라켓(14), 그리고 3개의 단위 브라켓(14)들은 브라켓 연결홀(122b,141a)에 볼트(20)를 삽입시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호 밀착되게 결합된다. 그 다음, 상부 브라켓(12)과 수평적으로 적층 조립된 3개의 단위 브라켓(14)에 2개소에 각기 고강도 강봉(16)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시킨 후 고강도 강봉(16)마다에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강봉 체결너트(18)를 각각 조임하여 상부 브라켓(12)과 3개의 단위 브라켓(14)을 일체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부 브라켓(12)에 올려진 유압잭(50)의 인상시 작용하는 수직 하중(W)은 상부 브라켓(12)과 3개의 단위 브라켓(14)을 통해 분배되어 콘크리트 벽체(102)에 전달됨으로써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10)은 인상력에 저항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2형태의 조합으로, 도 5와 같이 제 1 조합에서 설치된 3개의 단위 브라켓(14)에 추가적으로 2개의 단위 브라켓(14)을 설치한 것이다. 이때 추가된 2개의 단위 브라켓(14)은 수직으로 위치하여 상부 브라켓(12)의 밑면과 수평적으로 설치된 3개의 단위 브라켓(14)의 양측면에 볼트(20)와 너트를 통해 연결된 후, 앵커볼트(30)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102)에 고정 설치된다. 추가된 2개의 단위 브라켓(14)은 브라켓 연결홀(122b,143a)에 삽입된 볼트(20)와 이에 체결된 너트에 의해 상부 브라켓(12)의 하부판(122)에 연결되고, 동시에 추가된 2개의 단위 브라켓(14)은 각기 수평적으로 설치된 3개의 단위 브라켓(14)측 브라켓 연결홀(143a)에 삽입시킨 볼트(20)와 이에 체결된 너트의 체결에 의해 3개의 단위 브라켓(14)측 단위 측판(143)에 각기 연결된다. 이후 상대적으로 짧은 고강도 강봉(16)에 체결된 강봉 체결너트(18)를 조임하여 추가된 2개의 단위 브라켓(14)을 상부 브라켓(14)에 결합시킨다.
다른 한편 제3형태의 조합으로, 도 6과 같이 상부 브라켓(12)의 하부에 모두 5개의 단위 브라켓(14)을 2개,2개,1개의 순서로 적층시켜 설치한 것이다. 물론 이때도 상부 브라켓(12)과 단위 브라켓(14)의 결합 그리고 단위 브라켓(14)들간의 결합은 위에서 언급한 수단으로 체결되며, 제1형태의 조합에서 사용된 2개의 고강도 강봉(16)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2개의 고강도 강봉(16)이 더 구비되어 추가적으로 설치된 최상층의 단위브라켓(14)을 상부 브라켓(12)에 결합시킨다.
또 다른 다양한 형태의 조합으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단위 브라켓(14)의 설치 개수를 줄여가며 상부 브라켓(12)에 단위 브라켓(14)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이외에도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10)은 수직하중(W)의 크기 및 분포에 따라 단위브라켓(14)의 개수 및 배치방향을 조합해 가며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10)은 상부 브라켓(12)의 하부로 단위브라켓(14)을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인상시 발생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인상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력운반이 가능한 소규모의 단위 브라켓(14)을 수평 혹은 수직으로 단순배치하기 때문에 설치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단위 브라켓(14)의 단순배치를 조합하여 다양한 하중변화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다. 또한 단위 브라켓(14)의 단순조합이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기존 브라켓의 단점인 하중별 크기가 상이한 브라켓의 제작이 불필요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12: 상부 브라켓
14: 단위 브라켓
16: 고강고 강봉
18: 강봉 체결너트

Claims (4)

