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830B1 - 항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830B1
KR101874830B1 KR1020180041207A KR20180041207A KR101874830B1 KR 101874830 B1 KR101874830 B1 KR 101874830B1 KR 1020180041207 A KR1020180041207 A KR 1020180041207A KR 20180041207 A KR20180041207 A KR 20180041207A KR 101874830 B1 KR101874830 B1 KR 10187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p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문식
Original Assignee
전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문식 filed Critical 전문식
Priority to KR102018004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유황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성 유황, 호마노석 및 보습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안정성 측면에서 피부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동시에 소독 및 살균 효과까지 겸비한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화장료 조성물{Antibacterial Cosmetics Composition}
본 발명은 식물성 유황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성 유황, 호마노석 및 보습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안정성 측면에서 피부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황(sulfur)은 인체를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로서, 칼슘, 인, 칼륨 다음으로 네 번째로 많은 미네랄이다. 이는 체내의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며 중요한 아미노산인 시스틴(cystine), 시스테인(cysteine), 메티오닌(methionine)의 구성성분으로서 세포의 생명을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비타민인 티아민(thiamine)과 비오틴(biotin)의 구성성분이며, 타액, 담즙과 호르몬인 인슐린에서도 존재한다. 인간의 신체에는 약 140g의 황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체중 1kg당 약 50mg의 황이 공급되어야 한다. 즉, 체중 70kg인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하루 약 3.5g의 황이 필요하다. 그러나 노화가 시작되면, 하루에 약 144mg 정도의 유황이 배설작용으로 인해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음식물로 보충을 해 주지 못하면 몸에 이상이 오기 시작한다. 또한 인체조직에 있어 (식물성) 유황은 뼈, 피부, 근육조직, 손톱, 발톱, 머리카락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피부가 주름지거나 기미가 생기고 손톱과 발톱이 각질화되는 이유는 유황 결핍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종래 한방에서는 질병 치유 또는 농작물의 질병 예방 및 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무기유황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이러한 무기유황은 독성이 매우 강하여 사람이 섭취할 경우 간 경화 등의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어 그 사용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한편, 유황은 크게 광물성 유황, 동물성 유황 및 식물성 유황으로 분류하는데, 이 중에서 식물성 유황(Methyl Sulfonyl Methane, MSM)은 DMSO(dimethyl sulfoxide)의 산화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34.1%의 황(sulfur)을 함유하는 천연물이고, (CH3)2SO2의 화학식을 갖는 유기 유황 화합물로서, 자연적 유기 형태의 생체이용이 가능한 황의 형태이다. MSM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유기황으로 천연에도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포유동물의 우유, 신선한 과일과 채소 등에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물 속에 들어있는 MSM은 (인체가 필요로 하는 양에 비하여) 그 함유 양이 너무 작아 원하는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유황 성분은 다른 여느 원소보다 현대인의 건강에 해로운 중금속, 유해물질, 화공독을 제독하는 해독작용을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식물성 유황의 생리적 작용은 1) 통증 완화 작용, 2) 염증 억제 작용, 3) 우수한 약물 전달계에서 약물 전달 담체로서의 용도, 4) 혈관 팽창 및 혈액 흐름의 개선 작용, 5) 노화 방지 및 장의 연동 작용에 의해 변비 개선 작용 및 6) 피부 조직을 이루는 성분으로서 콜라겐(collagen)의 교차 결합 과정을 변화시켜 빠르게 흉터 조직을 감소시키는 작용 등이다. 이와 같은 MSM의 생리적 작용을 기초로 하여, 식품 첨가제, 의약품, 화장품으로 제형화되어 항암제, 해독제, 근육통 치료제, 통증 완화제, 항우울제, 염증 치료제, 피부 외용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MSM를 이용한 화장품 관련 기술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14399호는 두피영양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4920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4533호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130555호는 아토피 피부 예방 및 개선용 크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조성물은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제제로 구성되어 있어, MSM만의 효능을 발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제까지 MSM를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효과를 가진 화장품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정성 측면에서 피부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한 인체 및 환경 친화적인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MSM, 호마노석 및 보습제를 첨가함으로써 복잡하게 다수의 구성성분을 포함하지 않고도 간단한 방법으로 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한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1.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14399호 (2012.03.13) 2.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4920호 (2009.11.05) 3.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4533호 (2017.08.14)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 측면에서 피부 부작용이 적고 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면서 인체 및 환경 친화적인 천연 추출물인 항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마노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황 20~50중량부; 보습제 20~50중량부; 및 물 1000~2000중량부를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젤, 미용액 및 팩 화장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유황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옹기에 100중량부의 호마노석 및 1000~200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옹기에 20~50중량부의 식물성 유황을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20~50중량부의 보습제를 첨가하고 옹기의 뚜껑을 덮고 20~30℃의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및 (c) 6~8일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에 미생물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미생물이 생성된 항균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유황 1~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단계 이전에 약간의 식물성 유황 수용액을 옹기에 부은 다음 일주일 동안 방치하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인큐베이션 하는 동안 1-2회/1일의 횟수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마노석, 식물성 유황,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 및 환경 친화적이고, 미백, 리프팅 효과, 주름 개선효과 및 윤활작용(매끄러움)이 탁월하며, 인체 어느 곳이나 사용할 수 있고, 눈에 들어가도 무방할 정도로 안정성 측면에서 피부 부작용이 거의 없는 무자극성이다.
