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369B1 - 전자담배 - Google Patents

전자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369B1
KR101874369B1 KR1020160074485A KR20160074485A KR101874369B1 KR 101874369 B1 KR101874369 B1 KR 101874369B1 KR 1020160074485 A KR1020160074485 A KR 1020160074485A KR 20160074485 A KR20160074485 A KR 20160074485A KR 101874369 B1 KR101874369 B1 KR 10187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ans
door
electronic cigarette
holding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446A (ko
Inventor
신종수
Original Assignee
신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수 filed Critical 신종수
Priority to KR102016007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369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담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입부와; 상기 개구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는 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흡입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지부의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 사이에는 척력이, 상기 유지부의 제1유지수단과 제3유지수단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담배 {Electronic Cigarette}
본 발명은 전자담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입부와; 상기 개구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는 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흡입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지부의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 사이에는 척력이, 상기 유지부의 제1유지수단과 제3유지수단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에 관한 것이다.
권련, 엽권련, 파이프 담배 등의 흡연식 담배 연기에는 타르,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등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수없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폐암이나 순환기 질환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며, 흡연자의 건강뿐만 아니라, 흡연자가 흡연시 내뿜는 담배연기와 흡연한 장소에 잔류하는 유해성분들에 의해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주게 된다. 과거와 달리 흡연식 담배의 판매에 대하여 각종 규제가 강화되고 흡연장소를 제한하는 등의 흡연율을 낮추고 금연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 성분에 중독된 흡연자들이 하루아침에 담배를 끊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흡연식 담배에 포함되어 있는 타르 등의 유해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한 용액을 기화시켜 연기를 생성하는 전자담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이는 흡연자의 흡연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해성이 적은 연기를 방출하게 되므로 흡연자 및 간접흡연자의 피해를 감소시켜,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들에게는 금연 보조수단으로까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담배는 사용자가 기화된 연기를 빨아들이는 마우스피스와, 기화에 필요한 액상물질이 저장되는 카트리지와, 저장된 액상물질을 기화시키는 기화부와, 액상물질을 기화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분된다. 좀더 크게 나누어본다면 상기 마우스피스, 카트리지, 기화부를 합쳐 흡입부라고 하여 전자담배의 구성을 흡입부와 전원공급부로 나누어 구분할 수도 있다.
전자담배는 상기 흡입부의 일단에 전원공급부를 직접 연결하여 긴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하우징부를 구성하여 그 내부에 흡입부와 전원공급부를 나란히 배치하고 외부에 조작돌기를 두어 상기 조작돌기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흡입부를 하우징부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등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조작돌기를 고정해주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사용자가 흡입부를 하우징부의 외부로 돌출시키고자 하는 행위 등을 하지 않았음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 조작돌기가 움직여 제멋대로 흡입부가 이동하거나 도어가 개폐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담배(100)에 관한 도면으로,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4762호(2012.11.14)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시한 종래의 전자담배(100)는 조작돌기(110)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도어(130)가 개폐되면서 흡입부(15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전자담배(100)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조작돌기(110)가 움직여 도어(130)가 쉽게 열리게 되고 이러한 경우 흡입부(150)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용자가 입으로 무는 흡입부(150) 부분이 쉽게 오염이 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화되지 않은 액체가 흡입부(150) 외부로 흘러나오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작돌기(110)가 움직이게 되는 조작돌기이동홈의 양단에 별도의 걸림수단을 만드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지속적인 사용이 반복되면 걸림수단의 마모를 가져오게 되어 조작돌기(110)를 고정하는 걸림수단의 고정력이 차츰 약해진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걸림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전자담배의 도어(130)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매끄러운 동작의 구현을 어렵게 만들어 전자담배 사용자의 사용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담배의 사용감을 좋게 하면서 조작돌기 움직임을 제어할 수단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입부와; 상기 개구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는 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흡입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를 구성하여, 전자담배의 조작레버를 승강하려는 사용자의 의도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조작레버가 움직여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이와 연동된 흡입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오염이 되거나, 기화되지 않은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부를 자석으로 구성하여, 전자담배의 지속적인 사용이 계속되더라도 마모 등으로 고정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담배의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매끄러운 동작의 구현을 실현시켜 전자담배 사용자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링크부재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과, 케이싱부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같은 극을 형성하여 척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조작레버를 조금만 승강시키더라도 척력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매끄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유지수단을 링크부재의 근위단부에 결합하여, 도어로부터 먼 쪽에 제1유지수단을 설치할 경우, 작은 오차들이 누적되어 결과적으로는 큰 오차를 발생시키게 됨에 따라 정밀한 도어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를, 상기 제1유지수단을 도어에 가깝게 위치시켜 도어 제어의 오차를 감소시킨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유지수단을 제1유지수단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이 정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자 간에 강한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벗어난 쪽으로 강한 척력이 발생하도록 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초기 외력이 많이 필요하지만, 도어가 개방되기 시작한 이후에는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동으로 도어가 열리게 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유지수단과 마주보는 면이 다른 극을 형성하여 인력이 작용하는 제3유지수단을 구성하여, 제2유지수단으로부터 제1유지수단이 멀어지면 이에 따라 척력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데, 상기 제3유지수단을 구성하여 척력이 미치는 범위와 인력이 미치는 범위와의 겹치는 부분을 형성함에 따라, 도어가 열리는 속도가 점차 감소하는 등의 문제 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서 자동으로 매끄럽게 열리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3유지수단은 도어가 개구를 완전히 개방했을 때 제1유지수단의 위치상에 있도록 구성하여, 제1유지수단과 제3유지수단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담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입부와; 상기 개구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는 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흡입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지부는, 상기 링크부재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과, 상기 케이싱부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도어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지수단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도어에 가까운 상기 링크부재의 근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도어에 먼 상기 링크부재의 원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원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상기 제2유지수단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진 면이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지부는,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3유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3유지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3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반대의 극성을 가진 면이 상기 제1유지수단을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자담배는, 상기 승하강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승하강부안내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지부는, 상기 링크부재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과, 상기 승하강부안내편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도어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지수단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도어에 가까운 상기 링크부재의 근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도어에 먼 상기 링크부재의 원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원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상기 제2유지수단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진 면이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지부는,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3유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3유지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3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반대의 극성을 가진 면이 상기 제1유지수단을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지부는, 상기 승하강부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과, 상기 승하강부안내편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도어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지수단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상기 제2유지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상기 제2유지수단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진 면이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입부와; 상기 개구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는 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흡입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를 구성하여, 전자담배의 조작레버를 승강하려는 사용자의 의도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조작레버가 움직여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이와 연동된 흡입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오염이 되거나, 기화되지 않은 액체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유지부를 자석으로 구성하여, 전자담배의 지속적인 사용이 계속되더라도 마모 등으로 고정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담배의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매끄러운 동작의 구현을 실현시켜 전자담배 사용자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링크부재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과, 케이싱부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같은 극을 형성하여 척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조작레버를 조금만 승강시키더라도 척력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매끄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유지수단을 링크부재의 근위단부에 결합하여, 도어로부터 먼 쪽에 제1유지수단을 설치할 경우, 작은 오차들이 누적되어 결과적으로는 큰 오차를 발생시키게 됨에 따라 정밀한 도어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를, 상기 제1유지수단을 도어에 가깝게 위치시켜 도어 제어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2유지수단을 제1유지수단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이 정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자 간에 강한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벗어난 쪽으로 강한 척력이 발생하도록 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초기 외력이 많이 필요하지만, 도어가 개방되기 시작한 이후에는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자동으로 도어가 열리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유지수단과 마주보는 면이 다른 극을 형성하여 인력이 작용하는 제3유지수단을 구성하여, 제2유지수단으로부터 제1유지수단이 멀어지면 이에 따라 척력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데, 상기 제3유지수단을 구성하여 척력이 미치는 범위와 인력이 미치는 범위와의 겹치는 부분을 형성함에 따라, 도어가 열리는 속도가 점차 감소하는 등의 문제 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서 자동으로 매끄럽게 열리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3유지수단은 도어가 개구를 완전히 개방했을 때 제1유지수단의 위치상에 있도록 구성하여, 제1유지수단과 제3유지수단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담배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담배를 전측에서 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전측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후측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승하강부를 도시한 전측 사시도(a)와, 후측 사시도(b)와, 평면도(c).
