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407B1 -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407B1
KR101874407B1 KR1020160158384A KR20160158384A KR101874407B1 KR 101874407 B1 KR101874407 B1 KR 101874407B1 KR 1020160158384 A KR1020160158384 A KR 1020160158384A KR 20160158384 A KR20160158384 A KR 20160158384A KR 101874407 B1 KR101874407 B1 KR 10187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mbrane
raw water
main bod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625A (ko
Inventor
김정학
이강원
김상대
Original Assignee
(주)필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로스 filed Critical (주)필로스
Priority to KR102016015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4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6Specific gas distributors or gas in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8Use of other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멤브레인 모듈로서, 내측으로 정수처리 대상인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공기 배출이 가능하게 개방 형성되고 표면으로는 복수의 공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 상기 본체 중간부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관; 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내측으로 배치되는 공기 공급관의 외주면상에 공기 공급홀을 형성하여 공기 세정 작업 시 멤브레인으로 일정하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멤브레인 세정 효과를 높힐 수 있고, 모듈 내측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모듈 내측 하부에 미세 입자들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Membrane module for water treatment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세정이 용이하도록 공기 공급관의 외주에 공기 분사홀이 형성된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과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오염물질이나 불순물로 오염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장치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의 정화장치에는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다공성 멤브레인(membrane)이 내장된다.
다공성 멤브레인은 각종 여과 및 분리용 필터, 유전자 및 약물 전달체, 생활용품 소재, 촉매나 효소 등의 담체, 투습방수포, 인공장기용 골격(scaffold), 바이오 촉매, 농작물 재배 소재, 신발용 소재, 인공피혁 소재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다공성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종래의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멤브레인 모듈(1)은 소정의 본체(2) 내에 멤브레인(3)이 복수로 배치되고, 본체(2)의 하부에서 정수처리 대상이 원수가 유입관(4)을 통해 유입된다. 유입된 원수는 멤브레인(3)을 통과하며 정수처리된 후, 본체(2) 상부로 배치되는 유출관(5)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본체(2)의 하부로는 공기 공급관(6)이 배치되어, 멤브레인(3)의 공기 세정 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멤브레인 모듈(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멤브레인에 대한 공기 세정을 위해 공기 공급관(6)을 통해 본체(2) 하부에서 공기를 공급하지만, 공급되는 공기가 본체(2) 내측 상부로 상승하는 도중, 기포가 작은 입자로 분열되어 멤브레인(3)의 상부로 갈수록 세정 효과에 차이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멤브레인 모듈(1)에 대한 세정 작업 시 발생한 슬러지가 모듈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모듈 내측하부에 누적되고, 누적된 슬러지는 모듈로 유입되는 원수와 모듈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정수처리를 위해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블록이 배치되는 정수처리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한 정수처리 장치는 정수처리량의 증가를 위해 멤브레인 블록이 병렬로서 복수로 배치된다.
멤브레인 블록이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멤브레인 블록마다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 수단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정수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가 많아지고,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5-0079091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내측으로 배치되는 공기 공급관의 외주면상에 공기 공급홀을 형성하여 공기 세정 작업 시 멤브레인으로 일정하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멤브레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 내측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모듈 내측 하부에 미세 입자들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멤브레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고,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연결되는 공기 공급 경로 상에 로터리 밸브를 배치하여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하여 차례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원수에 대한 정수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멤브레인 모듈로서, 내측으로 정수 처리 대상인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저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분리판;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공기 배출이 가능하게 개방 형성되고 표면으로는 복수의 공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 상기 본체 중간부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관; 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원수에 대한 정수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멤브레인 모듈로서, 내측으로 정수 처리 대상인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저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분리판;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공기 배출이 가능하게 개방 형성되고 표면으로는 복수의 공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 상기 공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세정 작업 시 슬러지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 상기 슬러지 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공기 공급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 분사홀은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주면을 따라 90도의 각거리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분사홀은, 서로 다른 각도로서 상기 분리판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분사홀 상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서 상기 분리판을 향하여 배치되는 단위 공기 