또한, 염증 개선 및 소독, 살균효과가 우수하여, 화상, 외상, 아토피, 여드름, 무좀, 벌레 물린 곳, 여성 냉, 대하증 등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MSM의 분석확인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보습제 중 하나인 올리고히알루론산의 분석확인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화장수)의 광독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호마노석, 식물성 유황,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안정성 측면에서 피부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미백, 리프팅 효과, 주름 개선효과, 윤활작용(매끄러움)이 우수함과 동시에 염증개선 및 소독살균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호마노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황 20~50중량부; 보습제 20~50중량부; 및 물 1000~2000중량부를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호마노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황 20~50중량부, 보습제 20~50중량부 및 물 1000~20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한 성분인 식물성 유황은 2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미백과 리프팅 효과가 크게 감소하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에 경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보습제는 2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 미백과 리프팅 효과가 크게 감소하고 피부 조임 현상이 발생하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에 경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이 생성된 항균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유황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경우 미백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가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호마노석
호마노석은 금, 은 게르마늄, 티타늄, 흑운모, 백운모, 각종 미네랄 성분 등 12가지 이상의 무기물질로 구성된 원석이다. 단사정계에 속하는 규산염 광물인 각섬석과 흑운모가 주 구성체이며 소량 구성물로서는 장석, 석영, 녹리석,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각섬암계 광물체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미생물 생성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최종 생성물의 생성에 큰 역할을 한다.
(B) 식물성 유황(methyl sulfonyl methane, MSM)
본 발명에 의한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서 MSM는 호마노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MSM은 식이유황으로서 소나무(해송)에 농축되어 있는데 전체 질량의 34%가 유황으로 천연물 중에서 황을 가장 많이 함유한 물질 중의 하나이다. 또한, MSM은 강한 냄새와 독성을 가진 광물성 유황과는 달리 무독 무취인 흰색의 결정체로서 독성이 없어서 동물 사료에서 유황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체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는 것이 알려졌다(Jang HD et al., Korean J Intl Agric 18: 116-120). 도 1에서 MSM의 성분을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MSM은 메티오닌 및 시스테인의 아미노산의 구성 성분이고, 항산화 및 해독 작용을 하는 글루타치온의 구성 성분이며, 콜라겐 및 당단백질의 구성 성분이며,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점성 다당류의 구성성분이고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각종 성장 인자의 작용에 필수적이다(Jang HD et al., Korean J Intl Agric 18: 116-120; Cho JH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61-365).
MSM은 영양보충, 건강보조식품,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며, 통증완화, 염증완화, 혈관팽창 및 혈류 증강, 피부손상 복귀 작용 및 물질을 운반하는 작용이 강해 피부, 인체의 세포막 깊숙이 투과되어 효능을 발휘한다(Yung CS et al., Biomolecules & Therapeutics, 17(3) 241-248).
MSM은 미생물이 먹는 주식으로, 인체 내에서 칼슘 콜라겐 등 모든 영양분을 인체에 흡착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MSM는 유기체가 성장하는 배지에 공급된 MSM의 농도에 따라서 미생물 성장 또는 생존과 같은 미생물 활성을 향상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배지의 중량 또는 배지의 수분함유량의 약 0.5~5중량% 농도의 MSM은 미생물 활성을 향상시키며, 배지 중량 또는 배지의 수분함유량에 따라 약 6~17중량%의 농도의 MSM은 미생물 활성을 억제한다. 예를 들어, 배지 중량(또는 배지의 수분함유량)에 따라 약 6~17중량% 농도의 MSM은 미생물의 성장, 생존율, 신진대사, 유전자 발현, 단백질 발현, 신호 전달, 전사(transcription), 번역(translation) 등의 생식, 확산, 생명력, 견고성, 활성 및/또는 작용들을 감소시킴으로써 미생물 활성을 억제한다. 그에 반해, 배지의 약 0.5~5중량%의 농도의 MSM은 미생물 활성을 향상시키며, 미생물 발효 정도, 미생물 성장 및/또는 배양 효율 향상을 포함한다.
