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573B1 -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573B1
KR101875573B1 KR1020170028379A KR20170028379A KR101875573B1 KR 101875573 B1 KR101875573 B1 KR 101875573B1 KR 1020170028379 A KR1020170028379 A KR 1020170028379A KR 20170028379 A KR20170028379 A KR 20170028379A KR 101875573 B1 KR101875573 B1 KR 10187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terminal
information
taxi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기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유영기
정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기, 정호진 filed Critical 유영기
Priority to KR102017002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서비스 서버에 의해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택시 승객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택시 승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택시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하고, 및 상기 선별된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상기 택시 승객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한다. 상기 택시 승객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택시 단말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 상기 택시 승객의 단말이 상기 비콘 신호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택시 승객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택시 승객이 탑승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택시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하는 것은 상기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택시 승객의 개인 정보를 기반한다. 상기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가 상기 택시 승객이 탑승하는 택시의 내부로 한정되도록 상기 비콘 신호의 송신 전력이 제어된다.

Description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ESTING INFORMATION AND CONTENTS}
본 발명은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시 내에 설치된 비콘을 기반으로 택시 승객의 개인 정보 등을 고려하여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버스, 지하철, 철도, 택시, 비행기 등과 같은 대중교통의 탑승객에 대하여 탑승 시간이 무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비행기의 경우에는 개인 좌석별로 영화나 오디오를 감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며, 지하철과 철도의 경우에는 객실마다 여러 대의 모니터가 설치되어 영화 예고편이나 광고 동영상, 그리고 공익광고 동영상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택시에는 일반적으로 DMB 단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대중교통의 탑승객에 제공하는 정보 및 컨텐트는 탑승객의 개인 정보 또는 관심사가 적용되어 있기 보다는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자 중심의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되어 왔다. 따라서, 승객은 제공되는 정보 및 컨텐트에 관심을 가지기 보다는 개인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 멀티미디어 단말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기존에 저장된 컨텐트를 소비하기 때문에, 대중교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및 컨텐트는 정보로서의 효용성을 가진다 보기는 어렵다.
다양한 대중교통 중 비행기의 경우 개별 탑승객이 능동적으로 제공 정보 및 컨텐트를 선택하고 비행기의 종착지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제공되는 정보 및 또는 컨텐트의 효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버스의 경우 다양한 승객들이 탑승하기 때문에 모든 승객의 개인 정보나 관심사가 반영된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반면, 택시의 경우 일인이 탑승하거나 또는 공통의 목적지 또는 유사한 관심사를 가지는 한 명 이상의 승객이 탑승하기 때문에, 탑승객(들)의 개인 정보나 공통의 관심사를 반영한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승객의 탑승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다른 대중교통 수단과 달리, 택시는 승객의 탑승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특정 승객의 승차 및 하차간 구간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승객마다 승차 및 하차 지역이 독립적이기 때문에, 승객의 승하차 여부 및 해당 승객에 대한 운행 정보를 고려하여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 및 컨텐트에 대해 승객이 집중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보상 제도가 함께 구비될 필요가 있다.
최근 무선 통신과 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한 과학의 진보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한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기술이 상당히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신 기술을 통해 위치, 개인 정보, 관심 정보 등은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자로 하여금 효용성 높은 정보를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승객의 승하차 상태 및 해당 승객과 관련된 운행 정보, 그리고 승객의 개인 정보 및 관심사를 고려하여 효용성이 높은 정보 및 컨텐트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택시 내에 설치된 비콘을 기반으로 택시 승객의 개인 정보 등을 고려하여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택시에 탑승한 승객에 효용성 있는 정보 및 컨텐트를 효율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서비스 서버에 의해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택시 승객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택시 승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택시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하고, 및 상기 선별된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상기 택시 승객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택시 승객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택시 단말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 상기 택시 승객의 단말이 상기 비콘 신호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택시 승객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택시 승객이 탑승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택시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하는 것은 상기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택시 승객의 개인 정보를 기반한다. 