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737A -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737A
KR20210052737A KR1020190137047A KR20190137047A KR20210052737A KR 20210052737 A KR20210052737 A KR 20210052737A KR 1020190137047 A KR1020190137047 A KR 1020190137047A KR 20190137047 A KR20190137047 A KR 20190137047A KR 20210052737 A KR20210052737 A KR 2021005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unit
smoking device
self
operating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구
Original Assignee
(주) 에프원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프원케이티 filed Critical (주) 에프원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13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2737A/ko
Publication of KR2021005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커버나 작동을 위한 스위치가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전자담배의 흡연이 가능하고, 히팅유닛의 교체로 다양한 타입의 전자담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Removable smoking device}
본 발명은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커버나 작동을 위한 스위치가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전자담배의 흡연이 가능하고, 히팅유닛의 교체로 다양한 타입의 전자담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도 전자담배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595호(발명의 명칭 : 전자담배 ; 이하 인용발명1 이라 함)와, 제10-2017-0141446호(발명의 명칭 : 전자담배 ; 이하 인용발명2 라 함)와, 제10-2019-0010216호(발명의 명칭 : 궐련형 전자담배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 이하 인용발명3 이라 함) 등이 있다.
인용발명1과 인용발명2는 액상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액상 카트리지용 전자담배에 관한 것이고, 인용발명3은 궐련을 직접 히터조립체에 꼽아서 사용하는 궐련형 전자담배에 관한 것이며, 액상 카트리지용 전자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는 구조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전자담배로 궐련과 액상 카트리지를 함께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도 1로 나타낸 인용발명1과 같이 흡연자가 흡연을 위해 입으로 무는 부분(도면부호 22번 연기배출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오염에 위험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대부분 인용발명2와 같이 전자담배의 내부에 내장하고 흡연 시 도 2에서와 같이 커버(50번 링크부재)를 열고, 흡연을 위해 입으로 무는 부분(60번 흡입부)을 빼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을 위해 전자담배의 크기가 증대되고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궐련형 전자담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도 3에서와 같이, 궐련스틱이 삽입되는 투입구(213)가 개방되어 있으면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고, 반대로 흡연 후 삽입된 궐련스틱을 뽑아 버리더라도 내부에 잔존물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개방된 투입구(213)로부터 떨어져나와서 전자담배의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투입구(213)를 개폐시키는 커버부재(250)가 구성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자담배의 크기가 증대되고, 흡연을 위해 커버부재(250)를 열고 닫는 조작이 증가되어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5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4144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02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전자담배에 모듈 교체로 궐련과 액상 카트리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커버를 구성하지 않고도 커버 구성의 효과가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게 되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연 시 필요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들을 흡연 디바이스에 내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각각의 별도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없어서 흡연 장소에서 다시 돌아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흡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흡연 디바이스에 자착 가능한 히팅유닛과, 상기 흡연 디바이스의 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히팅유닛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히팅유닛을 몸체 내부에 내장시키는 내장공간과, 상기 내장공간에 내장된 히팅유닛의 시소작동을 위한 작동공간이 구비되되,
