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074B1 - 타일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타일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074B1
KR101874074B1 KR1020180012751A KR20180012751A KR101874074B1 KR 101874074 B1 KR101874074 B1 KR 101874074B1 KR 1020180012751 A KR1020180012751 A KR 1020180012751A KR 20180012751 A KR20180012751 A KR 20180012751A KR 101874074 B1 KR101874074 B1 KR 10187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epoxy
injection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최낙승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8001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 B05C11/1031Gate valves; Slid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before the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for applying adhesive, e.g. glue or mortar, on the covering elements, in particular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면에 떠붙임몰탈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타일을 부착하는 타일부착단계; 시공면과 타일 사이에 형성된 유격된 공간에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보강단계; 및 타일과 타일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에 방수성재료를 주입하는 줄눈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일 시공 공법{TIL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벽체에 부착되는 타일의 탈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일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면에 다수 개의 타일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부착시키되, 타일과 타일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을 통해 시공면과 타일 사이의 공간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보강단계를 더 시공함으로써, 타일 배면의 공간 발생이나 규모가 커짐에 따른 중량 증가로 인해 시공면으로부터 타일이 탈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타일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과 같은 벽체의 시공면에는 타일을 부착시켜 마감함으로써, 다양한 무늬의 시공을 통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이러한 타일은 대부분 도기질 타일로 제작되며, 종래에는 시공면에 부착하기 위해 떠붙임몰탈(시멘트, 골재를 베이스로 한 몰탈 제품) 등을 이용하여 떠붙임 공법으로 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 떠붙임 공법은 시공면과 타일의 배면 사이에 떠붙임몰탈이 국소부위로 접착되기 때문에 사이 공간에 유격이 형성되며, 다양한 타일의 제조시 규모가 커짐에 따라 중량이 증가하여, 지진 등의 외적 요인 및 떠붙임몰탈의 내구성(접착력) 감소로 인해 시공면으로부터 타일이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시공면과 타일의 배면 사이에 형성되는 떠붙임몰탈의 부피를 증가시켜 상기 시공면과 타일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최소화하여 접착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떠붙임몰탈의 증가로 인해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용이 발생되는 정도에 비해 부착력이 증가되는 정도가 미비하고, 지진 발생 및 시간경과시 낮은 부착력으로 인해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탈락이 발생된 타일이나 떠붙임몰탈은 일부분에 손상이 발생되면, 손방된 부분의 타일만 완벽하게 제거가 어려워 하자보수에 따른 시공 난이도가 상승되며, 보수시 미세먼지가 발생되고 폐기물 처리로 인한 환경 오염 발생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5045호(2013.10.2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공면에 타일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부착시키되, 타일과 타일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을 통해 시공면과 타일 사이의 공간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보강단계를 더 시공함으로써, 타일 배면의 공간 발생이나 규모가 커짐에 따른 중량 증가로 인해 시공면으로부터 타일이 탈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타일 시공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은 시공면에 떠붙임몰탈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타일을 부착하는 타일부착단계; 시공면과 타일 사이에 형성된 유격된 공간에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보강단계; 및 타일과 타일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에 방수성재료를 주입하는 줄눈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시공면에 타일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부착시키되, 타일과 타일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을 통해 시공면과 타일 사이의 공간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보강단계를 더 시공함으로써, 타일 배면의 공간 발생이나 규모가 커짐에 따른 중량 증가로 인해 시공면으로부터 타일이 탈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줄눈공간을 통해 시공면측으로 우레탄폼을 주입함으로써, 액상 타입의 에폭시 주입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타일 정면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면과 타일의 배면 사이에 유격 발생을 차단하고,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침투성 강화제를 첨가한 에폭시를 주입함으로써, 시공면, 즉 콘크리트나 벽돌층에 침투되어 시공면 자체를 강화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부착력 강화로 인해 지진 발생 및 시간경과에 