공급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분사홀 중 일부의 상기 공기 분사홀에 연결되고 표면에 상기 본체의 하부를 향하여 보조 공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공기 토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관은 상기 멤브레인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주공급관과, 상기 주공급관의 단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공기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원수에 대하여 정수 처리를 수행하여 배출하는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 정수 처리 대상인 원수를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공급하는 원수 공급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약품 세정 공정시 약품 세정액을 공급하는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역세 공정 시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정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역세 공정 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공급하는 제2 화학 세정액 공급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공기 세정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세정 공기 공급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막 세정을 위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 상기 세정 공기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로터리 밸브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원수 공급부는, 수처리 대상인 원수를 저장하는 원수 저장조와, 상기 원수를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원수 공급 순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밸브는, 중심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외주면에 배치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밸브 본체 내부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부채꼴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교번하며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밸브를 통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원수 공급부는 공기가 공급되는 상기 멤브레인 블록으로 원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내측으로 배치되는 공기 공급관의 외주면상에 공기 공급홀을 형성하여 공기 세정 작업 시 멤브레인으로 일정하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멤브레인 세정 효과를 높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 내측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모듈 내측 하부에 미세 입자들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고,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연결되는 공기 공급 경로 상에 로터리 밸브를 배치하여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하여 차례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공기 공급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공급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공기 공급관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멤브레인 블록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로터리 밸브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로터리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100)은 본체(110), 공기 공급관(14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내측으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에 대한 소정의 정수처리를 수행하는 멤브레인(membrane)(102)이 복수로 배치된다. 멤브레인(102)은 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멤브레인(102)은 본체(110) 내부에 소정의 고정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102)의 재질과 특성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110)에는 정수처리 대상인 원수의 공급, 처리수 배출, 세정액 공급 등을 위해, 원수 유입구(112), 처리수 배출구(114), 농축수 배출구(118)가 배치될 수 있다.
원수 유입구(112)는 본체(110)의 하부로 배치되어, 정수처리 대상인 원수가 본체(1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처리수 배출구(114)는 본체(110) 내부에서 멤브레인(102)에 의해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가 수행된 후, 처리수가 배출된다. 처리수 배출구(114)로는 역세정을 위한 역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농축수 배출구(118)는 본체 상부 일측으로 배치되고 정수처리 중, 정수처리되지 않은 원수가 농축수로서 배출된다. 농축수 배출구(118)로는 후술하는 공기 공급관(140)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농축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농축수 배출구(118)로는 멤브레인(102)에 대한 세정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공급관(140)은 본체(110) 외부에서 본체(110) 내부로 공기를 유입한다. 공기 공급관(140)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서, 본체(110)의 중심축 상에서 본체(110) 내측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공기 공급관(140)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어, 유입된 공기는 단부를 통해 배출된다. 공기 공급관(140)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멤브레인(102)의 하부로부터 상승하며 멤브레인(102)에 대한 공기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공기 공급관(140)을 통한 공기 공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기 공급관(140)의 외주면상에는 공기 분사홀(142)이 복수로 형성된다. 공기 분사홀(142)은 공기 공급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 일부가 멤브레인(102)의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멤브레인(102)에 대한 공기 세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공기 분사홀(142)의 개수, 직경, 형성 간격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공기 공급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공급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공급관은 주공급관(140A)과 주공급관(140A)의 단부에서 본체(110)의 내측에서 분지되는 3개의 단위 공기 공급관(140B)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주공급관(140A)은 본체(110)의 중심축상에 배치되고, 3개의 단위 공기 공급관(140B)은 중심축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3개의 단위 공기 공급관(140B)의 단부는 공기 분사가 가능하게 개방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상으로는 공기 분사홀(147)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3개의 단위 공기 공급관(140B)이 배치되지만, 배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공기 공급관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공급관(14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분사홀(142) 중 일부의 공기 분사홀(142)에는 공기 토출관(144)이 연결될 수 있다.
