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167B1 -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167B1
KR101875167B1 KR1020160055332A KR20160055332A KR101875167B1 KR 101875167 B1 KR101875167 B1 KR 101875167B1 KR 1020160055332 A KR1020160055332 A KR 1020160055332A KR 20160055332 A KR20160055332 A KR 20160055332A KR 101875167 B1 KR101875167 B1 KR 10187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sound source
drive signa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224A (ko
Inventor
정원민
유성종
김화진
Original Assignee
(주)이산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산로봇 filed Critical (주)이산로봇
Priority to KR102016005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1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 정보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Speaker Device, and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Speaker Device}
본 발명은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원 정보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MP3 플레이어와 같이 개인이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소지가 일반화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은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본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을 소지한 사용자는 각각의 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직접 작동조정함으로써 사용상태를 전환하게 되는데, 근래에는 멀리 덜어진 기기들을 단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케이블 없이 상호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무선기술을 적용하여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 있다.
한편, 휴대용 기기에서 발신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등의 무선기술을 적용하여 쉽게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상용화되었다.
한편, 스피커(speaker) 또는 스피커장치는 전기 신호를 소리로 바꿔주는 전자기계적 변환기이다. 스피커는 형태에 따라 혼(horn) 형, 콘(corn) 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구동 원리에 따라 다이나믹형, 마그네틱형, 콘덴서형, 크리스털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스피커는 발생음역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는데, 높은 주파수의 소리는 파장이 짧고 낮은 주파수의 소리는 파장이 길므로, 일반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소리의 재생에는 작은 크기의 스피커가 유리하고, 낮은 주파수의 소리의 재생에는 큰 크기의 스피커가 유리하다.
따라서, 스피커장치가 소형임에도 불구하고 광대역의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면, 휴대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재생 기기와 연결하여 작은 볼륨에서도 웅대한 스케일의 소리를 재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넓은 주파수 재생 대역을 만들려면 앰프에서 IC 디자인, 즉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능률 값을 올려 낮은 주파수 대역의 저음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능률 값을 높이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응답주파수 값이 아주 없거나 너무 낮아서 IC가 증폭할 수 있는 한계 수치보다 낮다면 평균 음압레벨을 원하는 주파수까지 확장하기 어렵다.
한편, 위와 같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에 의하여 음원 데이터를 전송받아 재생을 하는 스피커의 경우 음악재생의 용도만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스피커의 용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 10-1439418 '소켓형 LED 블루투스 스피커' (2014.9.11. 등록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음원 정보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로서, 상부케이싱부; 상기 상부케이싱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싱부; 상기 상부케이싱부 및 상기 하부케이싱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 및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통신부, 상기 스피커부,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피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판부는 상부기판부 및 하부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 제어부, 스피커부, 휠구동모듈부 중 1 이상은 상기 상부기판부에 배치되고, 상기 무선통신부, 제어부, 스피커부, 휠구동모듈부 중 나머지는 상기 하부기판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기판부는 상부기판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부는 하부기판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접속부와 상기 하부기판접속부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원데이터 및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음원데이터가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 주파수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LED모듈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데이터 및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음원데이터가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 주파수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를 포함하는 스피커시스템으로서, 상기 스피커장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 및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LED모듈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인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외부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피커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 및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음원데이터를 로드하는 음원데이터로드단계;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파수영역변환단계;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상기 휠구동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LED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를 상기 스피커장치에 전송하는 구동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신호생성단계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를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로 분리하는 주파수대역분리과정;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추출하는 영역데이터추출과정; 및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인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외부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피커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음원데이터를 로드하는 음원데이터로드단계;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파수영역변환단계;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상기 휠구동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제1 구동신호를 상기 스피커장치에 전송하는 구동신호전송단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는: 상기 음원데이터를 로드하는 