상기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가 상기 택시 승객이 탑승하는 택시의 내부로 한정되도록 상기 비콘 신호의 송신 전력이 제어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택시 단말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택시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하는 것은 상기 택시 승객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택시 승객의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택시 승객이 하차하였다고 결정하면, 상기 택시 승객에 대한 상기 선별된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을 중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택시 승객에 대한 상기 선별된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내역을 기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록된 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택시 승객에 리워드를 제공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된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선별된 정보 및 컨텐트에 상기 택시 승객이 접속할 수 있도록 푸시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알림은 상기 선별된 정보 및 컨텐트가 저장된 URL 정보 및 상기 URL로의 접근 인증을 위한 개인 키(Private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된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을 중단하는 것은 상기 개인 키를 폐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택시 단말, 승객 단말 및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택시 단말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모듈, 상기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택시 승객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택시 승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택시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택시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승객 단말은 상기 택시 단말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비콘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택시 단말로 전송하는 비콘 모듈,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택시 단말 및 상기 승객 단말과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택시 승객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택시 승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택시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 선별하는 서비스 프로세서, 다른 정보 및 컨텐트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서버 연동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 신호의 수신을 기반으로 승객의 탑승 여부 및 하차 여부가 결정되고,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 및 제공 중단된다. 별도의 단말 태깅이나 입력 절차 없이 자동으로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이 관리되기 때문에 정보 제공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승차 여부 결정을 위한 시그널 교환 중에 승객의 개인 정보가 단말이나 서버로 제공될 수 있어, 승객의 관심도가 높은 정보 및 컨텐트가 선별적으로 승객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 내역에 따른 리워드가 승객에 제공되기 때문에 승객의 관심을 보다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택시 단말(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2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관심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관심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택시 운행에 있어 승객의 승하차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택시 운전자의 직접적인 단말 조작이나, 승객의 요금 지불 등 별도의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비콘과 같은 무선 통신 기법을 활용하면 기사나 승객의 별도 동작이 필요 없이 무선 신호의 교환을 통해 승객의 승차 및 하차가 효율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에는 승하차 여부 뿐만 아니라 승객과 관련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택시 승객에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콘을 기반으로 한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택시에 설치된 택시 단말(100), 승객 단말(200), 서비스 서버(300),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택시 단말, 승객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망은 CDMA, WCDMA, LTE(-A) 등 무선 이동통신망뿐만 아니라, 유선망을 포함한다. 택시 단말 및 승객 단말은 통신망을 경유하지 않고도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직접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택시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장치로서, 통신망을 통해 서버(300)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인터넷 망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앞좌석 시트의 뒷면에 설치되어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에게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RES(Rear Seat Entertainmen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HUD(Head Up display), 택시의 대시보드에 설치되어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에게 위치기반 컨텐트 정보를 제공하는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택시의 룸미러에 설치되어 앞/뒷자석에 탑승한 승객에게 위치기반 컨텐트 정보를 제공하는 RMD(Room Mirror Display) 및 차량의 유리를 대체하도록 설치되어 앞/뒷자석에 탑승한 승객에게 위치기반 컨텐트 정보를 제공하는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승객에게 정보 및 컨텐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단말(1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택시 단말(1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택시 단말(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택시 단말(100)은 인터페이스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통신 모듈(130), 프로세서(140), 및 스토리지 유닛(15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10)은 택시 단말(100)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택시 기사로부터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택시 기사는 인터페이스 유닛(110)을 통해 승객 탑승에 따른 주행 시작 및 종료를 관리하거나, 요금 계산 등을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110)은 차량의 주행 안내를 위한 네비게이션 제어 정보 입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스토리지 유닛(150)에 저장되어 있거나, 서비스 서버(300),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0)은 택시 단말(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GPS 모듈, CDMA, WCDMA, 및 LTE(-A) 등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모듈, WiFi 모듈, 및 비콘 송수신을 위한 비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4.0 이후 버전인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비콘 모듈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택시 단말(100)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 신호의 송수신 반경(커버리지)은 택시 내 또는 승객이 탑승하는 택시 인접 구간까지로 설정될 수 있도록 비콘 모듈의 송수신 전력이 설정될 수 있다. 