공기 토출관(144)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으로서, 공기 분사홀(142)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기 공급관(140)과 이격되어 있는 멤브레인(102)으로 공급한다. 즉, 공기 공급관(14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분사홀(142) 중에서 공기 토출관(144)이 연결된 공기 분사홀(142)은 공기 토출관(144)을 통해 공기 공급관(140)에서 멀리 이격되어 있는 멤브레인(102)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공기 토출관(144)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공기 분사홀(142)은 공기 공급관(140)에 근접하는 멤브레인(102)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멤브레인(102)로의 공기 공급을 위해 공기 토출관(144)의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토출관(144)은 멤브레인(102)의 사이로 연장되어, 멤브레인(102)들이 서로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 토출관(144) 상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 공기 분사홀(146)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공기 분사홀(146)은 본체(110)의 하부를 향하여 형성된다. 또한, 보조 공기 분사홀(146)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기 토출관(144)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정수처리가 필요한 경우, 정수처리 대상인 원수는 원수 유입구(112)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공급되어, 본체(110) 내부에는 원수의 수위가 점차 높아진다. 계속된 원수의 공급에 의해 본체(110) 내부는 원수로 채워지고, 원수는 멤브레인(102)을 통과하며 소정의 정수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에 의해 발생된 처리수는 처리수 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처리수 배출구(114)에는 소정의 흡입펌프가 연결되어 처리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 내부로 공급된 원수 중, 정수 처리 된 후 남은 농축수는 농축수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된다.
일정 정도의 정수처리가 진행되면, 멤브레인(102) 표면에는 입자 유기물 무기물 등 막을 오염시키는 물질들이 흡착되어 멤브레인(102)을 통한 정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므로, 멤브레인에 대한 세정 작업을 필요로 한다. 멤브레인(102)에 대한 세정 작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공기 세정 작업 시, 외부의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공기 공급관(140)을 통해 공급되고, 공급된 공기는 공기 공급관(140)의 단부와 공기 분사홀(142)을 통해 멤브레인(102)으로 공급되어 멤브레인(102)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소정의 슬러지들이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 공급관(140)의 단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본체(110) 내측 하부에 누적되어 있는 슬러지들이 본체(110) 내측 하부에서 분리되도록 한 후, 농축수 배출구(118)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공급되는 공기는 소정의 기포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역세정 작업 시, 소정의 압력을 갖는 역세정수가 본체(110) 내로 유입된 후, 멤브레인(102)에 대한 역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100)은 본체(110), 공기 공급관(140)을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 공급관(140)의 외주에는 공기 분사홀(142)이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 공급관(14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 분사홀(142)은 공기 공급관(140)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로서, A-A선에 따라 공기 공급관(140)을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분사홀(142)은 공기 공급관(140)의 중심축을 따라 90도의 각거리를 이격 간격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사홀(142)은 이격 간격이 90도이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격 간격은 변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100)은 본체(110), 공기 공급관(140)을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8의 B-B 선에 따른 선단면도로서, B-B 선에 따라 공기 공급관(140)을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공급관(140)의 외주에는 공기 분사홀(142)이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 공급관(140)의 단부에는 공기 공급관(140)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공기 분사홀(142)이 형성된다. 이때, 공기 분사홀(142)은 공기 공급관(140)의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분사홀(142)은 공기 공급관(140)의 중심축에 대하여 45도로 기울어져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경사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진 공기 분사홀(14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본체(110) 내측 하부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분사되어, 본체(110) 내측 하부에 누적되어 있는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 분사홀(142)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단위 공기 공급관을 연결하여 본체(110) 내측 하부에 대한 공기 공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모듈(200)은 본체(210), 공기 공급관(240), 슬러지 배출관(250), 밸브(254)를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슬러지 배출관(250)은 멤브레인 모듈에 대한 공기 세정, 역세정 등의 세정 공정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슬러지 배출관(250)의 일단은 공기 공급관(240)의 단부에 연결된다.
슬러지 배출관(250)의 일단 즉, 공기 공급관(240)의 단부에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관(250)의 단부 외주면상에는 멤브레인(102)에서 이탈된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관(25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유입홀(250)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 공급관(240)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슬러지 배출관(250) 내측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밸브(254)는 슬러지 배출관(250) 상에 배치되어 슬러지 배출관(250)을 통한 슬러지 배출을 단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멤브레인 모듈을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가 개시되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처리 장치(1000)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 원수 공급부(1200),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1300), 역세정부(1400), 제2 화학 세정액 공급부(1430), 세정 공기 공급부(1500), 기포 공급부(1600)을 포함한다.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은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0)을 포함한다.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은 원수 공급부(1200)에서 공급되는 원수에 대하여 소정의 정수처리를 수행한 후, 정수처리된 처리수와 농축수로 배출한다.