음원데이터로드단계;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파수영역변환단계;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스피커장치의 휠구동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스피커장치의 LED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를 상기 스피커장치에 전송하는 구동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는: 상기 음원데이터를 로드하는 음원데이터로드단계;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파수영역변환단계;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스피커장치의 휠구동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제1 구동신호를 상기 스피커장치에 전송하는 구동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음악에 따라서 스피커장치가 춤을 추는 듯한 동작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스피커장치가 음악에 따라서 조명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역동적인 음악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스피커장치가 음악에 따라서 춤을 추는 듯한 동작을 하고 동시에 조명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음악방송을 보는 듯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음원 데이터로부터 자연스러운 춤동작 및 조명동작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스피커장치 춤동작 및 조명동작을 더욱 잘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음원 데이터로부터 자연스러운 춤동작 및 조명동작을 추출함에 있어서 처리부하 및 통신부하에 있어서 낮은 부하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피커장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는 낮은 연산처리 능력과 메모리를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음악에 따라 춤을 추는 동작을 수행하고, 조명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는 단순히 음원데이터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원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에 따라 스피커장치가 춤을 추는 듯하게 움직이고, 또한 LED모듈부에서 음원에 맞추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색상과 타이밍으로 발광을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원재생에 대한 청각적 효과와 더불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따르면 특정 음색에 대하여 규칙적인 동작 및 조명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에게 음악에 상응하는 동작적 및 조명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분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기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의 세부과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에서 수행되는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음원 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영역데이터로부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새부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구동모듈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세부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1000)의 분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외부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1000)로서, 스피커 기능을 하는 모듈로서 스피커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부(260)는 형태에 있어서 혼(horn) 형, 혹은 콘(corn) 형을 포함하고, 구동 원리에 있어서 다이나믹형, 마그네틱형, 혹은 콘덴서형, 크리스털형를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스피커장치(1000)는 상부케이싱부(100); 및 상기 상부케이싱부(100)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싱부(300)에 의하여 케이싱부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싱부(100)는 바닥면이 비어있는 형태의 상부케이싱본체(110) 및 상기 상부케이싱본체(110)의 일면에 형성된 스피커홀(11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싱본체(110)의 재질, 혹은 상부케이싱본체(110)의 상면의 재질은 후술하는 LED모듈부(240)에서 발광하는 빛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는 투명 혹은 반투명의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케이싱부(300)는 하부케이싱바닥면(310) 및 상기 하부케이싱바닥면(3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하부케이싱지지대(3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상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물리적인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상부케이싱부(100) 및 상기 하부케이싱부(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부(200);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기판부(200)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1000)를 구동하는 복수의 모듈들이 구비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부(200)상에 전기적으로 접속이 된다.
본 명세서에서, “A가 B상에 배치된다”는 것은 B가 A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A가 B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전기적이나 혹은 물리적으로 접속 혹은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신호 입력이나 전원을 공급받는 유선접속부(21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선접속부(210)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유선접속형태의 단자이고, 예를 들어 USB커넥터, 마이코크로 5핀커넥터, 30핀 커넥터들이 이에 해당할 수 있고, 일반적인 전자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선접속부(210)는 상기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른 구동모듈에 전원 혹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유선접속부(210)에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유선접속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부(220)는 스피커장치(1000)의 여러 모듈들을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른 구동모듈에 전원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및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230)는 바람직하게는 MCU로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2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모듈부(240)는 상부에 위치한 기판부(200)에 복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LED모듈부(240)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LED모듈부가 적색 빛을 발광할 때, 제2 LED모듈부가 청색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10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2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휠구동모듈부(250)는 복수로 구비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2개의 휠구동모듈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구동모듈부(250)는 휠, 및 상기 휠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휠구동모듈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왼쪽의 제1 휠구동모듈이 1m/s로 전진하는 방향으로 휠이 구동될 때, 오른쪽의 제2 휠구동모듈은 0.5m/s로 후진하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휠구동모듈부(250)에서는 휠의 구동방향 및 구동속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부(260)는 형태에 있어서 혼(horn) 형, 혹은 