상기 내장공간에서 히팅유닛이 접촉되고, 접촉된 히팅유닛을 고정시키는 착탈자석을 포함하는 지지면과, 상기 일면이 노출된 히팅유닛의 일부가 눌려 히팅유닛의 삽입구가 노출되는 시소작동 시 히팅유닛을 자착시키는 작동자석 및 자착된 히팅유닛과 접속되어 몸체의 배터리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포함된 작동면이 구성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를 제공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자착식 히팅유닛의 일면이 흡연 디바이스의 일측면과 나란한 상태로 히팅유닛의 일면만 노출되도록 흡연 디바이스에 내장되고 전자담배가 삽입되는 히팅유닛의 삽입구는 흡연 디바이스의 내부에서 보호되므로 별도의 커버나 뚜껑이 불필요하게 되며, 흡연 시에 상기 히팅유닛의 노출된 일면을 눌러 시소작동으로 히팅유닛의 삽입구가 노출됨에 따라 궐련스틱을 바로 꼽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작동버튼의 조작이나 커버를 개폐시키는 조작 등의 과정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여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의 자력에 의해 히팅유닛이 흡연 디바이스 내부에 고정된 것이지만 외부에 노출된 히팅유닛의 일면(노출면)의 길이보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의 길이가 길고, 히팅유닛의 4방향 측면이 모두 내장공간과 같은 형상으로 내장공간의 내부면에 각각의 4방향 측면이 모두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내장공간에 내장된 히팅유닛은 어떠한 충격에도 내장공간으로부터 임의적으로 히팅유닛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흡연을 위해서 일면이 노출된 히팅유닛의 일부가 눌려 시소작동에 의해 히팅유닛의 삽입구가 노출되더라도 히팅유닛이 작동공간의 작동면에 자착되고, 삽입구가 있는 히팅유닛의 단부에 걸림부가 내장공간의 내측에 걸림상태가 되므로 히팅유닛의 삽입구에 전자담배의 궐련스틱이나 액상카트리지를 꽂고 흡연하는 중과 다 사용된 궐련스틱이나 액상카트리지를 뽑을 때에도 히팅유닛이 흡연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히팅유닛의 시소작동을 위한 지지점인 내장공간 내부의 내부모서리에 맞닿는 지지면과 작동면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구조적 특징에 따라 히팅유닛의 시소작동 시 내부모서리를 중심으로 히팅유닛이 회전하면서 습동되어 상기 히팅유닛이 지지면에 자착된 내장상태에서는 히팅유닛과 내장공간 사시의 간격이 최소화되고, 히팅유닛이 작동면에 자착된 작동상태에서는 작동공간에 삽입된 히팅유닛의 단부와 작동공간의 곡면 사이의 간격이 최대화되므로 히팅유닛의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히팅유닛의 단부와 작동공간의 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히팅유닛을 이동시키면 히팅유닛이 작동면의 작동자석과 떨어짐과 동시에 히팅유닛의 걸림부가 내장공간의 내측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므로 흡연 디바이스로부터 히팅유닛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어서 히팅유닛의 착탈도 용이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히팅유닛을 궐련스팅용과 액상 카트리지용으로 구분하여 교체하므로 하나의 흡연 디바이스를 두가지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는 착탈 가능한 히팅유닛과 궐련스틱이나 액상카트리지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 및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이 함께 흡연 디바이스에 내장될 수 있어서 음악을 듣거나 흡연을 위해 흡연 장소로 이동할 때 전자담배, 궐련스틱, 액상카트리지, 이어폰 등을 모두 각각 따로따로 준비하지 않고 이 모든 것이 내장된 흡연 디바이스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편의성이 증대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2는 인용발명2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3은 인용발명3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내장공간과 작동공간의 특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히팅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히팅유닛과 내장공간 및 작동공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에서 히팅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4와 도 5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는 상기 흡연 디바이스에 자착 가능한 히팅유닛(200)과, 흡연 디바이스 몸체(100)의 일측면에 상기 히팅유닛(200)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히팅유닛(200)을 몸체(100) 내부에 내장시키는 내장공간(300)과,
상기 내장공간(300)에 내장된 히팅유닛(200)의 시소작동을 위한 작동공간(400)이 구비되되,
상기 내장공간(300)에서 히팅유닛(200)이 접촉되고, 접촉된 히팅유닛(200)을 고정시키는 착탈자석(311)을 포함하는 지지면(310)과,
상기 일면이 노출된 히팅유닛(200)의 일부가 눌려 히팅유닛(200)의 삽입구(211)가 노출되는 시소작동 시 히팅유닛(200)을 자착시키는 작동자석(411) 및 자착된 히팅유닛(200)과 접속되어 몸체(100)에 내장된 배터리(120)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단자(412)가 포함된 작동면(41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는 공지된 종래의 전자담배 디바이스와 같이, 제어부, 배터리(120)(120), 충전 단자 등이 모두 포함된 것이며,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에 내장되는 히팅유닛(200)은 흡연 디바이스의 내부에 자착되는 것이기는 하나 미사용 중에는 자착력보다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사용중에도 임의적 분리가 차단되면서도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며, 이러한 히팅유닛(200)은 삽입구(211)에 삽입된 궐련스틱(510)을 히팅하여 흡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액상 카트리지를 결합시켜 흡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어서 용도에 맞게 교체 장착하여 하나의 흡연 디바이스가 두가지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히팅유닛(200)은 도 4와 도 7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공간(300)과 같은 형상으로 내장공간(300)에 내장된 것이며, 외부에 노출된 히팅유닛(200)의 일면(노출면(213))의 길이보다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의 길이가 길고, 히팅유닛(200)의 4방향 측면이 모두 내장공간(300)의 내부면에 각각 근접되는 크기로 된 것이다.
