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558B1 -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558B1
KR101875558B1 KR1020160164762A KR20160164762A KR101875558B1 KR 101875558 B1 KR101875558 B1 KR 101875558B1 KR 1020160164762 A KR1020160164762 A KR 1020160164762A KR 20160164762 A KR20160164762 A KR 20160164762A KR 101875558 B1 KR101875558 B1 KR 10187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exchange
horizontal
exchange pip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649A (ko
Inventor
노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신영씨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씨티씨 filed Critical (주)신영씨티씨
Priority to KR102016016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5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2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multiple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F28F2255/08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pressed; stamped; deep-dra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F28F2255/16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의 열교환용 플레이트를 갖춘 트위스트 형태의 이중 파이프 구조를 채택하여, 전열면적 극대화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제작성 향상은 물론 제조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일러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열교환 파이프를 트위스트 형태로 꼬여 있는 이중 파이프 구조로 형성하여 파이프 단위 길이당 전열면적을 극대화하고, 또 연소배기의 열을 열교환 파이프에 전달하는 역할의 열교환 플레이트를 열교환 파이프 성형 시에 일체로 형성한 새로운 형태의 열교환 파이프를 구현함으로써, 충분한 전열면적 확보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교환 파이프 및 열교환 플레이트 일체 성형으로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Heat exchanger pipes of boil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형의 열교환용 플레이트를 갖춘 트위스트 형태의 이중 파이프 구조를 채택하여, 전열면적 극대화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제작성 향상은 물론 제조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공건물에 설치 사용되는 보일러는 기름이나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이를 버너를 통해 연소시킨 다음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냉수를 예열한 후에 이렇게 예열된 온수를 열교환기를 통해 직접 가열하여 난방용이나 온수용 등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연소기이다.
이러한 보일러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열교환 파이프들을 지나는 난방수를 데워주는 현열부 열교환기와, 연소실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을 통해 배기가스의 잠열(潛熱)로 열교환 파이프들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냉수를 가열하는 잠열부 열교환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보일러의 열교환기는 가스나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버너부를 통해 가열되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시킨 후, 난방 및 급탕에 필요한 물로 전환하는 장치로서, 대부분의 열교환기는 소정 용적을 갖도록 제작되어 있는 케이스 내에 여러 개의 열교환 핀을 적층 형태로 배치하고, 이들 열교환 핀에 직교방향으로는 그 내부로 여러 개의 열교환 파이프를 설치하되, 이 열교환 파이프로 난방수 또는 온수가 흐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저부로는 버너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 내에서는 버너부의 연소배기열이 열교환 핀을 통해 열교환 파이프로 전달되면서 열교환 파이프의 내부를 흐르는 물 온도가 올라가도록 하는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기존 보일러의 열교환기에서 채택하고 있는 열교환 파이프의 경우 단일 직선관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 길이당 전열면적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는 등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 파이프의 둘레에 다수 개의 열교환 핀을 용접으로 부착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작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열교환 파이프 주변을 점유하고 있는 열교환 핀으로 인해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져야 하는 등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325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10109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일러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열교환 파이프를 트위스트 형태로 꼬여 있는 이중 파이프 구조로 형성하여 파이프 단위 길이당 전열면적을 극대화하고, 또 연소배기의 열을 열교환 파이프에 전달하는 역할의 열교환 플레이트를 열교환 파이프 성형 시에 일체로 형성한 새로운 형태의 열교환 파이프를 구현함으로써, 충분한 전열면적 확보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교환 파이프 및 열교환 플레이트 일체 성형으로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는 보일러 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 파이프로서, 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과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이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져 있는 트위스트 형태를 취하는 2열의 나란한 일체식의 제1열교환 파이프와 제2열교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의 수평관 부분과 제2열교환 파이프의 수평관 부분은 서로 좌우에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고, 제1열교환 파이프의 수직관 부분과 제2열교환 파이프의 수직관 부분은 서로 위아래에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와 제2열교환 파이프의 수평관 부분 사이 및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와 제2열교환 파이프의 수직관 부분 사이에는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는 파이프 몸체를 2겹으로 편평하게 압착시킨 파이프 일체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제조 방법은 보일러 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열교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통상의 파이프 인발기에서 일정 직경의 파이프를 인발 성형하는 제1단계와, 파이프 인발 라인 상에 순차 배치되어 있는 상하작동용 프레스와 좌우작동용 프레스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가압 성형하면서 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과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이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져 있는 트위스트 형태를 취하는 2열의 나란한 일체식의 