여기서, 멤브레인 모듈(100)은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멤브레인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멤브레인 블록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은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은 외부의 구성 요소들과의 연결을 위한 제1 내지 제5 연결구(1110, 1120, 1130, 1140, 1150)를 포함한다.
제1 연결구(1110)는 후술하는 원수 공급부(1200)에서 공급하는 원수를 공급받는다. 또한, 제1 연결구(1110)는 후술하는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1300)에서 공급하는 약품 세정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구(1110)로는 기포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구(1110)로 공급되는 기포는 후술하는 기포 공급부(1600)에서 공급받거나 외부에서 별도로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연결구(1120)는 정수처리된 후 남은 농축수를 원수 공급부(1200)로 배출하거나, 약품 세정에 사용된 약품 세정액을 후술하는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1300)로 배출한다.
제3 연결구(1130)는 원수의 배출, 공기 세정과 기포에 의한 세정 시, 세정에 사용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제4 연결구(1140)는 정수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한다. 또한, 제4 연결구(1140)는 역세정 시, 후술하는 역세정부(1400)로부터 역세정을 위한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4 연결구(1140)는 화학 세정 시, 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4 연결구(1140)는 CIP 세정 시, 세정에 사용된 약품 세정액을 후술하는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1300)로 배출한다.
제5 연결구(1150)는 공기 세정 시 후술하는 세정 공기 공급부(15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5 연결구(1150)는 멤브레인 모듈(100)의 공기 공급관(140)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멤브레인 모듈(100)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멤브레인 블록(1100B)은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과 병렬로 배치되어,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과 함께 소정의 정수처리를 수행한다.
제2 멤브레인 블록(1100B)은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멤브레인 블록의 개수가 2개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멤브레인 블록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원수 공급부(1200)는 처리 대상 원수를 후술하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공급한다. 또한,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서 정수처리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농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원수 공급부(1200)는 원수 저장조(1210)와 제1 및 제2 원수 공급 순환 펌프(1221, 1222)를 포함한다.
원수 저장조(1210)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후술하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저장한다.
제1 및 제2 원수 공급 순환 펌프(1221, 1222)는 원수 저장조(1210) 내측으로 배치되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 각각으로 원수가 순환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원수 공급 단속을 위한 밸브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흡입펌프(1240A, 1240B)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제4 연결구(114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 대하여 소정의 흡입력을 인가한다. 제1 및 제2 흡입펌프(1240A, 1240B)가 인가하는 흡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서의 처리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130)는 세정 약품을 저장하는 CIP탱크(Cleaning in place tank)(1310)와 CIP탱크(1310)에 저장된 약품을 소정의 공급 압력으로 공급하는 CIP 펌프(1320)를 포함한다.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CIP; Cleaning in place)(1300)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 대한 화학 세정 시, 소정의 세정 약품을 제1 연결구(1110)을 통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공급하고, 공급된 약품은 제2 연결구(1120)와 제4 연결구(1140)를 통해 CIP탱크(Cleaning in place tank)(1310) 이송된다.
역세정부(1400)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역세정 시, 역세정을 위한 여과수를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공급한다.
역세정부(1400)는 소정의 역세정수 탱크(1410)과 역세정수 탱크(1410)에 저장된 세정수를 조정 압력으로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공급하는 역세펌프(1420)를 포함한다. 역세정부(1400)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역세정 시, 제4 연결구(1130)를 통해 역세수를 공급한다.
제2 화학 세정액 공급부(1430)는 역세정 시, 역세수와 함께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공급하여 멤브레인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화학 세정액 공급부(1430)에 의한 세정 공정은 매일 2~3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 공기 공급부(1500)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순차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를 통해 멤브레인 블록의 멤브레인이 세정되도록 한다.
세정 공기 공급부(1500)는 소정의 공기 압축기(1510), 공기탱크(1520), 로터리 밸브(1530)를 포함한다.