따른 내구성(접착력) 저하시 시공면으로부터 타일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수 작업을 최소화하여 비용 절감 및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부의 일 예를 나탄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장치에 세척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장치에 히터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누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누름장치의 길이가 가변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누름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은 시공면(10)에 다수 개의 타일(20)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부착시키되,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30)을 통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보강단계를 더 시공함으로써, 타일(20) 배면의 공간 발생이나 규모가 커짐에 따른 중량 증가로 인해 시공면(10)으로부터 타일(20)이 탈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타일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타일(20)은 벽에 부착되거나 또는 바닥에 부착되는 타일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은 벽에 부착된 타일과 바닥에 부착된 타일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점을 밝혀둔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벽에 부착된 타일에 적용하여 시공하는 공법을 명시 또는 도시하였으나, 동일한 공법을 통해 바닥에 부착된 타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의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부의 일 예를 나탄낸 측면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장치에 세척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주입장치에 히터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누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누름장치의 길이가 가변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 누름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은 다수 개의 타일(20)을 시공면(10)에 부착함에 있어,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줄눈공간(30)을 통해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타일부착단계(S10), 보강단계(S20) 및 줄눈시공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타일 시공 공법은 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줄눈공간(30)으로 성형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를 떠붙임몰탈 뿐만 아니라 상기 성형재료로 인해 부착력을 향상시켜 타일(20)의 탈락 및 들뜸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일부착단계(S10)는 시공면(10)에 떠붙임몰탈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타일(20)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타일부착단계(S10)에서 떠붙임몰탈은 일반적으로 시멘트와 물, 이에 추가로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은 혼합물을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떠붙임몰탈은 시공면(10)과 타일(20)을 1차적으로 부착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전체 체적은 떠붙임몰탈이 75 내지 85부피%로 채워진다.
여기에서, 떠붙임몰탈이 75부피% 보다 미만으로 채워지면, 부착력이 약해지고, 85부피% 보다 많게 채워지면 무게 증가로 인해 시공면(10)이나 타일(20)과의 탈락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되며, 후술되는 보강단계(S20)에서 에폭시 또는 우레탄폼이 충분히 채워지기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면, 시공면(10)에 다수 개의 타일(20)이 부착되는 경우, 시공면(10)과 하나의 타일(20)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떠붙임몰탈이 75 내지 85부피%로 채워질 수 있다.
즉 시공면(10)과 각각의 타일(20) 사이에 떠붙임몰탈이 75 내지 85부피%로 채워질 수 있다.
보강단계(S20)는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유격된 공간에 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로, 에폭시주입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단계(S20)는 성형재료를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즉 타일부착단계(S10)에서 부착된 떠붙임몰탈을 제외한 공간에 상기 성형재료를 주입하여 채우는 단계로, 주입하는 과정은 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줄눈공간(30)으로 상기 주입장치(100) 일부분을 삽입한 후, 성형재료를 주입하여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성형재료가 채워지도록 한다.
여기에서, 성형재료는 떠붙이몰탈과 더불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으로 채워져 상기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에폭시주입단계(S22)에서 주입되는 에폭시 또는 우레탄폼주입단계(S21)에서 주입되는 우레탄폼 등이 될 수 있다.
에폭시주입단계(S22)는 다수 개의 타일(20)과 타일(20) 사이, 즉 타일(20)의 외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에 상기 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에폭시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에폭시는 시공면(10), 타일(20) 및 상기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부착된 떠붙임몰탈을 2차적으로 부착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떠붙임몰탈이 채워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약 50%로 채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전체 체적은 에폭시가 7.5 내지 12.5부피%로 채워질 수 있다.