비콘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비콘 신호는 비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택시 단말(100)이 구비된 택시에 대한 고유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 유닛(110) 및 통신 모듈(130)을 통해 수신된 입력 정보, 데이터, 수신된 정보 및 컨텐트를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택시 단말(100)에 탑재된 본 발명의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통신 모듈(130)의 동작을 관리하고, 특히 비콘 모듈을 관리하여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승객 단말(200)로부터 응답 신호 수신 이를 처리하여 서버(300)로 관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50)은 택시 승객에 제공될 수 있는 정보 및 컨텐트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정보 및 컨텐트는 택시 기사에 의해 수동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300, 400, 500)와의 연동을 통해 저장 및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차량의 E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택시의 실제 주행 정보(예: 속도, 이동 거리, 현재 위치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택시 단말(100)은 차량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불가분적인 구성으로 설명 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택시 단말의 통신 모듈은 택시 기사의 개인 휴대용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차량에 기본 탑재된 택시 단말과 개인 휴대용 단말이 연동됨으로써 하나의 택시 단말로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200)은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버(300, 400, 5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100)의 비콘 모듈로부터 전송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다. 승객 단말(200)은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비콘 응답 메시지를 택시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승객 단말(200)은 처리된 비콘 신호 관련 정보 및 승객과 관련된 개인 정보 등을 함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100) 및 하나 이상의 서버(300, 400, 500)에 액세스 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를 승객에게 표시해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승객 단말(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2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객 단말(200)은 인터페이스 유닛(210), 디스플레이 유닛(220), 통신 모듈(230), 프로세서(240), 및 스토리지 유닛(25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유닛(210)은 승객 단말(100)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승객으로부터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승객은 인터페이스 유닛(210)을 통해 승객 단말(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다. 승객은 제공되는 정보 및 컨텐트를 인터페이스 유닛(210)을 통하여 계속 시청/열람할지 또는 중단할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은 인터페이스 유닛(210)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푸시 알림 등을 계속 열람할지 및 제공된 URL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버(300, 400, 500)에 접근할지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스토리지 유닛(250)에 저장되어 있거나, 서비스 서버(300),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승객 단말(2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GPS 모듈, CDMA, WCDMA, 및 LTE(-A) 등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모듈, WiFi 모듈, 및 비콘 송수신을 위한 비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콘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4.0 이후 버전인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비콘 모듈은 택시 단말(100)의 비콘 모듈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함으로써 비콘 신호 내 정보를 프로세서(24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인터페이스 유닛(210) 및 통신 모듈(230)을 통해 수신된 입력 정보, 데이터, 수신된 정보 및 컨텐트를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승객 단말(200)에 탑재된 본 발명의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통신 모듈(230)의 동작을 관리하고, 특히 비콘 모듈을 관리하여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비콘 응답 메시지를 택시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250)은 승객과 관련된 개인 정보, 관심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250)에 저장된 승객 관련 정보는 택시 단말(100)의 비콘 신호 수신에 대한 응답인 비콘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택시 단말(100)로 전송되거나, 비콘 신호를 처리한 후 처리된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때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및 컨텐트 제공을 위한 시스템 전반을 관리 및 제어하고, 택시 단말(100) 및 승객 단말(200)에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한다. 마케팅 서버(400)는 택시 단말(100) 및 승객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는 마케팅 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서버(400)는 쇼핑몰 사이트를 위한 서버,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컨텐트 서버(500)는 택시 단말(100) 및 승객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저장하고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서버(500)는 동영상이나 음악 스트리밍을 위한 서버, 게임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단말 연동부(310), 서비스 제어부(320), 마케팅 서버 연동부(330), 및 컨텐트 서버 연동부(340)를 포함한다.
단말 연동부(310)는 택시 단말(100) 및 승객 단말(200)과 연동하며,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프로세서(320)로 전달한다. 단말 연동부(310)는 택시 단말(100) 및 승객 단말(200)에 제공될 정보 및 컨텐트를 전달한다. 단말 연동부(310)는 택시 단말(100) 및/또는 승객 단말(200)로부터 비콘 신호의 고유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승객의 탑승 여부 및 탑승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 연동부(310)는 승객의 탑승 여부, 탑승 상태에 대한 내역을 서비스 제어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20)는 단말 연동부(310)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택시 단말(100) 및 승객 단말(200)에 제공할 정보 및 컨텐트를 관리 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20)는 전달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승객의 택시 탑승 여부 판단, 승객의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 및 컨텐트를 단말 연동부(310)를 통해 단말들에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20)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 및 컨텐트 중 선별하여 단말에 제공하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마케팅 서버 연동부(330) 및 컨텐트 서버 연동부(440)를 통해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서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는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로부터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것은, 실제 정보를 직접적으로 단말들에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 대한 단말의 접근 권한을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상술한 시스템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은 비콘을 기반으로 승객의 탑승 여부 확인 단계(S410), 비콘 고유 정보, 승객 개인 정보, 및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승객 관심 정보 및 컨텐트 선별(S420), 선별된 관심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단계(S430) 및 보상 제공 단계(S440)를 포함한다.