제1열교환 파이프와 제2열교환 파이프를 성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제1열교환 파이프와 제2열교환 파이프의 수평관 부분 사이 및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와 제2열교환 파이프의 수직관 부분 사이에는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를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의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는 파이프 몸체를 2겹으로 편평하게 압착시킨 파이프 일체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이 열교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트위스트 형태로 꼬여 있는 동시에 2열로 나란한 이중 파이프 구조의 열교환 파이프를 채택함으로써, 동일한 길이의 단일 직선관 대비 파이프 단위 길이당 전열면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또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물을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2개의 경로로 분할 및 분산시키는 형태로 진행시킴에 따라 파이프측과의 접촉면적을 많게 하면서 파이프 중심부를 흐르는 물까지의 전열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는 등 전체적으로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파이프 조관기나 파이프 인발기 등과 같은 통상의 파이프 성형기를 이용하여 열교환 파이프를 성형할 때, 순차 배치되는 수직 프레스 및 수평 프레스를 이용하여 열교환기 파이프 성형과 동시에 열교환기 플레이트를 일체로 함께 성형하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공수 단축에 따른 제작성 향상은 물론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열교환 파이프가 차지하는 공간 내에 열교환 플레이트가 배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점유율을 줄여 열교환기 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 파이프는 전열면적 극대화에 따른 열교환 효율의 향상은 물론 제작성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위해 일체형의 열교환용 플레이트를 갖춘 트위스트 형태의 이중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교환 파이프는 트위스트 형태를 취하면서 2열의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체식의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에는 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지는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10a,10b)과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11a,1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평관 부분(10a)과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b)은 서로 좌우에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고,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직관 부분(11a)과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직관 부분(11b)은 서로 위아래에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는 수평 방향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10a)과 수직 방향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는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11a)이 서로 반복해서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13)는 수평 방향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10b)과 수직 방향으로 윗쪽에 배치되는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11b)이 서로 반복해서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평관 부분(10a)과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b)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면서 함께 대략적인 원 또는 타원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직관 부분(11a)과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직관 부분(11b)은 동일 수직면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면서 함께 대략적인 원 또는 타원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평관 부분(10a)과 수직관 부분(11a)의 경계 부분과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b)과 수직관 부분(11b)의 경계 부분은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내부를 흐르는 물은 수평관 부분으로 분기되어 흐르다가 경계 부분에서 합쳐진 후에 다시 수직관 부분에서 합쳐진 다음에 재차 수평관 수평관 부분으로 분기되어 흐르는 등 합침과 분기를 반복하는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 파이프를 트위스트 형태로 꼬여 있는 이중 파이프 구조의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로 구성함으로써, 파이프 단위 길이당 전열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등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는 연소배기의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열교환 플레이트를 파이프 일체형으로 형성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a,10b) 사이, 즉 각 수평관 부분(10a,10b) 사이에 조성되는 내측 영역에는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가 일체 형성되고, 이와 더불어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직관 부분(11a,11b) 사이, 즉 각 수직관 부분(11a,11b) 사이에 조성되는 내측 영역에는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는 파이프 몸체를 2겹으로 편평하게 압착시킨 판 형태를 이루며 파이프 일체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a,10b) 사이의 내측 영역과 수직관 부분(11a,11b) 사이의 내측 영역에 파이프 살 자체를 압착시켜 만든 파이프 일체형의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로 채워지게 되므로서, 열교환 플레이트를 갖춘 열교환 파이프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열교환 파이프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판 형태의 넓은 면적을 가지는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로 전해지는 연소배기의 열이 이와 접해 있는 수평관 부분(10a,10b)과 수직관 부분(11a,11b)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게 되는 등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 파이프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파이프 인발기를 통해 파이프를 인발하는 과정에서 2개의 프레스 설비를 이용하여 열교환 플레이트를 성형함과 동시에 수평관 부분과 수직관 부분을 같이 성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파이프 인발기는 스텐파이프, 철파이프, 동파이프 등의 파이프를 인발하는 분야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설비이고, 프레스 설비 또한 보통의 프레스 가공 시에 사용하는 통상의 설비이므로, 각 설비의 구동 메카니즘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단계로서, 통상의 파이프 인발기(16)에서 일정 직경의 파이프를 인발 성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인발기 다이에 소재를 통과시켜서 기계력으로 잡아당기는 일반적인 파이프 인발 가공을 통해 열교환 파이프의 소재가 되는 파이프를 성형한다.
