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112B1 - 상체용 베개 - Google Patents

상체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112B1
KR101873112B1 KR1020160137430A KR20160137430A KR101873112B1 KR 101873112 B1 KR101873112 B1 KR 101873112B1 KR 1020160137430 A KR1020160137430 A KR 1020160137430A KR 20160137430 A KR20160137430 A KR 20160137430A KR 101873112 B1 KR101873112 B1 KR 10187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frame
upper body
hea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958A (ko
Inventor
장일
Original Assignee
장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 filed Critical 장일
Priority to KR102016013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1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 A47G9/1063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comprising limb accommod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72Pillows for lying in reclined position, e.g. for rea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11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상체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베개는 머리부터 엉덩이를 포함하여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좌우측으로는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에는 사용자의 뒷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0)이 삽입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공기를 넣어 사용하는 베개의 부풀어지는 모양을 잡아주도록 지지프레임이 삽입되고,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상체 전체가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부분이 높고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 낮도록 굴곡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베개에 누웠을 때 베개의 양측으로 팔이 떨어지게 되면 가슴이 팔보다 높게 되어 불편해짐으로, 상체와 팔의 높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베개의 양측에는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용 에어 쿠션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상체용 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상체용 베개{Pillow for upper body}
본 발명은 상체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넣어 사용하는 베개의 부풀어지는 모양을 잡아주도록 지지프레임이 삽입되고,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상체 전체가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부분이 높고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 낮도록 굴곡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베개에 누웠을 때 베개의 양측으로 팔이 떨어지게 되면 가슴이 팔보다 높게 되어 불편해짐으로, 상체와 팔의 높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베개의 양측에는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용 에어 쿠션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상체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용자가 누워있을 때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는 것이다.
상기 베개는 솜베개, 라텍스베개, 메모리폼베개, 에어베개 등 다양한 구성이 있으며, 머리를 받치기에 다양한 굴곡을 가지도록 제조되고 있다.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6534호의 높낮이 조절형 베개에는, 높낮이 조절형 베개에 있어서, 베개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와; 공기를 수동으로 주입시키는 에어펌프와; 상기 베개의 몸체 내부 하단부에 삽입되어 에어펌프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는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에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에어호스와; 상기 에어호스와 에어펌프가 접촉하는 부분에 베개에 주입된 공기를 베개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에어밸브와; 상기 에어튜브 상단부의 몸체에 삽입되어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세라믹;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형 베개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76434호의 다층 베개에는 상부베개보다 전후 사이즈가 크게 형성된 하부베개 및; 상기 하부 베개와 후방의 덮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베개 위에 포개거나 후방으로 젖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방의 하부베개와 접하는 전방기울기가 후방으로 기울어 지도록 형성되는 상부베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베개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개들은 상체 전체 특히,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를 받쳐주지 못하며, 상체의 등 부분과 팔의 어깨 부분의 높이의 차이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해지며, 상체용 베개를 사용할 때 모양을 잡아주는 지지프레임이 없어 공처럼 부풀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공기를 넣어 사용하는 베개의 부풀어지는 모양을 잡아주도록 지지프레임이 삽입되고,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상체 전체가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부분이 높고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 낮도록 굴곡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베개에 누웠을 때 베개의 양측으로 팔이 떨어지게 되면 가슴이 팔보다 높게 되어 불편해짐으로, 상체와 팔의 높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베개의 양측에는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용 에어 쿠션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상체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1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상체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베개는 머리부터 엉덩이를 포함하여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좌우측으로는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에는 사용자의 뒷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상체용 베개를 통하여, 공기를 넣어 사용하는 베개의 부풀어지는 모양을 잡아주도록 지지프레임이 삽입되고,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상체 전체가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부분이 높고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 낮도록 굴곡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베개에 누웠을 때 베개의 양측으로 팔이 떨어지게 되면 가슴이 팔보다 높게 되어 불편해짐으로, 상체와 팔의 높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베개의 양측에는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용 에어 쿠션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어 편안한 숙면을 제공하는 상체용 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상체용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상체용 베개의 접합돌기가 형성된 몸체의 개념도
도 3, 4는 본 발명 상체용 베개의 또 다른 실시 예 사시도