또한 궐련스틱(510)용 히팅유닛(200)은 궐련스틱(510)이 삽입되는 삽입구(211)와, 상기 삽입구(211)를 통해 삽입된 궐련스틱(510)에 열을 가하는 히팅핀(231)과,
상기 지지면(310)의 착탈자석(311)과 작동면(410)의 작동자석(411)에 각각 자착되는 자착부(220)와,
상기 작동자석(411)에 자착 시 접속되는 접속단자(412)로부터 흡연 디바이스의 몸체(100)에 내장된 배터리(120) 전력을 공급받아 히팅핀(231)을 가열하는 히팅부(230)가 구성될 수 있고, 전자담배의 액상카트리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장공간(300)으로부터 궐련스틱(510)용 히팅유닛(200)을 분리하고 액상카트리지용 히팅유닛(200)을 내장공간(300)에 장착하기만 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히팅유닛(200)은 자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므로 흡연 디바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세척액 등으로 세척이 가능하고, 히팅유닛(200) 자체를 교체할 수 있어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히팅유닛(200)은 도 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히팅유닛(200)의 본체(210)로부터 히팅부(23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히팅유닛(200) 내부의 히팅핀(231)을 청소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히팅유닛(200)의 고장발생율을 감소시키고 더욱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히팅유닛(200)을 내장상태로 보호 및 보관할 수 있는 상기 내장공간(300)은 도 8에서와 같이, 히팅유닛(200)이 접촉되고, 접촉된 히팅유닛(200)을 고정시키는 착탈자석(311)을 포함하는 지지면(310)이 구비되며, 히팅유닛(200)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양 측면이 곡면으로 된 것이다.
즉, 상기 내장공간(300)은 히팅유닛(200)의 노출면(213)을 제외하고 상기 노출면(213)보다 길이가 긴 타면과 상기 타면 양측의 곡면을 같은 형상으로 히팅유닛(200)을 감싸듯 내장하고 있어서 히팅유닛(200)의 노출면(213)이 노출되는 개구부보다 내장되어 있는 히팅유닛(200)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히팅유닛(200)을 고정시키는 자착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거나 충격을 받더라도 전혀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공간(400)도 도 5 내지 도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내장공간(300)에 내장된 히팅유닛(200)의 시소작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히팅유닛(200)의 노출면(213) 중 일부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지지면(310) 끝의 내부모서리(320)를 시소축으로 하여 히팅유닛(200)이 회전하면서 습동됨에 따라 접촉되는 작동면(410)과, 상기 작동면(410)에 히팅유닛(200)을 자착시키는 작동자석(411)과, 상기 작동자석(411)과 히팅유닛(200)의 자착 시 흡연 디바이스의 배터리(120)로부터 히팅유닛(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접속단자(412)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작동면(410)의 기울기는 히팅유닛(200)이 시소작동에 의해 작동면(410)에 자착된 상태에서 히팅유닛(200)의 걸림부(212)가 내장공간(300)의 내측에 걸림작동되도록 하는 기울기로 된 것이어서 이에 따라 히팅유닛(200)의 삽입구(211)에 전자담배의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를 꽂고 흡연하는 중에 또는 사용이 끝난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를 뽑을 때에도 히팅유닛(200)이 흡연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히팅유닛(200)의 시소작동을 위한 지지점인 내장공간(300) 내부의 내부모서리(320)에 맞닿는 상기 지지면(310)과 작동면(410)은 서로 길이가 다르며, 도 5와 도 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히팅유닛(200)의 시소작동 시 내장공간(300)의 지지면(310)과 작동공간(400)의 작동면(410)에 접촉되는 히팅유닛(200)의 타면의 중심에서 지지면(310)측으로 내부모서리(320)가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면(310)의 길이가 작동면(410)의 길이보다 짧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의 위치와 내부모서리(320)의 위치가 다르게 되므로 도 6의 (a) 상태에서 히팅유닛(200)의 노출면(213) 중 일부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지지면(310) 끝의 내부모서리(320)를 시소축으로 하여 히팅유닛(200)이 회전하면 도 6의 (b)와 같이 히팅유닛(200)의 단부가 작동공간(400)의 곡면을 벗어나기 때문에 내부모서리(320)를 중심으로 히팅유닛(200)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히팅유닛(200)의 단부가 작동공간(400)의 곡면에 밀리면서 히팅유닛(200)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습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도 6의 (c)와 같이 히팅유닛(200)의 단부와 작동공간(400)의 곡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이 간격은 히팅유닛(200)이 작동면(410)에 자착 시 최대가 되고 히팅유닛(200)이 지지면(310)에 자착 시 최소가 되므로 히팅유닛(200)이 지지면(310)에 자착된 도 6의 (a) 상태는 상기 간격이 최소화되어 히팅유닛(200)이 흡연 디바이스에 일체화되는 것이며, 상기 간격이 최대화된 도 6의 (c) 상태에서는 히팅유닛(200)의 걸림부(212)가 내장공간(300)의 내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히팅유닛(200)의 단부를 작동공간(400)의 곡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히팅유닛(200)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도 6의 (d)와 같이 히팅유닛(200)이 작동면(410)의 작동자석(411)과 떨어지고 히팅유닛(200)의 걸림부(212)가 내장공간(3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그대로 내장공간(300)으로부터 히팅유닛(200)을 당겨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히팅유닛(200)을 다시 내장공간(300)에 내장시키기 위해서는 역순으로 가능하다.
