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637B1 -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637B1
KR101874637B1 KR1020160149046A KR20160149046A KR101874637B1 KR 101874637 B1 KR101874637 B1 KR 101874637B1 KR 1020160149046 A KR1020160149046 A KR 1020160149046A KR 20160149046 A KR20160149046 A KR 20160149046A KR 101874637 B1 KR101874637 B1 KR 10187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screw
guid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014A (ko
Inventor
배경록
Original Assignee
(주)태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림기연 filed Critical (주)태림기연
Priority to KR102016014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원형판체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다수의 지지대가 결합되고, 지지대의 양끝단 하부 각각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단부 타측에 배터리가 설치되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지지판의 하단부측에 구비되고, 구동모터의 전방부에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기어가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 회전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봉 형태로 지지판 중심에 수평되게 구비되며, 양끝단으로부터 각각 중심부 방향으로 서로 다른 방향인 나사부가 형성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바 형태로 지지판 상단부에‘ㅁ’자 형태로 설치되고, 양측 각각에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수단;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의 중심부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이동체가 스크류의 양측부 각각에 나사결합되어 제1가이드수단의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각각의 제1이동체 양측단부에 제1회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의 제1이동체 각각에 힌지결합되어 제1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상단부 각각에 승강수단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체가 힌지결합되고, 각각의 제2이동체 양측단부에 제2회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제2회전롤러가 수용되어 이동되도록 제2가이드부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수단; 상기 제2가이드수단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원형판체 형태로 승강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 상기 조작스위치 내부에 구비되어 지면의 기울기에 따라 구동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울기센서; 상기 손잡이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끈;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승강판이 이동시 지지판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Lifting device for orchard working}
본 발명은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 사과 및 복숭아 등과 같은 과실나무를 재배하는 과수원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과실나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하여 과실나무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안전하게 올라가 과실을 수확하거나, 가지치기 및 수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확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 사과 및 복숭아 등과 같은 과실이 열리는 과실나무 중에 높은 곳의 과실을 수확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올라가 높은 곳의 과실을 수확하거나, 가지치기 및 수정작업을 하여 왔다.
예를 들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232764호의“과수용 사다리”는 프레임에 각각 폭이 상이한 수개의 발판과, 프레임 상단에 설치된 브라켓과, 브라켓에 파이프핀으로 결합된 보조받침대와, 프레임 하단부에 원뿔을 형성한 원추형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사다리는 브라켓의 폭이 아예 없거나 행여 있다 치더라도 그 폭이 좁고 불안정하여 장시간 상판 위에서 작업을 하기에 불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사다리를 이용한 작업의 경우 상판의 넓이가 확보되지 않거나 상판을 구성하는 프레임이 약한 경우 작업자가 사다리 위에서 안정적으로 과실 수확 작업을 하기 어려워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사다리는 과실나무의 위치에 따라 반복적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들고 이동설치하여 올라가다 내려가다해야함으로 장시간 작업시 작업자에게 육체적인 피로가 쌓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능률과 수확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32764호(2001. 05. 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배, 사과 및 복숭아 등과 같은 과실나무를 재배하는 과수원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과실나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하여 과실나무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안전하게 올라가 과실을 수확하거나, 가지치기 및 수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확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원형판체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다수의 지지대가 결합되고, 지지대의 양끝단 하부 각각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단부 타측에 배터리가 설치되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지지판의 하단부측에 구비되고, 구동모터의 전방부에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기어가 설치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 회전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봉 형태로 지지판 중심에 수평되게 구비되며, 양끝단으로부터 각각 중심부 방향으로 서로 다른 방향인 나사부가 형성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바 형태로 지지판 상단부에‘ㅁ’자 형태로 설치되고, 양측 각각에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수단;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의 중심부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이동체가 스크류의 양측부 각각에 나사결합되어 제1가이드수단의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각각의 제1이동체 양측단부에 제1회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의 제1이동체 각각에 힌지결합되어 제1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상단부 각각에 승강수단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체가 힌지결합되고, 각각의 제2이동체 양측단부에 제2회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의 제2회전롤러가 수용되어 이동되도록 제2가이드부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수단; 상기 제2가이드수단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원형판체 형태로 