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99B1 - 플루오린화수소산의 습식식각법을 이용한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루오린화수소산의 습식식각법을 이용한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99B1
KR101873799B1 KR1020160178331A KR20160178331A KR101873799B1 KR 101873799 B1 KR101873799 B1 KR 101873799B1 KR 1020160178331 A KR1020160178331 A KR 1020160178331A KR 20160178331 A KR20160178331 A KR 20160178331A KR 101873799 B1 KR101873799 B1 KR 10187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s
optical
hydrofluoric acid
optical fi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식
정영호
손경호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17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28Tapered waveguides, e.g. integrated spot-size transfor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84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 G02B6/369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with surface micromachining involving etching, e.g. wet or dry etching ste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을 이용하여 광 커플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광섬유들이 중첩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단계, 상기 광섬유들이 플루오린화수소산에 의하여 식각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이 꼬인 영역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섬유들이 식각되는 것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열원과 자동 움직임 장치를 이용하는 ‘heating-pulling’방법에 비해 적은 공정 비용과 매우 간단한 제작 방법을 통해 원하는 광 분기 비율을 보이는 커플러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루오린화수소산의 습식식각법을 이용한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FIBER-OPTIC DIRECTIONAL COUPLER USING HYDROFLUORIC ACID}
본 발명은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을 이용하여 광 커플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에 가장 최적화 되고 많이 이용하는 1550nm 파장의 빛을 가이딩(guiding)해주는 광섬유의 경우 Corning사의 SMF-28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1550nm 파장의 싱글모드 광섬유의 경우, 코어의 직경이 약 8.3㎛, 클래딩 직경이 약 125㎛이다. 굴절률(refractive index)의 경우 코어(core)와 클래딩(cladding)이 각각 대략 1.4504, 1.4447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코어와 클래팅을 이루는 물질은 SiO2(Silicon dioxide), 즉, 유리이다.
빛이 광섬유에 가이딩 될 경우 광섬유 코어에 강하게 모여 있기 때문에 빛이 외부로 유출이 쉽게 되지 않는다. 이러한 빛을 외부로 빼내기 위해선 광섬유를 가늘게 만들어야 하는데 가이딩 되는 빛의 손실을 최소화 시키면서 외부로 빼기 위해서는 직경이 파장 크기의 단위가 되는 테이퍼드(tapered) 형태의 광섬유가 필요하다.
테이퍼드 광섬유란 직경이 서서히 가늘어(혹은 증가)지는 광섬유를 말한다. 이러한 테이퍼드 광섬유를 제작하기 위해, 종래에는 유리로 된 광섬유를 녹일 수 있는 열원(heat source)을 이용해 광섬유를 살짝 녹인 뒤, 녹은 광섬유를 좌, 우로 잡아 당겨 줄 움직이는 장치를 이용해 테이퍼드 형태의 광섬유를 제작하는 방법을 많이 이용했다.
상술한 방법은 제작 시간이 짧다(수십 분)는 장점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제작 장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적은 제작 비용으로 간단하게 광 커플러를 제작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분기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광 커플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광섬유들이 중첩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단계, 상기 광섬유들이 플루오린화수소산에 의하여 식각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이 꼬인 영역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섬유들이 식각되는 것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광섬유들을 꼰 후,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들은 상기 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로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광섬유들이 꼬인 영역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시키기 전, 상기 광섬유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소정 파장의 광을 입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섬유들을 식각하는 중, 상기 광섬유들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소정 비율을 이루는 경우, 상기 광섬유들이 식각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율은 1/99 내지 99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광섬유들을 꼬기 전, 상기 광섬유들 각각에 포함된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단계는, 상기 광섬유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영역을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열원과 자동 움직임 장치를 이용하는 ‘heating-pulling’방법에 비해 적은 공정 비용과 매우 간단한 제작 방법을 통해 원하는 광 분기 비율을 보이는 커플러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heating-pulling’방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테이퍼드 구간을 가지는 광 커플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1b는 보호층이 제거된 광섬유의 광학현미경 촬영 사진이다.