도 9는 승하강부와 커넥터부의 결합 전 상태(a)와, 결합 후 상태(b)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승하강부와 커넥터부의 결합 전 상태(a), 지지대결합부의 삽입 전(b)와 삽입 후(c) 상태, 커넥터부의 삽입후 회전으로 결합 완료된 상태(d)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 부분(a)과 B 부분(b)을 각각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2는 고정부를 전측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승하강부와 고정부의 결합구조를 전측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승하강부와 고정부의 결합구조를 후측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링크부재와 승하강부에 관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동작관계에 관한 도면.
도 17 내지 도 19는 전자담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0은 흡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전원공급부에 대하여 각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전원공급부에 대하여 흡입부, 커넥터부, 승하강부와의 결합 전 상태(a)와 결합 후 상태(b)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전원공급부에 대하여 흡입부, 커넥터부, 승하강부와의 결합 전 상태(a)와 결합 후 상태(b)를 나타낸 정면도.
도 24는 접속핀, 중앙핀이 내부에 탄성체를 포함하는 팝업핀 형태인 경우 늘어난 상태(a), 줄어든 상태(b)를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전원공급부의 메인기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6은 전자담배의 작동과정에 관한 순서도.
도 27은 커넥터부에 대한 사시도(a) 및 커넥터부, 흡입부, 승하강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b).
도 28는 유지부의 제1유지수단 및 제2유지수단에 관한 도면.
도 29는 유지부의 제1유지수단 및 제2유지수단의 자력범위에 관한 도면.
도 30은 유지부의 제1유지수단, 제2유지수단 및 제3유지수단에 관한 도면.
도 31은 유지부의 제1유지수단, 제2유지수단 및 제3유지수단의 자력범위에 관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담배의 유지부에 관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담배의 유지부에 관한 도면.
도 34는 전자담배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및 이동은 각 도면에 화살표로 표현된 방향에 따라 정의되며, 필요에 따라 본문 내에서 별도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전자담배는, 전자담배의 외형을 형성하는 개구(25)가 형성된 케이싱부(20)와, 상기 케이싱부(2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부(10)와,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에서 상단이 개구(25)를 통해 상기 케이싱부(20)의 외부로 돌출되며, 저장된 용액을 기화시켜 연기를 생성 및 배출하는 흡입부(60)와, 상기 흡입부(6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30)와, 상기 승하강부(30)가 승하강 운동을 할 때,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고정부(40)와, 상기 승하강부(30)와 연동되어 작동되며 상기 개구(25)를 개폐하는 링크부재(50)와, 상기 흡입부(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와, 상기 흡입부(60)와 승하강부(30) 사이에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커넥터부(80)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90)를 포함한다.
전자담배의 구성요소 간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각에 커버부(10)를 포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0)의 내측으로 케이싱부(20)를 포함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에는 승하강부(30), 고정부(40), 링크부재(50), 흡입부(60), 전원공급부(70), 커넥터부(80), 유지부(9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0)는 상기 케이싱부(2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전측커버(11), 후측커버(13) 및 카트리지커버(15)를 포함한다.
상기 전측커버(11)는 전측케이싱(21)을 전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하에서 기술할 상기 승하강부(30)의 조작돌기(325)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돌기(325)의 이동경로 상으로 관통형성된 관통홈(111)을 포함한다.
상기 후측커버(13)는 후측케이싱(23)을 후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전측커버(11)와 후측커버(13)는 각각 전측케이싱(21)과 후측케이싱(23)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측커버(11)와 후측커버(13) 및 전측케이싱(21)과 후측케이싱(23)의 외주면을 따라 포함되는 여러 개의 돌기와 홈으로 탈부착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커버(15)는 상기 케이싱부(20)에서 상기 흡입부(60)의 상측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단절형성된 부분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흡입부(6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커버(15)는 상기 케이싱부(20)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20)의 홈(28)과 상기 카트리지커버(15)의 돌기(151)로 탈부착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커버(15)를 탈착하면 상기 흡입부(60)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상기 케이싱부(20)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흡입부(60)에 용액을 리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는 상기 케이싱부(20) 내부의 장치들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싱부(2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디자인이 포함된 커버로 교체해 사용할 수 있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2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담배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전측케이싱(21), 후측케이싱(23), 개구(25), 스위치버튼(27) 및 조작레버(29)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부(20)는 타원통의 형상에 상기 흡입부(60)의 상측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단절형성되므로 상기 케이싱부(20)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흡입부(60)에 용액을 손쉽게 리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6의 (a)는 상기 전측케이싱(21)을 상기 후측케이싱(23)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의 (b)는 상기 전측케이싱(21)을 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의 (c)는 상기 전측케이싱(21)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전측케이싱(21)은 상기 후측케이싱(23)과 결합하여 상기 케이싱부(2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조작돌기홈(211), 스위치홈(213), 충전단자홈(215) 및 고정부수용홈(217)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돌기홈(211)은 상기 전측케이싱(21)의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부(30)의 조작돌기(325)를 수용한다.
상기 스위치홈(213)은 상기 조작돌기홈(21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전측케이싱(21)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70)의 스위치(73)의 일단을 수용한다.
상기 충전단자홈(215)은 상기 전측케이싱(21)의 하면에 관통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70)의 충전단자(74)의 일단을 수용한다.
상기 고정부수용홈(217)은 상기 고정부(40)의 고무부재(43)와 조작돌기고정편(41)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상기 조작돌기홈(211)을 중심으로 그 외주면보다 넓은 범위의 면적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전측케이싱(21)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수용턱(217a)에 의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긴 직사각형의 공간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7의 (a)는 상기 후측케이싱(23)을 상기 전측케이싱(21)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의 (b)는 상기 후측케이싱(23)을 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의 (c)는 상기 후측케이싱(23)을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후측케이싱(23)은 상기 전측케이싱(21)과 결합하여 상기 케이싱부(2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절곡돌기홈(231), 회전가이드돌기홈(233), 회전축돌기홈(235) 및 고정돌기(237)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돌기홈(231)은 상기 후측케이싱(23)의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부(30)의 절곡돌기(333)를 수용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돌기홈(233)은 상기 절곡돌기홈(23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후측케이싱(23)에 곡선형태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재(50)의 회전가이드돌기(515)를 수용한다.