콘(corn) 형을 포함하고, 구동 원리에 있어서 다이나믹형, 마그네틱형, 혹은 콘덴서형, 크리스털형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사용자단말기와 무선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27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부(270)를 통하여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스피커부(260)에서 재생되는 음원데이터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250) 및 상기 LED모듈부(24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고,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270)는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혹은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오디오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및 WiFi 통신 모듈, IrDA 기반의 적외선 통신 모듈, 무선 랜(WLAN), 와이브로(WiBro) 모듈, 무선 USB(Wireless USB)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기판부(200)는 상부기판부(200.1) 및 하부기판부(200.2)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접속부(210), 배터리부(220), 무선통신부(270), 제어부(230), 스피커부(260), 휠구동모듈부(250) 중 1 이상은 상기 상부기판부(200.1)에 배치되고, 상기 유선접속부(210), 배터리부(220), 상기 무선통신부(270), 제어부(230), 스피커부(260), 휠구동모듈부(250) 중 나머지는 상기 하부기판부(200.2)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부(200.1)는 상부기판접속부(28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부(200.2)는 하부기판접속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접속부(280)와 상기 하부기판접속부(290)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상부케이싱부(100)와 상기 하부케이싱부(300)의 결합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내부 공간에 다양한 모듈들을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배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기판부(200.1)와 상기 하부기판부(200.2)는 상기 상부기판접속부(280)와 상기 하부기판접속부(29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및 전력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기판부(200)상의 각각의 모듈 배치에 있어서도 보다 제약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1000)의 기판부(200)에서의 모듈의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판부(200) 에서의 모듈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2개의 기판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기판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1000)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상부케이싱본체(110)의 내측면에 휠구동모듈부(250)의 휠이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싱본체(110)의 스피커홀(110)과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는 스피커부(260)가 동축상에서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상기 휠구동모듈부(250)의 모터 사이에 상기 스피커부(260)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구동모듈부(250)의 모터가 상기 스피커부(260)의 측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상기 상부케이싱본체(110)와 상기 하부케이싱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모듈부(240)는 상기 상부기판부(200.1)에 배치되고, LED모듈부(240)에서 발광되는 광은 투명 혹은 반투명 재질의 상기 상부케이싱본체(110)의 상면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1000)를 포함하는 스피커시스템이다.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고,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스피커장치(1000)는 단순히 음원데이터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원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에 따라 스피커장치(1000)가 춤을 추는 듯하게 움직이고, 또한 LED모듈부(240)에서 음원에 맞추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색상과 타이밍으로 발광을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원재생에 대한 청각적 효과와 더불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따르면 특정 음색에 대하여 규칙적인 동작 및 조명을 작동시키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에게 음악에 상응하는 동작적, 조명적 효과 및 이에 따른 리듬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장치(1000)가 춤을 추는 듯하게 움직이게 하는 구동신호 및 음악에 따른 LED모듈부(240)의 구동신호는 상기 음원데이터로부터 분석되어 추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시스템에서는 상기 음원데이터의 분석 및 추출이 상기 스피커장치(100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단말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우수한 연산능력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음원데이터의 분석 및 추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장치(1000)의 제어부(230) 혹은 프로세서, 저장장치는 고스펙을 요구하지 않고 이로서 상기 스피커장치(1000)의 제조단가가 낮아지고, 처리연산능력보다는 자체적인 기계적 구동능력 및 내부적 견고성에 대하여 중점을 둘 수 있다. 또한, 음원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음원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에서 원래의 음원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휠구동모듈부(250)와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스피커장치(1000)의 이동 및 발광에 있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1000)의 기판부(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기판부(200)는 상기 기판부(200)는 상부기판부(200.1) 및 하부기판부(200.2)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200)에 배치되는 모듈들 중 일부는 상기 상부기판부(200.1)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부(200)에 배치되는 모듈들 중 나머지는 상기 하부기판부(200.2)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유선접속부(210), 배터리부(220), 무선통신부(270), 제어부(230), 스피커부(260), 휠구동모듈부(250) 중 1 이상은 상기 상부기판부(200.1)에 배치되고, 상기 유선접속부(210), 배터리부(220), 상기 무선통신부(270), 제어부(230), 스피커부(260), 휠구동모듈부(250) 중 나머지는 상기 하부기판부(200.2)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부(200.1)는 상부기판접속부(28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부(200.2)는 하부기판접속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접속부(280)와 상기 하부기판접속부(290)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상부케이싱부(100)와 상기 하부케이싱부(300)의 결합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내부 공간에 다양한 모듈들을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배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기판부(200.1)와 상기 하부기판부(200.2)는 상기 상부기판접속부(280)와 상기 하부기판접속부(29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및 전력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기판부(200)상의 각각의 모듈 배치에 있어서도 보다 제약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B)를 참조하여 상기 기판부(200)에 배치되는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신호 입력이나 전원을 공급받는 