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050B1 -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050B1
KR101874050B1 KR1020150170641A KR20150170641A KR101874050B1 KR 101874050 B1 KR101874050 B1 KR 101874050B1 KR 1020150170641 A KR1020150170641 A KR 1020150170641A KR 20150170641 A KR20150170641 A KR 20150170641A KR 101874050 B1 KR101874050 B1 KR 10187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irrigation
support bracket
hydro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769A (ko
Inventor
황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성
Priority to KR102015017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용수 공급구가 형성되는 관개 수로의 일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켓과, 용수 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제1지지브라켓과 이격되게 일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과, 제1지지브라켓에 마주하도록 관개수로의 타측벽에 설치되는 제3지지브라켓과, 일단이 제1지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위치에 따라서 제2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용수 공급구를 폐쇄하거나 또는 제3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용수 공급구를 개방하는 수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위조절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본 발명은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용 관개수로에서 논 등에 농업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관개수로에 설치되는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논의 주변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개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개 수로는 논 측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용수 공급관이 연결되거나, 용수 공급구가 형성되다. 그리고 논을 구획하는 논둑에는 논물을 관개수로 측으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설치된다.
한편, 관개수로에는 농업용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장치가 설치되며, 또한, 관개수로에서 논 측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 공급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문이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수문이 설치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관개수로(10)의 내측벽에 용수 공급구를 개폐하기 위한 수문(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이웃하여 관개수로(10)를 흐르는 농업용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장치(30)가 설치된다. 수위조절장치(30)는 일단이 관개수로(10)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관개수로(10)를 가로질러서 농업용수 흐름을 막아서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수위 조절장치는 수문형태로 관개수로(10)를 가로 지도록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형도 가능하다.
그런데 도 1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수문이 관개수로(10)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용수 공급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관개수로(10) 내부를 흐르는 유체 흐름을 방해함은 물론, 쓰레기나 나뭇가지, 수풀 등의 이물질이 걸려서 수로가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문(20)과 별도도 수위 조절장치(30)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위 조절장치를 관개수로(10)에 대해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으나, 분실의 염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7393호(관개수로용 수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관개수로의 수위 조절은 물론 용수 공급구의 개폐를 위한 수문기능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는, 용수 공급구가 형성되는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축을 갖는 제1지지브라켓;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로 회동운동을 통해 상기 용수 공급구 또는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하는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승강운동 가능한 수문유닛; 상기 용수 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이격되게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용수 공급구를 차단한 상태의 상기 수문유닛을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반경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는 제2지지브라켓; 및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마주하도록 상기 관개수로의 타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한 상태의 상기 수문유닛을 고정 지지하는 제3지지브라켓;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의 반대편인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용수 공급구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3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용수 공급구를 개방하며,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에는,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인입된 형태를 취하는 해제홈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브라켓 몸체;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 몸체에서 연장되는 기둥부;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부에서 연장되는 접촉지지부; 및 상기 접촉지지부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상기 접촉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상기 기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문유닛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해제홈과 대응하여 상기 해제홈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수문유닛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수문유닛의 회동운동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지지브라켓은, 상기 관개수로의 타측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3브라켓 몸체; 상기 수문유닛이 수류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상기 제3브라켓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관개수로의 유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문 지지부; 및 상기 제1수문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3브라켓 몸체에서 돌출되는 제2수문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수문 지지부는,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반경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수문유닛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해제홈과 대응하여 상기 해제홈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수문유닛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운동을 차단한다.