(C) 보습제(moisturizer)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서 보습을 위하여 사용하는 성분으로서, 호마노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5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분자용 보습제를 사용한다. 저분자 보습제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또는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올리고히알루론산(oligohyaluronic acid),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D) 물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서 모든 성분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물도 반 이상의 비중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무공해는 물론 0.017%의 미네랄 함량 및 나트륨 0.02% 내외로 포함된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미생물 발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옹기에 100중량부의 호마노석 및 1000~200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옹기에 20~50중량부의 식물성 유황을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20~50중량부의 보습제를 첨가하고 옹기의 뚜껑을 덮고 20~30℃의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및 (c) 6~8일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에 미생물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미생물이 생성된 항균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유황 1~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단계 이전에 약간의 식물성 유황 수용액을 옹기에 부은 다음 일주일 동안 방치하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인큐베이션 하는 동안 1-2회/1일의 횟수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옹기는 천연 물질에 가장 가까운 물질로서 물질 자체가 호흡하고 발효에 가장 탁월한 용기이므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플라스틱 용기 및 스틸 용기에서는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항균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여 얻을 수 있다.
새로 구입한 옹기를 신선한 물로 충분하게 세척한 연후 약간의 MSM 물에 희석하여 옹기에 부어 넣고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일주일 정도 방치하였다가 세척 후 담그기를 시작한다.
용기 용량 10리터를 기준으로 하여 표준 제조를 시작한다.
(1) 호마노석을 500g을 세척한 후 용기에 담는다.
(2) 준비된 물 8리터를 용기에 부어 넣고 충분하게 저어 준다.
(3) 준비된 MSM 140g을 용기에 넣고 희석이 될 때까지 저어 준다.
(4) 준비된 식물성 저분자 보습제 120g를 용기에 넣고 넉넉히 저어 뚜껑을 덮고 온도를 25℃를 조정하고 매일 1일 1회-2회 저어 준다.
(5) 4일 정도 지나면 부유물(미생물)이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떠다니며 매일 수도 늘어나고 크기도 더욱 커진다.
(6) 6 또는 7일째 미생물을 수확하며 전체량의 5%는 용기에 남겨 두어 다음 생산을 위하여 종자(seed)로 사용한다.
또한, 수확한 미생물을 포함하는 완성품 2kg에 MSM 40g을 추가로 투입하여 희석시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화장수, 유액, 크림, 젤, 미용액 및 팩 화장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및 피부접착용 겔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화장수”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투명 액상의 화장료이다. 화장수의 기본 기능은 피부의 각질층에 수분이나 보습 성분을 보급하는 것이며, 화장수는 피부를 유연하게 하는 기능도 있다. 화장수에는 물에 녹기 어려운 물질을 용해시키고 안정시켜 외관을 투명상태로 한 것, 마이크로에멀젼이나 리피드나노스피어를 이용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것, 수%의 유분을 수중유(O/W형: Oil in Water형), 유중수(W/O형: Water in Oil형) 또는 실리콘중 수(W/S: Water in Silicon)형으로 유화한 불투명 화장수, 및 수용성 고분자를 배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화장수”를 그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이외에 이온 교환수 등 수용성 성분을 용해하여 각질층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정제수; 에탄올, 프로판올 등 유용성 성분을 용해하고 살균하여 청량감을 주기 위한 알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히알론산 등 각질층의 보습을 위한 보습제; 에스테르유, 식물유 등 보습성이나 사용감의 향상을 위한 에몰리언트제(emolient: 연화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는 기름 성분);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알코올 에테르 등 원료 성분을 가용화하기 위한 가용화제; 구연산, 유산, 아미노산류 등 제품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완충제; 바닐린(vanillin), 오렌지향, 우유향, 게라니올(geraniol, 장미향), 리나롤(linalool, 레몬향) 등 향을 부가하기 위한 향료; 메틸파라벤, 페녹시 에탄올 등의 미생물을 억제하여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금속 이온 봉쇄제, 자외선 흡수제 등 퇴색이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퇴색 방지제; 및 수렴제, 살균제, 활력제, 소염제 또는 미백제 등의 약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는 화장수의 전체량을 100중량부로 했을 경우,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0.01~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 정도 포함할 수 있다.