유선접속부(21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선접속부(210)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유선접속형태의 단자이고, 예를 들어 USB커넥터, 마이코크로 5핀커넥터, 30핀 커넥터들이 이에 해당할 수 있고, 일반적인 전자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선접속부(210)는 상기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른 구동모듈에 전원 혹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유선접속부(210)에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유선접속부(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부(220)는 스피커장치(1000)의 여러 모듈들을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른 구동모듈에 전원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및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230)는 바람직하게는 MCU로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2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모듈부(240)는 상부에 위치한 기판부(200)에 복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LED모듈부(240)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LED모듈부(240)가 적색 빛을 발광할 때, 제2 LED모듈부(240)가 청색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10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2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휠구동모듈부(250)는 복수로 구비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2개의 휠구동모듈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구동모듈부(250)는 휠, 및 상기 휠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휠구동모듈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왼쪽의 제1 휠구동모듈이 1m/s로 전진하는 방향으로 휠이 구동될 때, 오른쪽의 제2 휠구동모듈은 0.5m/s로 후진하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휠구동모듈부(250)에서는 휠의 구동방향 및 구동속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부(260)는 형태에 있어서 혼(horn) 형, 혹은 콘(corn) 형을 포함하고, 구동 원리에 있어서 다이나믹형, 마그네틱형, 혹은 콘덴서형, 크리스털형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기판상에 사용자단말기와 무선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27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부(270)를 통하여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상기 스피커부(260)에서 재생되는 음원데이터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250) 및 상기 LED모듈부(24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고,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270)는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혹은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오디오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및 WiFi 통신 모듈, IrDA 기반의 적외선 통신 모듈, 무선 랜(WLAN), 와이브로(WiBro) 모듈, 무선 USB(Wireless USB)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휠구동모듈부(250) 및 상기 LED모듈부(24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는 상기 음원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음원데이터가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 주파수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다.
이와 같은 시간에 따른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는 것은 푸리에 변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은 시간에 대한 데이터(e.g. 신호)를 그 진동수로 분해하는 작업으로서, 음악에서 어떤 화음을 그 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의 진폭(시끄러운 정도)에 따라 표현하는 것과 유사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시간에 대한 함수의 푸리에 변환 결과는 진동수에 대한 복소함수이며, 그 절대값은 원래 함수에서 해당 진동수가 존재하는 양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FFT(고속 푸리에 변환, Fast Fourier Transform) 이 이용될 수 있고, FFT는 이산 푸리에 변환(영어: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과 그 역변환을 빠르게 수행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이 변환된 상기 주파수데이터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데이터는 10Hz ~ 50Hz 까지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 및 50Hz ~ 100Hz 까지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다. 즉, 서로 다른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구분되지만, 실시예에 따라 서로 겹치는 대역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데이터가 1HZ ~ 1000HZ 까지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하는 경우, 이에 대해 20 HZ ~ 100HZ 까지의 데이터를 생성 혹은 분리하고, 90 HZ ~ 150HZ 까지의 데이터를 생성 혹은 분리하고 120 HZ ~ 300 HZ 까지의 데이터를 생성 혹은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각각 2개의 구동신호, 예를 들어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 및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M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N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M<N). 예를 들어, 5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각각 2개의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5개의 주파수대역 중 1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추출하고, 나머지 4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포함한다. 주파수데이터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휠구동모듈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일정대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LED모듈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일정대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서로 다른 구동신호가 추출되지만, 서로 겹치는 (OVERLAPPED) 영역이 있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서로 다른 구동신호가 추출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주파수대역에서의 데이터를 기초하여 각각의 영역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와 같은 영역데이터를 분류, 가공, 판별, 함수입력의 2차적인 가공을 함으로써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대역, 제2 주파수대역이 있다고 가정 시에, 각각의 주파수대역의 평균값, 누적값, 최빈값, 최대값, 혹은 판별값으로 각각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영역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와 같은 영역데이터를 선택, 분류, 가공, 판별, 함수입력 중 1 이상의 2차적인 가공을 함으로써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영역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예를 들어 1000Hz ~ 5000Hz 사이의 주파수데이터로 휠구동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한다고 가정 시, 1000Hz ~ 5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1000Hz ~ 5000Hz 사이의 값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에 대하여 기 설정된 함수에 입력함으로써 휠구동모듈의 속도를 산출함.