도 1c는 표면이 세척된 광섬유의 광학현미경 촬영 사진이다.
도 2는 마란고니 효과(Marangoni flow effect)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저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고정된 광섬유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로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된 광섬유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a은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의하여 식각된 꼬인 두 광섬유의 SEM 사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광섬유 커플러의 구간별 두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식각 시간별로 두 개의 광섬유에서 출력되는 광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 커플러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b는 도 8a에서 설명한 구조를 가지는 광 커플러에 대한 FDTD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두 개의 광섬유 각각에 포함된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광섬유는 광섬유 중앙에 형성되는 코어(Core) 및 상기 코어를 에워싸는 클래드(Clad)로 이루어진다. 한편, 광섬유의 클래드를 에워싸며 광섬유를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섬유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후술할 플루오린화수소산에 의하여 식각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광섬유를 식각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보호층이 플라스틱 자켓(jecket)인 경우, 스트리퍼(stripper)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보호층이 제거된 광섬유의 사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보호층이 제거된 광섬유 표면에는 보호층 잔해 등이 남아있을 수 있다. 상기 잔해들은 광섬유간 커플링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산란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층을 제거한 후 광섬유 표면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광섬유 표면은 아세톤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도 1c는 표면이 세척된 광섬유의 사진이다.
다음으로, 상기 광섬유들이 중첩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단계가 진행된다. 두 개의 광섬유가 중첩되는 영역은 광섬유가 식각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두께가 얇아진 두 개의 광섬유가 서로 접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광섬유를 따라 진행하던 빛이 다른 하나의 광섬유로 커플링(coupling)되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섬유들은 별도의 접착물질 없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접합된다. 상기 광섬유들이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광섬유를 소정 횟수 꼬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를 꼬는 횟수가 너무 작은 경우, 광섬유들을 식각하는 중 또는 식각한 후 광섬유들이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를 꼬는 횟수가 너무 큰 경우, 벤딩 손실(bending loss)가 너무 커지게 된다. 상술한 요인들을 고려할 때, 광섬유들은 약 3cm 구간에서 2 내지 3회 꼬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경우,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영역이 중첩되지 않을 경우, 중첩된 영역이 식각되지 않으며, 커플링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광섬유들이 플루오린화수소산에 의하여 식각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이 꼬인 영역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시키는 단계가 진행된다.
플루오린화수소산과 유리가 접촉할 경우, 다음과 같은 ‘4HF + SiO2 → SiF4 + 2H2O’화학식에 의해 유리가 점차 식각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들을 극미량의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 방울과 접촉시킴으로써, 광섬유를 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과 반응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에 소정 크기의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 방울을 형성한 후, 상기 방울 위에 상기 광섬유들을 올려놓는다.
한편, 광섬유의 두께가 급격하게 변하도록 식각하는 경우, 광섬유를 따라 진행하는 빛이 두께가 변하는 경계지점에서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반사 또는 산란되어 에너지 손실이 커지게 된다.
상기 광섬유들이 꼬인 영역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 방울과 접촉시키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란고니 효과(Marangoni flow effect)에 의하여, 미량의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이 광섬유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광섬유는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 방울과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점진적으로 식각된다. 상술한 효과를 이용하면, 식각에 의하여 광섬유의 두께가 급격하게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식각은 진동이 매우 적은 환경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식각을 위한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 방울의 부피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섬유들이 바닥에 놓인 채로 식각되는 경우,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식각되기 어렵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광섬유들은 별도의 거치대에 고정된 채로 식각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저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꼬인 상태의 광섬유들은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거치대(2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대(200)의 저면의 일부부은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면의 일부분에 상기 광섬유들을 고정하는 경우, 상기 광섬유들은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고정된 광섬유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와 같이, 꼬인 상태의 광섬유들(110)은 상기 거치대 저면의 일부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각이 되지 않는 광섬유의 영역에 접착물질(220) 등을 부착하여 상기 거치대 저면의 일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는 윈도우(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210)로 인하여, 상기 거치대에 고정된 상기 광섬유들의 일부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5는 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로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된 광섬유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와 같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의 상기 광섬유들(110)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 방울(30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섬유가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식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를 이용하면, 광섬유들을 용이하게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과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의 형태는 도 3a 내지 3c에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광섬유들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고, 식각되는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식각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세척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광섬유들의 세척은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식각된 광섬유는 도 6a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6a은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의하여 식각된 광섬유의 SEM 사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식각된 광섬유의 두께는 11.7㎛이다. 도 1c에 도시된 광섬유의 원래 두께가 125㎛인 점을 고려할 때, 광섬유의 두께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식각된 광섬유의 구간별 두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식각된 두 개의 광섬유 간의 광 분기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광섬유들이 꼬인 영역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시키기 전, 상기 광섬유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소정 파장의 광을 입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섬유들을 식각하는 중, 상기 광섬유들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광섬유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소정 비율을 이루는 경우, 상기 광섬유들이 식각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비율은 1/99 내지 99일 수 있다.