상기 회전축돌기홈(235)은 상기 절곡돌기홈(23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후측케이싱(23)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재(50)의 회전축돌기(535)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돌기(237)는 상기 후측케이싱(23)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0)의 승하강부안내편(45)과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25)는 상기 전측케이싱(21), 후측케이싱(23) 및 카트리지커버(15)를 결합하였을 때, 전자담배의 상측에 상기 흡입부(60)의 카트리지(63)의 횡단면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단절형성되며, 상기 개구(25)는 상기 흡입부(60)가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에 있을 때에는 폐쇄되어 있고, 상기 흡입부(60)가 상기 케이싱부(20)의 외부로 들어올려 질 때에는 개방되어 상기 흡입부(60)의 이동통로가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버튼(27)은 상기 전원공급부(70)의 스위치(73)와 상기 전측케이싱(2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치(77)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버튼(27)을 누름으로써 상기 스위치(73)를 누를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29)는 상기 승하강부(30)의 조작돌기(325)가 상기 전측케이싱(21)의 조작돌기홈(2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돌기(325)를 수용하여, 사용자는 상기 조작레버(29)를 작동하여 상기 승하강부(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0)는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에 위치하여 흡입부(60)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으로, 지지대(31)와, 승하강몸체부(32)와, 가이드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31)는 상기 흡입부(60)의 하단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흡입부(60)의 카트리지(63)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흡입부(60)를 안정적으로 받쳐서 승하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고, 중앙핀결합부(311)와, 커넥터결합부(313)와, 커넥터삽입홈(314), 커넥터고정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핀결합부(311)는 상기 커넥터결합부(313)의 내부에서 그 상측에서 하측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된 일정 크기의 구멍으로, 이하에서 기술할 상기 전원공급부(70)의 중앙핀(78)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이며, 그럼으로써 상기 중앙핀(78)이 상기 승하강부(30)와 함께 결합한 상태로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313)는 상기 지지대(31)의 상단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그 외부에는 상기 커넥터부(80)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내부는 상기 중앙핀결합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중앙핀(78)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트삽입홈(314)은 도 8의 (c)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커넥터결합부(315)의 둘레에서 이하에서 기술할 상기 커넥트부(80)의 지지대결합부(8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커넥트부(80)가 상기 지지대(31)와 결합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고정부(315)는 상기 지지대(31)의 상단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3151)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3151)는 그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151a)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31)와 상기 커넥터부(80)가 결합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평면상에서 상기 커넥터고정부(315)의 일부분에 대하여 상기 지지대(31)의 중심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이하에서 기술할 상기 커넥터부(80)의 지지대삽입홈(84) 내에 상기 커넥터고정부(315)가 수평방향으로 맞물리면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커넥트부(80)와 지지대(31)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3151a)은 경사면 일단(3151a-1)이 경사면 타단(3151a-2)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부(80)를 상기 지지대(31)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대삽입부(83)가 상기 경사면(3151a)의 상기 경사면 일단(3151a-1)을 통해 상기 경사면 타단(3151a-2)으로 진행하면서 용이하게 삽입되다가 상기 경사면의 타단(3151a-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커넥터부(80)가 상기 지지대(3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의 경우 상기 흡입부(60)와 커넥터부(80), 상기 커넥터부(80)와 승하강부(30) 사이의 결합에 있어 모두 나사결합 등의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흡입부(60)를 분리시키기 위해 그 상단을 잡고 돌리게 되면 상기 커넥터부(80)와 승하강부(30)의 결합보다 상기 흡입부(60)와 커넥터부(80)의 결합이 먼저 풀리게 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경우 상기 흡입부(60) 내에 저장된 용액이 쏟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에 따른 전자담배는 상기 커넥터부(80)와 승하강부(30)의 결합을 고정함에 있어 상기 커넥터고정부(315)의 돌기(3151)가 상기 커넥터부(80)를 고정하게 되므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함에 있어 나사결합에 비해 작은 결합력을 가지도록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흡입부(60)를 분리시키기 위해 그 상단을 잡고 돌리게 되면 상기 흡입부(60)와 커넥터부(80)의 결합보다 상기 커넥터부(80)와 승하강부(30)의 결합이 먼저 풀리게 되어 상기와 같은 흡입부(80) 내의 용액이 쏟아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승하강몸체부(3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흡입부(60)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으로, 승하강몸체(321), 접속핀결합부(323), 조작돌기(325)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몸체(321)는 상기 지지대(311)의 일측에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승하강몸체(321)에서 전측으로 상기 조작돌기(325)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접속핀결합부(323)는 상기 승하강몸체(321)의 상측에서 하측까지 관통하는 일정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도록 하여 이하에서 기술할 상기 전원공급부(70)의 접속핀(76)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이며, 그럼으로써 상기 접속핀(76)이 상기 승하강부(30)와 결합된 상태로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상기 승하강부(30)를 전선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종래 방식과 비교할 때 보다 견고한 전원연결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장기간 지속 사용에 있어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돌기(325)는 상기 전측케이싱(21)의 조작돌기홈(211)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부(20)의 외부로 일정 길이가 노출되어 조작레버(29)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승하강부(30)의 상하운동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33)는 상기 승하강몸체(313)의 후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몸체부(32)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가이드돌기(331), 절곡돌기(33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돌기(331)는 상기 승하강몸체(321)의 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부(40)의 승하강부안내편(45)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승하강부(30)가 이동경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절곡돌기(333)는 상기 가이드돌기(331)의 상단에서 절곡연장되며, 상기 링크부재(50)와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30)가 승하강할 때 상기 링크부재(50)를 회동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승하강부(30)와 커넥터부(8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와 커넥터부(80)는 상기 승하강부(30)의 지지대(31) 상단에 상기 커넥터부(80)의 하단이 삽입되면서 결합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트부(80)를 상기 커넥터고정부(315)와 상기 지지대삽입홈(84)이 평면상으로 맞물리면서 수직방향으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부(8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트부(80)를 회전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대결합부(85)를 상기 커넥터삽입홈(314) 안에 삽입하게 되며,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결합부(85)가 상기 커넥터삽입홈(314) 안에 완전히 삽입되어 안착하게 되면, 도 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고정부(315)와 상기 지지대삽입홈(84)이 수평방향으로 맞물리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부(8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부(80)를 다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대(31)와 상기 커넥터부(80)의 결합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승하강부(30)는 상기 케이싱부(2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데 그 이동경로에서 이탈하게 되면 전자담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싱부(20)에 고정된 고정부(40)가 상기 승하강부(30)를 수용하게 함으로써 상기 승하강부(30)가 이동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승하강부(30)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조작돌기고정편(41), 고무부재(43) 및 승하강부안내편(45)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돌기고정편(41)은 상기 전측케이싱(21)의 고정부수용홈(217)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케이싱부(20)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수용홈(217)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조작돌기(325)의 이동경로 상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조작돌기수용홈(411)을 포함하여 상기 조작돌기(325)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승하강부(30)가 정해진 이동경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작돌기고정편(41)은 상측 및/또는 하측에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연장형성된 돌기(412)를 포함하여. 상기 돌기(412)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조작돌기고정편(41)을 상기 고정부수용홈(217)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고무부재(43)는 상기 조작돌기고정편(41)의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수용홈(217)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부수용홈(217)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측케이싱(21)의 조작돌기홈(211)을 완전히 덮어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무부재(43)는 조작돌기(325)의 이동경로 상으로 상하방향으로 틈(431)을 포함하여 상기 틈(431)으로 상기 조작돌기(325)가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틈(431)은 전측방향으로 일정각도 돌출된 한 쌍의 날개(431a)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조작돌기(325)가 상기 틈(43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기 용이하다.
상기 날개(431a)는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조작돌기(325)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조작돌기(325)가 상하운동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조작돌기(325)를 상기 전측케이싱(21)의 조작돌기홈(21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승하강부(30)의 승하강운동을 수월하게 한다.