이에 따라 흡연을 위해서 일면이 노출된 히팅유닛(200)의 일부가 눌려 시소작동에 의해 히팅유닛(200)의 삽입구(211)가 노출되더라도 히팅유닛(200)이 작동공간(400)의 작동면(410)에 자착되고, 삽입구(211)가 있는 히팅유닛(200)의 걸림부(212)가 내장공간(300)의 내측에 걸림상태가 되므로 히팅유닛(200)의 삽입구(211)에 전자담배의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를 꽂고 흡연하는 중에 히팅유닛(200)이 흡연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다 사용된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를 뽑을 때에도 히팅유닛(200)이 흡연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히팅유닛(200)의 시소작동을 위한 지지점인 내장공간(300) 내부의 내부모서리(320)에 맞닿는 지지면(310)과 작동면(410)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구조적 특징에 따라 히팅유닛(200)의 시소작동 시 내부모서리(320)를 중심으로 히팅유닛(200)이 회전하면서 습동되어 상기 히팅유닛(200)이 지지면(310)에 자착된 내장상태에서는 히팅유닛(200)과 내장공간(300) 사시의 간격이 최소가 되고, 히팅유닛(200)이 작동면(410)에 자착된 작동상태에서는 작동공간(400)에 삽입된 히팅유닛(200)의 단부와 작동공간(400)의 곡면 사이의 간격이 최대가 되므로 히팅유닛(200)의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히팅유닛(200)의 단부와 작동공간(400)의 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히팅유닛(200)을 회전시키면 히팅유닛(200)이 작동면(410)의 작동자석(411)과 떨어짐과 동시에 히팅유닛(200)의 걸림부(212)가 내장공간(300)의 내측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므로 흡연 디바이스로부터 히팅유닛(2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어서 히팅유닛(200)의 착탈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흡연 디바이스는 히팅유닛(200)이 일정시간 이상 내장공간(300)의 지지면(310)과 작동공간(400)의 작동면(410)으로부터 모두 떨어져있는 경우 흡연 디바이스가 히팅유닛(200)의 분실 상태로 인식하여 히팅유닛(200)의 분실을 알리는 불빛과 안내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알림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는 도 4와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500)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500)는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가 삽입 고정되는 서랍식 수납부(500)일 수 있고,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가 흡연 디바이스의 몸체(100)에 직접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납홀일 수 있으며, 상기 서랍식 수납부(500)일 경우 흡연 디바이스의 내부에 수납부(500)를 자착시키는 자석체로 된 고정부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납부(500)가 완전히 흡연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500)는 내장된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의 표면 중 일부가 보일 수 있는 투과창이나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는 절곡시켜 사용하며, 흡연 디바이스에 내장 시에는 흡연 디바이스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자로 펼 수 있는 각도 조절형 무선이어폰인 꺾임이어폰(610)이 내장되는 직선형 이어폰홀(60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폰홀(600)은 꺾임이어폰(610)의 삽입 시 꺾임이어폰(610)을 파지(把持)하고, 파지되어 있는 삽입된 꺾임이어폰(610)을 삽입 방향으로 밀면 상기 파지상태가 해체되며 삽입된 꺾임이어폰(610)을 외부로 밀어내는 누름착탈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착탈부는 상기 수납부(500)를 흡연 디바이스에 착탈시킬 수 있는 고정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는 착탈 가능한 히팅유닛(200)과 궐련스틱(510)이나 액상카트리지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 및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이 함께 흡연 디바이스에 내장될 수 있어서 음악을 듣거나 흡연을 위해 흡연 장소로 이동할 때 전자담배, 궐련스틱(510), 액상카트리지, 이어폰 등을 모두 각각 따로따로 준비하지 않고 이 모든 것이 내장된 흡연 디바이스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흡연디바이스 몸체 110:알림부 120:배터리
200:히팅유닛 210:본체 211:삽입구
212:걸림부 213:노출면 220:자착부
230:히팅부 231:히팅핀 232:전극
300:내장공간 310:지지면 311:착탈자석
320:내부모서리 400:작동공간 410:작동면
411:작동자석 412:접속단자 500:수납부
510:궐련스틱 600:이어폰홀 610:꺾임이어폰

Claims (5)

