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026B1 -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 Google Patents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026B1
KR101873026B1 KR1020150181013A KR20150181013A KR101873026B1 KR 101873026 B1 KR101873026 B1 KR 101873026B1 KR 1020150181013 A KR1020150181013 A KR 1020150181013A KR 20150181013 A KR20150181013 A KR 20150181013A KR 101873026 B1 KR101873026 B1 KR 101873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adjusting
camera
unit
coupled
adjus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621A (ko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8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026B1/ko
Priority to US15/286,967 priority patent/US20170176841A1/en
Publication of KR2017007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8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sideward adjustment, i.e. left-right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 영역에 카메라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각각 결합되고 대응하는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고정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간의 횡방향 거리가 가변하도록 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부는 신축 집게 구조(Lazy tongs mechanism)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Camera rig apparatus for shooting multi-view image}
본 발명은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시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카메라를 리그 장치에 고정하고, 리그 장치를 조정하여 각 카메라 간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입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들이 촬영 대상으로부터 모두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고, 각 카메라가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각 카메라의 간격은 카메라와 촬영 대상간의 거리에 따라는 달라져야 한다. 일 예로, 근거리의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 각 카메라의 간격을 좁게 조정해야한다. 한편, 원거리의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각 카메라의 간격을 넓게 조정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리그 장치는 각 카메라별로 위치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촬영 대상의 변경 시 마다 각 카메라 간의 간격을 조정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각 카메라에 대응하는 리그 장치를 모두 조정해야하므로 리그 장치를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652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시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가 고정된 카메라 리그 장치의 신축 집게 구조(Lazy tongs mechanism)를 활용하여 각 카메라의 간격을 일괄 조정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다시점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는, 일 영역에 카메라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와 각각 결합되고 대응하는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고정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간의 횡방향 거리가 가변하도록 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신축 집게 구조(Lazy tongs mechanis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는, 각 지지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 조절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전방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제2 위치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일측 끝단에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거리를 가변시키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길이에 대응하는 회전량을 계산하여 상기 위치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의 위치조절수단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위치조절수단에 대한 회전량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의 위치조절수단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위치조절수단에 대한 회전량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길이보다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각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로부터 촬영 대상 간 거리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로부터 상기 촬영 대상 간 거리의 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에 대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 또는 조절나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카메라가 결합된 상기 카메라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지지부의 전방 및 후방의 위치 조절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조절부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카메라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고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지지부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시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가 고정된 카메라 리그 장치의 신축 집게 구조(Lazy tongs mechanism)를 활용하여 각 카메라의 간격을 일괄 조정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다시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카메라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카메라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위치조절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카메라 위치 조절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이하에서는 '카메라 리그 장치'라 칭하도록 한다.)는 지지부(110), 위치 조절부(120), 카메라 고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일측이 개방되고 카메라(10)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에 형성된 공간은 카메라(10)의 부피보다 큰 공간으로, 지지부(110)는 카메라(10)의 몸체가 삽입되는 소켓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카메라(10)는 카메라 고정부(130)에 의해 대응하는 지지부(110)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카메라(10)가 고정된 카메라 고정부(130)와 결합되는 제1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결합수단은 암/수 돌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수단은 고정용 나사(볼트)가 삽입되는 홀 형태로 구현되어, 홀에 삽입된 고정용 나사(볼트)에 의해 카메라 고정부(13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제1 결합수단은 카메라 고정부(130)와 지지부(110)를 고정하는 것이라면 어느 형태로든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부(110)는 일측이 개방된 전방 및 후방에 위치 조절부(120)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결합수단이 배치되어, 제2 결합수단에 의해 위치 조절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수단은 지지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10)는 카메라(1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부(110)는 정해진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 조절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위치 조절부(120)는 신축 집게 구조(Lazy tongs mechanism)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지지부(110)에 대응하는 위치 조절부(120)는 적어도 네 개의 바(bar)를 서로 수직한 두 개의 방향으로 배치하고, 동일 방향으로 배치된 두 개의 바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한 후 서로 다른 두 개의 바가 서로 교차되는 각 영역을 축 결합하여, 축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나의 지지부(110)에 대응하는 위치 조절부(120)를 단위 구조물이라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바에 의해 내부에 마름모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에 삽입된 카메라(10)는 네 개의 바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통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단위구조물에서 지지부의 상부 및 하부측에 위치된 축은 해당 지지부의 제2 결합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수단에는 결합된 축의 슬라이딩을 위한 슬라이딩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N 개의 지지부(110)에 대응하는 위치 조절부(120)는 단위 구조물에 ((N-1) x 2) 개의 바를 횡 방향으로 추가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조절부(120)는 ((N-1) x 2) 개의 바에 의해 N 개의 마름모 형상이 횡 방향으로 나열된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위치 조절부(120)는 일측 끝단의 축 결합 영역에 구비된 위치조절수단의 회전운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치 조절부(120)는 지지부(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지지부(1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 위치 조절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 각각의 일측 끝단에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위치조절수단은 제어부(140)와 연결된다. 이에, 위치조절수단은 제어부(14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위치조절수단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 또는 조절나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조절부(121)의 위치조절수단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는 동일한 길이로 신축(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와 결합된 각 지지부(110)는 일괄적으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10)에 의해 원거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조절부(121)의 위치조절수단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일 방향으로 동일하게 제어하여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가 동일한 길이로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와 결합된 각 지지부(110)의 간격은 일괄적으로 확장되게 된다.
