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986B1 -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986B1
KR101874986B1 KR1020160096658A KR20160096658A KR101874986B1 KR 101874986 B1 KR101874986 B1 KR 101874986B1 KR 1020160096658 A KR1020160096658 A KR 1020160096658A KR 20160096658 A KR20160096658 A KR 20160096658A KR 101874986 B1 KR101874986 B1 KR 101874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ot air
unit
blow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241A (ko
Inventor
김중관
Original Assignee
김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관 filed Critical 김중관
Priority to KR102016009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9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은 피건조물의 투입 및 건조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챔버와, 챔버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와, 챔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링브로아와, 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유닛과, 챔버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과, 챔버에 직접 접속되거나 링브로아의 토출측에 접속됨과 아울러 냉각유닛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세퍼레이터 및 세퍼레이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챔버가 가동 중일 때, 진공유닛이 일정 시간 작동 후 중지되고, 가열유닛에 의한 간접가열로 챔버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때에 링브로아가 일정 시간 가동되어 챔버 내의 습기가 배기되며, 그 후 열풍기가 가동되어 열풍이 챔버 안으로 일정 시간 공급됨과 아울러 링브로아에 의한 챔버의 배기가 실시되고, 챔버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가열유닛과 열풍기와 링브로아의 작동이 중지됨과 아울러 진공유닛이 일정 시간 작동 후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System for drying and fermenting waste resource}
본 발명은 폐자원을 건조하거나 발효시켜 고부가가치의 신재생 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폐자원」이란 용어는 산업부산물과 폐기물뿐 아니라 적정한 처리기술이 없어 아직은 자원화하지 못한 자연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폐자원의 예로는 수확 후 버섯배지와 같은 농가부산물; 비지, 빵가루, 술 지게미(주정박)와 같은 식품부산물; 슬러지와 같은 산업폐기물; 사료나 식품원료 등으로 사용 가능한 동식물성 잔사(殘渣)나 자연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이란 용어는 특정 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구성한 장치 또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일컫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선행기술로, 아래에 언급하는 것들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동식물성 잔사물 건조발효사료 및 건조발효비료의 제조장치≫
특허문헌 1에는 발효조, 스크류컨베이어, 블로어, 덕트 및 제품 수용조로 이루어진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조장치는 증발 작용에 의해 효율적인 건조가 달성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열 건조나 감압(진공) 건조에 비해 운영비가 적게 들고, 산소를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발효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발효에 편차가 없으며, 60℃ 이하에서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건조나 감압 건조에 비해 발효균의 사멸률이 낮고, 영양가와 소화율이 높은 양질의 건조발효사료를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유기 폐기물의 재이용에 장애로 되어 있는 변질이 방지되며, 배수 폐액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2: 사료용 발효건조기≫
특허문헌 2에는 본체 내에 드럼이 설치되고, 드럼 내에 스크류가 축설되며, 드럼 내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와 드럼 내의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와 드럼 안으로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 및 드럼 내부를 순환한 건조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발효건조기로서, 투입호퍼, 개폐도어, 개폐실린더, 개폐스위치, 흡입브로아, 정화필터, 펌프, 가열수단 등을 더 포함하고, 건조풍 공급수단은 히터가 구비된 상부 및 측부 공급 브로아로 구성된 사료용 발효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해, 재료 투입이 위생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재료에 대한 발효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폐자원을 고부가가치의 신재생 자원으로 처리하는 데에는 건조기술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열에너지 투입 및 물질 이동에 의해 원료(본 명세서에서는 피건조물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의 수분량을 줄이는 건조기술은 그 원리에 따라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진공건조, 진공동결건조 등으로 구분되며,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건조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열전달 방식에 따른 건조시스템의 분류≫
구분 대분류 소분류(기술명)