도 7은 식각 시간별로 두 개의 광섬유에서 출력되는 광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식각에 사용된 광섬유는 그 두께가 125㎛이었으며, 식각에 사용된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의 농도는 용액의 전체질량을 기준으로 49%이었다. 또한, 식각온도는 21.5 내지 22.5℃이었다. 또한, 상기 광섬유로 입사시키는 빛의 파장은 1550nm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섬유 A로 광이 입사되었으며, 식각 시간이 90분 이내일 때, 광섬유 A로 입사된 빛은 모두 광섬유 A에서 출력되었다. 식각 시간이 90분을 초과하면서, 광섬유 B에서 광이 출력되기 시작했다. 식각 시간이 약 98분이었을 때, 광섬유 A 및 B 각각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같아졌다. 이후, 식각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광섬유 A 및 B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는 진동하였다.
한편, 식각 시간이 증가할수록, 광섬유 A 및 B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세기의 합이 감소하였다. 이는, 광섬유의 두께가 감소하면서, 외부로 유실되는 광의 세기가 증가하고 유실된 광이 주변 플로오린화수소산 용액에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식각 시간이 약 110분을 초과하면서부터 광섬유 A 및 B 모두에서 광이 출력되지 않았다. 이는,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의하여 광섬유가 절단되었기 때문이다.
도 7에 따르면, 광섬유 A 및 B 각각에서 출력되는 광 세기의 비율은 식각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식각 시간이 90 내지 102분일 때, 광섬유 A 및 B 각각에서 출력되는 광 세기의 비율은 1/99 내지 99이었고, 식각 시간이 102분을 초과하였을 때, 광 세기의 비율이 주기적으로 증가 및 감소하였다. 즉, 90 내지 102분의 시간대에서 모든 광 분기 비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광 출력의 값이 같아지는, 식각시간이 약 98분이었을 때, 광 분기 비율은 공기 중에서 약 85:15이었다. 이때, 커플링에 의한 광 손실은 공기 중에서 약 0.34 dB이었다. 광 분기비율이 변화하는 이유는 주변 환경이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물)에서 공기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식각 시간이 증가할수록 입력 대비 출력 광세기 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식각 시간은 90 내지 102분이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광섬유들을 세척한 후 건조시킬 경우, 광 분기 비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식각 시간은 이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식각 시간은 광섬유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광 분기 비율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 한쪽 광섬유에 1550 nm 파장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이용해 광 파워를 입사시킨 뒤 두 광섬유의 출력단에 포도디텍터(photo-detector)를 물린 뒤 광 파워를 확인한다. 특정 시간이 되었을 때, 특정 광 분기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작자가 원하는 광 분기 비율(e.g. 50:50, 90:10, 99:1)이 되었을 때 플루오린화수소산 방울에서 꼰 광섬유 가닥을 꺼내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 water)에 넣어 산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면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 커플러의 편광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 커플러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설명한 구조를 가지는 광 커플러에 대한 커플링 길이의 FDTD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 형태의 단면을 갖는 광 도파관에는 Ex가 dominant한 것과 Ey가 dominant한 두 종류의 super mode가 존재하는 것을 두 도파관이 접합해있는 비대칭 구조를 통해 예상할 수 있으며, FDTD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 커플러는 편광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편광조절기(polarization controller)를 이용하여 광섬유로 입사되는 빛의 편광을 조절하면서, 편광에 따른 광 분기 비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직 편광 및 수평 편광 각각을 입사시켰을 때 광 분기 비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두 광 분기 비율의 차이는 0.6%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커플러는 편광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커플러에서 광섬유들은 서로 꼬여있기 때문에 편광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두 개의 광섬유들이 중첩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단계;
    상기 광섬유들이 서로 꼬인 상태에서 플루오린화수소산에 의하여 식각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이 꼬인 영역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섬유들이 식각되는 것이 중단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들을 꼰 후,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들은 상기 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로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들이 꼬인 영역을 플루오린화수소산 용액에 접촉시키기 전, 상기 광섬유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소정 파장의 광을 입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섬유들을 식각하는 중, 상기 광섬유들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소정 비율을 이루는 경우, 상기 광섬유들이 식각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비율은 1/99 내지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들을 꼬기 전, 상기 광섬유들 각각에 포함된 보호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단계는,
    상기 광섬유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광섬유들을 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제거된 영역을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커플러 제조방법.