  1. 흡연 디바이스에 있어서, 자착식 히팅유닛과, 상기 흡연 디바이스의 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히팅유닛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히팅유닛을 몸체 내부에 내장시키는 내장공간과,
    상기 내장공간에 내장된 히팅유닛의 시소작동을 위한 작동공간이 구비되되,
    상기 내장공간에서 히팅유닛이 접촉되고, 접촉된 히팅유닛을 고정시키는 착탈자석을 포함하는 지지면과,
    상기 일면이 노출된 히팅유닛의 일부가 눌려 히팅유닛의 삽입구가 노출되는 시소작동 시 히팅유닛을 자착시키는 작동자석 및 자착된 히팅유닛과 접속되어 몸체의 배터리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포함된 작동면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공간의 지지면 중 히팅유닛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작동공간의 작동면 중 히팅유닛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궐련스틱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궐련스틱에 열을 가하는 히팅핀과,
    상기 지지면의 착탈자석과 작동면의 작동자석에 각각 자착되는 자착부와,
    상기 작동자석에 자착 시 접속되는 접속단자로부터 몸체의 배터리 전력을 공급받아 히팅핀을 가열하는 히팅부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흡연 디바이스의 몸체에 궐련스틱과 액상카트리지 중 어느 한 가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시켜 사용하고 내장 시 일자로 펴서 내장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각도 조절형 무선이어폰을 내장하는 직선형 이어폰홀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KR1020190137047A 2019-10-30 2019-10-30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KR20210052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047A KR20210052737A (ko) 2019-10-30 2019-10-30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047A KR20210052737A (ko) 2019-10-30 2019-10-30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737A true KR20210052737A (ko) 2021-05-11

Family

ID=7591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047A KR20210052737A (ko) 2019-10-30 2019-10-30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273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595A (ko) 2011-06-23 2013-01-03 신종수 전자담배
KR20170141446A (ko) 2016-06-15 2017-12-26 신종수 전자담배
KR20190010216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595A (ko) 2011-06-23 2013-01-03 신종수 전자담배
KR20170141446A (ko) 2016-06-15 2017-12-26 신종수 전자담배
KR20190010216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궐련형 전자담배용 히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48441B (zh) 气溶胶生成源支撑组件及具备其的气溶胶生成装置
US11197504B2 (en) Aerosol generator providing easy and quick cleaning
US8660284B2 (en) Hearing aid
EP2888962A1 (en) Electronic cigarette apparatus
US9838806B2 (en) Hearing aid device having battery drawer
JP4764887B2 (ja) 耳穴式補聴器
WO2006067133A1 (en) Behind-the-ear hearing aid
WO1993018629A1 (fr) Dispositif permettant la recharge de l'accumulateur d'une prothese intra-auriculaire et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e ce dispositif
JPWO2018202732A5 (ko)
ATE403458T1 (de) Nadelentfernungsvorrichtung
EP1346603B1 (en) A communication device
CN209768990U (zh) 电子雾化装置
KR20210052737A (ko) 착탈식 흡연 디바이스
US20100160840A1 (en) Massage Device
US20130236041A1 (en) Battery holder for a hearing device
JP2006334348A (ja) 内視鏡用鉗子の先端部
JP2019179703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KR101496154B1 (ko)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JP2018191160A (ja) 耳かけ型補聴器及びロックピン取付ユニット
KR200491514Y1 (ko) 전자담배
KR102130121B1 (ko) 건전지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구조
JP4338582B2 (ja) 電池収容装置
JP2900121B2 (ja) 補聴器
JP2005272104A (ja) コード巻取り装置をそなえた電気機器及び該電気機器のコードを巻き取る方法
JP5123791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