(실시예 2)
예를 들어 100Hz ~ 1000Hz 사이의 주파수데이터로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한다고 가정 시, 100Hz ~ 1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100Hz ~ 1000Hz 사이의 값들의 누적값을 구하고, 설정된 누적값에 대하여 판별식을 대입하여 발광시나리오 1, 2, 3, 4, 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
0<누적값<50 : 발광시나리오 1
50<누적값<100 : 발광시나리오 2
100<누적값<150 : 발광시나리오 2
150<누적값<200 : 발광시나리오 2
(실시예 3)
예를 들어 1000Hz ~ 5000Hz 사이의 주파수데이터로 휠구동모듈부(250) 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한다고 가정 시, 1000Hz ~ 2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1000Hz ~ 2000Hz 사이의 값들의 제1 평균값을 구하고, 2000Hz ~ 3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2000Hz ~ 3000Hz 사이의 값들의 제2 평균값을 구하고, 3000Hz ~ 4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3000Hz ~ 4000Hz 사이의 값들의 제3 평균값을 구하고, 4000Hz ~ 5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4000Hz ~ 5000Hz 사이의 값들의 제4 평균값을 구하고, 이후 제1 평균값 내지 제4 평균값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최대값을 갖는 영역을 구한 후, 해당 영역에 따른 기 설정된 방향 및 속도로 2개의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는 2개의 신호를 포함하는 제1 구동신호를 생성.
최대값이 제1 평균값인 경우: 좌측 휠구동모듈부(250) 및 우측휠구동모듈부(250) 구동방향 반대, 속도는 제1 평균값 * 0.01(혹은 기 설정된 값)
최대값이 제2 평균값인 경우: 좌측 휠구동모듈부(250) 및 우측휠구동모듈부(250) 구동방향 동일(전진), 속도는 제1 평균값 * 0.03(혹은 기 설정된 값)
최대값이 제3 평균값인 경우: 좌측 휠구동모듈부(250) 및 우측휠구동모듈부(250) 구동방향 동일(후진), 속도는 제1 평균값 * 0.03(혹은 기 설정된 값)
최대값이 제4 평균값인 경우: 좌측 휠구동모듈부(250) 및 우측휠구동모듈부(250) 구동방향 반대, 속도는 제1 평균값 * 0.05(혹은 기 설정된 값)
(실시예 4)
예를 들어 1000Hz ~ 5000Hz 사이의 주파수데이터로 휠구동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한다고 가정 시, 1000Hz ~ 5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1000Hz ~ 5000Hz 사이의 값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에 대하여 기설정된 함수에 입력함으로써 휠구동모듈부(250)의 속도를 산출하고, 2개의 휠구동모듈부(250)의 동작방향은, 전진-전진, 후진-전진, 전진-후진, 후진-후진 중 랜덤하게 선택한다.
즉, 상기 주파수데이터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스피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스피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인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장치(1000)에서 이와 같은 방법이 수행되는 범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피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이고, 상기 스피커장치(10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10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250); 및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24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음원데이터를 로드하는 음원데이터로드단계(S110);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파수영역변환단계(S120);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상기 휠구동모듈부(2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LED모듈부(2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단계(S130); 및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를 상기 스피커장치(1000)에 전송하는 구동신호전송단계(S1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장치(1000)가 LED모듈부(240)만 구비하는 경우, 휠구동모듈부(250)만 구비하는 경우에 대한 스피커장치(1000) 및 스피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제1 구동신호 혹은 제2 구동신호만을 생성한다.
한편, 상기 주파수영역변환단계(S120)에서 시간에 따른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는 것은 푸리에 변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은 시간에 대한 데이터(e.g. 신호)를 그 진동수로 분해하는 작업으로서, 음악에서 어떤 화음을 그 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의 진폭(시끄러운 정도)에 따라 표현하는 것과 유사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시간에 대한 함수의 푸리에 변환 결과는 진동수에 대한 복소함수이며, 그 절대값은 원래 함수에서 해당 진동수가 존재하는 양을 나타낸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FFT(고속 푸리에 변환, Fast Fourier Transform) 이 이용될 수 있고, FFT는 이산 푸리에 변환(영어: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과 그 역변환을 빠르게 수행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의 세부과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신호생성단계(S130)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분리하는 주파수대역분리과정(S131);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추출하는 영역데이터추출과정(S132); 및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과정(S133)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다. 즉, 서로 다른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구분되지만, 실시예에 따라 서로 겹치는 대역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데이터가 1HZ ~ 1000HZ 까지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하는 경우, 이에 대해 20 HZ ~ 100HZ 까지의 데이터를 생성 혹은 분리하고, 90 HZ ~ 150HZ 까지의 데이터를 생성 혹은 분리하고 120 HZ ~ 300 HZ 까지의 데이터를 생성 혹은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각각 2개의 구동신호, 예를 들어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 및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M개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N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M<N). 예를 들어, 5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각각 2개의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5개의 주파수대역 중 1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추출하고, 나머지 4개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구동신호는 제1 구동신호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구동신호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주파수데이터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따라서 휠구동모듈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일정대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LED모듈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일정대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서로 다른 구동신호가 추출되지만, 서로 겹치는 (OVERLAPPED) 영역이 있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서로 다른 구동신호가 추출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주파수대역에서의 데이터를 기초하여 각각의 영역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와 같은 영역데이터를 분류, 가공, 판별, 함수입력의 2차적인 가공을 함으로써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대역, 제2 주파수대역이 있다고 가정 시에, 각각의 주파수대역의 평균값, 누적값, 최빈값, 최대값, 혹은 판별값으로 각각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영역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와 같은 영역데이터를 선택, 분류, 가공, 판별, 함수입력 중 1 이상의 2차적인 가공을 함으로써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영역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기본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예를 들어 1000Hz ~ 5000Hz 사이의 주파수데이터로 휠구동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한다고 가정시, 1000Hz ~ 5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1000Hz ~ 5000Hz 사이의 값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에 대하여 기설정된 함수에 입력함으로써 휠구동모듈의 속도를 산출함.