상기 승하강부안내편(45)은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고정돌기수용홈(451)을 포함하여 상기 후측케이싱(23)의 고정돌기(237)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싱부(20)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30)의 가이드돌기(331)의 이동경로 상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가이드돌기수용홈(453)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돌기(331)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승하강부(30)가 정해진 이동경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하강부(30)와 상기 고정부(4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돌기(325)는 상기 조작돌기고정편(41)과 상기 고무부재(43)를 통해 상기 전측케이싱(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승하강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331)는 상기 승하강부안내편(45)에 수용되어 승하강하므로 상기 승하강부(30)가 정해진 이동경로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흡입부(6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승하강부(30)를 조작하면 상기 링크부재(50)가 연동되어 개구(25)가 개폐되는데,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15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도 15의 (a)는 상기 링크부재(50)를 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5의 (b)는 상기 링크부재를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30)와 링크부재(50) 사이에 상기 승하강부안내편(45)이 위치하나 편의를 위해 도 15에서는 생략하였다), 상기 링크부재(50)는 상기 승하강부(30)와 연동하여 작동되며 상기 개구(25)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이동부재(51), 연결부재(53) 및 도어(55)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51)는 상단이 연결부재(53)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절곡돌기(333)와 접하여 상기 승하강부(30)가 승하강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53) 및 도어(55)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개구(25)를 개폐한다. 상기 이동부재(51)는 고리부(511), 회전가이드돌기(515) 및 연결돌기(51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51)는 바람직하게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가지므로, 얇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취할 때보다 가이드돌기(515) 및 연결돌기(513) 등을 포함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정사각형의 형상을 취할 때보다 상기 케이싱(20) 내부에서 적은 공간으로도 회동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리부(511)는 길게 형성된 일측면과 짧게 형성된 타측면에 의해 'J'자형의 갈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부재(51)의 하단에서 절곡형성되며, 고리홈(5111)과 연장경사면(5113)을 포함한다.
상기 고리홈(5111)은 상기 고리부(511)의 말단에 함입형성되어 상기 절곡돌기(333)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제1경사면(5111a), 제2경사면(5111b) 및 연결면(5111c)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면(5111a)은 상기 연장경사면(5113)과 연결되어 상기 고리부(511)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5111b)은 상기 고리부(511)의 타측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경사면(5111a)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면(5111c)은 상기 제1경사면(5111a)과 제2경사면(5111b)을 연결하며 바람직하게는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경사면(5113)은 상기 제1경사면(5111a)과 같은 방향으로 같은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경사면(5111a)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리부(511)의 일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부재(51)는 상기 승하강부(30)가 상승하면 상기 절곡돌기(333)가 상기 제1경사면(5111a)과 연장경사면(5113)을 차례로 밀어내므로 반시계방향(이하, 상기 링크부재(50)의 회동방향은 전자담배를 전측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정한다)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1경사면(5111a)과 연장경사면(5113)이 상기 승하강부(30)의 승하강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어 더 이상 밀리지 않을 때 회동을 멈춘다.
상기 연결돌기(513)는 상기 이동부재(51)의 상단에 상기 이동부재(51)의 후측에서 상기 후측케이싱(23)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53)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51)가 회동할 때 이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부재(53)가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돌기(515)는 상기 이동부재(51)의 후측에서 상기 후측케이싱(23)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후측케이싱(23)의 회전가이드돌기홈(233)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51)의 회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돌기홈(233)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이동부재(51)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이동부재(51)의 회동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도어(55)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단부(531), 상단부(533), 중간부(537) 및 회전축돌기(535)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부(531)는 상기 이동부재(51)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중간부(537)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곧게 뻗어있고, 제1연결돌기수용홈(53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돌기수용홈(5311)은 상기 하단부(531)의 하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51)의 연결돌기(515)와 연결되므로, 상기 이동부재(51)가 회동할 때 상기 이동부재(51)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53)가 회동된다.
상기 상단부(533)는 상기 도어(55)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중간부(537)의 타측에서 상측으로 곧게 뻗어있고, 제2연결돌기수용홈(5331)을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돌기수용홈(5331)은 상기 상단부(533)의 상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도어(55)와 연결되므로, 상기 연결부재(53)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55)가 이동하여 상기 개구(25)가 개폐된다.
상기 중간부(537)는 상기 상단부(533)와 하단부(531)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537)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5)를 개방하기 위한 공간(d)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상기 상단부(533)와 하단부(531)가 상기 중간부(537)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곧게 뻗어 있는 것은 상기 상단부(533)와 하단부(531)가 상기 중간부(537)와 같은 기울기를 가지며 연장형성될 때와 비교하여 상기 공간(d)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링크부재(50)가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축돌기(535)는 상기 연결부재(53)의 회전중심에서 전측과 후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전측의 회전축돌기(535)는 상기 승하강부안내편(45)에 결합되고, 후측의 회전축돌기(535)는 상기 후측케이싱(23)의 회전축돌기홈(235)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53)가 상기 회전축돌기(535)를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55)는 상기 연결부재(53)의 회동에 의해 상기 개구(25)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덮개판(551), 연장판(553), 연결돌기(555)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판(551)은 상기 승하강부(30)가 하강하면 상기 개구(25)를 덮고, 상기 승하강부(30)가 상승하면 상기 개구(25)를 개방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싱부(20)의 횡단면과 상보적인 형상으로써, 상기 케이싱부(20)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25)를 개폐해야 하므로 그 횡단면보다 일정 크기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판(553)은 상기 덮개판(551)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부재(53)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판으로써, 상기 연결돌기(555)가 상기 연장판(553)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돌기(555)는 상기 연장판(553)의 일측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53)의 제2연결돌기수용홈(5331)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부재(5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덮개판(551)을 이동시켜 개구(25)를 개방하고, 상기 연결부재(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덮개판(551)을 이동시켜 개구(25)를 폐쇄한다.
상기 링크부재(50)가 상기 승하강부(30)에 연동되어 개구(25)를 개폐하는 과정을 도 17 내지 도 19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편의상 상기 전측케이싱(21)은 생략하였고, (a)는 전자담배를 후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b)는 전자담배를 전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돌기(325)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승하강부(30)가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절곡돌기(333)가 상기 이동부재(51)의 제1경사면(5111a)과 연장경사면(5113)을 밀어내어 상기 이동부재(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51)의 회동운동은 상기 후측케이싱(23)의 회전가이드돌기홈(233)에 수용된 회전가이드돌기(515)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이동부재(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51)에 연결돌기(515)로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53)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연결부재(53)의 회동운동은 상기 후측케이싱(23)의 회전축돌기홈(235)에 수용된 회전축돌기(535)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연결부재(5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53)에 연결돌기(555)로 연결된 상기 도어(55)가 개구(2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돌기(325)를 더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개구(25)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흡입부(60)의 카트리지(63)가 상기 케이싱부(2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조작돌기(325)를 사용자가 하측으로 내리면 상기 승하강몸체(321)가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카트리지(63)는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로 들어오고, 상기 절곡돌기(333)가 상기 이동부재(51)의 연결면(5111c)을 밀어내어 상기 이동부재(5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5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51)에 연결돌기(513)로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5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55)는 개구(2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승하강몸체(321)와 연결된 상기 카트리지(63)가 케이싱부(2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개구(25)를 폐쇄하게 된다.
도 5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60)는 상기 케이싱부(20)의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단이 상기 개구(25)를 통해 케이싱부(20)의 외부로 돌출되며, 저장된 용액을 기화시켜 연기를 생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흡입부(60)는 기화부(61), 카트리지(63), 마우스피스(65)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60)가 케이싱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정도는 이를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마우스피스(65) 부분만 돌출될 수도 있고, 마우스피스(65) 및 카트리지(63)까지 돌출될 수도 있는 등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라 하겠다.
상기 기화부(61)는 상기 전원공급부(7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통하여 상기 카트리지(63) 내에 저장된 용액을 기화시켜 연기를 생성할 수 있는 부분으로, 수나사선(611)과 전극(613)을 포함한다.