  1. 콘크리트 벽체(102)측에 앵커볼트(30)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12)과;
    상기 상부 브라켓(12)의 하부측에 접하여 수평 방향(H)과 수직 방향(V) 중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거나 양 방향을 상호 조합시켜 콘크리트 벽체(102)측에 앵커볼트(30)로 고정 설치되어 상부 브라켓(12)에 작용하는 수직하중(W)을 분배시키는 두 개 이상의 단위 브라켓(14)과;
    상기 상부 브라켓(12)과 상기 단위 브라켓(14)을 삽통하여 수직방향(V)으로 배치되는 복수개 이상의 고강도 강봉(16)과;
    상기 고강도 강봉(16)에 나사 체결되어 체결 위치에 따라 상부 브라켓(12)과 단위 브라켓(14), 이웃한 단위 브라켓(14와 14)을 상호 밀착되게 연결시키는 다수의 강봉 체결너트(18);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브라켓(12)은 일정 길이(L1)와 최대 폭(W1)을 가지고 유압잭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 이상의 강봉 연결홀(121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121)과; 상기 상부판(121)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강봉 연결홀(121a)과 동일 수직선상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강봉 연결홀(122a)과, 강봉 연결홀(122a)과 가까이 위치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브라켓 연결홀(122b)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1)과 하부판(122)의 각기 일측 장변에 접합되고 장변 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앵커볼트연결홀(123a)을 갖는 앵커볼트 연결판(123)과; 상기 상부판(121)과 하부판(122)의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직각 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수직보강재(124);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브라켓(14)은 일정 길이(L2)와 폭(W2)을 갖고 일정 간격마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각기 브라켓 연결홀(141a)과 강봉연결홀(141b)을 갖고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단위 장판(141,141)과; 한 쌍의 단위 장판(141,141)의 각기 일측 장변에 연결 접합되어 있고 일정 간격마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앵커볼트연결홀(142a)을 갖는 단위 연결판(142)과; 한 쌍의 단위 장판(141,141)과 단위 연결판(142)의 각기 양 단변에 접합되어 있고, 브라켓 연결홀(143a)과 강봉연결홀(143b)을 갖는 단위 측판(143)과; 한 쌍의 장판(141,141)의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직각 방향으로 접합되어 있는 장판 수직보강재(144);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브라켓(14)의 폭(W2)이 상부 브라켓(12)의 폭(W1)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66811A 2017-05-30 2017-05-30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KR101878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11A KR101878602B1 (ko) 2017-05-30 2017-05-30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11A KR101878602B1 (ko) 2017-05-30 2017-05-30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602B1 true KR101878602B1 (ko) 2018-07-13

Family

ID=6291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811A KR101878602B1 (ko) 2017-05-30 2017-05-30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6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52Y1 (ko) * 2003-04-23 2004-01-03 노윤근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KR100589289B1 (ko) * 2006-01-06 2006-06-14 우경건설 주식회사 환봉을 이용한 교량용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공법
KR100661375B1 (ko) * 2005-09-10 2006-12-27 김진성 교량의 교좌장치 유지보수용 브라켓 구조
KR20070057329A (ko) *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교량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0885874B1 (ko) * 2008-07-07 2009-02-27 (주)청룡건설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대한 내진보강 및 낙교방지 기능을갖는 정착식 브라켓 어셈블리
KR101245594B1 (ko) * 2012-10-09 2013-03-25 주식회사 다인리코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 및 컴퓨터를 이용한 인상방법
KR20130060964A (ko) * 2011-11-30 2013-06-10 유호산업개발(주) 적층형 편심 브라켓을 이용해 온도프리스트레싱이 도입된 강재 거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52Y1 (ko) * 2003-04-23 2004-01-03 노윤근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KR100661375B1 (ko) * 2005-09-10 2006-12-27 김진성 교량의 교좌장치 유지보수용 브라켓 구조
KR20070057329A (ko) *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교량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0589289B1 (ko) * 2006-01-06 2006-06-14 우경건설 주식회사 환봉을 이용한 교량용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공법
KR100885874B1 (ko) * 2008-07-07 2009-02-27 (주)청룡건설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대한 내진보강 및 낙교방지 기능을갖는 정착식 브라켓 어셈블리
KR20130060964A (ko) * 2011-11-30 2013-06-10 유호산업개발(주) 적층형 편심 브라켓을 이용해 온도프리스트레싱이 도입된 강재 거더
KR101245594B1 (ko) * 2012-10-09 2013-03-25 주식회사 다인리코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 및 컴퓨터를 이용한 인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804B2 (en) Floor structure
US55755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dular support and lifting system
US10202734B2 (en) Prefabricated resuable concrete pedestal element
US9279260B2 (en) Modular panel concrete form for self-lifting concrete form system
KR102269128B1 (ko) Rc 보 영구 거푸집 운송 및 시공용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영구 거푸집의 운송 및 시공 방법
US10422465B2 (en) Prefabricated reusable concrete pedestal element
EP1600558B1 (en) Floor structure
CA2889001A1 (en) Elevated equipment assemblies, equipment-supporting platforms, and related methods
US20020117603A1 (en) Bearing block for alignment and handling of concrete forms
CN106894625B (zh) 模块化外挂式脚手架
KR101774990B1 (ko) 케이블 정착단의 군집하중 전담 디바이스를 활용한 응력 분산형 케이블 교량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878602B1 (ko) 하중 변화의 대응과 용이한 조립해체를 위한 인상용 강재브라켓 유닛
JP5318293B1 (ja) 連続桁橋とその施工方法
KR100948447B1 (ko) 트러스 상판 해체 장치 및 방법
KR102003990B1 (ko) 교좌장치 보수용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CN114293458B (zh) 一种纵向防落梁装置、桥梁及桥梁施工方法
JP6628675B2 (ja) 仮設架台
KR102182462B1 (ko) 유니트바닥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A2468626C (en) Floor structure
JP6914822B2 (ja) 型枠工法および吊上げ用型枠ユニット
KR100360037B1 (ko) 교량용 상부받침 지지장치
KR101451066B1 (ko)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JP2017071902A (ja) 建物ユニットの固定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567483B1 (ko) 선박 내에 설치된 비계 이동용 트러스트 구조물
KR101471333B1 (ko) 트러스 거더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