승강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의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 상기 조작스위치 내부에 구비되어 지면의 기울기에 따라 구동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울기센서; 상기 손잡이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끈;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승강판이 이동시 지지판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는 과실나무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과실나무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한 자세로 과실을 수확하거나, 가지치기 및 수정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에 다수의 바퀴가 구비되어 손으로 용이하게 끌고 다닐수 있으며, 작업시 이동되지 않게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스토퍼가 설치되어 작업시 이동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울어진 지면에서 작동이 정지되도록 기울기센서가 구비되어 높은 위치에서 작업시 기울기로 인해 떨어지거나, 넘어져 다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수원 등의 농업용뿐만아니라 대형마트, 물류창고, 공장 등의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동바퀴 및 고정부재의 사용상태 부분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의 부분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의 기울기센서의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스토퍼의 사용상태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는 지지판(10), 구동수단(20), 스크류(30), 제1가이드수단(40), 제1이동부(50), 승강수단(60), 제2이동부(70), 제2가이드수단(80), 승강판(90), 손잡이(100), 조작스위치(200), 기울기센서(300), 이탈방지끈(400), 고정스토퍼(500)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0)은 원형판체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다수의 지지대(11)가 결합되고, 지지대(11)의 양끝단 하부 각각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바퀴(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퀴(12)로 인해 용이하게 이동시킨 후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록 이동바퀴(12)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5)가 이동바퀴(12) 양측에 나사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퀴(12) 양측에 나사결합된 고정부재(15)를 하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결합된 고정부재(15)의 양측이 나사산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바퀴(12)의 양측을 압박함으로써 이동바퀴(12)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5)를 역방향인 상부방향으로 회전시켜면 나사결합된 고정부재(15)의 양측이 나사산을 따라 각각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바퀴(12) 양측의 압박이 해제됨으로써 이동바퀴(12)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고정부재(15)를 작업자가 발로 손쉽게 회전시키토록 고정부재(15)의 상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제1누름페달(17)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0)의 상단부에 구동수단(20)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20)은 지지판(10)의 상단부 타측에 배터리(21)가 설치되며, 배터리(21)와 연결되어 배터리(2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22)가 지지판(10)의 하단부측에 구비되고, 구동모터(22)의 전방부에 구동모터(22)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하는 회전기어(23)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20) 회전기어(2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봉 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류(30)는 지지판(10) 중심에 수평되게 구비되며, 스크류(30)의 양끝단으로부터 각각 중심부 방향으로 서로 다른 방향인 나사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30)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바 형태로 지지판(10) 상단부에‘ㅁ’자 형태로 제1가이드수단(40)이 설치되고, 제1가이드수단(40)의 양측 각각에 양측 각각에 제1가이드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수단(40)에 지지되는 스크류(30)의 양측부 각각에 제1이동부(5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이동부(50)는 스크류(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30)의 중심부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이동체(51)가 스크류(30)의 양측부 각각에 나사결합되어 제1가이드수단(40)의 제1가이드부(4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각각의 제1이동체(51) 양측단부에 제1이동체(51)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제1회전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부(50)의 제1이동체(51) 각각에 승강수단(60)이 힌지결합되어 제1이동체(51)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수단(60)은 제1이동부(50) 각각의 제1이동체(51)가 스크류(30) 회전에 의해 이동시 힌지점(P1)을 따라 회동하도록 한 쌍의 하부링크(61,62)가‘X’형태로 힌지결합되어 하부측 각각이 제1이동부(50)의 제1이동체(51) 각각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후술되는 제2이동부(70)의 제2이동체(71) 각각에‘X’형태로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링크(63,64)의 하부측이 하부링크(61,62) 각각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점(P2)을 따라 회동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60)이 상하로 이동시 범위외로 이동되지 않도록 센서(700)가 하부링크(61)와 제1가이드수단(40)의 제1가이드부(42) 각각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6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부(70)가 승강수단(60)의 상단부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제2이동부(70)는 승강수단(6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체(71)가 승강수단(60)의 상단부 각각에 힌지결합되고, 각각의 제2이동체(71) 양측단부에 제2이동체(71)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제2회전롤러(7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이동부(70)가 수용되어 안내도록 제2가이드수단(80)이 구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수단(80)은 제2이동부(70)의 제2회전롤러(72)가 수용되어 이동되도록 제2가이드부(81)이 형성되는 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바(80)의 상단부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승강판(90)이 설치되며, 승강판(90)은 승강수단(60)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90) 상부에 탑승하는 작업자가 승강판(90) 상부에 작업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승강판(90) 상부면에 다수의 돌기부(미도시됨)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90)에 탑승한 작업자가 승강판(90)이 이동시 안적인 자세로 탑승할 수 있도록 승강판(90)의 상부에 손잡이(100)가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00)에 몸을 기대고 작업할 수 있다.
