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209B1 -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 - Google Patents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209B1
KR101878209B1 KR1020160052929A KR20160052929A KR101878209B1 KR 101878209 B1 KR101878209 B1 KR 101878209B1 KR 1020160052929 A KR1020160052929 A KR 1020160052929A KR 20160052929 A KR20160052929 A KR 20160052929A KR 101878209 B1 KR101878209 B1 KR 10187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patitis
virus
antibody
immunochromatography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465A (ko
Inventor
김인수
강윤성
박혜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디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디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디피아
Priority to KR102016005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2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hepatitis
    • G01N33/5761Hepatitis 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01N33/5304Reaction vessels, e.g. agglutination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1DNA viruses
    • G01N2333/02Hepadnaviridae, e.g. hepatitis B vir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97Test strip or test sl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975K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광학밀도 8 내지 10의 농도로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 분야에서 저농도의 B형 간염 바이러스도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Test strip for immunochromatography comprising anti-hepatitis B virus antibody conjugate and diagnostic k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농도의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이하 ‘HBV’라고 약칭함)는 전 세계적으로 3억 5천만 명이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 중 우리나라는 성인 인구의 약 5%가 보유자로 알려져 HBV 감염의 만연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HBV 감염은 급성, 만성 간염을 유발하고 간경변증, 간세포암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어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실정이다(차충환 외. Korean J Lab Med 2003; 23: 352-6).
최근 이러한 요구에 따라 다양한 HBV 진단법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는데 대표적인 진단법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면역학적 진단법과 HBV 유전체의 특정 서열을 증폭하여 진단하는 핵산증폭법이 있다. 면역학적 진단법은 간단한 실험법과 빠른 결과가 장점이지만 현장에서의 진단 키트의 민감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면역크로마토크래피(immunochromatography, ICA)법은 항원, 항체뿐만 아니라 호르몬, 약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종류의 물질 측정이 가능해지면서 간편하고 신속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사용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측정을 위한 민감도가 향상된 현장 진단 키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116210호(2009.11.1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21283호(2013.11.06)
본 발명자들은 B형 간염 바이러스 측정을 위한 민감도가 향상된 현장 진단 키트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특정 농도의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로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제조하면 기존의 B형 간염 바이러스 측정용 테스트 스트립에 비하여 민감도가 약 1000배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농도의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광학밀도 8 내지 10의 농도로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 나노입자는 콜로이드성 금 입자(colloidal gold particle)일 수 있고, 입자 사이즈 20 ∼ 5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스트립은 (a)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 패드(sample pad), (b) 시료 내의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ion pad), (c)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 막(membrane), (d)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 패드(absorption pad), 및 (e)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결합 패드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을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용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항의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 면역 도트(immunodot) 어세이법, 루미넥스(Luminex) 어세이 시스템을 이용한 분석법 및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법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수행하는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에 의해,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특정 농도로 포함시켜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상업적인 B형 간염 바이러스 측정용 진단용 키트에 비하여 민감도가 약 1000배 증가된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광학밀도 8 내지 10의 농도로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 및 진단용 키트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 분야에서 저농도의 B형 간염 바이러스도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금 입자 및 융합 항체의 혼합 용액의 400 ~ 700 nm 범위에서의 UV 흡광 스펙트럼이다(적색: 금 입자만 포함하는 용액; 노랑색 및 파랑색: 금 입자 및 융합 항체가 포함된 혼합 용액).
도 2는 OD가 각각 8, 9, 10인 경우의 금 입자 및 융합 항체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제작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에 대하여 HBV 항원을 1 ng/ml ∼ 10 ug/ml의 농도로 시험한 결과이다[(A) OD가 각각 8인 경우, (B) OD가 각각 9인 경우, (C) OD가 각각 10인 경우].
도 3은 B형 간염 바이러스를 각 농도 별로 포함하는 시료에 대하여 본 발명의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으로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시험한 결과이다.
도 4는 B형 간염 바이러스를 각 농도 별로 포함하는 시료에 대하여 상업적으로 구매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으로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시험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광학밀도 8 내지 10의 농도로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이용하며, 이러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다클론 항체 또는 단일클론 항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일클론 항체이다.
다클론 항체는 상기한 B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을 동물에 주사하고 동물로부터 채혈하고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수득하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다클론 항체는 염소, 토끼, 양, 원숭이, 말, 돼지, 소, 개 등의 임의의 동물 종 숙주로부터 제조 가능하다.