산업용
건조기







열풍 건조


상자형 건조기
밴드형 건조기
유동층 건조기
기류건조기
회전식 건조기
분무 건조기



전도식 건조



교반 건조기
원반 건조기
간접가열식 회전 건조기
원통 건조기
이중 원추형 건조기
역원추형 혼합 건조기
밴드 연속 진공 건조기
진공 유동층 건조기
방사 전열 건조 원적외선 건조기
마이크로파 건조 마이크로파 건조기
기타 건조
초음파 건조기
태양열 이용 건조기
히트펌프 이용 건조 냉풍 건조기
제습 건조 흡습제를 이용한 데시칸트 제습 건조기
동결 진공 건조 동결 진공 건조기
특히, 농식품 부산물 등을 사료화하는 경우에는 건조기술과 더불어 발효기술도 적용되는데, 종래의 건조발효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아래의 어느 한 가지 방식만으로 운전된다.
- 열풍 방식
- 직화 방식(간접열)
- 진공 방식
- 저온 진공 방식
그런데 건조발효에 드는 시간과 비용은 자연조건(온도, 습도)뿐 아니라 피건조물의 함수량과 물성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따라서, 어느 한 방식만으로 운전되는 건조발효 시스템으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으며, 부가가치의 창출도 어렵다.
특허문헌 1 : 등록번호 10-1204154 특허문헌 2 : 등록번호 10-1562123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물성이나 함수량(수분), 건조작업시의 자연조건(외부 온도, 외부 습도) 등을 고려하여, 최단시간에 저비용으로 피건조물을 건조 및 발효할 수 있는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피건조물의 투입 및 건조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챔버로서, 건조발효 공정 중에, 챔버의 내부환경을 외부환경과 단절시킬 수 있는 밀폐형 챔버; 챔버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 챔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링브로아; 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유닛; 챔버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챔버에 직접 접속되거나 링브로아의 토출측에 접속됨과 아울러 냉각유닛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기; 열교환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세퍼레이터; 및 세퍼레이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
[2] 상기 [1]에서, 열풍기의 외기(外氣) 유입측과 토출측에 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링브로아의 내기(內氣) 유입측 및 토출측에 각각 밸브가 설치되며, 세퍼레이터와 진공유닛 사이의 진공라인에 밸브가 설치되고, 세퍼레이터의 토출측에서 분기된 건조공기순환라인이 열풍기의 외기공급라인에 접속됨과 아울러 건조공기순환라인에 밸브가 설치되며, 챔버와 열교환기 사이의 습기배출라인에 링브로아의 내기토출라인이 접속됨과 아울러 내기토출라인과의 접속지점 전후로 습기배출라인에 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
[3] 상기 [2]에서, 외기흡인라인과 내기유출라인이 챔버에 추가로 접속되며, 외기흡인라인과 내기유출라인에 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
[4] 피건조물의 투입 및 건조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밀폐형 챔버와, 챔버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와, 챔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링브로아와, 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유닛과, 챔버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과, 챔버에 직접 접속되거나 링브로아의 토출측에 접속됨과 아울러 냉각유닛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에 의해 폐자원을 건조발효시키는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
[5] 상기 [4]에서, 밀폐형 챔버가 가동 중일 때, 진공유닛이 일정 시간 작동 후 중지되고, 가열유닛에 의한 간접가열로 챔버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때에 링브로아가 일정 시간 가동되어 챔버 내의 습기가 배기되며, 그 후 열풍기가 가동되어 열풍이 챔버 안으로 일정 시간 공급됨과 아울러 링브로아에 의한 챔버의 배기가 실시되며, 챔버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가열유닛과 열풍기와 링브로아의 작동이 중지됨과 아울러 진공유닛이 일정 시간 작동 후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은 작업 여건에 따라 열풍과 직화(간접열) 그리고 진공(저온 진공 및 고온 진공)이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다기능 융합 방식으로 운전됨으로써, 종래 어떤 시스템보다 건조 및 발효 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에너지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은 1시간 30분가량의 건조시간으로, 피건조물 5톤의 수분이 80% 전후에서 15∼20% 선으로 감량될 수 있고, 8시간 이내에 복합 발효(호기 발효, 혐기 발효, 안정화)가 완료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의 밀폐형 챔버를 나타낸 것으로, 본 출원인의 선출원 제10-2016-0033092호에 도시된 발효기 겸용 건조기의 챔버에 해당하는 외관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챔버의 일부 구성요소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챔버의 본체의 사시도.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챔버의 일측 경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1a에 도시된 챔버의 타측 경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b의 타측 경판이 장착되는 본체 쪽의 재킷 막음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상부 해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하부 해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1a에 도시된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의 챔버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교반용 오거 스크류의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R판의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의 챔버 환경 조절용 유틸리티를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b에 도시된 챔버 받침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a에 도시된 하부 스트럭처의 사시도.