다음, 제2단계로서, 제1단계에서 성형한 파이프에 수평관 부분(10a,10b)과 수직관 부분(11a,11b)을 가지는 제1열교환 파이프(12) 및 제2열교환 파이프(13)를 성형하는 동시에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도 함께 성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파이프 인발 라인 상에 위아래로 동작하는 한쌍의 프레스 해머(19a)를 가지는 상하작동용 프레스(16)와 좌우로 동작하는 한쌍의 프레스 해머(19b)를 가지는 좌우작동용 프레스(17)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 해머(19a,19b)의 전면(파이프를 가압하는 면)은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파이프 인발기(16)로부터 인발되는 파이프 소재(20)가 파이프 인발 라인을 따라 진행되고, 이렇게 진행되는 파이프 소재(20)를 가운데 두고 위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상하작동용 프레스(17)의 한쌍의 프레스 해머(19a)가 작동되면서 파이프 소재(20)를 가압하게 되므로서, 바깥쪽으로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10a,10b)은 물론 이와 동시에 안쪽으로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가 성형된다.
계속해서, 파이프 소재(20)의 진행방향 기준으로 상하작동용 프레스(17)의 한 피치(수평관 부분의 길이 중간과 수직관 부분의 길이 중간 사이의 거리) 뒷쪽에 위치되어 있는 좌우작동용 프레스(18)의 한쌍의 프레스 해머(19b), 즉 파이프 소재(20)를 가운데 두고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프레스 해머(19b)가 작동되면서 파이프 소재(20)를 가압하게 되므로서, 바깥쪽으로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11a,11b)은 물론 이와 동시에 안쪽으로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가 성형된다.
이때, 상기 상하작동용 프레스(17)의 프레스 헤머(19a)와 좌우작동용 프레스(18)의 프레스 해머(19b)는 한 피치 간격을 두고 파이프 소재 진행방향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동시에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하작동용 프레스(17) 및 좌우작동용 프레스(18)의 1회 프레스 작동 시,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10a,10b) 및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11a,11b) 및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가 동시에 성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a,10b) 사이 및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직관 부분(11a,11b) 사이에 각각 성형되는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는 파이프 소재 몸체를 2겹으로 편평하게 압착시킨 파이프 일체형의 형태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인발기(16)로부터 인발 성형되는 파이프 소재(20)에 대해 상하작동용 프레스(17)와 좌우작동용 프레스(18)를 이용한 프레스 성형이 실시되므로서, 수평관 부분(10a,10b) 및 그 사이의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관 부분(11a,11b) 및 그 사이의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를 포함하는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 일체형의 열교환 파이프(21)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열교환 파이프(21)는 직경이 작은 2개의 관(제1,2열교환 파이프)로 분할되어 있는 관계로 하나의 관으로 되어 있는 기존 동일 외경을 가지는 열교환 파이프 대비 높은 열교환 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관 형태로 되어 있는 열교환 파이프의 경우, 관 외곽을 흐르는 물은 관 표면에 근접한 관계로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지만 관 중심을 흐르는 물은 관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있기 때문에 열교환 작용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전체적으로 열교환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2개의 관으로 분할되어 있는 본 발명의 열교환 파이프의 경우, 관 표면에서 관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관 외곽을 흐르는 물은 물론 관 중심을 흐르는 물도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후속 단계로서,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 일체형의 열교환 파이프(21)를 소정의 형태, 예를 들면 다수의 나란한 직선 구간(22)들이 지그재그 배치형상의 다수의 밴딩 구간(23)에 의해 이어진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보일러 등에 사용되는 열교환 파이프 용도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트위스트 형태로 꼬여 있는 이중 파이프 구조를 이룸과 더불어 열교환 플레이트를 일체로 가지는 형태의 열교환 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전열면적 확보에 따른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의 방열핀 등을 제작할 필요가 없는 등 적은 비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열교환 파이프의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10a,10b : 수평관 부분
11a,11b : 수직관 부분
12 : 제1열교환 파이프
13 : 제2열교환 파이프
14 :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
15 :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
16 : 파이프 인발기
17 : 상하작동용 프레스
18 : 좌우작동용 프레스
19a,19b : 프레스 해머
20 : 파이프 소재
21 : 열교환 파이프
22 : 직선 구간
23 : 벤딩 구간

Claims (6)

  1. 보일러 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 파이프에 있어서,
    파이프 인발기에서 일정 직경으로 인발 성형된 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10a,10b)과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11a,11b)이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져 있는 트위스트 형태를 취하는 2열의 나란한 일체식의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평관 부분(10a)과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b)은 서로 좌우에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고,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직관 부분(11a)과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직관 부분(11b)은 서로 위아래에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a,10b) 사이 및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직관 부분(11a,11b) 사이에는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는 파이프 몸체를 2겹으로 편평하게 압착시킨 파이프 일체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평관 부분(10a)과 수직관 부분(11a)의 경계 부분과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b)과 수직관 부분(11b)의 경계 부분은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내부를 흐르는 물은 수평관 부분으로 분기되어 흐르다가 경계 부분에서 합쳐진 후에 다시 수직관 부분에서 합쳐진 다음에 재차 수평관 수평관 부분으로 분기되어 흐르는 합침과 분기를 반복하는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보일러 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열교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상의 파이프 인발기(16)에서 일정 직경의 파이프(19)를 인발 성형하는 제1단계;