그러면,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해제홈을 통과하고, 상기 수문유닛이 상하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문유닛이 회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될 수 없으며,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수문 지지부가 상기 해제홈을 통과하고, 상기 수문유닛이 상하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제2수문 지지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문유닛이 회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한 상태로 유지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에 따르면, 관개수로를 차단하는 기능과 관개수로에 형성된 용수 공급구를 개폐하는 기능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 가능하도록 일체화된 구성을 가지되, 그 구성이 간단하고 부품 수가 적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개수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 가능하므로, 분실될 염려를 줄일 수 있어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개수로용 수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 각각은 수문유닛을 제2지지브라켓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 각각은 수문유닛을 제3지지브라켓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100)는, 관개수로(10)에서 용수 공급구(11)가 형성된 일측벽(12)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지지브라켓(110)(120), 제1지지브라켓(110)에 마주하도록 관개수로(10)의 타측벽(13)에 설치되는 제3지지브라켓(130) 및 제1지지브라켓(1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문 유닛(14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110)과 제2지지브라켓(120)은 용수 공급구(11)를 사이에 두고 상류 및 하류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일측벽(12)에 앵커용 볼트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제1지지브라켓(110)은 일측벽(12)에 고정 설치되는 제1브라켓 몸체(111)와, 제1브라켓 몸체(11)에 상하로 설치되는 지지축(113)을 구비한다. 지지축(113)에 수문 유닛(14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브라켓 몸체(111)는 판 구조를 가지며, 일측벽(12)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된다. 지지축(113)은 양단이 제1브라켓 몸체(11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설치되는 축 지지부(112)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제1지지브라켓(1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지지브라켓(120)은 일측벽(12)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판형의 제2브라켓 몸체(121)와, 제2브라켓 몸체(12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기둥부(122) 및 기둥부(12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접촉 지지부(123) 및 접촉 지지부(123)에 설치되는 고정부(124,125)를 구비한다.
제2브라켓 몸체(121)는 판형상으로서 일측벽(12)에 상하로 배치되어 밀착 고정된다. 제2브라켓 몸체(121)에서 대략 수직으로 즉, 일측벽(1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기둥부(122)가 절곡 연장되며, 상기 지지축(113)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일측벽(12)에서 돌출되게 연장된다.
그리고 접촉 지지부(123)는 판 형상을 가지며, 기둥부(112)에서 대략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수문유닛(140)을 접촉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둥부(122)는 기둥부(112)의 단부에서 농업용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따라서, 제2지지브라켓(120)에 의해 농업용수의 흐름에 작용하는 저항이 최소가 되도록 하고, 농업용수에 의해 떠내려오는 오물 등이 걸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124,125)는 접촉 지지부(123)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지지부(123)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또는 접촉지지부(123)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기둥부(122) 단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4,125)는 접촉 지지부(123)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문 유닛(140)의 타단부가 접촉지지부(122)와 고정부들(124,125)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부(124,125)는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부(125)는 접촉지지부(123)의 하단과도 연결되어 수문 유닛(140)의 타단부의 하부를 지지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문유닛(140)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지지축(113)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수문유닛(140)이 변형되거나, 제1지지브라켓(110)이 수문 유닛(140)의 편향된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의 제2지지브라켓(120)도 강도가 높고,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지지브라켓(130)은 관개수로(10)의 타측벽(13)에 고정 설치되며, 제1지지브라켓(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3지지브라켓(130)은 타측벽(13)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판형의 제3브라켓 몸체(131)와, 제3브라켓 몸체(131)에서 돌출되며 관개수로(10)의 유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문 지지부(132) 및 제2수문 지지부(133)를 구비한다.
제3브라켓 몸체(131)는 판 구조를 가지며, 앵커용 볼트 등에 의해 타측벽(13)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1수문 지지부(132)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제3브라켓 몸체(131)에 고정 설치되되, 제3브라켓 몸체(131)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다. 제1수문 지지부(132)도 판 구조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수문 지지부(132)는 수문 유닛(140)이 관개 수로(10)를 차단하도록 가로질러 위치될 때, 수문유닛(140)의 타단부를 지지하여 관개수로(10)를 흐르는 농업용수에 의한 저항을 지지하여 수문 유닛(140)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수문 지지부(133)는 제1수문 지지부(132)와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제3브라켓 몸체(131)에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제2수문 지지부(133)는 복수가 서로 다른 위치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120)의 고정부(124,125)에 대응되는 높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좋다.