상기 수나사선(611)은 상기 기화부(61)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기화부(61)와 상기 커넥터부(80)의 결합에 있어 이하에서 기술할 상기 커넥터부(80)의 내부에 존재하는 암나사선(81)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부분으로, 나사결합의 특성상 상기 커넥터부(80)와 지지대(31)의 결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결합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전극(613)은 상기 수나사선(611)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도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하에서 기술할 상기 전원공급부(80)의 중앙핀(78) 상측면과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전원공급부(80)로부터 상기 기화부(6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63)는 그 내부에 용액을 저장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상기 기화부(61)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으로, 저장된 용액을 상기 기화부(61)를 통해 기화시켜 연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기를 상기 카트리지(63) 상단의 후술할 마우스피스(65)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63)는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나 상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마우스피스(65)는 상기 카트리지부(63)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기화된 연기를 전자담배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해 입으로 무는 부분을 말한다(도 28 및 도 30 참고). 그 형상에 관하여 이를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가 입으로 파지하기 쉬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 및 도 21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70)는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부(6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지(71), 전지연결단자(72), 스위치(73), 충전단자(74), 전원공급단자(75), 접속핀(76), 접속단자(77), 중앙핀(78) 및 메인기판(79)을 포함한다.
상기 전지(71)는 전자담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종류의 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가 사용되고 원형의 형태를 가진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지연결단자(72)는 상기 메인기판(79)의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지(71)와 메인기판(79)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위치(73)는 상기 메인기판(79)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상기 접속핀(76)이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73)를 누르면 상기 메인기판(79)의 제어하에 상기 전지(71)의 전원이 상기 흡입부(60)에 공급되어 연기가 생성된다.
상기 충전단자(74)는 상기 메인기판(79)의 하측에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충전단자홈(215)에 삽입되며 외부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전지(71)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원공급단자(75)는 제 1공급단자(751)과 제 2공급단자(752)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30)의 상기 접속핀(76)과 결합하여 상기 흡입부(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승하강몸체부(32)를 상승시켰을 때 상기 접속핀(76)이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상기 접속핀(76)은 제 1접속핀(761)과 제 2접속핀(762)를 포함하며, 도체로써, 그 상단과 하단을 통하여 다른 구성요소 사이를 연결해줄 수 있는 부분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상기 접속단자(77) 사이에서 전원을 연결해줄 수 있다.
상기 제1접속핀(761)과 제2접속핀(762)는 몸체(761a, 762a), 가압돌기(761b, 762b)와 탄성체(761c, 762c)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761a, 762a)는 내부에 탄성체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승하강부(30)의 상기 접속핀결합부(323)에 탑재되어 상기 승하강부(30)와 일체로 상하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돌기(761b, 762b)는 일단이 상기 몸체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하강부(30)의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단자(75)의 제 1공급단자(751)와 제 2공급단자(752)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상기 승하강부(30)의 하강함에 따라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는 그 하단이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접속단자(77)의 제 1접속단자(771)에 통전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761c, 762c)는 상기 몸체 내에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돌기(761b, 762b)를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접속핀(76)이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접점을 형성하지 아니할 때는 도 24의 (a)의 76a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761b, 762b)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접속핀(76)이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접점을 형성할 때는, 도 24의 (b)의 76b와 같이 하측으로 가압되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승하강부(30)의 상승으로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상기 접속핀(76)이 접촉하고 상기 개폐장치(50)에 의해 이러한 접점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접속핀(76)의 가압돌기(761b, 762b)가 탄성체(761c, 762c)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가압되므로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의 접촉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이유로 인해 접촉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원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77)는 도체로써, 상기 접속핀(76)과 중앙핀(78)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고, 제1접속단자(771), 제2접속단자(772)를 포함하며, 전자담배의 내부구조 또는 상기 전지(71)의 종류 등에 따라 복수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자(771)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접속핀(761)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제1접속핀수용공(771a)을 포함하여 상기 제1접속핀의 몸체(761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지지대의 단턱(316)상에 얹혀져 그라운드를 형성한다.
상기 제2접속단자(772)는 중앙핀수용공(772b)과 제2접속핀수용공(772a)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핀수용공(772b)은 상기 중앙핀(78)의 하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2접속핀수용공(772a)은 상기 제 2접속핀의 몸체(762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중앙핀(76)은 상기 제2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제2접속핀(7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게 된다.
상기 중앙핀(78)은 도체로써, 상기 접속핀(76)과 마찬가지로 그 상단과 하단을 통하여 다른 구성요소 사이를 연결해줄 수 있는 부분으로, 본원 발명에서의 중앙핀(78)은 상기 기화부(61)와 상기 지지대(31) 사이에서 전원을 연결해줄 수 있으며, 몸체(781), 가압돌기(782), 탄성체(783)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핀(78)의 몸체(781)는 내부에 탄성쳬(783)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중앙핀결합부(31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승하강부(30)와 일체로 상하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돌기(782)는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기화부(61)의 전극(611)과 접촉하여 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몸체(781)는 그 하단이 상기 제 2접속단자(772)의 중앙핀수용공(772b)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30)가 상승할 때 상기 기화부(61)와 상기 지지대(31)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고, 상기 승하강부(30)가 하강할 때 전기적 접촉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783)는 상기 몸체(781) 내에 수납되어 상기 가압돌기(782)를 상측으로 탄성가압되며, 상기 중앙핀(78)이 상기 기화부(61)와 접점을 형성하지 아니할 때는 도 24의 (a)의 78a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782)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중앙핀(78)이 상기 기화부(61)와 접점을 형성할 때는, 도 24의 (b)의 78b와 같이 하측으로 가압되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면, 상기 기화부(61)와 상기 중앙핀(78)이 접촉하고 상기 중앙핀(78)의 가압돌기(782)가 상기 탄성체(783)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가압되므로 상기 기화부(61)와의 접촉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이유로 인해 접촉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원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상기 전원공급부(70)는 상기 전지(71)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접속핀(76)과, 접속단자(77)와, 중앙핀(78)을 통하여 상기 흡입부(60) 내에 있는 상기 기화부(61)까지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전원의 연결구조 및 전달과정은 도 22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전선을 이용하지 않고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를 통하여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선을 사용하여 전원을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내부구조가 단순해지고 전원연결구조에 있어 견고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30)의 상하운동을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접속핀(76)이 전기적 접촉 또는 전기적 접촉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하강부(30)의 상승시에만 전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승하강부(30)의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73)을 조작하여 전원꺼짐 상태를 만들 수 있는 것과 별도로 전원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본원발명에 따른 전자담배를 사용함에 있어 전원을 꺼두는 경우에도 전기적 연결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전지(71)가 방전되는 경우 등을 방지하여 전자담배 및 전지(71)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메인기판(79)은 흡입부(60)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기화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하 상기 메인기판(79)의 구성요소들과 그 작동과정을 자세히 살펴본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기판(79)은 전자담배의 전기적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지(71)의 충전 및 상기 흡입부(6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메인기판(79)은 제어부(791), 전압변환부(793) 및 동작표시부(79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791)는 전지(71)에서 공급되는 일정한 전압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화량를 공급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압변환부(793)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791)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화량을 설정하는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전자담배는 전자담배의 전원을 켜는 전원켜짐 단계(S1), 전자담배를 이용한 흡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공급 단계(S2), 전자담배의 기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압조절 단계(S3), 전자담배의 전원을 끌 수 있는 전원꺼짐 단계(S4),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차단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켜짐 단계(S1)는 전원이 완전히 꺼져 있는 전원꺼짐 상태(S11)에서, 승하강부를 상승(S12)시켜야만 스위치를 5번 터치(S13)함으로써 전자담배의 전원을 켤 수 있고(S14), 만약 승하강부가 상승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상기 접속핀(76)이 접촉되지 않아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스위치를 5번 터치하여도 전원이 켜지지 않는다.