공기 압축기(1510)는 소정의 압축 정도로 공기를 압축한 후, 이를 공급한다. 여기서, 공기 압축기(1510)는 단일개로 배치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압축기(1510)를 통해 압축된 공기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바로 공급될 수 있고, 공기탱크(1520)에 저장된 후 공급될 수 있다.
세정 공기 공급부(1500)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단일의 세정 공기 공급부에서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동시에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공급되는 공기 압력이 저하되며 공기 세정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로터리 밸브(1530)가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밸브(1530)는 세정 공기 공급부(15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로터리 밸브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로터리 밸브(1530)는 밸브 몸체(1532)와 회전체(1536)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1532)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중심축상의 외주면으로는 공기 압축기(1510) 또는 공기탱크(152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 주입구(1533)가 배치되고, 외주에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공기 배출구(1534A, 1534B)가 배치된다. 도면에서 공기 주입구(1533)는 밸브 몸체(1532)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공기 주입구(1533)가 밸브 몸체(1532)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밸브 몸체(1532)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밸브 몸체(1532)에는 공기 배출구가 2개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2개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멤브레인 블록의 개수가 증가하면 공기 배출구의 개수도 이에 대응하여 증가한다.
회전체(1536)는 밸브 몸체(1532)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체(1536)는 밸브 몸체(1532)의 내부 공간과 대응하는 부채꼴 형태이고, 중심축의 공기 주입구(1533) 대응하는 부위는 공기의 연통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회전체(1536)는 밸브 몸체(1532)에서 회전하며 공기 주입구(1533)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제1 및 제2 공기 배출구(1534A, 1534B)로 교번하여 공급되도록 한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 주입구(1533)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제1 공기 배출구(1534A)를 통해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으로 공급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로터리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회전체(1536)의 회전에 의해 제1 공기 배출구(1534A)가 폐쇄되고, 이에 따라 공기 주입구(1533)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제2 공기 배출구(1534B)를 통해 제2 멤브레인 블록(1100B)으로 공급된다.
공기 배출구가 3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회전체(1536)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공기 배출구에 대하여 차례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즉, 밸브 몸체 내측에서 회전체가 회전하며, 복수의 공기 배출구에서 차례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로터리 밸브(1530)의 동작 시, 로터리 밸브(1530)는 제1 및 제2 원수 공급 순환 펌프(1221, 1222)와 연동한다. 즉, 로터리 밸브(1530)의 동작에 의해 제1 멤브레인 블록(1100A)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제1 원수 공급 순환 펌프(1221)는 동작하고, 제2 원수 공급 순환 펌프(1222)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로터리 밸브(1530)의 동작에 의해 제2 멤브레인 블록(1100B)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제2 원수 공급 순환 펌프(1222)는 동작하고, 제1 원수 공급 순환 펌프(1221)는 동작하지 않는다.
기포 공급부(1600)는 소정량의 기포를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공급하여 멤브레인 모듈(100)에 대하여 소정의 기포 세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정수처리 장치에 의한 여과 공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과 공정이 선택되면, 제1 및 제2 원수 공급 순환 펌프(1221, 1222)가 동작하여 원수 저장조(1210)에 저장된 원수를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각각의 제1 연결구(1110)로 공급한다.
제1 연결구(1110)를 통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유입된 원수는 각각의 멤브레인 모듈(100)로 유입되고, 이후 모듈 내부의 멤브레인에 의해 소정의 정수처리를 수행한 후 처리수로 배출된다.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서 정수 처리된 처리수는 제4 연결구(114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제4 연결구(1140)에는 각각 제1 및 제2 흡입펌프(1240A, 1240B)가 배치되어 있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제4 연결구(1240)에 대하여 흡입력을 인가하여 처리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필요한 곳에 직접 공급될 수 있고, 소정의 탱크에 저장된 후 필요시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에서 정수처리되지 못한 농축수는 제2 연결구를 통해 원수 저장조(1210)로 배출되어 저장되고, 이후 다시 정수처리될 수 있다. 제3 연결구(1130)로는 처리되지 못한 원수가 배출된다.
공기 세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공기 세정은 소정 압력의 공기에 의해 멤브레인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는 제거하는 세정으로, 여과 공정이 일정 이상 진행된 멤브레인 모듈에 대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멤브레인 모듈(100)의 멤브레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제거한다.