“유액”은 화장수와 크림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유동성이 있는 에멀젼이다. 유액은 주로 피부의 모이스처 밸런스, 보습성 및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피부에 수분, 보습제 및 유분 등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화장료이다. 유액에 포함되는 성분은 후술의 크림에 포함되는 성분과 유사하지만, 유액은 유동성이 있으므로 크림에 비해 고형 유분이나 납류의 양이 적다.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유액”을 그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액은 유액의 전체량을 100중량부로 했을 경우,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0.01~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5중량부 정도 포함할 수 있다.
“크림”은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의 한쪽을 분산상으로서, 다른 쪽 분산매에 안정적인 상태로 분산시킨 에멀젼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크림”을 그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크림에는 예를 들면 아래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즉, 크림에 포함되는 수상성분으로는 이온 교환수 등의 정제수; 에탄올, 프로판올 등 유용성 성분을 용해하고 살균하여 청량감을 주기 위한 알코올; 글리세린, PEG, 히알론산 등 각질층의 보습을 위한 보습제; 및 퀸스시드, 펙틴,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점액질을 예시할 수 있다. 크림에 포함되는 유상성분으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바셀린, 고형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 올리브유, 아몬드유, 카카오지방, 피마자유 등의 유지;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팔미틴산 등의 지방산, 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IPM(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린트리에스텔,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및 폴리실록산류 등의 실리콘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크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양은 그 종류나 용도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것을 적절히 이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은 크림의 전체량을 100중량부로 했을 경우,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0.01~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5중량부 정도 포함할 수 있다.
"젤"은 겔 또는 졸 등 외관 상태가 균일하고 투명에서부터 반투명의 화장료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젤"을 그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젤은 전체량을 100중량부로 했을 경우,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0.01~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 정도 포함할 수 있다.
"미용액(에센스)"은 기본적으로는 상기의 화장수, 유액 및 크림과 같은 성분이며, 유제, 가용화제, 보습제, 물 및 그 외의 약제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미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미용액에 포함되는 유제로는 올리브유, 동백유, 참기름, 해바라기유, 스위트아몬드유, 호호바유 등의 천연 식물유; 카프린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의 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트리글리세린 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제는 주로 에몰리언트제(emolient: 연화제)로서 기능을 한다. 미용액에 포함되는 가용화제로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및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가용화제는 글리세린 또는 디글리세린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미용액에 포함되는 물로는 증류수 및 탈이온수를 예시할 수 있다. 기타 약제로는 살균제, 방부제, 비타민류, 식물로부터의 천연 엑기스, 색소, 향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미용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양은 공지 성분량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용액의 전체량을 100중량부로 했을 경우,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0.01~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 정도 포함할 수 있다.
"팩 화장료"는 피부의 보습, 혈행 촉진, 청정을 목적으로 대상 부위에 도포하는 것이다. 팩 화장료에는 일반적으로, 젤리상, 페이스트상, 분말상, 크림상 액상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안면에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시킨 후 박리하는 것이나, 도포 후에 닦아내는 것, 도포 후 씻어내는 것 등이 있다. 분말상의 것은 사용시에 물 등에 균일하게 녹이던지 현탁해서 사용한다. 또한, 아이마스크 등의 형상의 부직포나 콜라겐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킨 팩 화장료나 상기 부직포 등을 사용시에 화장료에 침지해 이용하는 팩 화장료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팩 화장료는 팩 화장료의 전체량을 100중량부로 했을 경우, 상기 항균 화장료 조성물을 0.0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2~2중량부 정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조성은 팩 화장료에 이용되는 공지 조성으로 하면 되고, 공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에 제한받지 않고,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 통상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로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보조제 또는 희석액 등의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새로 구입한 옹기(용량 10L)를 신선한 물로 충분하게 세척한 후 약간의 MSM(도 1)을 물에 용해시킨 용액에 희석하여 옹기에 부어 넣고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일주일 정도 방치하였다가 세척한 후에 사용하였다.