여기에서, 에폭시는 7.5부피%보다 미만으로 채워지면, 떠붙임몰탈과의 접촉면적이 적어 부착력이 약해지고, 12.5부피% 보다 많게 채워지면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1차적으로 떠붙임몰탈이 75 내지 85 부피%로 채워지고, 2차적으로 에폭시가 7.5 내지 12.5 부피%로 채워져, 시공면(10)과 떠붙임몰탈 사이 및 타일(20)과 떠붙임몰탈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시공면(10)으로부터 타일(20)의 탈락 및 들뜸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폭시는 시멘트가 베이스인 시공면(10)이나 떠붙임몰탈에 침투하여 시공면(10)과 떠붙임몰탈 자체를 강화시킬 수 있어 종래 몰탈만으로 타일을 부착한 사례에 대비하여 약 5 내지 6배의 부착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주입되는 에폭시는 침투성 강화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침투성 강화제는 벽이나 떠붙임몰탈로 침투되어 에폭시와의 부착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에폭시는 규사가 함께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규사는 에폭시가 접촉되는 부분과의 마찰저항계수을 증가시켜 보다 강력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에폭시주입단계(S22)에서 주입되는 에폭시는 분리되어 있는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혼합한 후 줄눈공간(30)을 통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한 점도를 갖는 수용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폭시 주제는 에폭시를 물로 강제 유화 분산시켜 제조한 비스페놀에이(bisphenol 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자량 100 내지 400g/eq, 점도 150 내지 500cps, 고형분 60 내지 100wt%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경화제는 아민-에폭시 어덕트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자량 100 내지 300g/eq, 점도 150 내지 500cps, 고형분 60 내지 80wt%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약 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에폭시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주제를 60 내지 70중량부를 첨가하고, 에폭시 경화제를 30내지 3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폭시 주제의 첨가량이 60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부착력을 발현할 수 없고, 7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되어 에폭시의 주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폭시 경화제의 첨가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부착력을 발현할 수 없고, 35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되어 에폭시의 주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혼합된 에폭시의 주입은 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입장치(100)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 개의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30)을 통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으로 성형재료인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저장부(110), 제1실린더부(120), 제2저장부(130), 제2실린더부(140), 구동부(150), 스크류부(160), 주입부(170), 세척부(180) 및 히터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주입장치(100)는 각 구성간 호스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호스는 체크밸브 등 다양한 밸브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주입장치(100)는 건(gun)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장치(100)의 구성간 설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념도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건 형태에 주입장치(100)의 구성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에폭시를 주입하는 주입부(170) 및 스크류부(160)의 구성만 건 형태의 주입장치(100)에 구비되고, 제1저장부(110), 제1실린더부(120), 제2저장부(130), 제2실린더부(140), 구동부(150), 세척부(180) 및 히터부(190) 등은 건 형태와 별도로 외부에 구비되어 호스 등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저장부(110)는 에폭시 주제가 저장되며, 제2저장부(130)는 에폭시 경화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 각각에는 체크밸브(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115)는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로부터 이송되는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한반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제1실린더부(120)는 제1저장부(110)에 연결되어 후술되는 구동부(150)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저장부(110)에 저장된 에폭시 주제가 이송되도록 한다.
제2실린더부(140)는 제2저장부(130)에 연결되어 후술되는 구동부(150)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에폭시 경화제가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제1실린더부(120)와 제2실린더부(140)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제1실린더부(120)와 제2실린더부(140)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구동부(150)에 의해 동작되는 제1실린더부(120)와 제2실린더부(140)가 동일한 힘으로 동작되면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 각각에 저장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동일한 양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제1실린더부(120) 또는 제2실린더부(140)의 동작범위, 즉 에폭시 주제 또는 에폭시 경화제를 이송시키는 정도가 다르게 이루어지도록 제1실린더부(120)와 제2실린더부(140)를 교체함으로써, 에폭시 주제 또는 에폭시 경화제의 이송에 따른 혼합 비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약 2:1로 혼합되는 경우, 제1실린더부(120)의 동작범위, 즉 규격이 제2실린더부(140)의 2배가 되도록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제1실린더부(120) 또는 제2실린더부(140)의 교체만으로도 계절 변화에 따라 온도가 감소하거나 또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른 환경변화에 대처하여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의 혼합 비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제1실린더부(120)와 제2실린더부(140)를 동작시키는 동력원으로, 전동모터나 에어모터 등 상기 제1실린더부(120)와 제2실린더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장치이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류부(160)는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로부터 이송되는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한 후 후술되는 주입부(170)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크류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로부터 이송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정밀하고 정확한 배합비로 혼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송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다수 개의 구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혼합구간(161) 및 압축구간(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스크류부(160)는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스크류가 반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로부터 이송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상기 나선형 스크류의 면을 따라 이송시켜 후술되는 주입부(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스크류부(160)는 나선형의 스크류가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송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제1실린더부(120)와 제2실린더부(1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나선형 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제1실린더부(120)와 제2실린더부(140)에 의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의 이송은 스크류부(160)의 입구까지만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부(160)에 형성된 나선형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도면에 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스크류부(160) 내부에 형성된 나선형 스크류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혼합구간(161) 및 압축구간(162)도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의 혼합 및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혼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이송되는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혼합구간(161)은 스크류부(160)로 이송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임펠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혼합구간(161)은 다수 개의 임펠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루형 또는 터빈형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주입장치(100)는 스크류부(16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혼합구간(161)을 스크루형 또는 터빈형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스크루형으로 이루어진 혼합구간(161)은 점도가 낮은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혼합할 때 용이하며, 터빈형은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세차게 섞어 빠르게 혼합되도록 하고, 강한 힘으로 밀어내어 배출되는 이송속도를 높이고자 할 때 용이하다.