공기 세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공기 세정이 선택되면, 원수 저장조(1210)에 저장된 원수를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제1 연결구(1110)로 공급되고, 동시에 공기 압축기(1510)에 의해 압축된 후 공기탱크(1520)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공기가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제5 연결구(1150)을 통해 공급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의 공기 공급 경로 상에는 로터리 밸브(1530)가 배치되어 있어, 로터리 밸브(1530)의 동작에 의해 압축 공기는 단일의 공기탱크(1520)에서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 세정 시, 공급된 공기는 세정 후 제2 연결구(1120)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원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압축 공기가 제5 연결구(1150)을 통해 공급되어, 멤브레인 블록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공기 세정 시, 기포가 함께 공급되어 멤브레인에 대한 세정을 수행하는 기포 세정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기포 세정 공정이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기포 세정은 소정의 기포에 의해 멤브레인 표면에 생성된 바이오필름 또는 유기물 등을 세척하여 멤브레인 세정에 사용되는 화학 약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포 공급부(1600)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제1 연결구(1110)를 통해 소정량의 기포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원수 저장조(1210)에 저장된 원수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제1 연결구(1110)로 공급된다.
세정에 사용된 후 처리수는 제4 연결구(1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지 못한 농축수는 원수 저장조(1210)로 배출된다.
역세 공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역세정이 선택되면, 역세펌프(1420)가 동작하여 역세정수 탱크(1410)에 저장된 역세수를 제4 연결구(1140)를 통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역세수는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내측의 멤브레인에 대한 역세정을 수행하고, 역세정에 의해 멤브레인에서 이탈된 슬러지와 함께 제5 연결구(1150)를 통해 배출되어, 원수 저장조(1210)에 저장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역세 공정 시, 역세공정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의 약품이 추가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제2 화학 세정액 공급부(1430)는 역세정 시, 역세수와 함께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공급하여 멤브레인에 대한 역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화학 세정액 공급부(1430)는 매일 2~3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클리닝 공정이 선택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클리닝(Cleaning in place) 공정은 멤브레인 블록의 장기간 운전에 따른 막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고농도의 화학약품(3,000ppm NaOCl)을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으로 공급하여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을 약품 세정하는 공정이다.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1300)의 CIP 탱크(1310)에는 소정량의 NaOCl이 저장되어 있고, 이는 CIP 펌프(1320)에 의해 제1 및 제2 멤브레인 블록(1100A, 1100B)의 제1 연결구(1110)를 통해 멤브레인 모듈(100) 내로 유입되어 멤브레인 모듈(100) 내의 멤브레인에 대한 클리닝 공정을 수행한다. 클리닝 공정에 사용된 약품은 제2 연결구(1120)와 제4 연결구(1140)를 통해 CIP탱크(1310)로 이송된다.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1300)에서 공급되는 약품에 의해 멤브레인의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내측으로 배치되는 공기 공급관의 외주면상에 공기 공급홀을 형성하여 공기 세정 작업 시 멤브레인으로 일정하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멤브레인 세정 효과를 높힐 수 있고, 모듈 내측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모듈 내측 하부에 미세 입자들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멤브레인 모듈을 포함하고,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연결되는 공기 공급 경로 상에 로터리 밸브를 배치하여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하여 차례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멤브레인 모듈
110, 210: 본체
140, 240: 공기 공급관
250: 슬러지 배출관

Claims (13)

  1.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원수에 대한 정수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멤브레인 모듈로서,
    내측으로 정수 처리 대상인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저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분리판;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공기 배출이 가능하게 개방 형성되고 표면으로는 복수의 공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
    상기 본체 중간부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측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관;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주공급관과,
    상기 주공급관의 단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모듈.