상기 승강판(90)에 탑승한 작업자 탑승한 상태로 승강판(9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손잡이(100) 상부 일측에 구동수단(20)의 구동모터(22)의 회전방향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200)가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이 기울어진 곳에서 작업시 승강판(90)에 탑승한 작업자의 무게로 인해 넘어져 작업자가 다치거나, 높은곳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조작스위치(200) 내부에 기울기센서(300)가 구비되어 지면의 기울기에 따라 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기울기센서(300)는 지면의 수평선상에서 15°이상 기울어지면 작동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90)에 탑승한 작업자 작업을 위해 이동시 승강판(90)에서 떨어져 다칠 수 있으므로 승강판(90)에서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끈(400)이 손잡이(10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끈(400)은 탈부착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승강판(90)에 탑승 또는 하차시 이탈방지끈(400)의 일측을 탈착시켜 작업자가 탑승 또는 하차하면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시 이탈방지끈(400)의 일측을 부착시켜면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90)에 작업자 탑승하여 작업을 위해 승강판(90)이 이동시 다수의 이동바퀴(12)가 구비된 지지판(10)이 이동되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스토퍼(500)가 지지판(10)의 일측에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스토퍼(500)는 지지판(10)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하부 수직방향으로 수용관(501)이 연장형성되며, 수용관(501)에 내부에 하단부가 뾰족한 봉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봉(502)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 설치되고, 고정봉(502)의 중부 외주연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결합돌기(503)가 연장형성되며, 고정봉(502)의 상부측 수용관(501) 내부에 회전에 따라 고정봉(502)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회전체(50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504)의 측부에 회전체(504)를 회전시키는 와이어(505)가 감겨 구비되고, 와이어(505)의 타측 끝단부에 와이어(505)를 당겨 이동시키는 레버(506)가 손잡이(100)에 구성되며, 레버(506)에 끝단부에 당겨진 레버(506)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07)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506)의 당겨짐이 해제시 고정봉(502)을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탄성체(508)의 하단부가 결합돌기(503) 상단부에 결합되고, 제2탄성체(508)의 상단부는 수용관(501) 상단부 내측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고정스토퍼(500)의 고정봉(502)은 하단부가 뾰족한 봉 형태로 형성되어 뾰족한 하단부가 지면 내부로 수용되어 지지판(10)을 지면에 고정하게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스토퍼(500)의 고정봉(502) 하단부가 지면 내부로 수용되지 못하는 작업환경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때 고정스토퍼(500)의 고정봉(502)을 다른 형태의 고정봉(502)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형태의 고정봉(5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수평되게 형성되며, 지면의 상단부에 이동한 고정봉(502)의 하단부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봉(502)의 하단부에 미끄럼방지패드(900)가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과실나무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과실나무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한 자세로 과실을 수확하거나, 가지치기 및 수정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0)에 다수의 이동바퀴(12)가 구비되어 손으로 용이하게 끌고 다닐수 있으며, 작업시 이동되지 않게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스토퍼(500)가 설치되어 작업시 이동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기울어진 지면에서 작동이 정지되도록 기울기센서(300)가 구비되어 높은 위치에서 작업시 기울기로 인해 떨어지거나, 넘어져 다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과수원 등의 농업용뿐만아니라 대형마트, 물류창고, 공장 등의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10 : 지지판 20 : 구동수단
30 : 스크류 40 : 제1가이드수단
50 : 제1이동부 60 : 승강수단
70 : 제2이동부 80 : 제2가이드수단
90 : 승강판 100 : 손잡이
200 : 조작스위치 300 : 기울기센서
400 : 이탈방지끈 500 : 고정스토퍼

Claims (4)

  1.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원형판체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다수의 지지대(11)가 결합되고, 지지대(11)의 양끝단 하부 각각에 이동바퀴(12)가 구비되는 지지판(10);
    상기 지지판(10)의 상단부 타측에 배터리(21)가 설치되며, 배터리(21)와 연결되어 배터리(2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22)가 지지판(10)의 하단부측에 구비되고, 구동모터(22)의 전방부에 구동모터(22)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기어(23)가 설치되는 구동수단(20);
    상기 구동수단(20) 회전기어(2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봉 형태로 지지판(10) 중심에 수평되게 구비되며, 양끝단으로부터 각각 중심부 방향으로 서로 다른 방향인 나사부(31)가 형성되는 스크류(30);
    상기 스크류(30)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바 형태로 지지판(10) 상단부에‘ㅁ’자 형태로 설치되고, 양측 각각에 제1가이드부(42)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수단(40);
    상기 스크류(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30)의 중심부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이동체(51)가 스크류(30)의 양측부 각각에 나사결합되어 제1가이드수단(40)의 제1가이드부(4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각각의 제1이동체(51) 양측단부에 제1회전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동부(50);
    상기 제1이동부(50)의 제1이동체(51) 각각에 힌지결합되어 제1이동체(51)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수단(60);
    상기 승강수단(60)의 상단부 각각에 승강수단(6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체(71)가 힌지결합되고, 각각의 제2이동체(71) 양측단부에 제2회전롤러(7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70);
    상기 제2이동부(70)의 제2회전롤러(72)가 수용되어 이동되도록 제2가이드부(81)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수단(80);
    상기 제2가이드수단(8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원형판체 형태로 승강수단(60)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판(90);