압축구간(162)은 혼합구간(161)에서 혼합되어 이송되는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압축하여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스크류부(160)에 구비되는 반복되는 형태의 나선형의 스크류 보다 리드 간격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구간(162)의 리드 간격은 상기 스크류부(160)에 구비되는 나선형의 스크류 리드 간격보다 약 1/2 내지 1/3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좁은 리드 간격을 갖는 압축구간(162)으로 혼합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의 반응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 조건에 따라 경화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외부로 배출된 에폭시가 경화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주입부(170)는 스크류부(160)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부(160)에서 혼합된 에폭시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어 상기 에폭시를 배출함으로써,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에폭시가 채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주입부(170)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입부재(171) 및 걸림부재(1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주입부(170)는 전체적인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는 부분은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주입부(170)의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이 줄눈공간(30)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에 에폭시가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줄눈공간(30)을 통해 에폭시가 삽입되는 과정은 주입부(170)의 끝단이 줄눈공간(30)에 삽입되어 주입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에폭시가 삽입되되, 에폭시가 삽입되는 동안 상기 주입장치(100), 즉 주입부(170)를 타일(20) 외측으로 천천히 이동시킴으로써,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에폭시가 줄눈공간(30) 일부분까지 고르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주입부재(171)는 주입부(170)의 끝단에 구비되며,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혼합된 에폭시가 상기 줄눈공간(30)을 통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유격된 공간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는 주입부재(171)의 길이는 약 5 내지 15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폭 길이와 타일(20)의 두께를 합한 길이와 같거나 또는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부재(172)는 주입부재(17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일(20)의 정면에 접촉되어 상기 주입부재(171)가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걸림부재(17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재(17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걸림부재(172)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상기 걸림부재(172)가 주입부재(17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걸림부재(172) 외측으로 노출되는 주입부재(17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72)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주입부재(17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주입부재(171)의 끝단에 형성된 납작한 부분의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172)는 주입부재(171)의 납작한 부분에서도 내주면이 나사산과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회전됨에 따라 납작한 부분 까지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주입부재(171)와 나사산으로 맞물려 회전되는 과정으로 상기 주입부재(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걸림부재(17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걸림부재(172) 각각은 걸림부재(172)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주입부(170)의 끝단인 일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72)는 타일(20)의 정면에 접촉되어 주입부재(171)가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고, 타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72)는 일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72)에 밀착되어 일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72)가 주입부재(171)로부터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타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72)를 주입장치(100) 측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킨 후, 일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72)를 회전시켜 주입부재(171)가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한 후, 타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72)를 회전시켜 일측에 위치한 걸림부재(172) 측으로 밀착시키면, 한 쌍의 걸림부재(172)가 상호간에 밀착되어 회전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주입부재(171)가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지 주입부재(171)로부터 배출되는 에폭시가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주입부(170)는 상기 주입부재(171)의 끝단에 다수 개의 통공(173a)이 형성된 주입방향조절부재(1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방향조절부재(173)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입부재(171)의 끝단에 결합되며, 다수 개의 통공(173a)을 통해 혼합된 에폭시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벽으로 이루어진 시공면(10)에 타일(20)을 부착하는 경우, 줄눈공간(30)으로 에폭시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에폭시가 하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줄눈공간(30)으로 에폭시를 주입하게 되면, 에폭시가 하측에 위치한 타일(20)과 시공면(10) 사이의 공간으로만 채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다수 개의 통공(173a)은 상기 주입방향조절부재(173)의 상측을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주입방향조절부재(173)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통공(173a)이 형성되되, 양 끝단 통공(173a)이 이루는 각이 약 120°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주입부재(171)와 주입방향조절부재(173)의 통공(173a)을 지나 배출되는 에폭시는 상기 주입부재(171)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약 120° 퍼진형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측에 위치한 타일(20)과 시공면(10) 사이로 먼저 이송되어, 상기 시공면(10)과 상측에 위치한 타일(20) 사이에 부착된 떠붙임몰탈의 하측 부분까지 접촉되어 부착력을 보다 강하게 증대시키며, 이후,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 하측에 위치한 타일(20)과 시공면(10) 사이에 채워져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주입장치(100)는 세척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척부(18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척부(180)는 제1저장부(110)로부터 배출되어 이송되는 에폭시 주제와 제2저장부(130)로부터 배출되어 이송되는 에폭시 경화제가 이송되는 경로를 세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는 혼합하는 과정에서 경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송 경로가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에서는 주입장치(100)의 사용이 완료되면, 세척부(180)를 통해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이송되는 경로로 물이나 세척액 등을 흘려보내 잔여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이송 경로가 막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입장치(100)는 히터부(190)를 더 포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히터부(190)는 제1저장부(110), 제2저장부(130), 스크류부(160) 또는 주입부(17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에 각각 열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송되는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 또는 혼합된 에폭시가 낮은 온도에서 제기능을 못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한다.