승객의 탑승 여부 확인 단계(S410)는 택시 단말(100)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콘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에서 전송되는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는 택시 내부 또는 택시의 최 인접 구간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 시 승객이 탑승하고자 하는 택시 내부로 진입하면, 승객 단말(200)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승객 단말(1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포함된 비콘 고유 정보를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 승객 단말(2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기간 중에는 지속적으로 고유 정보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승객 단말(200)은 특정 시간 동안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저장되어 있는 고유 정보를 폐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승객 단말(200)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비콘의 고유 정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승객의 탑승 여부는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승객 단말(2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택시 단말(100)에 비콘 응답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비콘 응답 메시지는 승객 단말(20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탑승 승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탑승 승객에 대한 정보는 성별, 연령, 관심 정보의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2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획득된 비콘의 고유 정보와 탑승 승객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탑승 승객에 대한 정보는 성별, 연령, 관심 정보의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비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승객이 탑승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승객 탑승에 따라, 택시 단말(100)은 탑승 승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승객에 제공할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한다(S420). 택시 단말(100)은 탑승 승객 정보와 함께 운행 정보(예: 현재 승객의 목적지 등)를 함께 고려하여 제공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승객 정보 중 성별, 연령, 관심 컨텐트 분야를 고려하여 승객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택시 단말(100)은 탑승 승객의 목적지를 고려하여 목적지와 관련된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다.
승객과 관련된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한 택시 단말(100)은 해당 정보 및 컨텐트를 승객에게 제공한다(S430). 정보 및 컨텐트를 승객에 제공함에 있어서, 택시 단말(100)은 스토리지 유닛(15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및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택시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승객에 제공할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 받고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 단말(200)로부터 비콘 고유 정보를 수신하면 승객이 택시에 탑승하였으며, 어떤 택시에 탑승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승객 탑승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는 탑승 승객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승객에 제공할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다(S420).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 정보와 함께 운행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제공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는데, 운행 정보는 택시 단말(200)로부터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 정보 중 성별, 연령 관심 컨텐트 분야를 고려하여 승객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의 목적지를 고려하여 목적지와 관련된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정보 및 컨텐트를 승객에게 제공한다(S430). 정보 및 컨텐트를 승객에 제공함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300)는 스토리지 유닛(35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및 컨텐트를 승객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300)는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및 컨텐트를 수신하여 승객 단말(200)에 전달하거나, 승객 단말(200)이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택시 단말(100) 및 서비스 서버(300)에 의한 정보 및 컨텐트 제공은 승객의 하차에 따라 종료될 수 있다.
일 예로, 승객이 하차함에 따라 택시 단말(100)의 미터요금 관련 처리가 초기화되면 승객의 하차로 판단하여 택시 단말(100)이 대기 모드로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승객 단말(200)과의 연동이 종료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승객이 하차함에 따라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100)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의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승객 단말(200)은 더 이상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택시 단말(100)로 전송할 수 없다. 특정 시간 동안 승객 단말(200)로부터 비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택시 단말(100)은 승객이 하차했다 판단하고, 해당 승객에 대한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승객 단말(200)은 더 이상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 이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 단말(200)로부터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면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 단말(200)의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로의 액세스로의 허용을 불허할 수 있다.
택시 탑승 기간 동안 택시 단말(100) 및 승객 단말(200)을 통해 승객에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에 대한 정보인 서비스 제공 정보가 서비스 서버(300)로 제공된다. 택시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해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된 시간,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승객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 승객 단말(200)이 접속하여 획득된 정보 및 광고가 승객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을 통해 제공된 시간,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는, 서비스 서버(300)는 자체적으로 승객 단말(200)에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정보를 수신 또는 자체 획득한 서비스 서버(300)는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에 대한 보상을 승객에 제공할 수 있다(S440). 즉, 제공된 정보 및 컨텐트 중 마케팅 광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마케팅 광고가 승객에 제공되었는지, 얼마나 제공 되었는지를 서비스 제공 정보를 통해 파악하고, 이에 상응하는 보상을 승객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관심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예시는 승객이 오프라인에서 택시를 잡아 승차하는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객이 승차하면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100)의 비콘 커버리지로 진입한다(S511). 비콘 커버리지로 진입한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12). 비콘 신호에는 택시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비콘 고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비콘 신호를 수신한 승객 단말(200)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비콘 응답 메시지를 택시 단말(100)로 전송한다(S513). 비콘 응답 메시지에는 승객 단말(200)을 소지한 승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승객 정보는 승객 단말(200)을 소지한 승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SIM 카드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승객 정보는 승객 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 정보, 승객 단말(2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설치 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되어 있는 승객 개인 정보(예, 성별, 나이, 결혼 유무, 관심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수신한 승객 단말(200)은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514).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는 비콘 고유 정보 및 승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비콘 고유 정보를 통하여 자신의 DB에 있는 택시 리스트와 맵핑하여 현재 승객의 택시 탑승 여부를 확인하고 및 탑승한 택시를 식별할 수 있다.