  2. 처리 대상인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원수에 대한 정수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멤브레인 모듈로서,
    내측으로 정수 처리 대상인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를 수행하는 복수의 멤브레인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상기 본체의 저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분리판;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공기 배출이 가능하게 개방 형성되고 표면으로는 복수의 공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
    상기 공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세정 작업 시 슬러지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
    상기 슬러지 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주공급관과,
    상기 주공급관의 단부에서 분지되어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 분사홀은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주면을 따라 90도의 각거리를 갖고 형성되는 멤브레인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홀은,
    서로 다른 각도로서 상기 분리판을 향하여 형성되는 멤브레인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홀 상에는 서로 다른 각도로서 상기 분리판을 향하여 배치되는 단위 공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멤브레인 모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홀 중 일부의 상기 공기 분사홀에 연결되고 표면에 상기 본체의 하부를 향하여 보조 공기 분사홀이 형성되는 공기 토출관을 더 포함하는 멤브레인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관은 상기 멤브레인 사이로 연장되는 멤브레인 모듈.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멤브레인 모듈을 복수로 포함하고, 공급되는 원수에 대하여 정수 처리를 수행하여 배출하는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
    정수 처리 대상인 원수를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공급하는 원수 공급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약품 세정 공정시 약품 세정액을 공급하는 제1 화학 세정액 공급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역세 공정 시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정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역세 공정 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공급하는 제2 화학 세정액 공급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공기 세정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세정 공기 공급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한 막 세정을 위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
    상기 세정 공기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로터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원수 공급부는,
    수처리 대상인 원수를 저장하는 원수 저장조와,
    상기 원수를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각각 공급하는 복수의 원수 공급 순환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밸브는,
    중심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외주면에 배치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밸브 본체 내부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부채꼴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교번하며 개방되도록 하는 수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밸브를 통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멤브레인 블록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원수 공급부는 공기가 공급되는 상기 멤브레인 블록으로 원수가 공급되는 수처리 장치.
KR1020160158384A 2016-11-25 2016-11-25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KR101874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84A KR101874407B1 (ko) 2016-11-25 2016-11-25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84A KR101874407B1 (ko) 2016-11-25 2016-11-25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25A KR20180059625A (ko) 2018-06-05
KR101874407B1 true KR101874407B1 (ko) 2018-08-03

Family

ID=6263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384A KR101874407B1 (ko) 2016-11-25 2016-11-25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615A (ko) 2021-08-02 2023-02-09 김길훈 정수 필터 교체가 용이한 정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02B1 (ko) * 2022-01-10 2023-06-08 김주언 Ro 수 처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5127A (ja) * 2005-01-31 2006-08-10 Toyobo Co Ltd 選択透過性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選択透過性膜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697A (ko) * 2003-01-30 2004-08-0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중공사막 모듈과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5127A (ja) * 2005-01-31 2006-08-10 Toyobo Co Ltd 選択透過性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選択透過性膜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615A (ko) 2021-08-02 2023-02-09 김길훈 정수 필터 교체가 용이한 정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25A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6437A1 (en) Filtration apparatus
JP4951860B2 (ja) 選択透過性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選択透過性膜モジュール
WO2007004262A1 (ja) 濾過装置
US20160051936A1 (en) Central baffle and pressure-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its cleaning method
KR101874407B1 (ko)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KR20020042666A (ko) 다단계 여과 및 연화 모듈과 스케일이 적은 여과 방법
KR101950246B1 (ko) 비상용 이동식 막여과 정수 장치
JP6129389B1 (ja) ろ過装置
KR20160106005A (ko) 플리츠 필터, 그것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
JP2016068046A (ja) 縦置き型外圧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3897591B2 (ja) 分離膜モジュール及び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US20230087869A1 (en) Hybrid filter assembly and method
KR20160096229A (ko) 플리츠 필터, 그것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KR20130128866A (ko) 가압형 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KR20200073633A (ko) 정수기용 일체형 복합 필터 모듈
CN210057907U (zh) 一种膜组件
JPS5849285B2 (ja) 「ろ」過装置
JP4688049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の逆洗方法
KR102666479B1 (ko) 세정장치가 구비된 폐수처리장치의 멤브레인 모듈
KR102480165B1 (ko) 침지형 분리막모듈의 오염방지를 위한 프리필터모듈
KR102163581B1 (ko)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KR20160049398A (ko) 여과장치
KR100987475B1 (ko) 산기관 일체형 회전 분리막 모듈 및 장치
KR101847512B1 (ko) 비상용 이동식 정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