단일클론 항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융합 방법(fusion method)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Kohler et al.,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6;511-519). 일반적으로,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항원 단백질을 주사한 마우스와 같은 면역학적으로 적합한 숙주 동물로부터의 면역 세포와 암 세포주를 융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런 두 집단의 세포 융합은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융합시키고 항체 생산 세포를 표준적인 배양 방법에 의해 증식시킨다. 한계 희석법(limited dilution)에 의한 서브 클로닝을 실시하여 균일한 세포 집단을 수득한 후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시험관 또는 생체 내에서 대량으로 배양한다.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단일 클론을 선별하기 위하여 통상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특이항체를 이용하여 방사능면역분석법(RIA), 효소면역흡착법(ELISA),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및 유세포 분석법 등이 있으며, 조직에서의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ry), ELISPOT을 이용한 분석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시료가 세포용출액이나 혈액인 경우 ELISA 기법으로 정량하고 있으며 조직인 경우는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세포인 경우는 ELISPOT이나 유세포 분석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하이브리도마 세포가 생산하는 단일클론 항체는 정제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겔 전기영동, 투석, 염 침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고순도로 정제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다클론 항체 또는 단일클론 항체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는 광학밀도 8 내지 10의 농도로 포함되나, 바람직하게는 광학밀도 10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항체가 생물학적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B형 간염 바이러스와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형성된 항원-항체 복합체를 검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생물학적 시료”란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뇌척수액, 뇨 등을 포함한다. 이들 생물학적 시료를 조작하거나 조작하지 않은 상태로 본 발명의 항체 또는 동일한 에피토프를 특이성을 가지는 항체와 반응시켜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원-항체 복합체"는 생물학적 시료 중의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응시킨 상기 B형 간염 바이러스와 단일클론 항체 또는 다클론 항체와의 결합물을 의미한다.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은 비색법(colormetric method), 전기화학법(electrochemical method), 형광법(fluorimetric method), 발광법(luminometry), 입자계수법(particle counting method), 육안측정법(visual assessment) 및 섬광계수법(scintillation counting method)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응용과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항원-항체 복합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 표지체를 사용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소입자, 방사성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들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검출 표지체로서 사용되는 효소로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β-D-갈락토시다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 HRP), β-라타마제 등을 포함하며, 형광물로는 플루오레세인, Eu3 +, Eu3 + 킬레이트 또는 크립테이트 등을 포함하며, 리간드로는 바이오틴 유도체 등을 포함하며, 발광물로는 아크리디늄 에스테르, 이소루미놀 유도체 등을 포함하며, 미소입자(microparticles)로는 콜로이드성 금 입자(colloidal gold particle), 착색된 라텍스(colored latex) 등을 포함하며, 방사성 동위원소로는 57Co, 3H, 125I, 125I-볼톤(Bonton) 헌터(Hunter) 시약 등을 포함한다. 상기 금 입자의 입자 사이즈는 바람직하게는 20 ∼ 5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4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항의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 면역 도트(immunodot) 어세이법, 루미넥스(Luminex) 어세이 시스템을 이용한 분석법 및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법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수행하는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측정을 위한 분석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 또는 루미넥스 어세이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이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은 최근 진단 면역학 분야에서 현장검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피검 시료 중에 피검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피검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특이적 결합물질을 고정화한 고정상에, 상기 피검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특이적 결합물질 및 표식성을 가지는 표지체의 융합체가 피검 물질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고정상에 결합된 표지체를 검출하는 방법에 의해 피검 시료 중의 피검 물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B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에 이용되는 분석방법의 경우에는, 생물학적 시료 내의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피검 물질이며, 이러한 피검물질이 샘플 패드에 적용되어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표지체와 결합된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와 반응을 하여 항원-항체 복합체 형태로 계속하여 전개된다. 이동하면서 반응막에 고정되어 있는 포획 항체와 한번 더 반응을 하여 샌드위치 형태의 복합체를 만든다. 포획 항체는 반응막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원-항체 반응이 계속하여 일어나면 복합체의 축적이 포획 항체의 고정면에서 이루어진다. 단백질은 육안으로는 투명하기 때문에 복합체의 생성 여부와 상대적인 양은 융합된 상기 표지체, 바람직하게는 콜로이드 금 입자의 검출에 의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 또는 이를 포함하는 키트를 사용하여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을 제공한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제조 방법은 통상적인 스트립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은, (a)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 패드(sample pad), (b) 시료 내의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ion pad), (c)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 막(membrane), (d)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 패드(absorption pad), 및 (e)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을 결합 패드에 포함할 수 있다.