상기 전원공급 단계(S2)는 상기 전원켜짐(S1)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스위치(73)를 계속 누르고 있게 되면(S21) 상기 전원공급부(70)에 전원이 공급(S22)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압조절 단계(S3)는 상기 전원켜짐(S1) 단계가 완료된 후 스위치를 추가로 3번 터치(S31)하게 되면 상기 흡입부(60)에 공급되는 전압의 정도를 조절하게 되며(S32) 공급되는 전압의 정도에 따라 상기 흡입부(60)의 기화량이 변경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기화량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전자담배의 기화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일 예시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전원꺼짐 단계(S4)는 상기 승하강부(30)를 상승시키고 상기 스위치(73)를 5번 터치함으로써 완료된 상기 전원켜짐 단계(S1)와 상기 스위치(73)를 계속 누르고 있음으로써 유지되던 상기 전원공급 단계(S2)가 완료된 후, 상기 스위치(73)를 다시 5번 터치(S42)하면 전자담배의 전원이 꺼지는 단계로, 이러한 전원꺼짐 단계(S4)가 완료된 후라도 상기 승하강부(30)가 상승된 상태라면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상기 접속핀(76)이 접촉되어있으므로, 전원꺼짐 상태에서도 상기 전지(71)가 방전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전원차단 단계(S5)는 상기 전원꺼짐 단계(S4)가 완료된 후 상기 승하강부(30)를 하강(S51)시킴으로써 전자담배의 전원을 차단(S52)하는 단계로, 상기 승하강부(30)의 하강을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단자(75)와 상기 접속핀(76)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게 되므로, 전자담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전원의 연결을 완벽히 차단함으로써 상기 전지(71)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원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및 상기 전지(71)의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압변환부(793)는 상기 제어부(79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압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전지(71)에서 공급되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상기 제어부(791)로부터 전달받은 전압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91)가 Hi 수준의 기화량은 4.3V, Me 수준의 기화량은 4.0V, Lo 수준의 기화량은 3.7V라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전지(71)가 3.7V의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Hi 수준의 기화량을 상기 조절방법에 의해 설정하였다면, 상기 전압변환부(793)는 상기 제어부(791)로부터 그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전지(71)로부터 공급받은 3.7V의 전압을 4.3V로 변환하여 상기 흡입부(60)에 공급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기화량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압변환부(793)는 바람직하게는 DC/DC Converter일 수 있으나 상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고, 상기 Hi, Me, Lo의 기화량 구분은 일 예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동작표시부(795)는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기화량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Hi 수준의 기화량은 빨간색, Me 수준의 기화량은 파란색, Lo 수준의 기화량은 하얀색으로 표시하는 LED 장치일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부(80)는 상기 흡입부(60)와 상기 승하강부(30) 사이에서 그 상단은 상기 흡입부(60)에, 그 하단은 상기 승하강부(30)에 각각 결합하여 연결하는 부분으로, 암나사선(81), 외부나사선(82), 지지대삽입부(83), 지지대삽입홈(84), 지지대결합부(85)를 포함한다.
상기 암나사선(81)은 상기 커넥터부(80) 상단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화부(61)의 하단에 존재하는 수나사선(611)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부분으로, 그럼으로써 상기 기화부(61)와 커넥터부(80)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고, 나사결합의 특성상 상기 커넥터부(80)와 지지대(31)의 결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결합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외부나사선(82)은 상기 커넥터부(80) 상단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부(80)의 경우 상기 기화부(61)에 암나사선(61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기 흡입부(80) 하단의 내부면에 나사선을 형성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상기 흡입부(80)가 후자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도 상기 흡입부(60)와 커넥터부(80)가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부나사선(82)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삽입부(83)는 상기 지지대결합부(85)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31)와 커넥터부(80)의 결합에 있어 상기 지지대삽입홈(84)내에 상기 커넥터고정부(315)가 수평방향으로 수용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 후에는 상기 커넥터부(80)를 회전시켜 상기 커넥터고정부(315)가 상기 지지대삽입부(83)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80)와 상기 지지대(31)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삽입홈(84)은 상기 지지대삽입부(83) 내에서 그 일부분은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상기 커넥터부(80)와 상기 지지대(31)의 결합에 있어 평면상으로 볼 때 안쪽으로 돌출된 돌기(3151)가 상기 지지대삽입홈(84)에 수평방향으로 맞물리면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결합부(85)는 상기 커넥터부(80)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로써, 상기 커넥터삽입홈(314) 내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이러한 결합 후에 상기 커넥터삽입홈(314)의 내부공간 범위 내에서 상기 커넥터부(8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고정부(315)의 경사면 타단(3151a-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지지대삽입부(83)를 상기 지지대(3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승하강부(30)와 커넥터부(8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0)의 지지대(31) 상단에서 상기 커넥터부(80)의 하단이 삽입되면서 결합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기 커넥트부(80)를 상기 커넥터고정부(315)와 상기 지지대삽입홈(84)이 평면상으로 맞물리면서 수직방향으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부(8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트부(80)를 회전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대결합부(85)를 상기 커넥터삽입홈(314) 안에 삽입하게 되며, 도 10의 (c)와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결합부(85)가 상기 커넥터삽입홈(314) 안에 완전히 삽입되어 안착하게 되면, 도 10의 (d)와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고정부(315)와 상기 지지대삽입홈(84)이 수평방향으로 맞물리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부(8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부(80)를 다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대(31)와 상기 커넥터부(80)의 결합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28은 유지부에 관한 도면으로, 도 2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지부(90)는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55)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하는 구성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임계치란, 어떠한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경계로 정의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어(5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승하강부(30)의 위치에서 승하강부(30)를 움직여 완전히 닫힌 도어(55)의 상태를 벗어나도록 하는 최소의 힘의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자석은 같은 극끼리는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하고 다른 극끼리는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이 작용하는 특성이 있다. 이 중에서 자석의 척력을 이용해 도어(55)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척력을 이겨낼 수 있을 정도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도어(55)가 열릴 수 있도록 구성하면, 전자담배의 승하강부(30)를 승강하려는 사용자의 의도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승하강부(30)가 움직여 도어(55)가 개방되면서 이와 연동된 흡입부(60)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지부(90)는 이러한 자석의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55)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유지수단(91), 제2유지수단(93), 제3유지수단(9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지수단(91)은 상기 링크부재(50)에 결합되는 자석으로, 그 형태에 관하여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지수단(91)의 설치 위치와 관련하여 이를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어(55)를 기준으로 했을 때, 도어(55)에 가까운 링크부재(50)의 근위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어(55)에서 먼 링크부재(50)의 원위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링크부재(50)는 상기 도어(55)에 연결되는 연결부재(53)와, 상기 승하강부(30)에 연결되는 이동부재(51)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유지수단(91)은 연결부재(53) 상에서 도어(55)로부터 먼 연결부재(53)의 원위단부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링크부재(50)는 승하강부(3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55)를 개폐하는 것인데, 상기 제1유지수단(91)의 위치가 상기 도어(55)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작은 오차가 누적되면서 결론적으로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바, 오차의 누적을 방지하여 도어(55)의 개폐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유지수단(91)은 도어(55)에 가까운 링크부재(50)의 근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유지수단(91)을 링크부재(50)에 결합시, 상기 링크부재(50)에 제1유지수단(91)의 외측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져 제1유지수단(91)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을 구성함으로써, 제1유지수단(91)이 상기 홈에 끼워 넣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유지수단(91)은 링크부재(50)에 함입고정되어 일측 방향으로만 노출되게 되고 노출되는 면 방향으로만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지부(90)를 제외한 장치부(3)의 다른 구성에 자력이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도 15의 (a) 및 (b) 모두에서 제1유지수단(91)이 보이는데, 이는 상기 링크부재(5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여 그 홀에 제1유지수단(91)을 삽입하여 양측으로 자력이 미치게 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일측면에 함입홈을 구성함으로써, 그 내측에 제1유지수단(91)이 끼워지도록 하여 일측 방향으로만 자력이 미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상기 제2유지수단(93)은 상기 제1유지수단(91)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는 자석으로, 그 위치는 제1유지수단(93)에 의해 정해지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부(20) 가운데 후측케이싱(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지수단(93)은 그 형태에 관하여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이란, 상기 제1유지수단(91)이 링크부재(50)에 결합되어 링크부재(50)의 운동에 따라 같이 운동하게 될 때, 상기 제1유지수단(91)이 이동하게 되는 자취 상을 말한다. 즉, 상기 제2유지수단(93)을 제1유지수단(91)이 운동하게 될 가상선상에 위치시켜, 제1유지수단(91)이 제2유지수단(93)과 근접하게 되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는 양자 간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유지수단(93)은 상기 도어(55)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지수단(91)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유지수단(91)과 제2유지수단(93)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진 면이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양자 간에 척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유지수단(93)이 상기 제1유지수단(91)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2유지수단(93)이 위치한 곳에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서는 상기 제1유지수단(91)을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하게 되는바, 이 척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이 가해져야 제1유지수단(91)이 제2유지수단(93)을 지나쳐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55)가 상기 제1유지수단(91)과 제2유지수단(93)의 척력에 의해 상기 개구(25)를 덮도록 구성할 경우, 상기 척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척력에 의해 도어(55)가 지속적으로 개구(25)를 덮고 있게 된다.