즉 온도가 낮은 겨울에는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잘 혼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화도 늦어져 시공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은 주입장치(100)에 별도의 히터부(190)를 두어 이송되는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 또는 혼합된 에폭시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히터부(190)는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부(160)에 구비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주입장치(100)가 하나의 건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건 타입의 주입장치(100)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열을 데우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보강단계(S20)에서 에폭시주입단계(S22)는 줄눈공간(30)을 통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에폭시를 주입함으로써, 시공면(10), 즉 콘크리트나 벽돌층에 침투되어 시공면(10)과 떠붙임몰탈 자체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력 강화로 인해 지진 발생시 시공면(10)으로부터 타일(2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수 작업을 최소화하여 비용 절감 및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에폭시주입단계(S22)에서 주입되는 에폭시는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일정한 범위 내에서의 점성을 유지해야 한다.
즉 타일(20)의 상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으로 에폭시를 주입하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려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에 넓은 면적으로 에폭시가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시공면(10)에 부착되는 타일(20)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주입된 에폭시가 하측에 구비된 타일(20) 측으로 흘러 상측에 위치한 타일(20)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설계조건에 따라, 보강단계(S20)는 우레탄폼주입단계(S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레탄폼주입단계(S21)는 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줄눈공간(30)을 통해 우레탄폼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으로 우레탄폼을 주입하여 상기 우레탄폼을 경화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20)의 상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을 통해 에폭시를 주입하게되면, 에폭시가 하측으로 흘러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접촉되되, 우레탄폼에 의해 하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폭시가 다른 공간으로 이송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에폭시주입단계(S22)는 상기 우레탄폼주입단계(S21)에서 주입된 우레탄폼이 경화된 후, 타일(20)의 상측 또는 상측과 좌,우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에 에폭시를 주입함으로써,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는 시공면(10)에 타일(20)이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부착되는 경우, 하단층에 위치한 타일(20)은 우레탄폼주입단계(S21)를 생략하고 에폭시주입단계(S22)를 시행하도록 이루어지며, 두번째 층부터 순차적으로 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을 통해 우레탄폼을 주입하는 우레탄폼주입단계(S21)와 타일(20)의 상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을 통해 에폭시를 주입하는 에폭시주입단계(S22)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시공면(10) 전체에 걸쳐 다수의 타일(20)을 강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줄눈시공단계(S30)는 타일(20)과 타일(20) 보강단계(S20)에서 타일(20)의 부착이 완료되면,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30)에 방수성재료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방수성재료는 백색시멘트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줄눈보수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타일부착단계(S10) 및 보강단계(S20)는 시공면(10)에 타일(20)을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부착 작업 중 타일(20)의 일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시공과정에서 타일(20)의 들뜸 및 탈락 현상을 방지해주는 누름장치(200)를 이용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누름장치(200)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공면(10)에 임시 고정되어, 타일(20)의 정면측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타일(20)이 들뜨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지축(210), 지지플레이트(220), 누름부재(230) 및 탄성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축(210)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공면(10)에 고정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지지플레이트(220)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지축(210)은 타일(20)과 타일(20)이 인접한 모서리 부분의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어 시공면(10)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지지축(210)은 나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면, 시공면(10)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축(210)은 후술되는 지지플레이트(220)에 결합된 위치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시공면(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축(210)을 회전시켜도 지지플레이트(220)는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20)는 한 쌍의 지지축(210)을 연결하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바(221), 제2바(222), 제3바(223) 및 삽입공(22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바(221), 제2바(222) 및 제3바(223)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이용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20)는 한 쌍의 지지축(210)이 타일(20)과 타일(20)이 인접한 모서리, 즉 하측에 위치한 타일(20)과 상측에 위치한 타일(20)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줄눈공간(30)에 고정되면,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줄눈공간(30)에 위치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제1바(221), 제2바(222) 및 제3바(223)로 이루어진 지지플레이트(22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게 이루어진 타일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제1바(221), 제2바(222) 및 제3바(223) 각각에 형성된 삽입공(224)을 통해 주입부재(171)를 통과시켜 줄눈공간(30)까지 삽입함으로써, 타일(20)의 상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을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에폭시를 주입할 수 있다.