    파이프를 가압하는 전면이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스 해머를 가지면서 파이프 인발 라인 상에 순차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각이 가지는 프레스 헤머는 한 피치의 간격을 두고 파이프 소재 진행방향 앞뒤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동시에 작동될 수 있는 상하작동용 프레스(17)와 좌우작동용 프레스(18)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가압 성형하면서 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호(弧) 형상의 수평관 부분(10a,10b)과 호(弧) 형상의 수직관 부분(11a,11b)이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져 있는 트위스트 형태를 취하는 2열의 나란한 일체식의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를 성형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는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a,10b) 사이 및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직관 부분(11a,11b) 사이에는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수평 열교환 플레이트(14)와 수직 열교환 플레이트(15)는 파이프 몸체를 2겹으로 편평하게 압착시킨 파이프 일체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의 수평관 부분(10a)과 수직관 부분(11a)의 경계 부분과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수평관 부분(10b)과 수직관 부분(11b)의 경계 부분은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12)와 제2열교환 파이프(13)의 내부를 흐르는 물은 수평관 부분으로 분기되어 흐르다가 경계 부분에서 합쳐진 후에 다시 수직관 부분에서 합쳐진 다음에 재차 수평관 수평관 부분으로 분기되어 흐르는 합침과 분기를 반복하는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제조 방법.
  6. 삭제
KR1020160164762A 2016-12-06 2016-12-06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 KR101875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762A KR101875558B1 (ko) 2016-12-06 2016-12-06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762A KR101875558B1 (ko) 2016-12-06 2016-12-06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49A KR20180064649A (ko) 2018-06-15
KR101875558B1 true KR101875558B1 (ko) 2018-07-06

Family

ID=6262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762A KR101875558B1 (ko) 2016-12-06 2016-12-06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5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087A (ja) * 2004-02-03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
KR20090103154A (ko) * 2008-03-27 2009-10-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제조장치의 압착롤러와 이를 구비하는열교환기용 튜브 제조장치 및 열교환기용 튜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091A (ja) 1995-08-02 1997-04-15 Higashihara Kogyosho:Kk 熱交換用管
JP2003232597A (ja) 2002-02-08 2003-08-22 Matsushita Refrig Co Ltd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087A (ja) * 2004-02-03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
KR20090103154A (ko) * 2008-03-27 2009-10-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제조장치의 압착롤러와 이를 구비하는열교환기용 튜브 제조장치 및 열교환기용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49A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589B2 (en) Fin-and-tube type heat exchanger and water heater including the same
US8622030B2 (en) Spiral heat exchanger for producing heating and/or sanitary use hot water, specifically designed for condensation applications
CN107388852B (zh) 一种气气高温换热器
EP3399269A1 (en) Double-row bent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40174424A1 (en) Heat exchanger and gas-fired furnace comprising the same
WO2015174055A1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却装置
EA031073B1 (ru) Печь с циклотермическим обогревом
KR101875558B1 (ko) 보일러의 열교환 파이프 및 제조 방법
CN207585398U (zh) 一种多热源换热器
CN103471440B (zh) 管翅式换热器及其组件
JP7484074B2 (ja)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水装置
CN103196306A (zh) 新型汽车散热器
JP2013011410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水装置
CN203116564U (zh) 新型汽车散热器
CN103940263A (zh) 暖气热水器
CN105890399A (zh) 换热器
KR101156294B1 (ko) 콘덴싱 보일러의 기둥형 2차 열교환기
CN206060429U (zh) 一种冷却器
CN204438527U (zh) 冷凝式燃气采暖热水炉换热器
CN203323600U (zh) 暖气热水器
JP2013104591A (ja) 熱交換器
CN203964748U (zh) 管翅式换热器及其组件
CN211502849U (zh) 一种热风炉用内翅片管
CN102162410A (zh) 一种逆流换热式回热器
JP6254364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用の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