호마노석 500g을 세척한 후 용기에 담고, 물 8리터를 용기에 부어 넣고 충분하게 저어 주었다. MSM 140g을 용기에 넣고 희석이 될 때까지 저어 주었다. 저분자 보습제인 올리고히알루론산(Hyal-Oligo 8kDa (N) (1.0% Sol), 도 2) 120g를 용기에 넣고 넉넉히 저어 뚜껑을 덮고 온도를 25℃를 조정하고 매일 1일 1회-2회 저어 주었다.
4일 정도 지나면 부유물(미생물)이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떠다니며 매일 수도 늘어나고 크기도 더욱 커진 것을 확인하였다. 7일째 수확하면서 전체량의 5%는 용기에 남겨 두어 다음 생산을 위하여 종자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장품 제형의 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화장수
실시예 1의 최종생성물 100mg; 글리세린 250mg; 1,3-부틸렌글리콜 PEG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1.5mg; EDTA 1mg; 벤조페논-9 2mg;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250mg; 에탄올 500mg;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20 10mg; 방부제, 향, 색소 2mg; 및 증류수 적량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형하였다.
제형예 2: 크림
실시예 1의 최종생성물 75mg; 친유형 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100mg; 스테아릴알코올 110mg; 스테아린산 밀납 50mg; 폴리솔베이트-60 75mg; 솔비탄스테아레이트 30mg; 경화식물유 50mg; 스쿠알란 150mg; 광물유 트리옥타노일 250mg; 디메치콘 50mg;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5mg; 글리세린 250mg; 베타인 150mg;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200mg; 방부제, 향, 색소 2mg; 및 증류수 적량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형하였다.
제형예 3: 미용비누
실시예 1의 최종생성물 5g, 야생녹차가루 2g, 선인장가루 2g, 솔잎가루 1g, 팜유 90g, 천연 fresh Rose floral 향료 미량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미용비누를 제형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화장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실험예]
실험예 1
제형예 1에 의한 화장수의 조성물과 제형예 1에서 실시예 1의 최종생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시험대상자 100명을 대상으로 목 주름 부위에 바르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유도하고 1차로 흐르는 물과 비누로 씻어내는 처리를 매일 2회씩 10일간 실시하고, 다시 10일이 경과한 후에 5점 척도(5 매우 우수, 4 약간 우수, 3 차이 없음, 2 효과 없음, 1 매우 효과 없음)의 관능으로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5(매우 우수) 4(약간 우수) 3(차이 없음) 2(효과 없음) 1(매우 효과 없음)
미백 효과 67 18 7 5 3
주름 개선 효과 55 25 11 8 1
비교예 1 제형예 1
미백 효과 1.5 4.4
주름 개선 효과 1.0 4.3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생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탁월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염증 개선 효과
제형예 1에 의한 화장수의 조성물과 제형예 1에서 실시예 1의 최종생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화상, 외상, 아토피, 여드름, 무좀, 벌레 물린 곳, 여성 냉, 대하증 환자를 대상으로 상처 부위에 적용한 결과 염증이 개선되었으며, 청결해지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살균·소독 효과
사용한 칫솔을 물에 세척한 후에 물기를 제거하고 칫솔모에 실시예 1의 항균 조성물을 2회 정도 분무하고 보관하면, 칫솔모가 살균되어 본래의 칫솔모의 색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독성 시험결과
자외선을 받는 조건에서 시험물질을 피부에 단회 접촉시켜 광여기에 의해 변화된 자극물질에 의해 생기는 홍반, 부종, 낙설 등의 변화를 지표로 하는 피부반응이며, 광독성 시험은 사람이 피부에 시험물질을 단회 적용한 후, 햇빛 중 자외선에 노출된 것에 의해 생기는 피부반응의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기능성 화장품 등의 심사에 관한 규정(별표 1, 독성시험법 중 5. 광독성 시험)을 참고하여 건강한 피부(도 3(a))와 손상된 피부(도 3(b))에 대하여 30분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의 홍반 및 부종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관찰 시간 건강한 피부 손상된 피부
홍반 부종 기타 홍반 부종 기타
30분 후 0 0 - 0 0 -
24시간 후 0 0 - 0 0 -
48시간 후 0 0 - 0 0 -
72시간 후 0 0 - 0 0 -
소 계 0 0 - 0 0 -
평 균 0 0 - 0 0 -
평균의 합계 0 0
피부자극지수 0 (실질적 사용에 있어 자극 없음) 0 (실질적 사용에 있어 자극 없음)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서 피부에 자극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제형예 1에 의한 화장수의 조성물 2kg에 MSM 40g을 추가로 투입하고 희석시킨 조성물을 시험대상자 10명을 대상으로 목 주름 부위에 바르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유도하고 1차로 흐르는 물과 비누로 씻어내는 처리를 매일 2회씩 10일간 실시하고, 다시 10일이 경과한 후에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비교하였다.
