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384B1 - 밴드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밴드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384B1
KR101878384B1 KR1020160178096A KR20160178096A KR101878384B1 KR 101878384 B1 KR101878384 B1 KR 101878384B1 KR 1020160178096 A KR1020160178096 A KR 1020160178096A KR 20160178096 A KR20160178096 A KR 20160178096A KR 101878384 B1 KR101878384 B1 KR 10187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ower clamps
moved
compression
c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224A (ko
Inventor
임병훈
소화영
Original Assignee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임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임병훈 filed Critical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3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는 고정밴드가 설치된 조인트의 샤프트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상,하부 클램프; 상,하부 클램프의 외주연부에 원주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하부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이동되면서 고정밴드를 샤프트에 압착시키는 압착블록; 상,하부 클램프의 외주연부에 각각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착블록을 상,하부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이동시키는 가압부재; 양 가압부재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레버; 및 상,하부 클램프 측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양 돌출레버를 벌리거나 오므려 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밴드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밴드 체결장치{Band cl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밴드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인트의 샤프트 외주면에 부트를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자동 체결하는 밴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는 회전축의 각도가 서로 다른 회전축에 회전동력(토크)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전달 각도가 작은 추진축의 경우에는 후크 조인트, 플렉시블 조인트 등이 사용되고, 동력전달 각도가 큰 전륜 구동차의 구동축의 경우에는 등속조인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등속조인트는 구동축과 피동축의 교차각이 큰 경우에도 등속으로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 현가 방식의 전륜 구동차의 액슬축에 주로 사용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엔진측(인보드측)은 트리포드 타입 조인트로 이루어지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타이어측(아웃보드측)은 볼 타입 조인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등속조인트는 서스펜션의 변위 변화와 조향각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서 절각 운동을 하게 되는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등속조인트의 원활한 절각 운동과 회전 운동 그리고 외부 물질의 유입 방지 및 주행 중 상승하는 온도의 냉각 기능을 위해 롤링 부트로 절각 부위를 감싸고 그 안에 그리스를 채워 넣는다.
그리고, 내부에 그리스가 채워진 롤링 부트의 양단부에는 그리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밴드가 체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등속조인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를 중심으로 엔진측(인보드측)은 트리포드 타입 조인트로 구비되고, 샤프트(1)를 중심으로 바퀴측(아웃보드측)은 볼 타입 조인트로 구비된다.
샤프트(1)를 중심으로 엔진측(인보드측)에 설치되는 등속조인트는, 엔진(미도시)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며 내부에 트랙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과, 하우징(2)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 샤프트(1)와, 샤프트(1)의 일단에 연결되는 롤링 부트(3) 및 롤링 부트(3)를 하우징(2) 및 샤프트(1)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밴드(4)를 포함한다.
그리고, 반대편 측의 바퀴측(아웃보드측)에 설치되는 등속조인트 역시도 전술한 엔진측의 등속조인트와 대동소이하게 구성되므로 이의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샤프트(1)로 전달된 엔진의 회전 동력은 샤프트(1)를 통해 바퀴에 전달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샤프트(1)의 외주면에 롤링 부트(3)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4)의 고정작업이 소정의 공구를 이용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고정밴드(4)의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해 롤링 부트(3)가 샤프트(1) 상에 견고히 장착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롤링 부트(3) 내에 공급된 그리스가 샤프트(1)와 롤링 부트(3)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므로 등속조인트의 연결부위가 윤활되지 못해 결국에는 등속조인트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등속조인트 및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78683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2557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인트의 샤프트 외주면에 부트를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자동으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밴드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는 고정밴드가 설치된 조인트의 샤프트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상,하부 클램프; 상,하부 클램프의 외주연부에 원주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하부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밴드를 