도 13은 도 10a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14a는 도 10a의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에 원료투입수단과 분진차단수단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4b는 도 10b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도 14a에 도시된 원료투입수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15a는 도 10a에 도시된 톤백 포장기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원료투입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의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후술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아래의 실시형태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완전히 또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만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참조에 의해, 본 출원인의 선출원 제10-2016-0033092호에 기재된 사항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외기(外氣)」란 챔버 주위의 대기로서 챔버 안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지칭하며, 「내기(內氣)」란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습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은 종래 구성의 챔버(예를 들면 리본 스크류를 구비한 챔버)에 유틸리티를 연결하여 실시할 수도 있지만, 도 1a 내지 16에 도시된 챔버에 유틸리티를 연결하여 실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a∼도 16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유틸리티」란 챔버 내의 건조발효 환경, 즉 온도와 습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치로서, 열에너지의 투입 및 물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예컨대 열풍기, 링브로아, 열교환기, 세퍼레이터, 진공유닛, 가열유닛, 냉각유닛 등을 들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원료(피건조물)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가공처리물(건조물 또는 발효물)을 배출할 수 있는 토출구가 구비된 밀폐형 챔버(100)와, 챔버(100) 내에 회전 자유롭게 배치된 오거 스크류(110)와, 오거 스크류(110)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900, 모터)과, 원료가 챔버(100) 내에서 건조되거나 발효될 때 챔버 내의 온도, 습도, 압력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챔버(100)에 마련된 포트(160) 중에서 적당한 포트에 설치되는 환경측정부(미도시)와, 환경측정부의 측정값이나 미리 설정해 둔 공정처리조건에 따라 챔버 내의 온도, 습도,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환경조절부(도시하지 않음) 및 환경조절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챔버(100)는 도 1a 내지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101)와, 본체(101)의 양측 개방단에 장착되어 본체(101)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격리하는 양측 경판(120, 130)과, 본체(101) 내면과의 접촉부분이 용접되는 형태로 본체(101) 내에 배치된 트로프(140)와, 일단이 본체(101) 측의 힌지부재(151)에 고정되고 타단이 트로프(140) 측의 힌지부재(152)에 고정된 보강대(150)로 구성되어 있다.
양측 경판 중에서, 본체와 분해조립되는 경판(130)에는 가스켓누름판(131)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가스켓누름판(131)은 재킷 막음판(190)이 용접되어 있는 본체 측의 가스켓(191)에 밀착된다.
트로프(140)는 2개의 R판(141)이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용접되어 구성된다.
트로프(140)는 본체(101) 내면과의 사이에 재킷(102)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데, 건조공정이나 발효공정이 진행 중일 때, 재킷(102) 안으로 물(냉각수) 또는 스팀이 공급되어 챔버(100) 내의 온도가 조절된다.
본체(101)의 내면과 마주보는 R판(141)의 이면(裏面)에는 보강 평철이 격자 모양으로 용접되어 있다.
2개의 R판(141)으로 구성된 트로프(140)의 홈(142) 내에는 교반용 오거 스크류(110)가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분산용 오거 스크류(110)가 교반용 오거 스크류(1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교반용 오거 스크류와 분산용 오거 스크류는 챔버 내에서 원료의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오거 스크류(110)는 파이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는 나선형 블레이드(112)와, 블레이드를 따라 일정 위치마다 용접되는 패들(113, paddle)로 구성되어 있다.
블레이드(112)는 파이프 길이방향의 중간부를 기점으로 일측 구간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나선형을 그리며, 타측 구간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나선형을 그린다.
챔버의 상측 투입구와 하측 토출구에는 상부 해치(170)와 하부 해치(18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부 해치(170)는 본체(101) 측에 용접되는 해치 베이스(172)와, 해치 베이스(172)에 힌지 결합된 해치 도어(171)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해치(180)도 본체(101) 측에 용접되는 해치 베이스(182)와, 해치 베이스(182)에 힌지 결합된 해치 도어(18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해치 도어(171, 181)와 해치 베이스(172, 182)의 접촉부분에는 패킹이 배치되어 있으며, 접촉부분의 둘레를 따라 나비 너트를 구비한 다수의 볼트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수단의 예로서, 전기 모터와 유압 모터를 들 수 있다.
도 10a 및 10b와, 도 14a 및 14b는 유틸리티를 제외한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의 두 가지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1의 챔버 받침대(200)를 개재하여 챔버(100)가 도 13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300) 상에 얹혀지고, 이 하부 프레임(300)은 도 12에 도시된 하부 스트럭처(400)에 얹혀져 있다.
하부 프레임(300)과 하부 스트럭처(400)의 연결부분에는 로드셀(500)이 설치되어 있다.