다른 예로, 카메라(10)에 의해 근거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조절부(121)의 위치조절수단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타 방향으로 동일하게 제어하여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가 동일한 길이로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와 결합된 각 지지부(110)의 간격은 일괄적으로 축소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조절부(121)의 위치조절수단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길이를 늘이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조절부(121)의 위치조절수단 보다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이 더 많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조절부(121)의 길이 보다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길이가 더 많이 확장되어,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에 결합된 지지부(110)가 점차 안쪽으로 휜 형태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와 결합된 각 지지부(110)는 일괄적으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각 지지부(110)의 간격이 일괄적으로 조절됨으로써, 각 지지부(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각 카메라(10) 또한 일괄적으로 간격이 조절되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리그 장치는 장치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카메라 리그 장치에서 제어부(140)가 위치 조절부(120)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 조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카메라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는 카메라 고정부(130)와 결합되고, 카메라 고정부(130)와 결합된 카메라(10)는 지지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카메라(10)가 복수 개 인 경우 지지부(110)는 카메라(1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부는 횡 방향으로 나열된 형태로 위치 조절부(121, 125)와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10)와 결합된 카메라 고정부(130)가 지지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카메라 고정부(130)는 지지부(110)와 결합되어 카메라(10)가 지지부(11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고정부(130)는 암/수 돌기, 고정용 나사(볼트) 등과 같은 제1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10)가 위치 조절부(121, 125)와 결합된 상태에서 카메라 고정부(130)와 결합된 카메라를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10)를 지지부(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위치 조절부(121, 125)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카메라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는 카메라 고정부(130)와 결합되고, 카메라 고정부(130)와 결합된 카메라(10)는 지지부(110a)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지지부(110a)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10)가 복수 개인 경우 지지부(110a)는 카메라(1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0)는 복수 개의 지지부 마다 동일한 위치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복수 개의 지지부는 횡 방향으로 나열된 형태로 위치 조절부(121, 125)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카메라(10)와 결합된 카메라 고정부(130)는 암/수 돌기, 고정용 나사(볼트) 등과 같은 제1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부(110a)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위치조절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수단(150)은 조절나사(151, 155)와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조절나사(151, 155)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에 각각 구비되어, 제어부(14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에 구비된 조절나사의 회전량을 동일하게 제어하여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가 동일한 길이로 신축(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에 구비된 조절나사의 회전량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여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가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내측 또는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내측으로 휜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조절나사(151, 155)의 일측 끝단에는 회전 가능한 손잡이가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의 카메라 위치 조절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정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제1 실시예는 위치 조절부의 단위 구조물 간 간격이 10cm가 되도록 지지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후방에 결합되는 제2 위치 조절부(125)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일측 끝단에는 회전운동하는 위치조절수단이 장착되어, 제어부가 각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단위 구조물 간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는 각 지지부와 결합되는 각 단위 구조물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거리 값에 해당하는 회전량을 계산하여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을 제어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각 단위 구조물 간 거리가 10cm가 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각 단위 구조물 간 간격이 10cm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한다.