샤프트에 압착시키는 압착블록; 상,하부 클램프의 외주연부에 각각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착블록을 상,하부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양 가압부재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레버; 및 상,하부 클램프 측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양 돌출레버를 벌리거나 오므려 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블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압착블록 사이에는 인접한 압착블록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간격을 제공하는 스페이스블록이 구비될 수 있고, 압착블록은 그 양측에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하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는 인접한 양 압착블록들이 돌기와 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압착블록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돌부가 형성되고, 가압부재에는 내측으로 경사져 압착블록의 경사돌부와 접하는 경사홈이 형성되어, 가압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경사홈이 압착블록의 경사돌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압착블록과 각 클램프 사이에는 상,하부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된 압착블록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이동블록에는 클램프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부재의 돌출레버를 양측으로 벌리는 작동공이 각각 이동블록의 단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양 돌출레버 사이에는 벌어진 양 돌출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부 클램프에는 안내핀이 돌출 형성되고, 가압부재에는 안내핀에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클램프에는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결합블록이 돌출 형성되고, 양 결합블록을 그 내부로 수용하여 록킹하는 록킹블록이 구비될 수 있으며, 록킹블록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블록은 그 외측면이 외측 단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결합블록을 삽입하여 록킹시키는 록킹블록은 그 내측면이 개구 단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록킹블록에 결합블록이 삽입됨에 따라 상,하부 클램프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하부 클램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단부에는 제 2 실린더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록킹블록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록킹블록을 클램프 측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링크가 구비되고, 록킹블록에는 힌지핀이 이동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회전링크의 힌지부가 록킹블록 상에서 가변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밴드 체결장치는, 샤프트 외주면에 고정밴드를 자동으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체결되는 고정밴드에 의해 부트를 샤프트에 견고히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밴드 체결장치에 따르면, 조인트의 샤프트 외주면에 부트를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상,하의 압착클램프로서 자동으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 생산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등속조인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의 베이스판과, 압착블록, 스페이스블록, 가압부재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의 가압부재와, 압착블록 및 스페이스블록 간의 작동상태를 보인 결합도로서, 도 5a는 이동블록에 돌출레버가 결합되기 전 상태의 도면이고, 도 5b는 이동블록에 돌출레버가 결합되어 작동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의 상,하 클램프에 체결되는 록킹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의 상,하 클램프가 오픈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의 상,하 클램프가 클로징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 위에 구비되는 상,하 한쌍의 클램프(120)(120-1)와, 상,하부 클램프(120)(120-1) 측으로 이동되어 상,하부 클램프(120)(120-1) 내의 압착블록(130)을 작동시키는 이동블록(170)을 포함한다.
특히, 이동블록(17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클램프(120)(120-1) 측으로 정확히 이동될 수 있다.
클램프(120)(120-1)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위에 상,하 한쌍으로 구비되고, 하부 클램프(120)는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상부 클램프(120-1)는 하부 클램프(120)의 상면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하부 클램프(120)(120-1)는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일면 중앙부에 각각 반원 형태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결합시는 정원 형태의 관통구로 형성됨으로써 이 관통구를 통해 샤프트(1)가 관통 삽입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관통구는 각 상,하부 클램프(120)(120-1)를 구성하는 후술될 베이스판(121)(121-1)과, 내측판(125)(125-1), 외측판(126)(126-1)에도 각각 공히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베이스판(121)(121-1)과, 내측판(125)(125-1), 외측판(126)(126-1)은 모두 상,하판으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하판의 상면 일단부에 상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판(121)(121-1) 중 하부 베이스판(121)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부 베이스판(121-1)은 하부 베이스판(121)의 상면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는 후술될 가압부재(150)(160)와 압착블록(130), 스페이스블록(140)이 삽입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는 