도 2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유지수단(91)은 링크부재(50) 중 연결부재(53)의 상단부(533)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유지수단(91)의 노출된 면이 후측케이싱(23) 방향을 향하고 있어, 제2유지수단(93)은 후측케이싱(23) 상에 상기 제1유지수단(91)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해 있다.
도 28의 (a)는 상기 제1유지수단(91)과 제2유지수단(93) 사이에서 척력이 작용하고 상태로, 상기 척력에 의해 상기 도어(55)가 개구(25)를 완전히 닫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승하강부(30)를 통해 제1유지수단(91)이 제2유지수단(93)을 지나쳐 갈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이 가해져 도 16에 도시된 직선 및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경우, 제1유지수단(91)이 제2유지수단(93)을 지나쳐가는 순간에는 척력의 방향이 제1유지수단(91)의 이동방향과 같아지게 되어 힘을 들이지 않고도 도어(55)가 빠르게 열리도록 한다(도 28의 (b) 참고).
도 29를 참고하면, 상기 제2유지수단(93)은 고정되어 있고, 제1유지수단(91)은 운동선(T)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바, 제2유지수단(93)을 중심으로 R영역 내에 제1유지수단(91)이 들어오게 되면, 고정된 제2유지수단(93)이 제1유지수단(91)을 R영역 밖으로 밀어내려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2유지수단(93)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우측에서부터 제2유지수단(93)을 향해 이동하는 제1유지수단(91)은 우측방향으로의 척력을 받게 되고, 좌측에서부터 제2유지수단(93)을 향해 이동하는 제1유지수단(91)은 좌측방향으로의 척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지수단(93)을 기준으로 상기 제1유지수단(91)이 우측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도어(55)가 상기 개구(25)를 완전히 닫게 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도어(55)를 열기 위해 상기 제1유지수단(91)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 우측에 있던 제1유지수단(91)이 제2유지수단(93)에 가까워질수록 강한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척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져 제1유지수단(91)이 제2유지수단(93)을 기준으로 조금이라도 좌측에 위치하게 되면, 제1유지수단(91)이 이동하려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척력이 작용하게 되면서 도어(55)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3유지수단(95)은 상기 도어(55)가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자석으로, 그 형태에 관하여 특정한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제3유지수단(95)은 상기 제1유지수단(91)과 반대의 극성을 가진 면이 상기 제1유지수단(91)을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유지수단(91)과 제2유지수단의 마주보는 면이 S극인 경우, 상기 제3유지수단(95)의 제1유지수단(91)과 마주보는 면은 N극이 될 수 있다.
도 3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지부(90)는 제3유지수단(95)을 포함하여, 제1유지수단(91)과 제2유지수단(93) 사이의 척력이 미치는 범위를 넓히기 위해 굳이 강한 자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척력이 미치지 않거나 약하게 미치는 지점에서는 제3유지수단(95)이 이동하는 제1유지수단(91)을 인력으로 끌어당기게 되어 힘을 들이지 않고도 승하강부(30)의 작은 승강 운동만으로도 도어(55)가 완전히 열릴 수 있도록 하며, 완전히 열린 도어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1을 참고하면, 상기 제2유지수단(93)과 제3유지수단(95)은 고정되어 있고, 제1유지수단(91)은 운동선(T)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바, 제2유지수단(93)을 중심으로 R영역 내에 제1유지수단(91)이 들어오게 되면, 고정된 제2유지수단(93)이 제1유지수단(91)을 R영역 밖으로 밀어내려는 힘을 작용하게 되고, 제3유지수단(95)을 중심으로 Q영역 내에 제1유지수단(91)이 들어오게 되면, 고정된 제3유지수단(95)이 제1유지수단(91)을 Q영역 안으로 끌어당기 힘을 작용하게 된다. 도 31의 빗금 친 영역은 상기 척력의 범위(R)와 상기 인력의 범위(Q)가 겹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유지수단(93)으로부터 제1유지수단(91)이 멀어지면, 이에 따라 척력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데, 상기 제3유지수단(95)을 구성하여 척력이 미치는 범위(R)와 인력이 미치는 범위(Q)와의 겹치는 부분이 형성됨에 따라, 도어(55)가 열리는 속도가 점차 감소하는 등의 문제 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서 자동으로 상기 도어(55)가 완전히 열리게 될 수 있으며, 완전히 개방된 도어(55)의 상태를 제1유지수단(91)과 제3유지수단(95) 사이의 인력에 의해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담배의 유지부에 관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달리 제2유지수단(93)이 상기 승하강부안내편(45)에 결합된 차이가 있다. 상기 제1유지수단(93)은 후측케이싱(23)과 승하강부안내편(45) 사이에서 움직이게 되는바, 상기 제2유지수단(93)을 상기 승하강부안내편(45)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담배의 유지부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유지부(90)는 상기 승하강부(30)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91)과, 상기 승하강부안내편(45)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93)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담배의 도어(55)를 개폐하는 과정은, 상기 조작레버(29)를 통해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조작레버(29)에 연결된 승하강부(30)가 승하강하게 되고, 승하강부(30)의 절곡돌기(333)가 링크부재(50)를 회전시켜, 링크부재(50)의 일단에 연결된 도어(55)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지수단(91)은 반드시 링크부재(50) 상에만 결합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와 같이 승하강부(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지수단(93)은 제1유지수단(91)에 의해 그 위치가 정해지는 것인바, 상기 제2유지수단(93)은 상기 제1유지수단(91)과 마주보며 척력을 작용할 수 있는 상기 승하강부안내편(4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4는 전자담배의 사용상태도로, 도 3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34의 (a)는 도어(55)가 완전히 닫혀있고, 흡입부(60)도 장치부(3) 내측의 정위치상에 안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전자담배의 사용자는 도 34의 (a) 상태에서 전자담배를 휴대하게 되고 전자담배의 사용을 원할 경우 조작레버(29)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행위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60)는 조작레버(29)와 연동되어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1유지수단(91)과 제2유지수단(93)의 척력을 극복할 정도의 외력이 상기 조작레버(29)를 통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제1유지수단(91)과 제2유지수단(93)의 정합 상태를 지나면서 조작레버(29)의 승강을 통해 링크부재(50)가 회전하려는 방향과 척력의 작용으로 인한 링크부재(50)의 회전방향이 같아지게 되어 흡입부(60)를 장치부(3)의 외부로 완전 노출하기도 전에 상기 도어(55)가 완전히 개방되게 된다. 도 34의 (b)는 조작레버(29)의 소정의 움직임만으로도 도어(55)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어(55)가 완전히 개방된 후에도 상기 흡입부(60)는 조작레버(29)의 승강운동에 연동되어 함께 승강하게 되며, 도 34의 (c)는 도어(55)의 움직임은 없이 흡입부(60)의 승강만 계속되어 흡입부(60)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34의 (c)는 조작레버(29)가 승강할 수 있는 최대한계까지 도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로써 흡입부(60)의 승강도 완료가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작레버(29)를 하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34의 (c) 상태인 조작레버(29)를 하측으로 밀어 내리는 행위를 하게 되면, 조작레버(29)의 하강에 따라 흡입부(60) 역시 하강을 하게 되나, 조작레버(29)와 연결된 승하강부(30)의 절곡돌기(333)가 링크부재(50)의 고리부(511)에 걸리기까지는 도어(55)를 닫기 위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도어(5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6의 (b) 참고).