이에, 에폭시가 3개의 삽입공(224)을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타일(20)의 상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으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에폭시가 부분적으로 밀집되어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르게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부착에 따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바(221)는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제2바(222) 및 제3바(223)는 상기 제1바(221)의 양측단에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바(221)와 제2바(222) 및 제3바(223)의 결합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되, 제1바(221)가 제2바(222) 및 제3바(223)의 지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간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221)는 제2바(222) 또는 제3바(223)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보조바(221a)가 외주면을 감싸도록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바(221)에 형성된 삽입공(224)은 상기 보조바(221a)를 함께 관통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부재(230)는 지지플레이트(22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되,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일단은 타일(20)의 정면측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 나사 형태로 맞물려 결합된다.
이러한 누름부재(230)는 지지플레이트(220)에 나사 형태로 맞물려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으로부터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된다.
즉 지지축(210)이 시공면(10)에 고정된 후, 누름부재(230)를 회전시키면, 타일(20)의 정면에 밀착되게 됨에 따라, 상기 타일(20)의 들뜸이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22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누름부재(2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줄눈공간(30)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20)가 위치하면, 다수 개의 누름부재(230)는 상측에 위치한 타일(20)의 하단 일부분 다수와 접촉되는 동시에, 하측에 위치한 타일(20)의 상단 일부분 다수와 접촉됨으로써, 에폭시 주입을 위한 작업 중 줄눈공간(30)에 삽입되어 있는 주입부재(171)의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이나 부주위로 인한 작업 실수로 인해 주입부재(171)가 삽입된 줄눈공간(3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타일(20)의 들뜸 및 탈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누름부재(230)의 끝단, 즉 타일(20)과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누름부재(230)를 회전시켜 타일(20)에 밀착시키면, 타일(20)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 타일(20)이 파손되거나 스크레치가 형성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주입장치(100)와 누름장치(200)를 이용하여 타일(20)을 부착하는 과정을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타일부착단계(S10)를 통해 타일(20)을 시공면(10)에 1차적으로 부착시킨 후, 타일(20)과 타일(20)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한 쌍의 지지축(210)을 고정시키고, 누름부재(230)를 회전시켜 상측에 위치한 타일(20)과 하측에 위치한 타일(20) 각각으로 탄성부재(240)가 밀착되면, 타일(20)이 임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후, 하측에 위치한 타일(20)의 하측에 줄눈공간(30)이 형성된 경우, 상기 줄눈공간(30)에 우레탄폼을 주입하고, 하측에 위치한 타일(20)의 상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 즉 지지플레이트(2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삽입공(224)에 주입장치(100)의 주입부재(171)를 통과시켜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도록 한 후, 주입장치(100)를 동작시켜 에폭시를 주입함으로써, 시공면(10)에 타일(20)을 2차적으로 부착시킨다.