후술될 가압부재(150)(16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124)(124-1)이 일정 간격마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게다가,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개구부(힌지부 반대편 부분) 외측면에는 외향 돌출된 결합블록(122)(122-1)이 각각 형성되어, 상부 베이스판(121-1)이 하부 베이스판(121)에 접할 시 양 결합블록(122)(122-1) 역시도 서로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양 결합블록(122)(122-1)의 상,하면에는 각각 경사면(123)(123-1)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123)(123-1)은 결합블록(122)(122-1)의 외측 단부보다 내측부가 점차 커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하의 경사면(123)(123-1)은 각각 결합블록(122)(122-1)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전후 양면에는 상,하 내측판(125)(125-1)과 상,하 외측판(126)(126-1)이 각각 차례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이와 같이 구비되는 내측판(125)(125-1)과 외측판(126)(126-1)에는 후술될 가압부재(150)(160)의 돌출레버(153)(163)가 관통 결합되는 안내공(125a)(125a-1)(126)(126a-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레버(153)(163)는 안내공(125a)(125a-1)(126)(126a-1)을 따라 이동되는 한편 그 이동폭이 안내공(125a)(125a-1)(126)(126a-1)에 의해 제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된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 중 상부 베이스판(121-1)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실린더(127)가 구비된다. 제 1 실린더(127)는 그 일측이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제 1 피스톤로드(128)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제 1 피스톤로드(128)의 선단부는 상부 베이스판(12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실린더(127)에서 제 1 피스톤로드(128)가 인출되면 상부 클램프(120-1)는 하부 클램프(120) 측으로 회전되어 닫히고, 제 1 피스톤로드(128)가 제 1 실린더(127) 내로 인입되면 상부 클램프(120-1)가 하부 클램프(120)에서 역회전되어 열리게 된다.
또한, 상,하부 클램프(120)(120-1)를 구성하는 상,하부 외측판(126)(126-1)의 외측면에는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결합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블록(190)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센싱블록(190)의 감지신호에 따라 후술될 이동블록(170) 및 록킹블록(180)을 작동시키는 서보프레스(172)와 제 2 실린더(186)의 작동이 제어되고, 이러한 이동블록(170) 및 록킹블록(180)의 작동을 비롯한 체결장치(100)의 전반적인 작동은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는 베이스판(121)(121-1)의 외주연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어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압착블록(1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압착블록(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중심부를 향하는 그 선단부가 샤프트(1)의 외주면에 대응한 원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반대편의 후단부에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돌부(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돌부(131)는 그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단부에는 압착블록(130)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1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압착블록(130)은 이의 경사돌부(131)에 접하는 후술될 가압부재(150)(160)의 경사홈(151)(161)에 의해 가압되어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고, 가압부재(150)(160)의 복귀시에는 후술될 경사홈(151)(161)의 수직면(151a)(161a)이 경사돌부(131)의 수직면(131a)과 접하여 이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압착블록(130)의 선단부 양측에는 압착블록(130)이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될 시 인접한 다른 압착블록(130)과 결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32)와 결합홈(133)이 각각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압착블록(130)과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압착블록(130)이 결합돌기(132)와 결합홈(133)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면,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 구비된 샤프트(1)의 고정밴드(4)를 균일하게 압착하여 부트(3)를 샤프트(1)의 외측면에 정위치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압착블록(130)의 일면에는 이동된 압착블록(130)에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134)가 구비되고, 제 1 탄성부재(134)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탄성부재(134)는 그 일단부가 압착블록(130)에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 구비되어, 압착블록(130)이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될 시는 압축되고, 이의 압축력에 의해 이동된 압착블록(130)에는 복원력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다수의 압착블록(130) 사이에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페이스블록(140)이 각각 삽입되어 구비되고, 이와 같이 구비되는 스페이스블록(140)은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페이스블록(140)에 의해 인접한 양 압착블록(13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양 압착블록(130)이 서로 접하여 끼일 때까지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게다가, 압착블록(130)과 스페이스블록(140) 사이에는 고정된 스페이스블록(140)에서 압착블록(130)을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베어링이나 