제1 및 제2수문 지지부(132,133) 사이에는 일정 틈이 형성되며, 그 틈으로 수문 유닛(140)의 타단부(141b)가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제1수문 지지부(132)는 수문 유닛(140)을 통해 전달되는 농업용수의 흐름에 의한 저항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2수문 지지부(133)는 수문 유닛(140)이 관개수로(10)를 개방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갑자기 많은 양의 농업용수가 흘러올 경우, 충격에 의해 수문유닛(140)이 제1수문 지지부(132)에 충돌 후에 열리거나, 제1수문 지지부(132)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순간적으로 수문 유닛(140)이 제1수문 지지부(132)에서 분리되는 순간 오물이나, 이물질 등이 수문 유닛(140)과 제1수문 지지부(132) 사이에 끼워져서 틈이 발생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수문 지지부(132,133) 사이에 수문 유닛(140)을 위치하여 고정하기 위해서는, 앞서 수문유닛(140)을 제2지지브라켓(120)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수문유닛(14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도 7 및 도 8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유닛(140)의 타단부(141b)가 제2수문 지지부(133)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2수문 지지부(133)를 통과하여 제1수문 지지부(132)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수문유닛(140)을 도 7 및 도 8의 실선과 같은 자세로 내려놓게 되면, 제1 및 제1수문 지지부(132,133) 사이에 수문유닛(140)의 타단부가 끼워진 상태가 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문 유닛(140)은 수문 본체(141)와, 수문 본체(14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113)에 결합되는 축결합부(142)와, 수문 본체(141)의 상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43) 및 수문 본체(141)의 대략 중앙부분에 마련되어 관개수로(10)의 용수 공급구(11)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144)를 구비한다.
수문 본체(141)는 판 구조를 가지며, 그 평면 형상이 관개 수로(10)의 수로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관개 수로(10)를 가로지르도록 위치될 경우, 관개수로(10)를 흐르는 농업용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며,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수문 본체(141)의 일단부에는 복수의 축결합부(142)가 형성되어 지지축(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문 본체(141)가 지지축(113)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수문 본체(141)의 일단부의 상하 높이는 지지축(113)의 길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축결합부(142) 사이의 거리는 지지축(113)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다. 따라서, 수문 본체(141)는 지지축(11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움직이는 동시에, 상하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문 본체(141)의 대략 중앙의 상단에는 손잡이(143)가 연결되어 수문 본체(141)의 자세를 변경시, 수문 본체(141)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킬 때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문 본체(141)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관개수로(10)의 용수 공급구(11)에 마주할 경우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144)가 구비된다. 차단부(144)의 면적은 용수 공급구(11)의 구경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며, 그 두께는 제1 및 제2지지브라켓(110,120)이 일측벽(12)에서 돌출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문 본체(141)가 도 4와 같이, 관개수로(10)의 유로를 개방하고, 일측벽(12)에 밀착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차단부(144)가 용수 공급구(11)의 입구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용수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단부(144)는 수문 몸체(141)의 배면에 연결되며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결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문 본체(141)에는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게 복수의 통과홀(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홀(141a)은 수문 본체(141)에 의해 유지되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 적절한 높이 및 면적 또는 개수가 선택적으로 설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문 본체(141)의 타단부에는 해제홈(141b)이 단부로부터 인입되게 형성된다. 즉, 수문 본체(141)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타단부를 제2지지브라켓(120)에 거치하여 고정할 때, 수문 본체(141)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린 상태에서 접촉지지부(123)에 수문 본체(141)의 타단부가 밀착되도록 이동시키면, 해제홈(141b)이 고정부(124)를 통과하고, 수문 본체(141)의 타단부는 하부의 고정부(125)에 간섭되지 않게 지나간다. 이후에 수문 본체(141)를 내려놓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141c)가 고정부(24,125)과 접촉지지부(23) 사이로 끼워져서 걸림으로써, 수문 본체(141)가 회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관개 수로(10)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될 수 없도록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수문 본체(141)를 회동시켜서 관개 수로(10)를 차단하는 자체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수문 본체(141)를 다시 도 5의 상태가 되도록 손잡이(143)를 잡고 들어올리면, 해제홈(141b)이 고정부(124)에 대응되게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수문 본체(141)를 회동시키면 제2지지브라켓(120)에서 분리되어 도 3과 같이, 수문 본체(141)의 타단부를 제3지지브라켓(130)에 지지되는 위치 즉, 관개 수로(10)를 차단하는 위치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도 7 및 도 8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본체(141)를 들어올린 상태로 제3지지브라켓(130)의 제1수문 지지부(132)에 밀착되도록 회동시키면 제2수문 지지부(133)에 수문 본체(141)의 타단부(141c)가 걸리지 않고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의 가상선과 같은 상태에서 수문 본체(141)를 내려놓으면 타단부(141)가 제1 및 제2수문 지지부(132,133) 사이에 끼워져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수문유닛(140)을 위치 고정되어 관개수로(10)를 차단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100)는 관개수로(10)의 용수 공급구(11)를 개폐하는 기능은 물론, 관개수로(10)의 수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도록, 즉 수문기능과 수위조절 기능이 일체화된 구성을 가지므로, 설비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개수로(10)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운용될 수 있으며,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관개수로 11..용수 공급구
100..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110..제1지지브라켓
120..제2지지브라켓 130..제3지지브라켓
140..수문 유닛

Claims (2)