이러한 시공 공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공법은 시공면(10)에 타일(20)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부착시키되,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30)을 통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의 공간에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보강단계(S20)를 더 시공함으로써, 타일(20) 배면의 공간 발생이나 규모가 커짐에 따른 중량 증가로 인해 시공면(10)으로부터 타일(20)이 탈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줄눈공간(30)을 통해 시공면(10)측으로 우레탄폼을 주입함으로써, 액상 타입의 에폭시 주입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타일(20) 정면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면(10)과 타일(20)의 배면 사이에 유격 발생을 차단하고,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침투성 강화제를 첨가한 에폭시를 주입함으로써, 시공면(10), 즉 콘크리트나 벽돌층에 침투되어 시공면(10) 자체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력 강화로 인해 지진 발생시 시공면(10)으로부터 타일(2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수 작업을 최소화하여 비용 절감 및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시공면 20 : 타일
30 : 줄눈공간 100 : 주입장치
110 : 제1저장부 115 : 체크밸브
120 : 제1실린더부 130 : 제2저장부
140 : 제2실린더부 150 : 구동부
160 : 스크류부 161 : 혼합구간
162 : 압축구간 170 : 주입부
171 : 주입부재 172 : 걸림부재
173 : 주입방향조절부재 173a : 통공
180 : 세척부 190 : 히터부
200 : 누름장치 210 : 지지축
220 : 지지플레이트 221 : 제1바
221a : 보조바 222 : 제2바
223 : 제3바 224 : 삽입공
230 : 누름부재 240 : 탄성부재

Claims (10)

  1. 시공면(10)에 떠붙임몰탈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타일(20)을 부착하는 타일부착단계(S10);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유격된 공간에 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주입하는 보강단계(S20); 및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공간(30)에 방수성재료를 주입하는 줄눈시공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강단계(S20)는
    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에 우레탄폼을 주입하는 우레탄폼주입단계(S21); 및
    타일(20)의 외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에폭시주입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에폭시주입단계(S22)는
    상기 우레탄폼주입단계(S21)에서 주입된 우레탄폼이 경화된 후, 타일(20)의 상측 또는 상측과 좌,우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전체 체적은 떠붙임몰탈이 75 내지 85 부피%로 채워지고, 에폭시가 7.5 내지 12.5 부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장치(100)는
    에폭시 주제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10);
    상기 제1저장부(110)에 저장된 에폭시 주제를 이송시키는 제1실린더부(120);
    에폭시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130);
    상기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에폭시 경화제를 이송시키는 제2실린더부(140);
    상기 제1실린더부(120) 및 제2실린더부(14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150);
    상기 제1저장부(110)와 제2저장부(130)로부터 이송되는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를 공급받아 혼합하여 이송시키는 스크류부(160); 및
    상기 스크류부(160)의 끝단에 구비되는 주입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에폭시주입단계(S22)는
    상기 주입부(170) 일부분을 줄눈공간(30)으로 삽입한 후 에폭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입장치(100)는
    상기 제1저장부(110)에 저장된 에폭시 주제와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에폭시 경화제 각각의 이송을 제어하는 체크밸브(115); 및
    상기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이송되는 경로에 연결되는 세척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척부(180)는
    상기 체크밸브(115)의 제어에 의해 제1저장부(110)에 저장된 에폭시 주제와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에폭시 경화제의 이송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부(120) 및 제2실린더부(140)가 동작되면, 상기 에폭시 주제와 에폭시 경화제가 이송되는 경로에 세척액을 주입하여 상기 주입부(17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110), 제2저장부(130), 스크류부(160) 또는 주입부(17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에 각각 열을 공급하는 히터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부(120) 및 제2실린더부(140)는 각각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실린더부(120)의 교체에 따라 제1저장부(110)에 저장된 에폭시 주제가 이송되는 비율을 조절하고, 제2실린더부(140)의 교체에 따라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에폭시 경화제가 이송되는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170)는
    끝단에 구비되어 혼합된 에폭시가 줄눈공간(30)을 통해 시공면(1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유격된 공간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부재(171); 및
    상기 주입부재(17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일(20)의 정면에 접촉되는 걸림부재(17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재(172)가 타일(20)의 정면에 접촉됨으로써, 주입부재(171)가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단계(S20)는
    누름장치(200)를 시공면(10)에 고정시켜 타일(20)의 정면측을 가압한 후, 주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주입하되,
    상기 누름장치(200)는
    시공면(10)에 고정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타일(20)과 타일(20)이 인접한 모서리 부분의 줄눈공간(30)으로 삽입되어 시공면(10)에 고정되는 지지축(210);
    한 쌍의 지지축(210)을 연결하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타일(20)과 타일(20) 사이에 형성된 줄눈공간(30)에 위치하는 지지플레이트(220);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의 양측에 배치되며, 일단은 타일(20)의 정면측을 향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에 나사 형태로 맞물려 결합되는 누름부재(230); 및
    상기 누름부재(23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어 타일(20)의 정면측에 접촉되는 탄성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이루어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 제1바(221), 제2바(222) 및 제3바(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바(221), 제2바(222) 및 제3바(223) 각각에는 정면측과 배면측이 연통된 삽입공(2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바(221)는 제2바(222) 또는 제3바(223)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보조바(221a)가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제1바(221)에 형성된 삽입공(224)은 상기 보조바(221a)를 함께 관통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221), 제2바(222) 및 제3바(223) 각각에 형성된 삽입공(224)을 통해 주입부재(171)를 통과시켜 줄눈공간(30)까지 삽입함으로써, 타일(20)의 상측에 형성된 줄눈공간(30)으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성형재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공법.