가이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압착블록(130)의 후단부에는 원호 형상의 가압부재(150)(160)가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하 양 가압부재(150)(160)는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원주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하 양 가압부재(150)(160)가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서 각각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착블록(130)의 경사돌부(131)와 대향되는 가압부재(150)(160)의 내주면에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151)(161)이 구비되고, 경사홈(151)(161)의 일단부에는 경사돌부(131)의 수직면(131a)에 대응한 수직면(151a)(16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된 가압부재(150)(160)가 원상태로 복귀될 때 경사홈(151)(161)의 수직면(151a)(161a)이 경사돌부(131)의 수직면(131a)에 면접촉됨과 동시에 가압부재(150)(160)의 이동이 정지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상,하 양 가압부재(150)(160)에는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에 구비된 안내핀(124)(124-1)이 끼워져 결합되는 안내공(152)(162)이 형성되고, 이 안내공(152)(162)은 가압부재(150)(160)의 원호에 대응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과 가압부재(150)(160) 사이에는 롤러 구름 베어링이 구비되어 가압부재(150)(16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하 양 가압부재(150)(160)의 일단부(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힌지부 측에 근접한 단부)에는 상,하 양 가압부재(150)(160)에서 각각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출레버(153)(163)가 구비되고, 양 돌출레버(153)(163)는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 2 탄성부재(154)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돌출레버(153)(163)는 베이스판(121)(121-1) 측으로 전진 이동되는 후술될 이동블록(170)에 의해 제 2 탄성부재(154)를 인장시키면서 양측으로 벌어져 상,하부 가압부재(150)(160)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동블록(170)이 후진 이동됨과 동시에 작용하는 제 2 탄성부재(154)의 압축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이동된 상,하부 가압부재(150)(160)를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돌출레버(153)(163)는 내측판(125)(125-1)과 외측판(126)(126-1)의 안내공(125a)(125a-1)(126)(126a-1)을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어, 이동시 안내공(125a)(125a-1)(126)(126a-1)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전술한 제 1,2 탄성부재(134)(154)는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압착블록(130)과 가압부재(150)(16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면 코일스프링 이외의 구성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돌출레버(153)(163)와 인접한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이동블록(170)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블록(17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가이드블록(174)이 고정되어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가이드블록(174)이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11)이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이동블록(170)은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이동블록(170)은 돌출레버(153)(163)와 근접한 그 선단부에 돌출레버(153)(163)가 각각 삽입되어 이동되는 한쌍의 작동공(171)이 형성되고, 이 작동공(171)은 그 선단부가 이동블록(170)의 외측으로 개구되고 타단부는 이동블록(170)의 내측으로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작동공(171)에 의해 이동블록(170)이 도 5b에서와 같이 상,하부 결합블록(122)(122-1) 측으로 전진 이동되면 양 돌출레버(153)(163)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도 5a에서와 같이 후진 이동되면 벌어진 양 돌출레버(153)(163)가 원상태로 안내되어 복귀된다.
그리고, 이동블록(170) 후방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서보프레스(172)가 구비되고, 서보프레스(172)의 선단부에는 출입가능하게 구비된 서보프레스로드(173)가 이동블록(170)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서보프레스(172)에서 출입되는 서보프레스로드(173)에 의해 이동블록(17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가이드레일(111) 상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보프레스(172)는 샤프트(1)에 고정밴드(4)의 압착시 압입력과 압입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하부 클램프(120)(120-1)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양 결합블록(122)(122-1)에 결합되어 상,하부 클램프(120)(120-1)를 결합 고정시키는 록킹블록(180)이 구비된다.
록킹블록(180)은 양 결합블록(122)(122-1)과 대향되는 그 일면부에 "ㄷ"자 형상의 결합홈(181)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81)에는 양 결합블록(122)(122-1)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특히, 록킹블록(180)의 결합홈(181)은 그 내측 상,하면이 경사면(182)으로 형성되되, 이 경사면(182)은 록킹블록(180)의 개구 단부보다 내측부가 점차 작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이 결합홈(181)에 결합블록(122)(122-1)이 삽입됨에 따라 상,하 양 결합블록(122)(122-1)은 더욱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상,하 양 결합블록(122)(122-1) 및 상,하부 클램프(120)(120-1) 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록킹블록(180)에는 록킹블록(180)을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결합블록(122)(122-1) 측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회전링크(184)가 구비된다.