조작레버(29)가 상기 고리부(511)에 걸리게 되면 도 16의 (b) 상태에 있는 링크부재(50)가 회전을 하려고 한다. 상기 제1유지수단(91)과 제3유지수단(95) 사이의 인력을 극복하면서, 제1유지수단(91)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2유지수단(93)의 척력까지 극복하는 외력이 작용한다면, 상기 제1유지수단(91)이 제2유지수단(93)과 정합된 상태에까지 이를 수 있게 되고, 정합된 상태를 지나 상기 제1유지수단(91)이 제2유지수단(93)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53)가 회전하려는 방향으로 조금이라도 어긋나게 되면, 제1유지수단(91)과 제2유지수단(93) 사이의 척력으로 인해 링크부재(50)에는 급격한 회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개방되어 있던 도어(55)는 순간적으로 빠르게 닫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커버부 11: 전측커버
13: 후측커버 15: 카트리지커버
20: 케이싱 21: 전측케이싱
23: 후측케이싱 25: 개구
27: 스위치버튼 28: 홈
29: 조작레버 30: 승하강부
31: 지지대 32: 승하강몸체부
33: 가이드부 40: 고정부
41: 조작돌기고정편 43: 고무부재
45: 승하강부안내편 50: 링크부재
51: 이동부재 53: 연결부재
55: 도어 60: 흡입부
61: 기화부 63: 카트리지
70: 전원공급부 71: 전지
72: 전지연결단자 73: 스위치
74: 충전단자 75: 전원공급단자
76: 접속핀 77: 접속단자
78: 중앙핀 79: 메인기판
80: 커넥터부 81: 암나사선
82: 외부나사선 83: 지지대삽입부
84: 지지대삽입홈 85: 지지대결합부
90: 유지부 91: 제1유지수단
93: 제2유지수단 95: 제3유지수단

Claims (29)

  1.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입부와, 상기 개구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는 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흡입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링크부재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과, 상기 케이싱부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은, 자석으로, 척력에 의해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도어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지수단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도어에 가까운 상기 링크부재의 근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도어에 먼 상기 링크부재의 원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원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수단과 상기 제2유지수단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진 면이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3유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지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반대의 극성을 가진 면이 상기 제1유지수단을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3.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입부와, 상기 개구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는 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흡입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승하강부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링크부재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과, 상기 승하강부안내편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은, 자석으로, 척력에 의해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도어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지수단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도어에 가까운 상기 링크부재의 근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도어에 먼 상기 링크부재의 원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지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원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0. 삭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수단과 상기 제2유지수단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진 면이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3유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지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과 반대의 극성을 가진 면이 상기 제1유지수단을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5.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개구를 통해 케이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입부와, 상기 개구를 덮는 도어를 포함하는 링크부재와, 일측은 상기 흡입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링크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흡입부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기까지 상기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유지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승하강부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승하강부에 결합된 제1유지수단과, 상기 승하강부안내편에 결합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지수단과 제2유지수단은, 자석으로, 척력에 의해 도어를 닫힘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제1유지수단의 운동선에 대응하는 가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도어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지수단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28. 삭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수단과 상기 제2유지수단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진 면이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KR1020160074485A 2016-06-15 2016-06-15 전자담배 KR10187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85A KR101874369B1 (ko) 2016-06-15 2016-06-15 전자담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85A KR101874369B1 (ko) 2016-06-15 2016-06-15 전자담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46A KR20170141446A (ko) 2017-12-26
KR101874369B1 true KR101874369B1 (ko) 2018-07-04

Family

ID=6093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485A KR101874369B1 (ko) 2016-06-15 2016-06-15 전자담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10A (ko) *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101B1 (ko) * 2018-09-13 2020-06-17 주식회사 이엠텍 액상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발생기
WO2020199209A1 (en) * 2019-04-04 2020-10-08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102277019B1 (ko) * 2019-06-10 2021-07-13 주식회사 아쎄르 궐련형 전자담배
KR102326000B1 (ko) * 2019-07-24 2021-11-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52737A (ko) 2019-10-30 2021-05-11 (주) 에프원케이티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KR102482017B1 (ko) * 2020-06-12 2022-12-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커버 조립체
WO2022009360A1 (ja) * 2020-07-09 2022-01-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本体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非燃焼式吸引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774B1 (ko) * 2010-12-13 2011-08-19 신종수 전자담배
KR101094727B1 (ko) 2011-03-10 2011-12-16 주식회사 시그닛코리아 전자담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774B1 (ko) * 2010-12-13 2011-08-19 신종수 전자담배
KR101094727B1 (ko) 2011-03-10 2011-12-16 주식회사 시그닛코리아 전자담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10A (ko) *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272407B1 (ko) * 2019-07-24 2021-07-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46A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369B1 (ko) 전자담배
KR101696363B1 (ko) 전자 담배
KR101631286B1 (ko) 전자담배
US11606981B2 (en) Vaporizer
US10292432B2 (en) Electronic cigarette
KR101656061B1 (ko) 전자담배
US20130169230A1 (en) Contact type charging device used for an electronic cigarette
US20160278436A1 (en) Vaporizer
CN105927894A (zh) 可拆卸式多用途台灯
CN105789506A (zh) 电子烟电池
KR20130000596A (ko) 전자담배
KR20180001840A (ko) 전자담배
US20100160840A1 (en) Massage Device
KR20130000595A (ko) 전자담배
US11097935B2 (en) Transitional electric can opener
US20200352243A1 (en) Portable vaporizer
WO2019233390A1 (zh) 雾化头、雾化组件、雾化器及电子烟
US11986024B2 (en) Electronic cigarette assembly
KR101772344B1 (ko) 전자담배
KR20220096556A (ko) 회전형 살균 커버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CN111329129A (zh) 一种电子烟
KR101550332B1 (ko) 아날로그 작동식 전자담배
WO2021042240A1 (zh) 电子烟
CN212454880U (zh) 可移动式风扇
CN215347011U (zh) 一种雾化器和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