KR1020180012751A 2018-02-01 2018-02-01 타일 시공 공법 KR10187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51A KR101874074B1 (ko) 2018-02-01 2018-02-01 타일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51A KR101874074B1 (ko) 2018-02-01 2018-02-01 타일 시공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74B1 true KR101874074B1 (ko) 2018-07-03

Family

ID=6291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51A KR101874074B1 (ko) 2018-02-01 2018-02-01 타일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886B1 (ko) * 2019-07-29 2020-03-04 김소중 단열재보드를 이용한 벽체 단열방수 공법
KR20230061972A (ko) 2021-10-29 2023-05-09 김학삼 타일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56Y1 (ko) * 2001-04-28 2001-10-12 유창열 세척기능을 갖는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100918139B1 (ko) * 2009-02-23 2009-09-17 (주)두루하이텍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이액형 주입재의 주입 장치
JP2015117542A (ja) * 2013-12-19 2015-06-2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タイルの補修方法及び注入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56Y1 (ko) * 2001-04-28 2001-10-12 유창열 세척기능을 갖는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100918139B1 (ko) * 2009-02-23 2009-09-17 (주)두루하이텍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이액형 주입재의 주입 장치
JP2015117542A (ja) * 2013-12-19 2015-06-2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タイルの補修方法及び注入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886B1 (ko) * 2019-07-29 2020-03-04 김소중 단열재보드를 이용한 벽체 단열방수 공법
KR20230061972A (ko) 2021-10-29 2023-05-09 김학삼 타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74B1 (ko) 타일 시공 공법
KR101854577B1 (ko)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EA017468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псовой панели
US20080174110A1 (en) Elastomer lined, abrasion resistan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e
KR102122061B1 (ko)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표면균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표면균열 보수공법
JP5106835B2 (ja) 水路の補修方法および水路の補修用パネル
TW201604352A (zh) 板塊式軌道的修補構造及板塊式軌道的修補方法
KR100500160B1 (ko) 우레탄 발포 방수 몰타르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0811292B1 (ko) 보강튜브 내부 수지액 함침장치
JP5301200B2 (ja) 立体メッシュ編物複合被覆板
KR101176183B1 (ko) 도로 보수공법
CN219615934U (zh) 一种水工建筑裂缝封堵用灌注枪和专用设备
KR101010732B1 (ko) 스트립라이닝 플로링 공법 및 충전재 조성물
KR100891147B1 (ko) 스트립라이닝 플로링 공법
KR20010107911A (ko) 균열부 보수 및 보강용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102344570B1 (ko) 현장시공용 거품단열재 발포장치
CN214110901U (zh) 一种支撑稳定的混凝土加工用混合装置
JP4674171B2 (ja) 既設管の更生工法
JP4177238B2 (ja) 構造物補強工法
KR102159507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CN213683322U (zh) 一种环保型混凝土优化结构
CN210647062U (zh) 一种无砟轨道泛浆整治装置
RU2081295C1 (ru) Блок бетонирования для кустового и морского бурения нефтяных и газовых скважин
CN208056643U (zh) 一种消防水池管道漏埋的补救施工装置
CN106812284A (zh) 石材地坪架空预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