회전링크(184)는 그 일측이 상,하부 클램프(120)(120-1) 중 하부 클램프(120) 즉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 베이스판(121)의 선단부에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상단부는 록킹블록(18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는 베이스프레임(110)에 구비된 제 2 실린더(18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제 2 실린더(186)는 그 선단부에 제 2 피스톤로드(187)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고, 제 2 피스톤로드(187)는 회전링크(184)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 2 실린더(186)에서 제 2 피스톤로드(187)가 출입됨에 따라 회전링크(184)가 하부 베이스판(121)과의 힌지부를 축으로 지렛대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링크(184)의 상단부는 록킹블록(180)에 힌지핀(185)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록킹블록(180)에는 힌지핀(185)이 결합되는 장공(183)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힌지핀(185)이 장공(183)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비되는 힌지핀(185)에 의해 회전링크(184)의 상단부는 록킹블록(180) 상에서 힌지된 위치가 가변될 수 있어, 록킹블록(180)을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결합블록(122)(122-1)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결합된 록킹블록(18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등속조인트의 샤프트(1)에 구비된 부트(3)에 고정밴드(4)를 가조립한 상태로 구비한다.
이 상태의 샤프트(1)를 도 7에서와 같이 상부 클램프(120-1)가 개방된 하부 클램프(120)에 관통한 상태로 구비한 후, 제 1 실린더(127)를 작동시켜 상부 클램프(120-1)를 도 8에서와 같이 하부 클램프(120) 측으로 회전시켜 샤프트(1)를 관통된 상태로 구속하게 된다.
이후, 제 2 실린더(186)가 작동되어 회전링크(184)가 하부 클램프(120)와의 힌지부를 축으로 회전되고, 이에 록킹블록(180)이 회전링크(184)에 의해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양 결합블록(122)(122-1) 측으로 전진 이동되며, 이동된 록킹블록(180)의 결합홈(181) 내에 양 결합블록(122)(122-1)이 삽입되어 도 6 및 도 8과 같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링크(184)에 의한 록킹블록(180)이 결합블록(122)(122-1) 측으로 더 회전되면, 록킹블록(180)의 결합홈(181) 상,하면의 경사면(182)이 이에 대응한 결합블록(122)(122-1) 상,하면의 경사면(123)(123-1)에 면접촉된 상태로 더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하부 클램프(120)(120-1)는 견고한 결합력으로 결합 고정된다.
한편, 록킹블록(180)의 장공(183)에 힌지핀(185)을 매개로 하여 힌지된 회전링크(184)가 클램프(120)(120-1) 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링크(184)와 록킹블록(180) 간의 힌지부 즉 힌지핀(185)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록킹블록(180)은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양 결합블록(122)(122-1)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 후에는 록킹블록(180)을 결합블록(122)(122-1) 측으로 가압하는 회전링크(184)의 지지력에 의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8에서와 같이, 서보프레스(172)에 의해 이동블록(170)이 전진 이동하고, 전진 이동되는 이동블록(170)의 작동공(171)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돌출레버(153)(163)가 삽입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도 5b에서와 같이, 이동블록(170)이 더 전진 이동되면, 돌출레버(153)(163)가 제 2 탄성부재(154)를 인장시킨 상태로 작동공(171)의 경사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하부 클램프(120)(120-1) 상에서 상하 양측으로 이동되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돌출레버(153)(163)에 의해 상,하 양 가압부재(150)(160)는 상,하부 클램프(120)(120-1)에 구비된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 상에서 각각 원주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5a에서와 같이, 각 가압부재(150)(160)의 경사홈(151)(161) 중 가장 깊은 곳에 삽입되어 수직면(151a)(161a)과 수직면(131a)으로 면접촉되어 있던 각 압착블록(130)의 경사돌부(131)가 도 5b에서와 같이 이동되는 양 가압부재(150)(160)의 경사홈(151)(161)에 의해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중심부 측으로 밀려 이동됨으로써 각 압착블록(130)의 선단부가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중심부를 관통한 샤프트(1) 상의 고정밴드(4)에 접하여 이 고정밴드(4)를 샤프트(1)의 외주면 측으로 가압하여 압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정밴드(4)는 압착블록(130)에 의해 샤프트(1)의 외주면에 고르게 가압된 상태로 압착됨으로써 부트(3)를 