(실시예 2)
예를 들어 100Hz ~ 1000Hz 사이의 주파수데이터로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한다고 가정시, 100Hz ~ 1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100Hz ~ 1000Hz 사이의 값들의 누적값을 구하고, 설정된 누적값에 대하여 판별식을 대입하여 발광시나리오 1, 2, 3, 4, 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
0<누적값<50 : 발광시나리오 1
50<누적값<100 : 발광시나리오 2
100<누적값<150 : 발광시나리오 2
150<누적값<200 : 발광시나리오 2
(실시예 3)
예를 들어 1000Hz ~ 5000Hz 사이의 주파수데이터로 휠구동모듈부(250) 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한다고 가정시, 1000Hz ~ 2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1000Hz ~ 2000Hz 사이의 값들의 제1 평균값을 구하고, 2000Hz ~ 3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2000Hz ~ 3000Hz 사이의 값들의 제2 평균값을 구하고, 3000Hz ~ 4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3000Hz ~ 4000Hz 사이의 값들의 제3 평균값을 구하고, 4000Hz ~ 5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4000Hz ~ 5000Hz 사이의 값들의 제4 평균값을 구하고, 이후 제1 평균값 내지 제4 평균값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최대값을 갖는 영역을 구한 후, 해당 영역에 따른 기설정된 방향 및 속도로 2개의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는 2개의 신호를 포함하는 제1 구동신호를 생성.
최대값이 제1 평균값인 경우: 좌측 휠구동모듈부(250) 및 우측휠구동모듈부(250) 구동방향 반대, 속도는 제1 평균값 * 0.01(혹은 기설정된 값)
최대값이 제2 평균값인 경우: 좌측 휠구동모듈부(250) 및 우측휠구동모듈부(250) 구동방향 동일(전진), 속도는 제1 평균값 * 0.03(혹은 기설정된 값)
최대값이 제3 평균값인 경우: 좌측 휠구동모듈부(250) 및 우측휠구동모듈부(250) 구동방향 동일(후진), 속도는 제1 평균값 * 0.03(혹은 기설정된 값)
최대값이 제4 평균값인 경우: 좌측 휠구동모듈부(250) 및 우측휠구동모듈부(250) 구동방향 반대, 속도는 제1 평균값 * 0.05(혹은 기설정된 값)
즉, 상기 주파수데이터는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실시예 4)
예를 들어 1000Hz ~ 5000Hz 사이의 주파수데이터로 휠구동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한다고 가정 시, 1000Hz ~ 5000Hz에 대한 영역데이터로서 상기 1000Hz ~ 5000Hz 사이의 값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에 대하여 기 설정된 함수에 입력함으로써 휠구동모듈부(250)의 속도를 산출하고, 2개의 휠구동모듈부(250)의 동작방향은, 전진-전진, 후진-전진, 전진-후진, 후진-후진 중 랜덤하게 선택한다.