  1. 용수 공급구가 형성되는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설치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축을 갖는 제1지지브라켓;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로 회동운동을 통해 상기 용수 공급구 또는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하는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승강운동 가능한 수문유닛;
    상기 용수 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이격되게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용수 공급구를 차단한 상태의 상기 수문유닛을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반경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는 제2지지브라켓; 및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마주하도록 상기 관개수로의 타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한 상태의 상기 수문유닛을 고정 지지하는 제3지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의 반대편인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용수 공급구를 폐쇄하거나 상기 제3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용수 공급구를 개방하며,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에는,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인입된 형태를 취하는 해제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브라켓 몸체;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 몸체에서 연장되는 기둥부;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부에서 연장되는 접촉지지부; 및
    상기 접촉지지부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상기 접촉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상기 기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문유닛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해제홈과 대응하여 상기 해제홈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수문유닛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수문유닛의 회동운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3지지브라켓은,
    상기 관개수로의 타측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3브라켓 몸체;
    상기 수문유닛이 수류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상기 제3브라켓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관개수로의 유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문 지지부; 및
    상기 제1수문 지지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3브라켓 몸체에서 돌출되는 제2수문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수문 지지부는,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반경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수문유닛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해제홈과 대응하여 상기 해제홈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수문유닛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운동을 차단하고,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해제홈을 통과하고, 상기 수문유닛이 상하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문유닛이 회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될 수 없으며,
    상기 수문유닛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수문 지지부가 상기 해제홈을 통과하고, 상기 수문유닛이 상하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문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제2수문 지지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문유닛이 회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2. 삭제
KR1020150170641A 2015-12-02 2015-12-02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KR10187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41A KR101874050B1 (ko) 2015-12-02 2015-12-02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41A KR101874050B1 (ko) 2015-12-02 2015-12-02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69A KR20170064769A (ko) 2017-06-12
KR101874050B1 true KR101874050B1 (ko) 2018-07-03

Family

ID=5921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641A KR101874050B1 (ko) 2015-12-02 2015-12-02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8009A (zh) * 2018-11-01 2019-03-12 珠海联谊工程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水池连通位置的隔离组件
KR102283653B1 (ko) * 2020-12-01 2021-07-29 김용주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KR102286657B1 (ko) * 2020-12-16 2021-08-04 황대수 용수 조절 게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935A (ja) * 2001-01-19 2002-07-31 Marushima Sangyo Kk 旋回ゲ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935A (ja) * 2001-01-19 2002-07-31 Marushima Sangyo Kk 旋回ゲ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69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50B1 (ko)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US10472830B1 (en) Rain gutter diverter system
KR101748159B1 (ko) 농수로용 급수개폐기
EP2430910A3 (en) Power-assisted docking station for mobile irrigation apparatus
RU26229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ногократ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лива растений
KR20160061930A (ko) 다목적 유량조절장치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DE102010054072B4 (de)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Überlaufs in Wasseranlagen
KR102283653B1 (ko)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JP6676293B2 (ja) フラップゲート
JP7424625B2 (ja) 分水トラフの水門装置
KR101498948B1 (ko) 하단배출용 전도수문
KR100372179B1 (ko)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JP2010178712A (ja) 水位自動調節装置
KR101348310B1 (ko) 레버형 분수문장치
US2654618A (en) Hose coupling device for connection to unthreaded faucets
KR0121993Y1 (ko) 농업용수용 급수구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102681742B1 (ko)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US10119261B2 (en) Adjustable hinge fasteners for use with a bidet washing apparatus
JP2017014859A (ja) 便器洗浄装置
KR20160108988A (ko) 전도 게이트
JP2008184771A (ja) 可動式水位調整ゲ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367863B1 (ko)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KR102552805B1 (ko) 차집관로의 유량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