    상기 승강판(90)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손잡이(100);
    상기 손잡이(10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수단(20)의 구동모터(22)의 회전방향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200);
    상기 조작스위치(200) 내부에 구비되어 지면의 기울기에 따라 구동수단(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울기센서(300);
    상기 손잡이(10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끈(400);
    상기 지지판(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승강판(90)이 이동시 지지판(10)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스토퍼(5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스토퍼(500)는,
    상기 지지판(10)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하부 수직방향으로 수용관(501)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용관(501)에 내부에 하단부가 뾰족한 봉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봉(502)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며,
    상기 고정봉(502)의 중부 외주연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결합돌기(503)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봉(502)의 상부측 수용관(501) 내부에 회전에 따라 고정봉(502)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회전체(50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504)의 측부에 회전체(504)를 회전시키는 와이어(505)가 감겨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505)의 타측 끝단부에 와이어(505)를 당겨 이동시키는 레버(506)가 손잡이(100)에 구성되며,
    상기 레버(506)에 끝단부에 당겨진 레버(506)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07)가 설치되고,
    상기 레버(506)의 당겨짐이 해제시 고정봉(502)을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탄성체(508)의 상단부가 결합돌기(503) 하단부에 결합되며, 제2탄성체(508)의 하단부는 수용관(501) 하부 내측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 이동바퀴(12)의 회전을 조작에 따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부재(15)가 이동바퀴(12) 양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5)의 상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제1누름페달(1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0)은,
    상기 제1이동부(50) 각각의 제1이동체(51)가 스크류(30) 회전에 의해 이동시 힌지점(P1)을 따라 회동하도록 한 쌍의 하부링크(61,62)가‘X’형태로 힌지결합되어 하부측 각각이 제1이동부(50)의 제1이동체(51) 각각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이동부(70)의 제2이동체(71) 각각에‘X’형태로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링크(63,64)의 하부측이 하부링크(61,62) 각각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점(P2)을 따라 회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4. 삭제
KR1020160149046A 2016-11-09 2016-11-09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KR10187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46A KR101874637B1 (ko) 2016-11-09 2016-11-09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46A KR101874637B1 (ko) 2016-11-09 2016-11-09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014A KR20180052014A (ko) 2018-05-17
KR101874637B1 true KR101874637B1 (ko) 2018-07-04

Family

ID=6248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046A KR101874637B1 (ko) 2016-11-09 2016-11-09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914A (ko) 2019-03-20 2020-10-05 (주)태림기연 무동력 수동 리프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6674B (zh) * 2018-05-30 2023-12-15 武汉动力电池再生技术有限公司 可调整姿态的拆解工位
CN109298377B (zh) * 2018-11-10 2021-08-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电能表校验平台
CN111776995A (zh) * 2020-06-18 2020-10-16 余汉锡 一种环保型玻璃钢化工储罐
KR102202449B1 (ko) * 2020-08-13 2021-01-13 우재형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CN112314175A (zh) * 2020-11-05 2021-02-05 谢黎俊 一种果实采摘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097B1 (ko) * 2015-02-23 2016-05-23 (주)태림기연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097B1 (ko) * 2015-02-23 2016-05-23 (주)태림기연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914A (ko) 2019-03-20 2020-10-05 (주)태림기연 무동력 수동 리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014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637B1 (ko)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US7458563B1 (en) Tree stand hoist
KR101620097B1 (ko)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US4171033A (en) Scaffold device
US8579085B2 (en) Suspended access chair with rescue system
JP5909490B2 (ja) ハンドトロリー
US5086874A (en) Tree climbing apparatus
NL2002421C2 (en) Improved sow chute and hoist.
US4593789A (en) Tree climbing apparatus
US8668048B1 (en) Elevator assembly for accessing an elevated platform of a combine
KR101409831B1 (ko)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
US1964067A (en) Extension ladder
WO2015118568A1 (en) Height-adjustable double platform manually moved
KR20120050357A (ko)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US7237585B2 (en) Flip-down chainsaw cutter
GB2605937A (en) Height adjustable platform
KR101338925B1 (ko) 과수원 작업용 전동 이동식 사다리대차
KR20200111914A (ko) 무동력 수동 리프트 장치
CN207538431U (zh) 支撑架
KR102005705B1 (ko) 가스통 운반기구
US20220364376A1 (en) Self-climbing platform and method
CN110740967A (zh) 货物保持用的手部以及协助器具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US11267159B2 (en) Mobile assembly for cutting wood
KR101579185B1 (ko) 수동식 드럼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