도 7은 스피커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통신모듈부를 통하여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단계(S210);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LED모듈부 및 휠구동모듈부를 구동하는 구동단계(S220); 및 상기 음원데이터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재생단계(S230)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음원 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시간 영역에서의 음원데이터는 도 8의 (A)와 같이 표시된다. 이에 대해 FFT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이는 도 8의 (B)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주파수데이터는 주파수대역에 대한 데이터를 갖는다. 한편, 도 8의 (B)에서와 같이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복수의 영역의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다른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의 주파수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추출하고, 제2 영역의 주파수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추출하고, 제3 영역의 주파수데이터를 이용하여 제3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추출하고, 제4 영역의 주파수데이터를 이용하여 제4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이는 각각의 주파수대역의 평균값, 누적값, 최빈값, 최대값, 혹은 판별값으로 각각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영역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와 같은 영역데이터를 선택, 분류, 가공, 판별, 함수입력 중 1 이상의 2차적인 가공을 함으로써 각각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혹은, 복수의 영역의 각각의 데이터를 서로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의 주파수데이터, 제2 영역의 주파수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제1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주파수대역의 평균값, 누적값, 최빈값, 최대값, 혹은 판별값으로 각각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영역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와 같은 영역데이터를 선택, 분류, 가공, 판별, 함수입력 중 1 이상의 2차적인 가공을 함으로써 하나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의 평균값과 제2 영역의 평균값을 각각의 영역데이터로 하고, 이를 서로 합하거나 혹은 최대값을 선별함으로써 하나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영역데이터로부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8의 (B)와 같이 음원데이터를 주파수대역으로 변환하고, 주파수대역을 4개의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제4 영역으로 구분한 후에,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영역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제1 영역데이터, 제2 영역데이터, 제3 영역데이터, 및 제4 영역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영역데이터는 각각의 주파수대역의 평균값, 누적값, 최빈값, 최대값, 혹은 판별값 등의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추출된 영역데이터 중 제1 영역데이터로부터 LED모듈부(240)를 구동하는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제2 영역데이터, 제3 영역데이터, 및 제4 영역데이터로부터 휠구동모듈부(250)를 구동하는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부(24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세부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연장선상에서 설명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1 영역데이터를 선택 및 함수입력의 처리를 함으로써 LED모듈부(240)를 구동하는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데이터가 제1 영역의 데이터의 평균값인 경우, 제1 영역데이터가 제1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패턴 1로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고, 제1 영역데이터가 제2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패턴 2로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고, 제1 영역데이터가 제3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패턴 3으로 LED모듈부(240)를 구동하고, 제1 영역데이터가 제4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패턴 4로 LED모듈부(240)를 구동한다.
각각의 패턴 1, 2, 3, 4 는 단일의 LED모듈부(240)를 구동하는 패턴 혹은 복수의 LED모듈부(240)를 구동하는 패턴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구동모듈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세부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연장선상에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구동모듈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제2 영역데이터, 제3 영역데이터, 및 제4 영역데이터를 로드하는 영역데이터로드단계; 상기 제2 영역데이터, 제3 영역데이터, 및 제4 영역데이터 중 하나의 데이터 카테고리를 선별하는 카테고리선별단계; 및 선별된 하나의 데이터카테고리에 따라 휠구동모듈부(25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휠구동모듈부(250)구동신호생성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카테고리선별단계에서는 상기 제2 영역데이터, 제3 영역데이터, 및 제4 영역데이터 중 기 설정된 규칙(예를 들어 최대값)에 따라서 하나의 영역데이터를 선별한다. 이후 휠구동모듈부(250)구동신호생성단계(S130)는 상기 선별된 영역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휠구동모듈부(250)의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음악에 따라서 스피커장치가 춤을 추는 듯한 동작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스피커장치가 음악에 따라서 조명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역동적인 음악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스피커장치가 음악에 따라서 춤을 추는 듯한 동작을 하고 동시에 조명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음악방송을 보는 듯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음원 데이터로부터 자연스러운 춤동작 및 조명동작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스피커장치 춤동작 및 조명동작을 더욱 잘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음원 데이터로부터 자연스러운 춤동작 및 조명동작을 추출함에 있어서 처리부하 및 통신부하에 있어서 낮은 부하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피커장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는 낮은 연산처리 능력과 메모리를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음악에 따라 춤을 추는 동작을 수행하고, 조명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는 단순히 음원데이터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원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에 따라 스피커장치가 춤을 추는 듯하게 움직이고, 또한 LED모듈부에서 음원에 맞추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색상과 타이밍으로 발광을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원재생에 대한 청각적 효과와 더불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의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엘리먼트, 컴포넌트, 논리블록, 모듈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하여,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및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범용 목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범용-목적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의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은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또는 명령들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은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외부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로서,
    상부케이싱부;
    상기 상부케이싱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싱부;
    상기 상부케이싱부 및 상기 하부케이싱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 및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통신부, 상기 스피커부,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데이터 및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음원데이터가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스피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부기판부 및 하부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 제어부, 스피커부, 휠구동모듈부 중 1 이상은 상기 상부기판부에 배치되고,
    상기 무선통신부, 제어부, 스피커부, 휠구동모듈부 중 나머지는 상기 하부기판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기판부는 상부기판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부는 하부기판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접속부와 상기 하부기판접속부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스피커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외부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로서,
    상부케이싱부;
    상기 상부케이싱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싱부;
    상기 상부케이싱부 및 상기 하부케이싱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통신부, 상기 스피커부,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LED모듈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데이터 및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음원데이터가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 주파수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되는, 스피커장치.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를 포함하는 스피커시스템으로서,
    상기 스피커장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음원데이터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부;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 및
    상기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LED모듈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휠구동모듈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스피커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되는, 스피커시스템.