본 발명은 몸체(11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상체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베개는 머리부터 엉덩이를 포함하여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좌우측으로는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에는 사용자의 뒷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체용 베개의 몸체(110)는 머리가 닿는 머리받침부(112)와, 사용자의 상체가 닿는 상체받침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받침부(113)의 좌우측면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부(114)가 형성되되, 상기 머리받침부(112), 상체받침부(113), 및 팔받침부(114)에는 각각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하면에는 복수의 접합돌기(116)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배열되어 있되, 상기 몸체(110)의 상·하면에 형성된 접합돌기(116)는 서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몸체의 상·하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상체용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상체용 베개의 접합돌기가 형성된 몸체의 개념도, 도 3, 4는 본 발명 상체용 베개의 또 다른 실시 예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몸체(11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상체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상체용 베개는 머리부터 엉덩이를 포함하여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좌우측으로는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11)에는 사용자의 뒷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0)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몸체(110) 내부에서 몸체(110)의 형상을 잡아주는 것이며, 원기둥 형상으로 몸체(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몸체(110)가 일정이상 부풀어져 몸체(110)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편백나무를 사용하는 것으로, 은은한 향이 상쾌하고 살균작용이 뛰어나며, 아토피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몸체(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110)가 바닥이 평평하지 못하거나 침대, 매트리스 등의 푹신한 물체 위에 올려두고 사용할 시에 휘어지거나, 울퉁불퉁해 지는 등의 변형을 없앤다.
특히, 종래의 베개들은 모양의 변형을 가져 옴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통해 변형을 없앨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상체용 베개의 몸체(110)는 머리가 닿는 머리받침부(112)와, 사용자의 상체가 닿는 상체받침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받침부(113)의 좌우측면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상체받침부(113)는 지면으로부터 15˚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몸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베개들은 머리부터 어깨까지를 받쳐주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부(112), 상체받침부(113), 및 팔받침부(114)에는 각각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를 대신하여 합성수지재 알갱이를 충진 가능하다.
상기 머리받침부(112), 상체받침부(113), 팔받침부(114)에 형성된 공기주입구(115)를 통해 각각 공기를 따로 넣을 수 있으며, 공기를 각각 따로 넣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머리받침부(112), 상체받침부(113), 팔받침부(114)는 각각 공기주입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맞추어, 머리를 지지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어깨질환, 코골이, 무호흡증, 비염으로 인해 콧물이 기도로 넘어오는 현상,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역류성식도염 등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상·하면에는 복수의 접합돌기(116)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배열되어 있되, 상기 몸체(110)의 상·하면에 형성된 접합돌기(116)는 서로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몸체(110)의 상·하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부(112), 상체받침부(113), 팔받침부(114) 각각의 내부에는 공기가 통하는 공간에는 방해되지 않도록 접합된다.
상기 서로 접합된 접합돌기(116)의 간격이 좁으면 공기가 들어갔을 때 공기에 의해 부풀어오르는 상측과 하측 사이의 높이가 낮아지며, 간격이 넓어지면 공기가 들어갔을 때 상측과 하측 사이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머리받침부(112), 상체받침부(113), 및 팔받침부(114) 각각의 내부에 공기가 투입될 시 일정간격마다 서로 접합된 접합돌기(116)에 의해 높이조절이 되고, 더 부풀어져 모양이 이상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팔받침부(114)는 상체받침부(113)의 양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체받침부(113)의 양측면과 팔받침부(114)의 일측면에는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어 서로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팔받침부(114)를 사용자의 어깨 넓이에 맞는 팔받침부(114)로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원통형상으로 사출방식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프레임(120)은 3등분하여 길이조절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제1프레임(121), 제2프레임(122), 제3프레임(123)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우측면 중심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중심축(121-1)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 3프레임(122, 123)은 좌측면에서부터 우측면까지 구멍(122-1, 123-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3프레임의 구멍에는 제1프레임의 우측면에 형성된 중심축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하여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 3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된 중심축에는 조임구(124)가 체결되며, 상기 조임구의 좌측면은 제3프레임의 우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조임구는 나비너트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 및 제2, 3프레임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2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에 체결된 조임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중심축에 체결된 조임구가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은 몸체의 관통홀에 고정하고 난 뒤에 조임구를 좌, 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사용자가 제1프레임을 잡아서 고정하고 난 뒤에 조임구를 좌,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중심축에 체결된 조임구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조임구는 제3프레임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3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키며, 상기 제2프레임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도 압축된다.
이에,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 및 제2, 3프레임 사이 공간의 틈이 좁아지며, 본 발명 상체용 베개의 몸체는 딱딱해진다.
반대로, 상기 중심축에 체결된 조임구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 3프레임은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 및 제2, 3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은 원래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상기 제1, 2프레임 사이 및 제2, 3프레임 사이 공간의 틈이 넓어지며, 본 발명 상체용 베개의 몸체는 물렁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 상체용 베개를 통하여, 공기를 넣어 사용하는 베개의 부풀어지는 모양을 잡아주도록 지지프레임이 삽입되고,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상체 전체가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부분이 높고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 낮도록 굴곡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베개에 누웠을 때 베개의 양측으로 팔이 떨어지게 되면 가슴이 팔보다 높게 되어 불편해짐으로, 상체와 팔의 높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베개의 양측에는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용 에어 쿠션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상체용 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110 : 몸체 111 : 관통홀
112 : 머리받침부 113 : 상체받침부
114 : 팔받침부 115 : 공기주입구
116 : 접합돌기
120 : 지지프레임 121 : 제1프레임
121-1 : 중심축 122 : 제2프레임
123 : 제3프레임
122-1, 123-1 : 구멍
124 : 조임구 125 : 코일스프링

