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581B1 -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4581B1 KR101874581B1 KR1020160086381A KR20160086381A KR101874581B1 KR 101874581 B1 KR101874581 B1 KR 101874581B1 KR 1020160086381 A KR1020160086381 A KR 1020160086381A KR 20160086381 A KR20160086381 A KR 20160086381A KR 101874581 B1 KR101874581 B1 KR 101874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orizontal
- support
- agricultural machin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4443 Ricinu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ploughs or like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3/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harrows
- A01B23/04—Frames; Drawing-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는 농기계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농기계프레임(100)에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연결부(200a)를 설치하되, 상기 연결부(200a)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어 그 사이에 끼움공간(213)을 형성하는 상부연결구(210) 및 하부연결구(211)가 연결브라켓(214)을 매개로 상기 농기계프레임(100)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부(200a)에는 상부가 상기 상부연결구(210)와 하부연결구(211)에 접촉되면서 농기계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300a)를 탈부착식으로 구비하되, 상기 받침부(300a)는 상부 일측에 상기 하부연결구(211)가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일정 길이로 절개된 삽입홈(220)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220)의 상측에는 상기 끼움공간(213)으로 끼워져 상부 일부분이 상기 상부연결구(2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걸림돌기(221)를 형성한 수직프레임(311)과, 그 수직프레임(3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프레임(315)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310a); 상기 수평프레임(315)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캐스터(320a);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를 써레에 설치한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에 설치된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레를 상승시킨 경우의 받침부를 보인 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레에 설치된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의 측단면상태도,
도 5b는 도 5a의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를 전방써레에 설치한 상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방써레에 설치된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의 단면도,
도 9b는 도 9a에서 전방써레를 유동시킨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를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써레에 설치한 측단면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를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배토기에 설치한 측단면상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의 측면상태도,
도 12b는 도 12a의 분리도.
200a, 200b, 200c, 200d: 연결부
210, 331: 상부연결구 211, 332: 하부연결구
213, 333: 끼움공간 214, 240: 연결브라켓
220, 312: 삽입홈 221, 313: 걸림돌기
230, 352: 절개홀 231, 353: 상부걸림홈
232, 354: 하부걸림홈 233, 355: 출입로
241, 342: 수평걸림구
300a, 300b, 300c, 300d: 받침부
310a, 310b, 310c, 310d: 지지프레임
311, 330, 340, 350: 수직프레임 314: 지지면
315, 335, 345, 360: 수평프레임
320a, 320b, 320c, 320d: 캐스터
341, 351: 지지브라켓
Claims (11)
- 농기계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농기계프레임(100)에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연결부(200a)를 설치하되, 상기 연결부(200a)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어 그 사이에 끼움공간(213)을 형성하는 상부연결구(210) 및 하부연결구(211)가 연결브라켓(214)을 매개로 상기 농기계프레임(100)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부(200a)에는 상부가 상기 상부연결구(210)와 하부연결구(211)에 접촉되면서 농기계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300a)를 탈부착식으로 구비하되, 상기 받침부(300a)는 상부 일측에 상기 하부연결구(211)가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일정 길이로 절개된 삽입홈(220)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220)의 상측에는 상기 끼움공간(213)으로 끼워져 상부 일부분이 상기 상부연결구(2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걸림돌기(221)를 형성한 수직프레임(311)과, 그 수직프레임(3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프레임(315)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310a); 상기 수평프레임(315)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캐스터(32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15)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캐스터(320a) 중 1개 이상은 방향 선회 가능한 캐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0a)는 농기계의 무게 중심에서 소정 이격된 일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10a)의 측면 형상은, 상기 연결부(200a)에 결합되는 상기 받침부(300a)가 분리된 농기계를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 있도록 ‘ㄴ’자 또는 ‘ㅗ’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11)의 상부 일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221)가 상기 상부연결구(210)와 하부연결구(211)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농기계프레임(100)의 하면 일부분에 면접하도록 지지면(3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농기계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농기계프레임(100)에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연결부(200b)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200b)의 일측에는 전단에서부터 일정 길이 절개되어 삽입홈(312)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312)의 상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정길이로 걸림돌기(313)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부(200b)에는 상부가 상기 삽입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313)의 상면에 걸려 지지되면서 농기계를 받쳐주는 받침부(300b)를 탈부착식으로 구비하되, 상기 받침부(300b)는 상부 일측에 상기 삽입홈(312)으로 삽입되는 하부연결구(332)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그 하부연결구(332)의 상측에는 상기 걸림돌기(313)가 끼워지는 끼움공간(333)을 형성하도록 하부연결구(332)에 나란하게 상부연결구(331)가 구비된 수직프레임(330)과, 그 수직프레임(3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프레임(335)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310b); 상기 지지프레임(310b)의 수평프레임(335)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캐스터(32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농기계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농기계프레임(100)에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연결부(200c)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200c)의 