비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택시 단말(100)은 승객 탑승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515). 승객 탑승 정보는 승객 정보 및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정보는 승객이 탑승한 현 위치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목적지 정보는 탑승한 승객이 요청한 목적지를 택시 기사가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입력함으로써 택시 단말(10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 때, 목적지 정보는 네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승객의 정보를 수신한 택시 단말(100) 및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에 제공할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한다(S521, S522).
택시 단말(100)은 승객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응답 메시지의 승객 정보 및 탑승지, 목적지 등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택시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한다. 예를 들어, 택시 단말(100)은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된 정보 및 컨텐트 등 탑승 승객의 목적지 인근과 관련된 장소들 중 승객의 관심사, 연령, 성별등을 고려하여 승객의 관심도가 높은 장소의 서비스 정보, 업체 광고 등을 선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 탑승 정보의 승객 정보 및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가 자체적으로 구비한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거나 또는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 구비되어 있는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선별된 정보 및 컨텐트를 택시 단말(100)을 통해 제공하기 위해 택시 단말(100)로 선별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523).
택시 단말(100)은 자체적으로 선별한 정보 및 컨텐트 및 선별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정보 및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승객에 제공한다(S531).
승객은 택시 단말(10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 받음에 있어 수신 의사가 없는 경우 택시 단말(10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시 단말(100)이 목적지에 위치한 상점의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승객이 원하지 않는 경우 정보 제공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다수의 정보 및 컨텐트 중 특정 정보 및 컨텐트를 선택하여 제공 받을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승객에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되고 있는 현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제공 내역을 자체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정보는 하차시 제공되는 리워드와 연관될 수 있으므로, 택시 단말(100)은 광고가 승객에 제공된 내역 등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선별한 정보 및 컨텐트를 승객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S532). 전송의 유형으로, 서비스 서버(300)가 직접 정보 및 컨텐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거나, 푸시 알림을 통해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로 액세스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서버(300)가 푸시 알림을 승객 단말(200)에 전송할 때, 서비스 서버(300)는 접속 인증을 위한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승객 단말(200)은 푸시 알람을 통해 마케팅 서버(400) 또는 컨텐트 서버(500)에 접속요청시 프라이빗 키를 전송하여 인증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에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되고 있는 현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제공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승객은 택시로부터 하차한다(S541). 이 때,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100)의 비콘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된다. 택시 단말(100)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의 전송을 계속 하는데, 승객 단말이 비콘 커버리지를 벗어나면 비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S542). 가장 최근의 비콘 신호 전송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승객 단말(200)로부터 비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택시 단말(100)은 승객이 하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승객 단말(200)의 이동을 기초로 승객이 하차여부를 판단하고 택시 단말(100)은 대기모드로 진입한다.
가장 최근의 비콘 신호 수신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구간 내에 택시 단말(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승객 단말(200)은 비콘 미수신 알림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543). 비콘 미수신 알림 메시지는 가장 최근 수신한 비콘 신호의 고유 정보 및 비콘 미수신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미수신 알림 메시지를 승객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승객 단말(200)이 하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승객이 하차하였다고 결정한 택시 단말(100)은 그 동안 모니터링 및 수집하였던 승객 단말(200)에 대한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 정보가 포함된 하차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544).