원료공급수단으로서, 투입 호퍼(H)를 구비한 버킷 엘리베이터(B)나, 도 16에 도시된 스크류컨베이어(S)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의 편의를 위해, 작업대(6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원료공급수단의 배출구와 챔버의 투입구 사이에 분진차단수단(800)이 설치될 수 있는데, 분진차단수단의 예로서, 벨로우즈나 슈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챔버(100)의 하부 해치(180) 아래에는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처리물을 톤백에 담기 위한 톤백 포장기(7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a 및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톤백 포장기(700)는 챔버(100)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처리물을 받아내는 호퍼(740)와, 호퍼(740)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어 톤백의 내지(비닐 포장지)를 고정하는 다수의 공압 클램프(741)와, 톤백의 외지(마대)를 걸기 위한 톤백 거치대(710)와, 톤백 거치대(7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업다운 실린더(711)와, 톤백의 하부를 떠받치면서 어느 한 방향으로 톤백을 이송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720)와, 톤백에 담기는 가공처리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에 설치된 로드셀(7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a로 돌아가서, 챔버(100)의 상반부에 마련된 작은 직경의 포트(160)에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외기공급라인, 외기흡인라인, 내기유출라인, 내기토출라인 등이 각각 설치되며, 큰 직경의 포트(160)에는 습기배출라인 또는 진공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챔버(100)의 하반부에 마련된 포트(160)에는, 스팀라인, 냉각라인, 드레인이 각각 접속된다.
각각의 라인(배관)은 진공유닛, 가열유닛, 냉각유닛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이들 유닛은 본 발명에서의 환경조절부를 구성한다.
또한, 각각의 센서는 본 발명에서의 환경측정부를 구성한다.
환경조절부와 환경측정부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열유닛의 예로서, 스팀보일러, 온수보일러, 전기히터 등을 들 수 있다.
냉각유닛의 예로서, 칠러(chiller)의 냉각작용에 의해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물탱크를 들 수 있다.
진공유닛의 예로서, 수봉식 진공펌프, 드라이 진공펌프를 들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닛은 해당 분야에서 필수구성요소로 알려진 밸브 등의 부품을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가 환경조절부를 제어하는 방식은 원료나 건조물의 물성 및 수분함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환경조절부의 작동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 도시한 도면으로서, 피건조물(원료)의 투입 및 건조물(가공처리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밀폐형 챔버와, 챔버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와, 챔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링브로아와, 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유닛과, 챔버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과, 챔버에 직접 접속되거나 링브로아의 토출측에 접속됨과 아울러 냉각유닛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열풍기의 외기 유입측과 토출측(외기공급라인)에는 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링브로아의 내기 유입측 및 토출측(내기토출라인)에도 각각 밸브가 설치되며, 세퍼레이터와 진공유닛 사이의 진공라인에 밸브가 설치되고, 세퍼레이터의 토출측에서 분기된 건조공기순환라인이 열풍기의 외기공급라인에 접속됨과 아울러 건조공기순환라인에 밸브가 설치되며, 챔버와 열교환기 사이의 습기배출라인에 링브로아의 내기토출라인이 접속됨과 아울러 내기토출라인과의 접속지점 전후로 습기배출라인에 밸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기흡인라인과 내기유출라인이 챔버에 접속되어 있으며, 외기흡인라인과 내기유출라인에도 밸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폐자원 건조발효 장치에서, 챔버가 가동 중일 때(즉, 오거 스크류가 구동 중일 때), 진공유닛이 일정 시간 작동 후 중지되고, 가열유닛에 의한 간접가열로 챔버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링브로아가 일정 시간 가동되어 챔버 내의 습기가 링브로아 쪽으로 흡인된다. 그 후, 열풍기가 가동되어 열풍이 챔버 안으로 일정 시간 공급됨과 아울러, 링브로아에 의한 배기가 실시된다.
그리고 챔버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가열유닛과 열풍기와 링브로아의 작동이 중지되고, 진공유닛이 일정 시간 작동 후에 정지됨으로써 습윤 상태의 폐자원이 건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기의 습도가 내기의 습도보다 낮은 경우에, 외기공급라인 및 외기흡인라인과 내기토출라인 및 내기유출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는 모두 개방된다.
이와 반대로, 외기의 습도가 내기의 습도보다 높은 경우에, 외기흡인라인의 밸브는 둘 다 폐쇄되고, 외기공급라인의 밸브 중 열풍기 쪽으로 외기가 흐르게 하는 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열풍기로부터 챔버 안으로 열풍이 공급되게 하는 밸브는 개방된다. 또한, 건조공기순환라인에 설치된 밸브가 개방된다.
습기배출라인을 통해 열교환기 안으로 유입된 습기는 냉각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물(응축수)로 응축되고, 이 물은 세퍼레이터로 유입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원료의 물성이나 함수량, 작업시의 자연조건(외부 온도, 외부 습도)이 천차만별이어도 최적의 건조발효 환경에서 최단시간에 저비용으로 원료를 건조 및 발효할 수 있다.
100…챔버
101…본체 102…재킷
110…오거 스크류 111…파이프
112…블레이드 113…패들
120, 130…경판 131…가스켓누름판
140…트로프 141…R판
142…홈 150…보강대
151, 152…힌지부재 160…포트
170…상부 해치 171…해치 도어
172…해치 베이스 180…하부 해치
181…해치 도어 182…해치 베이스
190…재킷 막음판 191…가스켓
200…챔버 받침대
300…하부 프레임
400…하부 스트럭처
500…로드셀
600…작업대
700…톤백 포장기
710…톤백 거치대 711…업다운 실린더
720…벨트 컨베이어 730…로드셀
740…호퍼 741…공압 클램프
800…분진차단수단
900…구동수단
B…버킷 엘리베이터
H…투입 호퍼
S…스크류컨베이어