일측에는 전단에서부터 일정 길이 절개되어 출입로(233)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로(233)의 내측 끝단부에는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으로 각각 상부걸림홈(231)과 하부걸림홈(232)이 형성된 절개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부(200c)에는 농기계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300c)를 탈부착식으로 구비하되, 상기 받침부(300c)는, 상기 출입로(233)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상부걸림홈(231) 또는 하부걸림홈(232)에 걸려지는 수평걸림구(342)가 구비된 지지브라켓(341)이 상부 일측벽에 결합된 수직프레임(340)과, 그 수직프레임(3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프레임(345)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310c); 상기 지지프레임(310c)의 수평프레임(345)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캐스터(320c);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걸림구(342)는, 농기계를 상승시켜 받침부(300c)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는 하부걸림홈(232)에 걸려지고, 농기계를 하강시켜 받침부(300c)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상부걸림홈(231)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로(233)는 입구 측에서 상기 상부걸림홈(231)의 형성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45)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캐스터(320c) 중 1개 이상은 방향 선회 가능한 캐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10c)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ㄴ'자 또는 'ㅗ'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0c)는 상기 연결부(200c)에 걸려진 상태에서 일정 각도 내에서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농기계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농기계프레임(100)에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연결부(200d)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200d)는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연결브라켓(240)의 사이에 수평하게 수평걸림구(241)를 결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연결부(200d)에는 상기 수평걸림구(241)가 삽입되어 걸려진 상태로 상부 일부분 또는 측면이 농기계 또는 농기계프레임(100)을 지지하면서 농기계를 받쳐주는 받침부(300d)를 탈부착식으로 구비하되, 상기 받침부(300d)는, 상기 수평걸림구(241)의 삽입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는 출입로(355)가 형성되고 그 출입로(355)를 통해 삽입된 수평걸림구(241)가 걸려 지지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걸림홈(353)과 하부걸림홈(354)이 형성된 절개홀(352)을 갖는 지지브라켓(351)이 상부 일측에 설치된 수직프레임(350)과, 그 수직프레임(350)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프레임(360)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310d); 상기 지지프레임(310d)의 수평프레임(360)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캐스터(320d);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걸림구(241)는, 농기계를 상승시켜 받침부(300d)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부걸림홈(353)에 걸려지고, 농기계를 하강시켜 받침부(300d)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하부걸림홈(354)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381A KR101874581B1 (ko) | 2016-07-07 | 2016-07-07 |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381A KR101874581B1 (ko) | 2016-07-07 | 2016-07-07 |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5978A KR20180005978A (ko) | 2018-01-17 |
KR101874581B1 true KR101874581B1 (ko) | 2018-07-04 |
Family
ID=6102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6381A KR101874581B1 (ko) | 2016-07-07 | 2016-07-07 |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45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2290A (ko) | 2019-03-21 | 2020-10-05 | 정재학 |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0385B1 (ko) | 2008-06-26 | 2010-03-29 | 주식회사 아세아텍 | 관리기 로터리작업용 저항장치 |
KR101142797B1 (ko) | 2009-10-20 | 2012-05-08 | 윤병운 | 두둑 성형기 |
KR101626580B1 (ko) * | 2014-04-17 | 2016-06-01 | 우리이엔씨 주식회사 | 두둑 성형기 |
-
2016
- 2016-07-07 KR KR1020160086381A patent/KR1018745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0385B1 (ko) | 2008-06-26 | 2010-03-29 | 주식회사 아세아텍 | 관리기 로터리작업용 저항장치 |
KR101142797B1 (ko) | 2009-10-20 | 2012-05-08 | 윤병운 | 두둑 성형기 |
KR101626580B1 (ko) * | 2014-04-17 | 2016-06-01 | 우리이엔씨 주식회사 | 두둑 성형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2290A (ko) | 2019-03-21 | 2020-10-05 | 정재학 | 트랙터용 로터리 보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5978A (ko) | 2018-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466996B (zh) | 多用途可调整的拖车栓钩 | |
JP6758286B2 (ja) | 自転車の座部及び錠アセンブリ | |
US9487928B1 (en) | Receiver plate-coupler plate assembly | |
US3718222A (en) | Coupling for detachable implements | |
KR101874581B1 (ko) | 탈부착식 농기계 받침장치 | |
JP2015085936A (ja) | バラストアセンブリ | |
US11731472B2 (en) | Quick hitch attachment for gooseneck trailers and other implements | |
KR101917962B1 (ko) | 차량용 트레일러 견인구용 토우바 소켓장치 | |
US10099620B1 (en) | Safety step on a hitch receiver for a truck | |
US3151883A (en) | Implement hitch | |
US7055845B1 (en) | Adjustable hitch | |
US8997312B1 (en) | Wheel attachment assembly | |
BRPI0612874A2 (pt) | viga de cinta com terminais conectáveis | |
US9849854B2 (en) | Work vehicle | |
KR101707000B1 (ko) | 차량 견인 연결장치 | |
US20110139845A1 (en) | Tree stand transporter | |
BRPI0900065B1 (pt) | acoplamento inferior para um engate de trator | |
JP4368416B1 (ja) | トラクタ直装式作業機のスタンド保管機構 | |
US9701255B2 (en) | Combination bike rack and step assembly for a vehicle | |
US9468148B2 (en) | Feederhouse arrangement for mounting a header to a combine | |
US8109363B2 (en) | Modular retaining wall fall protection system | |
US20040012170A1 (en) | Accessory mounting adapter for a trailer hitch assembly | |
JP2016222349A (ja) | 組立式ボックスパレットのハンドル式連結装置 | |
US8814197B2 (en) | Drop-down tilt stop assembly for fifth wheel assembly | |
KR102520899B1 (ko) | 수평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트랙터용 3점식 퀵히치 어댑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