해당 승객 단말(200)이 하차하였다고 결정한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승객 단말(200)에 대한 정보 및 컨텐트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S551). 푸시 알림의 전송이 중단되며,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 대한 액세스를 해지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하차한 승객의 승객 단말(200)에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리워드를 제공한다(S552). 승객에 제공되는 리워드는 택시 단말(100)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 및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승객에 제공되는 리워드는 승객이 접촉한 정보 및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특정 광고 매체를 시청한 내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광고 내역과 관련된 포인트 또는 상품권 등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제공되는 유료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사용되는 포인트를 리워드로서 승객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에 대한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한 택시 단말(100)에도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택시 단말(100)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에 제공되는 리워드는 택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상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인트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관심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예시는 승객이 온라인 콜택시를 통해 승차하는 예시이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300)는 콜택시 서비스를 위한 서버와 추가로 연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객 단말(200)은 택시 승차를 위한 배차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601). 배차 요청 메시지는 승객 단말(200)의 현재 위치, 목적지, 승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객 정보는 승객 단말(200)을 소지한 승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SIM 카드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승객 정보는 승객 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 정보, 승객 단말(2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설치 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되어 있는 승객 개인 정보(예: 성별, 나이, 결혼 유무, 관심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 단말(200)의 현위치, 목적지 등 배차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직접 택시를 선별할 수 있다. 또는, 배차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배차 정보를 복수의 택시 단말(100)로 전달하고, 최선으로 응답한 택시를 해당 승객을 위한 배차로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이에 따라 배차 지시 메시지를 해당 택시 단말(100)로 전송한다(S612). 배차 지시 메시지는 승객 단말(200)의 현위치, 목적지 및 승객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차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300) 택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차 알림 메시지를 승객 단말(200)로 전송한다(S603). 배차 알림 메시지에는 택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데, 특히 택시의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신호와 관련된 비콘 고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배차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배정된 택시는 승객의 현위치로 이동한다. 승객의 탑승에 따라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100)의 비콘 커버리지로 진입한다(S611). 비콘 커버리지로 진입한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2). 비콘 신호에는 택시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비콘 고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승객 단말(200)은 배차 알림 메시지로부터 수신한 비콘 고유 정보와 택시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택시가 자신을 위해 배차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자신을 위해 배차된 차량으로 판단하고,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비콘 응답 메시지를 택시 단말(100)로 전송한다(S613). 또한, 승객 단말(200)은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614).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는 비콘 고유 정보 및 승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의 비콘 고유 정보를 승객이 배차된 택시에 정상적으로 승차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
온라인 콜택시를 통한 탑승의 경우, S601 단계에서 승객의 정보 및 운행 정보가 서비스 서버(300)로 이미 제공되기 때문에, 승객 탑승 후 택시 단말(100)에 의한 승객 탑승 정보 전송을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경우에 따라 승객 탑승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는데(S615), 이는 택시 단말(100)이 배치 지시 메시지에 포함된 승객 정보 및 운행 정보와 상이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를 조건부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차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목적지가 변경되어, 택시 기사가 별도의 목적지로 운행하는 경우, 신규 목적지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알리기 위해 택시 단말(100)은 승객 탑승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S515 단계와 유사하게, 신규 목적지 정보는 택시 기사의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한 입력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승객의 정보를 수신한 택시 단말(100) 및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에 제공할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한다(S621, S622).
택시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배차 지시 메시지 및 승객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택시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한다. 예를 들어, 택시 단말(100)은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된 정보 및 컨텐트 등 탑승 승객의 목적지 인근과 관련된 장소들 중 승객의 관심사, 연령, 성별등을 고려하여 승객의 관심도가 높은 장소의 서비스 정보, 업체 광고 등을 선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 탑승 정보의 승객 정보 및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가 자체적으로 구비한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거나 또는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 구비되어 있는 정보 및 컨텐트를 선별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선별된 정보 및 컨텐트를 택시 단말(100)을 통해 제공하기 위해 택시 단말(100)로 선별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23).
택시 단말(100)은 자체적으로 선별한 정보 및 컨텐트 및 선별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정보 및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승객에 제공한다(S631).
승객은 택시 단말(10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 받음에 있어 수신 의사가 없는 경우 택시 단말(10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시 단말(100)이 목적지에 위치한 상점의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승객이 원하지 않는 경우 정보 제공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다수의 정보 및 컨텐트 중 특정 정보 및 컨텐트를 선택하여 제공 받을 수 있다.