제형예 1에 의한 화장수의 조성물보다 미백효과는 약 30% 가량 증가하였고, 주름개선효과는 약 20% 증가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a) 옹기에 100중량부의 각섬석과 흑운모로 구성된 규산염 광물인 호마노석 및 1000~200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옹기에 20~50중량부의 메틸술포닐메탄(MethylSulfonylMethane, MSM)을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20~50중량부의 보습제를 첨가하고 옹기의 뚜껑을 덮고 20~30℃의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및
    (c) 6~8일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에 미생물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은 생성물을 함유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수, 유액, 크림, 젤, 미용액 및 팩 화장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항균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술포닐메탄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
  4. 다음을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 옹기에 100중량부의 각섬석과 흑운모로 구성된 규산염 광물인 호마노석 및 1000~2000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옹기에 20~50중량부의 메틸술포닐메탄을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20~50중량부의 보습제를 첨가하고 옹기의 뚜껑을 덮고 20~30℃의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및
    (c) 6~8일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에 미생물을 수거하는 단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미생물이 생성된 항균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술포닐메탄 1~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약간의 메틸술포닐메탄 수용액을 옹기에 부은 다음 일주일 동안 방치하고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인큐베이션 하는 동안 1-2회/1일의 횟수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41207A 2018-04-09 2018-04-09 항균 화장료 조성물 KR10187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07A KR101874830B1 (ko) 2018-04-09 2018-04-09 항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207A KR101874830B1 (ko) 2018-04-09 2018-04-09 항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830B1 true KR101874830B1 (ko) 2018-07-06

Family

ID=6292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207A KR101874830B1 (ko) 2018-04-09 2018-04-09 항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165B1 (ko) * 2019-03-29 2020-07-23 (주)엠엠바이오 혈류 순환 개선을 통해 뇌파가 안정화되는 흑운모 분말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KR102139000B1 (ko) * 2019-02-20 2020-07-30 주식회사 리딩프로스 발효 식이유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미백 및 항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69A (ko) * 2002-11-01 2002-11-29 김장환 항균, 항염 작용과 피부 보호의 이중 효과를 위한 비누
KR20060014454A (ko) * 2006-01-27 2006-02-15 윤용주 항균기능을 가진 혼합물
KR20140101645A (ko) * 2013-02-12 2014-08-20 강촌유황샘물주식회사 유황 함유 알카리수를 사용한 아토피 피부염치료제 조성물의 제조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69A (ko) * 2002-11-01 2002-11-29 김장환 항균, 항염 작용과 피부 보호의 이중 효과를 위한 비누
KR20060014454A (ko) * 2006-01-27 2006-02-15 윤용주 항균기능을 가진 혼합물
KR20140101645A (ko) * 2013-02-12 2014-08-20 강촌유황샘물주식회사 유황 함유 알카리수를 사용한 아토피 피부염치료제 조성물의 제조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000B1 (ko) * 2019-02-20 2020-07-30 주식회사 리딩프로스 발효 식이유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미백 및 항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7165B1 (ko) * 2019-03-29 2020-07-23 (주)엠엠바이오 혈류 순환 개선을 통해 뇌파가 안정화되는 흑운모 분말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6922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4947034B2 (ja) ポリリジン製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JPH0940523A (ja) クロレラ水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物質
JP2000128730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4104180B2 (ja) リパーゼ活性促進剤
JP4336486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CN105853260B (zh) 一种尿布皮炎霜及其制备方法
JPH11279069A (ja) 活性酸素消去剤
JP4544500B2 (ja) 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CN108553341A (zh) 一种抑痘杀菌的组合物
KR101874830B1 (ko) 항균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JP7322077B2 (ja) 連結組職中のエラスチン及びコラーゲン生合成増進用組成物
KR10150315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JP2002363057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KR100926073B1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363027A (ja) 活性酸素消去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H09323915A (ja) N−アセチルチロシ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JP2002363089A (ja)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JPH08198741A (ja)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JP2001322990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活性酸素消去用の組成物
JP2000136147A (ja)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