샘플 패드는 시료, 즉 상기 언급된 생물학적 시료를 점적 등에 의해 적용시켜 스트립 내로 흡수시키는 것이며, 흡수된 시료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결합 패드를 통과하고 반응막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결합 패드는 표지체와 융합된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 나노입자와 융합체를 형성한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응막은 바람직하게는 니트로셀룰로오스(NC)막 및/또는 유리섬유(GF)막이다.
또한, 흡수 패드는 막의 반대편 말단에 위치하며 모세관 현상에 의해 막을 따라 이동한 생물학적 시료를 흡수하고, 지지체는 이러한 스트립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을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카세트(casette) 또는 막대(stick)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진단에의 정보 제공을 위한 분석에 매우 유용하며, 이는 종래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상업적 진단용 키트와는 달리 매우 낮은 검출 한계를 나타내어 저농도의 B형 간염 바이러스도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항체 및 금 입자의 결합
35 nm AuNPs(Au Nano Particles) 용액을 0.2 M K2CO3를 이용하여 pH 9로 맞추었다.
AuNPs 용액 10 ml에 0.1 mg의 항체(융합 항체[Conjugation antibody], Monoclonal mouse anti-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Boradabiotech)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30분간 상온에서 교반배양(shaking incubation)하였다. 1.5 ml 원심분리튜브(micro-centrifuge tube)에 1 ml씩 분주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0,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1% BSA(또는 0.5% 카제인[casein] 또는 1% PEG) 1 ml을 첨가하였다(1차 블록킹[blocking]에 해당함).
얻어진 혼합물을 30분간 상온에서 교반배양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0,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1% BSA(또는 0.5% 카제인 또는 1% PEG) 1 ml을 첨가하였다(2차 블록킹에 해당함).
얻어진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0,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제거하고 1% BSA(또는 0.5% 카제인 또는 1% PEG)로 최종 부피가 1 ml이 되도록 하였다.
최종 얻어진 혼합물에 대하여 OD(Opitcal Density)를 10으로 조절하여 하기 결합 패드의 제작에 사용하였다. OD의 측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금 입자 및 융합 항체의 혼합 용액 1 ml을 1/10 희석하여 UV 분광광도계(spectormeter)용 큐벳에 옮겨 담은 후, UV의 범위를 400 ~ 700 nm 범위로 설정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 입자 및 융합 항체가 융합되었을 경우에는 520 nm에서 측정되었던 스펙트럼의 피크(pick)가 오른쪽으로 이동(shift)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결합 패드의 구성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 패드(sample pad), 시료 내의 간염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e pad), 간염 바이러스 특이적 항체(포획[Capture] 항체, Anti-HBsAg, 1 mg/1ml, Boredabiotech)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 항체(Control antibody, Goat anti-Mouse IgG, Boredabiotech)를 포함하는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 막(membrane),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 패드(absorption pad),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을 제작하였다(융합 항체 및 AuNPs의 양 = 0.72 ± 0.12 ug/test).
3. OD 차이에 따른 HBV 항원에 대한 검출 감도의 비교 평가
금 입자 및 융합 항체의 혼합 용액의 OD가 각각 8, 9, 10인 경우에 대하여(1/10 희석액으로부터 계산한 값임), 각각의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을 제작하여 HBV 항원을 1 ∼ 50 ng/ml의 농도로 시험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A) OD가 각각 8인 경우, (B) OD가 각각 9인 경우, (C) OD가 각각 10인 경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OD가 8인 경우에는 50 ng/ml까지, OD가 9인 경우에는 10 ng/ml까지, OD가 10인 경우에는 5 ng/ml까지 검출되는 것으로 측정되어, OD가 10인 경우에 가장 검출 감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
상기 제작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금 입자 및 융합 항체의 혼합 용액의 OD가 10인 경우) 및 상업적으로 구매한 HBsAg 스트립[에스디 바이오센서(주)]에 대하여, HBV 항원을 1 ng/ml ~ 10 ug/ml의 농도로 시험한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작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에 있어서는 HBV 항원 농도 1 ng/ml까지 검출되었으나, 상업적으로 구매한 HBsAg 스트립에 있어서는 HBV 항원 농도 1 ug/ml까지 검출되었다.