샤프트(1)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압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고정밴드(4)를 압착한 후에는 서보프레스(172)의 역작동에 의해 이동블록(170)이 후진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블록(170)의 작동공(171)에 안내되어 이동되었던 돌출레버(153)(163)가 제 2 탄성부재(154)의 압축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연동하여 이동되어 있던 양 가압부재(150)(160) 역시도 돌출레버(153)(163)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복귀되는 가압부재(150)(160)에 의해 가압부재(150)(160)의 경사홈(151)(161)이 압착블록(130)의 경사돌부(131)에 접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 과정에서 압착블록(130)과 베이스판(121)(121-1)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제 1 탄성부재(134)의 인장력이 복원력으로 작용되어 압착블록(130)이 상,하부 베이스판(121)(121-1)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원상태로 복귀되는 가압부재(150)(160)의 경사홈(151)(161)에 압착블록(130)의 경사돌부(131)가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측으로 밀려 이동되고, 경사돌부(131)의 수직면(131a)이 경사홈(151)(161)의 수직면(151a)(161a)에 접촉됨과 동시에 압착블록(130)와 가압부재(150)(160)는 고정된다.
물론, 이때에는 이동블록(170)의 작동공(171)은 돌출레버(153)(163)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제 2 실린더(186)가 역작동하여 록킹블록(180)을 후진 이동시키며, 이동되는 록킹블록(180)은 상,하부 클램프(120)(120-1)의 결합블록(122)(122-1)에서 분리되어 록킹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후, 제 1 실린더(127)가 역작동되어 상부 클램프(120-1)를 역회전시켜 하부 클램프(120)를 개방시키고, 고정밴드(4)의 체결에 의해 부트(3)가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 샤프트(1)를 하부 클램프(120)에서 분리시켜 냄으로써 고정밴드(4)의 체결공정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샤프트 2 : 하우징
3 : 부트 4 : 고정밴드
100 : 체결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가이드레일 120,120-1 : 클램프
121,121-1 : 베이스판 122,122-1 : 결합블록
123,123-1 : 경사면 124,124-1 : 안내핀
125,125-1 : 내측판 125a,125a-1 : 안내공
126,126-1 : 외측판 126a,126a-1 : 안내공
127 : 제 1 실린더 128 : 제 1 피스톤로드
130 : 압착블록 131 : 경사돌부
131a : 수직면 132 : 결합돌기
133 : 결합홈 134 : 제 1 탄성부재
140 : 스페이스블록 150,160 : 가압부재
151,161 : 경사홈 151a,161a : 수직면
152,162 : 안내공 153,163 : 돌출레버
154 : 제 2 탄성부재 170 : 이동블록
171 : 작동공 172 : 서보프레스
173 : 서보프레스로드 174 : 가이드블록
180 : 록킹블록 181 : 결합홈
182 : 경사면 183 : 장공
184 : 회전링크 185 : 힌지핀
186 : 제 2 실린더 187 : 제 2 피스톤로드
190 : 센싱블록

Claims (7)

  1.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는 고정밴드가 설치된 조인트의 샤프트가 관통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외측면에는 안내핀이 원주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는 상,하부 클램프;
    상,하부 클램프에 구비되어 상,하부 클램프의 결합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블록;
    상,하부 클램프의 외주연부에 원주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하부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밴드를 샤프트에 압착시키는 다수의 압착블록;
    인접한 양 압착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되는 양 압착블록을 안내하는 스페이스블록;
    상,하부 클램프의 외주연부에 각각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착블록을 상,하부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상,하부 클램프의 안내핀과 결합되어 이동시 안내되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가압부재;
    양 가압부재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돌출레버; 및
    상,하부 클램프 측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양 돌출레버를 벌리거나 오므려 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블록;을 포함하고,
    상,하부 클램프에는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사각의 결합블록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양 결합블록을 그 내부로 수용하여 록킹하는 록킹블록이 구비되되,
    록킹블록의 내측면과 접하는 양 결합블록의 외측면은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양 결합블록의 외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록킹블록의 내측면은 개구 단부에서 내측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측부가 하부 클램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단부에는 제 2 실린더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록킹블록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록킹블록을 클램프 측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회전링크가 구비되고,