KR1020160178331A 2016-12-23 2016-12-23 플루오린화수소산의 습식식각법을 이용한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조 방법 KR10187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31A KR101873799B1 (ko) 2016-12-23 2016-12-23 플루오린화수소산의 습식식각법을 이용한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31A KR101873799B1 (ko) 2016-12-23 2016-12-23 플루오린화수소산의 습식식각법을 이용한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799B1 true KR101873799B1 (ko) 2018-07-03

Family

ID=6291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331A KR101873799B1 (ko) 2016-12-23 2016-12-23 플루오린화수소산의 습식식각법을 이용한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0911A (zh) * 2023-09-26 2023-11-03 武汉锐科光纤激光技术股份有限公司 光纤刻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90911A (zh) * 2023-09-26 2023-11-03 武汉锐科光纤激光技术股份有限公司 光纤刻蚀装置
CN116990911B (zh) * 2023-09-26 2023-12-26 武汉锐科光纤激光技术股份有限公司 光纤刻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5290B2 (en) Polymer clad fiber for evanescent coupling
US10444434B2 (en) Optical coupler having segmented waveguides for coupling electromagnetic field
US9784930B2 (en) Optical interface device having a curved waveguide using laser writing and methods of forming
US10203453B2 (en) Facet optical coupler
US20150214122A1 (en) Wafer-scale testing of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using horizontal spot-size converters
US9140856B2 (en) Ultra-high power multimode combiner
WO2015167946A1 (en) Grating-coupler assembly with small mode-field diameter for photonic-integrated-circuit systems
KR20150123824A (ko) 로우 모드 고출력 광섬유 컴바이너
JP4974165B2 (ja) 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2005208638A (ja) 低損失のシリコン導波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501198A (ja) マルチチャネル光結合器アレイ
WO2015134968A1 (en) High-order-mode filter for semiconductor waveguides
JP2014059479A (ja) 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光コネクタ
JPWO2014156233A1 (ja) シリコン系細線光導波路の加工方法
TWI668881B (zh) 光耦合裝置及其製造方法
JP4877067B2 (ja) 光ファイバ、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および光コネクタ
CN112596174A (zh) 一种微纳光纤耦合器复合制造方法
KR101873799B1 (ko) 플루오린화수소산의 습식식각법을 이용한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 제조 방법
WO2016007882A1 (en) Low-loss waveguide transition
US20040151431A1 (en) Lensed fiber having small form fa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2172718A1 (ja) 導光装置及び導光方法
JP4096936B2 (ja) 光ファイバ、光ファイバの端面封止方法、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及び光コネクタ
Van Laere et al. Compact focusing grating couplers between optical fibers and silicon-on-insulator photonic wire waveguides
JP2013142791A (ja) 光ファイバの加工方法、光ファイバの加工装置、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入出力構造
JP2014501943A (ja) 高性能の光ファイバー末端迅速接続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