  1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인 사용자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외부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데이터에 따라 사운드를 재생하는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피커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구동모듈부; 및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LED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음원데이터를 로드하는 음원데이터로드단계;
    상기 음원데이터를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하여 주파수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파수영역변환단계;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상기 휠구동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LED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를 상기 스피커장치에 전송하는 구동신호전송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생성단계는,
    상기 주파수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파수대역분리과정;
    상기 복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영역데이터를 추출하는 영역데이터추출과정; 및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생성과정을 포함하는,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1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복수의 영역데이터 중 나머지에 의하여 추출되는, 스피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60055332A 2016-05-04 2016-05-04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875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332A KR101875167B1 (ko) 2016-05-04 2016-05-04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332A KR101875167B1 (ko) 2016-05-04 2016-05-04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24A KR20170125224A (ko) 2017-11-14
KR101875167B1 true KR101875167B1 (ko) 2018-07-06

Family

ID=6038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332A KR101875167B1 (ko) 2016-05-04 2016-05-04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1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201A (ko) * 2006-08-30 2008-03-07 주식회사 하모니칼라시스템 음-색 변환기능을 구비한 발광 스피커 및 그 음-색변환방법
JP2008200843A (ja) * 2007-01-22 2008-09-04 Zmp:Kk 音響再生ロボット
KR20100112929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씨에스티 음/전 변환 패키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201A (ko) * 2006-08-30 2008-03-07 주식회사 하모니칼라시스템 음-색 변환기능을 구비한 발광 스피커 및 그 음-색변환방법
JP2008200843A (ja) * 2007-01-22 2008-09-04 Zmp:Kk 音響再生ロボット
KR20100112929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씨에스티 음/전 변환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24A (ko)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9520B (zh) 具有同步声音和非声音输出的儿童产品
JP2005528029A (ja) ローカライズされたオーディオ・ネットワークおよび関連するディジタル・アクセサリ
KR20100063042A (ko) 햅틱 사용자 인터페이스
TW201434600A (zh) 具有可因應不同聲音信號產生相對應肢體動作之機器人
CN105637895A (zh) 录音装置和录音装置的控制方法
US20080105110A1 (en) Embodied music system
CN101515452B (zh) 数码键盘多弦鼓琴
US8156433B2 (en) Embodied music system
JP2021535705A (ja) 向上した特徴を有するイヤホン
KR20150093971A (ko) 코드를 기반으로 곡을 연주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101875167B1 (ko) 스피커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050280550A1 (en) Modal light-emitting device for mobile signal outpu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201201730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udio data
US20190070517A1 (en) Digitally-Interactive Toy System and Method
CN116506543A (zh) 电池盖变色方法及电子设备
CN205984262U (zh) 一种电子琴
JP6456513B2 (ja) 体感制御装置
CN116456035B (zh) 一种增强振动提示方法及电子设备
EP4002350A1 (en) Sensor module, system of modules for a piano keyboard, and corresponding method
WO2023130956A1 (zh) 一种增强振动提示方法及电子设备
US20220293075A1 (en) Multimedia transporter and multimedia transporter system for a modular piano keyboard
KR200435594Y1 (ko) 저음진동변환기능과 발광다이오드문자표시장치를 내장한엠피쓰리플레이어
JP6607952B2 (ja) 体感制御装置、体感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3845Y1 (ko) 다기능 조명 오디오 장치
CN107438211A (zh) 声光喇叭及包含声光喇叭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