    록킹블록에는 힌지핀이 이동되는 장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링크의 회전시 힌지핀이 장공을 따라 이동되게 구비되는 밴드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압착블록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돌부가 형성되고, 가압부재에는 내측으로 경사져 압착블록의 경사돌부와 접하는 경사홈이 형성되어, 가압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경사홈이 압착블록의 경사돌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밴드 체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압착블록과 각 클램프 사이에는 상,하부 클램프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된 압착블록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밴드 체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블록에는 클램프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부재의 돌출레버를 양측으로 벌리는 작동공이 각각 이동블록의 단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밴드 체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78096A 2016-12-23 2016-12-23 밴드 체결장치 KR101878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096A KR101878384B1 (ko) 2016-12-23 2016-12-23 밴드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096A KR101878384B1 (ko) 2016-12-23 2016-12-23 밴드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224A KR20180074224A (ko) 2018-07-03
KR101878384B1 true KR101878384B1 (ko) 2018-07-13

Family

ID=6291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096A KR101878384B1 (ko) 2016-12-23 2016-12-23 밴드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3401A (zh) * 2020-05-29 2020-09-08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导爆索连接套的径向压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677U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용 콘솔의 박스
KR100448252B1 (ko) * 2002-08-19 2004-09-13 구은모 연결관로 접속용 클램핑 장치
JP2008194799A (ja) * 2007-02-15 2008-08-28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管材クランプ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677U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용 콘솔의 박스
KR100448252B1 (ko) * 2002-08-19 2004-09-13 구은모 연결관로 접속용 클램핑 장치
JP2008194799A (ja) * 2007-02-15 2008-08-28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管材クランプ治具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224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3670B1 (de) Riemenspannvorrichtung
WO2022001113A1 (zh) 一种传动轴压装机
DE102015119521B4 (de) Automatischer Riemenspanner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13206010B3 (de) Riemenspanner
CN102227572A (zh) 离合器盘主动分离器
EP2860079A1 (en) Railway vehicle plug door device and railway vehicle plug door
US10166573B2 (en) Eccentric assembly for a vibration compacting machine
KR101878384B1 (ko) 밴드 체결장치
JP5975061B2 (ja) カシメ装置及びカシメ方法
US20180099348A1 (en) Tip changer for spot welding machine
KR20100101741A (ko) 파이프 고정용 메카니칼 척
CN205149420U (zh) 轮胎装配和拆卸工具
CN105916605A (zh) 设有中间链的用于拉丝机的拉丝组件及用于拉紧中间链的方法
KR101004312B1 (ko) 차량 동력전달축 전용 자동마찰압접장치
US10610987B2 (en) Clamping band attachment method and clamping band attachment apparatus
JPH0153169B2 (ko)
CN109500266B (zh) 一种旋铆机
CN116713866A (zh) 一种弧形板材打磨设备
KR100396401B1 (ko) 회전축연결장치
DE602004001199T2 (de) Nietvorrichtung und Verfahren
US4041596A (en) Fastening device
JP4224365B2 (ja) ダンパ部材の組み付け装置
KR101515022B1 (ko) 압연기의 작업롤 중심 제어 장치
KR101439636B1 (ko) 스트립 클램프장치
KR101208472B1 (ko) 조절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