Claims (3)

  1. 몸체(11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상체용 베개로써, 머리부터 엉덩이를 포함하여 닿도록 형성되되, 머리가 닿는 좌우측으로는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에는 사용자의 뒷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0)이 삽입되는 상체용 베개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머리가 닿는 머리받침부(112)와, 사용자의 상체가 닿는 상체받침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받침부(113)의 좌우측면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받침부(114)가 형성되되, 상기 머리받침부(112), 상체받침부(113), 및 팔받침부(114)에는 각각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몸체(110)의 상·하면에는 복수의 접합돌기(116)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배열되어 있되, 상기 몸체(110)의 상·하면에 형성된 접합돌기(116)는 서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몸체의 상·하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지지프레임(120)은 3등분하여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제1프레임(121), 제2프레임(122), 제3프레임(123)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프레임(121)의 우측면 중심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중심축(121-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3프레임(122, 123)은 좌측면에서부터 우측면까지 구멍(122-1, 123-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3프레임(122, 123)의 구멍에는 제1프레임(121)의 우측면에 형성된 중심축(121-1)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하여 관통되고, 상기 제2, 3프레임(122, 123)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된 중심축(121-1)에는 조임구(124)가 체결되며, 상기 조임구(124)의 좌측면은 제3프레임(123)의 우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조임구(124)는 나비너트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제1, 2프레임(121, 122) 사이 및 제2, 3프레임(122, 123)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25)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상체용 베개

  2. 삭제
  3. 삭제
KR1020160137430A 2016-10-21 2016-10-21 상체용 베개 KR101873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430A KR101873112B1 (ko) 2016-10-21 2016-10-21 상체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430A KR101873112B1 (ko) 2016-10-21 2016-10-21 상체용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58A KR20180043958A (ko) 2018-05-02
KR101873112B1 true KR101873112B1 (ko) 2018-06-29

Family

ID=6218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430A KR101873112B1 (ko) 2016-10-21 2016-10-21 상체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1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74B1 (ko) * 2011-11-02 2012-05-29 정철종 경추 및 척추 지지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70A (ja) * 1994-05-09 1995-11-14 Nakajima Meriyasu:Kk 枕補助具
KR19990033812U (ko) * 1999-05-26 1999-08-16 박승호 좌우유동이용이한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74B1 (ko) * 2011-11-02 2012-05-29 정철종 경추 및 척추 지지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58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579B1 (en) Conforming air and foam support device
US20160375809A1 (en) Bodily Support Assembly
KR101861553B1 (ko) 공기주입펌프가 장착된 휴대용 에어쿠션
KR101873112B1 (ko) 상체용 베개
JP2006346218A (ja) 局部高さ調節機能付き敷き布団
JP3160804U (ja) 高さ調整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クッション体
KR101561197B1 (ko) 유동식 통풍형 지압 베개
KR102110354B1 (ko) 임산부용 쿠션
US20060272084A1 (en) Bath pillow
CN113271821A (zh) 充气床垫
KR200469838Y1 (ko) 기능성 베개
WO2009044956A1 (en) Pillow
US20120133190A1 (en) Air inflatable reclining shampoo chair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JP3154485U (ja) 背当て体
KR101992923B1 (ko) 골반 교정 겸용 다기능 지압 베개
KR102162327B1 (ko) 공기주입이 가능한 다기능 에어쿠션
KR20220072584A (ko) 기능성 매트리스
TW201400056A (zh) 單軸式的椅腳及使用該椅腳的接待椅
KR101795886B1 (ko) 영유아 두상 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 및 그 제조방법
KR200472811Y1 (ko) 베개
CN108968490A (zh) 一种可调节沙发
KR102159176B1 (ko) 휴대용 머리받침장치
JP3163913U (ja) 寝具
KR20210069263A (ko) 높이 조절 가능한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