택시 단말(100)은 승객에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되고 있는 현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제공 내역을 자체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정보는 하차시 제공되는 리워드와 연관될 수 있으므로, 택시 단말(100)은 광고가 승객에 제공된 내역 등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선별한 정보 및 컨텐트를 승객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S632). 전송의 유형으로, 서비스 서버(300)가 직접 정보 및 컨텐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거나, 푸시 알림을 통해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로 액세스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서버(300)가 푸시 알림을 승객 단말(200)에 전송할 때, 서비스 서버(300)는 접속 인증을 위한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승객 단말(200)은 푸시 알람을 통해 마케팅 서버(400) 또는 컨텐트 서버(500)에 접속요청 시 프라이빗 키를 전송하여 인증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에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되고 있는 현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제공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승객은 택시로부터 하차한다(S641). 이 때, 승객 단말(200)은 택시 단말(100)의 비콘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된다. 택시 단말(100)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의 전송을 계속 하는데, 승객 단말이 비콘 커버리지를 벗어나면 비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S642). 가장 최근의 비콘 신호 전송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승객 단말(200)로부터 비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택시 단말(100)은 승객이 하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가장 최근의 비콘 신호 수신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구간 내에 택시 단말(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승객 단말(200)은 비콘 미수신 알림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643). 비콘 미수신 알림 메시지는 가장 최근 수신한 비콘 신호의 고유 정보 및 비콘 미수신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미수신 알림 메시지를 승객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승객 단말(200)이 하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승객이 하차하였다고 결정한 택시 단말(100)은 그 동안 모니터링 및 수집하였던 승객 단말(200)에 대한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 정보가 포함된 하차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644).
해당 승객 단말(200)이 하차하였다고 결정한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승객 단말(200)에 대한 정보 및 컨텐트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S651). 푸시 알림의 전송이 중단되며, 마케팅 서버(400) 및 컨텐트 서버(500)에 대한 액세스를 해지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하차한 승객의 승객 단말(200)에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리워드를 제공한다(S652). 승객에 제공되는 리워드는 택시 단말(100)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 및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승객에 제공되는 리워드는 승객이 접촉한 정보 및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특정 광고 매체를 시청한 내역이 있는 경우,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광고 내역과 관련된 포인트 또는 상품권 등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제공되는 유료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사용되는 포인트를 리워드로서 승객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서버(300)는 승객에 대한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한 택시 단말(100)에도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택시 단말(100)에 의해 수집된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택시 단말(100)에 제공되는 리워드는 택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상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인트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 신호의 수신을 기반으로 승객의 탑승 여부 및 하차 여부가 결정되고, 정보 및 컨텐트가 제공 및 제공 중단된다. 별도의 단말 태깅이나 입력 절차 없이 자동으로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이 관리되기 때문에 정보 제공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승차 여부 결정을 위한 시그널 교환 중에 승객의 개인 정보가 단말이나 서버로 제공될 수 있어, 승객의 관심도가 높은 정보 및 컨텐트가 선별적으로 승객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보 및 컨텐트의 제공 내역에 따른 리워드가 승객에 제공되기 때문에 승객의 관심을 보다 유도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서비스 서버, 택시 단말 및 승객 단말을 포함하는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의해 택시 승객에게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택시 단말에서 상기 택시 단말로부터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상기 승객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상기 승객 단말이 상기 택시 단말로부터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이 상기 택시 단말로, 상기 승객 단말의 성별, 연령, 관심 정보의 유형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수신한 비콘 신호의 식별 정보, 상기 승객 단말의 성별, 연령, 관심 정보의 유형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수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택시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비콘 응답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승객 단말의 탑승 여부 및 탑승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승객의 개인 정보, 상기 승객 단말의 탑승 여부 및 상기 택시 단말의 실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컨텐트를 상기 택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택시 단말에서, 승객의 탑승 위치 및 승객의 목적지를 입력 받고, 상기 승객의 개인 정보, 승객의 탑승 위치, 승객의 목적지에 대한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승객 단말로 제공할 컨텐트를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에서 선별하는 단계;