Claims (3)

  1. 피건조물의 투입 및 건조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챔버로서, 건조발효 공정 중에, 챔버의 내부환경을 외부환경과 단절시킬 수 있는 밀폐형 챔버;
    상기 밀폐형 챔버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
    상기 밀폐형 챔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링브로아;
    상기 밀폐형 챔버를 가열하는 가열유닛;
    상기 밀폐형 챔버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상기 밀폐형 챔버에 직접 접속되거나 상기 링브로아의 토출측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냉각유닛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형 챔버내에서 상기 피건조물을 교반 및 분산시키는 오거 스크류가 작동 중일 때, 상기 진공유닛이 일정 시간 작동 후 중지되고, 상기 가열유닛에 의한 간접가열로 상기 챔버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때에 상기 링브로아가 일정 시간 가동되어 상기 챔버 내의 습기가 배기되며, 그 후, 상기 열풍기가 가동되어 열풍이 상기 챔버 안으로 일정 시간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링브로아에 의한 상기 챔버의 배기가 실시되고, 상기 챔버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가열유닛과 열풍기와 링브로아의 작동이 중지됨과 아울러 상기 진공유닛이 일정 시간 작동 후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96658A 2016-07-29 2016-07-29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 KR101874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658A KR101874986B1 (ko) 2016-07-29 2016-07-29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658A KR101874986B1 (ko) 2016-07-29 2016-07-29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41A KR20180013241A (ko) 2018-02-07
KR101874986B1 true KR101874986B1 (ko) 2018-07-05

Family

ID=6120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658A KR101874986B1 (ko) 2016-07-29 2016-07-29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1927B (zh) * 2021-12-21 2023-03-24 广东恒烤智能机械有限公司 一种水电混合快速高真空烤箱及其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298Y1 (ko) 2000-09-19 2001-03-15 민병욱 건조발효장치
KR101496177B1 (ko) 2014-07-03 2015-02-27 한국수자원공사 유기성 고형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고형폐기물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298Y1 (ko) 2000-09-19 2001-03-15 민병욱 건조발효장치
KR101496177B1 (ko) 2014-07-03 2015-02-27 한국수자원공사 유기성 고형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고형폐기물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241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88833U (zh) 一种农业饲料粉碎和筛选设备
KR101562160B1 (ko) 사료 발효 제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3269805U (zh) 生活垃圾和/或餐厨垃圾的快速好氧发酵装置
CN107388780A (zh) 一种节能型家禽饲料干燥装置
CN107906856A (zh) 化工物料搅拌烘干装置
KR101874987B1 (ko) 폐자원 건조발효 방법
JP4302308B2 (ja) 有機物の発酵飼料化装置
KR101874986B1 (ko) 폐자원 건조발효 시스템
CN111196741B (zh) 定量出料式发酵设备及其发酵方法
KR101915527B1 (ko) 발효기 겸용 건조기
JP2004322074A (ja) 脱水装置
CN111981802A (zh) 一种生物有机肥生产用烘干装置及生物有机肥烘干方法
CN210580774U (zh) 一种双模式电热粮食烘干机
JP2908223B2 (ja) 有機性廃棄物の発酵処理システム
CN206033768U (zh) 混合型微生物菌剂生产线
US20030099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sing and/or pasteurising growth media
CN104949472A (zh) 一种谷物烘干装置
CN103936470B (zh) 工农业生产废渣生物发酵、烘干方法及专用的一体化系统
CN203661652U (zh) 一种生产玉米种子的高效烘干脱粒清洗系统
KR102251696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 및 비료 제조시스템
CN212058090U (zh) 一种用于饲料制粒的烘干器
CN211903512U (zh) 一种带自动上下料系统的冻干机
US6555363B1 (en) Aerobic reduction reactor
KR200330139Y1 (ko) 음식쓰레기의 발효건조 장치
RU2481049C2 (ru) Способ теплового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рассыпных комбикорм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