Claims (8)

  1. (a)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 패드(sample pad),
    (b) 시료 내의 B형 간염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결합 패드(conjugation pad),
    (c)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선(test line) 및 대조선(control line)이 처리되어 있는 반응 막(membrane),
    (d) 잔량의 시료가 흡수되는 흡수 패드(absorption pad), 및
    (e) 지지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으로서,
    상기 결합 패드가 pH 9에서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와 금 나노입자의 혼합 후에 BSA로 2회 블록킹하여 형성된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입자 사이즈 35 nm인 콜로이드성 금 나노입자의 융합체를 광학밀도 10의 농도로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을 포함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용 키트.
  8. 삭제
KR1020160052929A 2016-04-29 2016-04-29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 KR10187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29A KR101878209B1 (ko) 2016-04-29 2016-04-29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29A KR101878209B1 (ko) 2016-04-29 2016-04-29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65A KR20170123465A (ko) 2017-11-08
KR101878209B1 true KR101878209B1 (ko) 2018-07-13

Family

ID=6038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929A KR101878209B1 (ko) 2016-04-29 2016-04-29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2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3143A1 (en) * 2006-12-11 2008-06-18 The Jordania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Co. Rapid immunochromatographic detection by amplification of the colloidal gold signal
EP1933146A1 (en) * 2006-12-11 2008-06-18 The Jordania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Co. Rapid immunochromatographic detection by amplification of the colloidal gold signal
KR20090116210A (ko) * 2008-05-06 2009-11-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글리피칸-3 측정용 분석방법을 이용한 암 진단 방법 및 암진단 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3143A1 (en) * 2006-12-11 2008-06-18 The Jordania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Co. Rapid immunochromatographic detection by amplification of the colloidal gold signal
EP1933146A1 (en) * 2006-12-11 2008-06-18 The Jordania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Co. Rapid immunochromatographic detection by amplification of the colloidal gold signal
KR20090116210A (ko) * 2008-05-06 2009-11-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글리피칸-3 측정용 분석방법을 이용한 암 진단 방법 및 암진단 키트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oheila Sabouri et al., Analytical Methods(2014), vol. 6, pp. 5059-5066. *
Soheila Sabouri et. al., A gold nanoparticle-based immunosensor for the chemiluminescence detection of the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nalytical Methods (2014), vol.6: 5059?5066. 1부. *
Xiaohui Wang et al.,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2010), vol. 26, pp. 404-410. *
비특허문헌1(20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65A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337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US103791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US89622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viral and bacterial infections
EP4249508A1 (en) Sars-cov-2 detection kit and sars-cov-2 detection method
US20210389318A1 (en) Lateral flow assays for differential isotype detection
JP2006522736A (ja) アシアロα1−酸性糖タンパクに対するモノクロナール抗体、モノクロナール抗体からなる免疫クロマトグラフィ用帯状片及びこの免疫クロマトグラフィ用帯状片を用いる肝疾患診断法
KR20090116210A (ko) 글리피칸-3 측정용 분석방법을 이용한 암 진단 방법 및 암진단 키트
CN109142753A (zh) 鳞状上皮细胞癌抗原化学发光免疫检测试剂盒及其制备方法
JPH11133023A (ja) 尿試料を使用する免疫クロマトグラフィー検定の尿素の影響を減らすための配合物
EP3859334A1 (en) Test piece for immunochromatography
KR101878209B1 (ko)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테스트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키트
KR20010025027A (ko) 면역측정시약 및 면역측정법
WO2022024925A1 (ja) シグナルの低下を改善した検査試薬
CN111868527B (zh) 试剂盒、测定试剂盒及测定方法
TW202219510A (zh) 藉由抑制偽陰性而改善特異性之檢查試劑
JP2001033453A (ja) リガンドの測定方法
JP7496582B2 (ja) SARS-CoV-2の検出キットおよびSARS-CoV-2の検出方法
JP4020606B2 (ja) Pivka−iiの測定方法
CN218099204U (zh) 免疫测定测试条
JP2006105910A (ja) 標的物質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試薬
WO2019163922A1 (ja) モノクローナル抗体および非特異反応抑制剤
WO2019163923A1 (ja) モノクローナル抗体および非特異反応抑制剤
CN111868526A (zh) 减少免疫测定中的干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