    상기 택시 단말에서, 상기 승객의 목적지와 관련된 장소들 중 상기 승객 단말의 성별, 연령, 관심 정보의 유형을 고려하여 서비스 정보 및 업체 광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택시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결정한 서비스 정보 및 업체 광고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컨텐트 중에서 선별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승객 단말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함을 요청하기 위한 푸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에서 상기 푸시 알림을 확인하여 상기 컨텐트에 관련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승객 단말로 컨텐트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라이빗 키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에서 상기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에서 상기 컨텐트 서버로부터 선별된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승객 단말에서 상기 선별된 컨텐트를 시청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상기 택시 단말에서 가장 최근의 비콘 신호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승객 단말로부터 비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승객 단말에서 상기 가장 최근의 비콘 신호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택시 단말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그리고 상기 택시 단말의 미터요금 관련 처리가 초기화된 경우 상기 승객 단말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을 기초로, 상기 승객 단말은 비콘 미수신 알림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택시 단말이 대기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택시 단말과 상기 승객 단말과의 연동이 종료되고, 상기 택시 단말은 상기 승객 단말이 탑승한 동안 수집한 상기 승객 단말의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하차 정보 및 상기 승객 단말에서 시청한 컨텐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에 대한 컨텐트 선별, 컨텐트 제공 및 푸시 알림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승객 단말의 컨텐트 서버에 대한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이 시청한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승객 단말에게 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이 시청한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제공된 포인트를 산출하는 단계;및
    상기 산출된 포인트를 상기 택시 단말에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용과 상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심 정보 및 컨텐트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28379A 2017-03-06 2017-03-06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7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79A KR101875573B1 (ko) 2017-03-06 2017-03-06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79A KR101875573B1 (ko) 2017-03-06 2017-03-06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573B1 true KR101875573B1 (ko) 2018-07-06

Family

ID=6292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379A KR101875573B1 (ko) 2017-03-06 2017-03-06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195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카이 멀티 프로젝션 기술 기반 가상현실열차를 위한 미디어 플랫폼
KR102225062B1 (ko) 2020-05-08 2021-03-10 황철운 콜택시 고객 유치 및 관리를 통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155425A (ko) * 2020-06-15 2021-12-23 주식회사 스쿨버스 통학차량 커머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516A (ko) * 2012-07-06 2014-01-16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위치 기반 콘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18400B1 (ko) * 2015-01-14 2015-05-12 송치헌 대중교통 탑승객을 위한 비콘 기반의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50121491A (ko) * 2014-04-21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비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29896A (ko) *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커넥티드에잇 비콘 신호 인식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516A (ko) * 2012-07-06 2014-01-16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위치 기반 콘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1491A (ko) * 2014-04-21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비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29896A (ko) *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커넥티드에잇 비콘 신호 인식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18400B1 (ko) * 2015-01-14 2015-05-12 송치헌 대중교통 탑승객을 위한 비콘 기반의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195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카이 멀티 프로젝션 기술 기반 가상현실열차를 위한 미디어 플랫폼
KR102201196B1 (ko) * 2018-08-09 2021-01-12 주식회사 카이 멀티 프로젝션 기술 기반 가상현실열차를 위한 미디어 플랫폼
KR102225062B1 (ko) 2020-05-08 2021-03-10 황철운 콜택시 고객 유치 및 관리를 통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155425A (ko) * 2020-06-15 2021-12-23 주식회사 스쿨버스 통학차량 커머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8078B1 (ko) * 2020-06-15 2022-08-04 주식회사 스쿨버스 통학차량 커머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287B1 (ko) 자율 차량 서비스들
JP7229186B2 (ja) ライドシェア管理システム、ライドシェア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85377B2 (ja) エコタクシー配車支援システム
US63568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fficient transportation route
KR101174688B1 (ko) 실시간 버스 정보를 이용한 승객 하차 지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395945B (zh) 车载信息传递系统和方法
US20150310379A1 (en) Shared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20020135515A1 (en) Information system for travellers
KR101875573B1 (ko) 택시 승객에 관심 정보 및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515548B2 (en) Transit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1686587B2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driving support system, and driving support method
JP2022510788A (ja) 自律型車両のための複数の目的地への移動
CN111144684A (zh) 车辆调度系统、服务器和信息处理方法
JP2022000811A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7359083B2 (ja) 配車計画装置、配車計画システム、及び配車計画プログラム
JP2021018623A (ja) 配車支援装置および配車支援システム
JP7152288B2 (ja) 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22960A (ja) 列車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電子乗車券情報を用いた予約システム
KR20040093879A (ko) 통신망을 통한 운송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1089478A (ja) 相乗移動支援システム
JP2021152761A (ja) 配車管理装置、配車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24433A (ko)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JP2021081803A (ja) 提供システム
JP2022155311A (ja) 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
CN114077248A (zh) 服务器、车辆运行管理方法、车辆以及车辆运行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