이로써, 각 카메라 간 거리 또한 일괄적으로 10cm로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제2 실시예는 위치 조절부의 각 단위 구조물 간 거리가 15cm가 되도록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2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각 단위 구조물 간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회전량을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한다.
다만, 제2 실시예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각 단위 구조물 간 거리가 15cm로 제1 실시예의 단위 구조물 간 거리 보다는 길기 때문에, 제1 실시예보다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이 증가된다.
이로써, 각 카메라 간 거리 또한 일괄적으로 15cm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제3 실시예는 위치 조절부의 단위 구조물 간 간격이 15cm 또는 그 이상이 되도록 지지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후방에 결합되는 제2 위치 조절부(125)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단위 구조물 간 거리와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단위 구조물 간 거리가 상이하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위치 조절부(121)의 위치조절수단 및 제2 위치 조절부(125)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각각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단위 구조물간 거리와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단위 구조물 간 거리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단위 구조물간 거리와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단위 구조물 간 거리의 비는 도 8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단위 구조물과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단위 구조물 간 거리가 x,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단위 구조물로부터 촬영 대상(A)까지의 거리가 y라고 가정했을 때,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단위 구조물의 조절 거리 L1 대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단위 구조물의 조절 거리 L2는 L1 : L2 = y : (x + y)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L1을 1로 가정했을 때, L2는 '((x + y) / y)'로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도 7에서와 같이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단위 구조물간 거리(L1)를 15cm로 조절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단위 구조물간 거리(L2)를 '((x + y) / y) x 15cm'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위치 조절부(125)의 단위 구조물간 거리(L2)는 제1 위치 조절부(121)의 단위 구조물간 거리(L1) 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제1 위치 조절부(121) 및 제2 위치 조절부(125)는 안쪽으로 휜 형태가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는 위치 조절부의 단위 구조물 간 거리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간 거리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다시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조작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카메라 110: 지지부
120: 위치 조절부
121, 121a, 121b: 제1 위치 조절부
125, 125a, 125b: 제2 위치 조절부
130: 카메라 고정부
140: 제어부

Claims (13)

  1. 일 영역에 카메라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고정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각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간의 전방측 횡방향 거리가 가변하도록 하는 제1 위치 조절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각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간의 후방측 횡방향 거리가 가변하도록 하는 제2 위치 조절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조절부는 신축 집게 구조(Lazy tongs mechanism)로 형성되고, 상기 신축 집게 구조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링크는 서로 다른 링크간의 결합지점에 각각 축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패널 각각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장공이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방 및 하방에 위치된 축이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의 상방 및 하방에 배치된 상기 패널의 상기 슬라이딩 장공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위치 조절부 및 제2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길이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조절부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마련되어 각각의 횡방향 거리가 서로 다르게 제어됨으로써 만곡하게 휘어지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는,
    각 지지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조절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일측 끝단에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거리를 가변시키는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길이에 대응하는 회전량을 계산하여 상기 위치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길이보다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횡방향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각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부로부터 촬영 대상 간 거리 및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로부터 상기 촬영 대상 간 거리의 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 조절부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에 대한 상기 제2 위치 조절부의 위치조절수단의 회전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레버 또는 조절나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카메라가 결합된 상기 카메라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카메라의 삽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고정부에 의해 대응하는 지지부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KR1020150181013A 2015-12-17 2015-12-17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KR101873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13A KR101873026B1 (ko) 2015-12-17 2015-12-17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US15/286,967 US20170176841A1 (en) 2015-12-17 2016-10-06 Camera rig apparatus for shooting multi-view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13A KR101873026B1 (ko) 2015-12-17 2015-12-17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621A KR20170072621A (ko) 2017-06-27
KR101873026B1 true KR101873026B1 (ko) 2018-07-02

Family

ID=5906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013A KR101873026B1 (ko) 2015-12-17 2015-12-17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76841A1 (ko)
KR (1) KR101873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829A (ko) 2018-09-07 2020-03-17 (주)위지윅스튜디오 리그 결합형 가상 카메라를 활용한 실시간 cg 영상 제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5914B (zh) * 2016-09-29 2020-03-2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屏支撑装置及柔性屏
KR101942832B1 (ko) * 2018-10-19 2019-01-30 (주)뉴비전네트웍스 각종 데이터를 편집하는 공간영상도화 보정시스템
US11429012B2 (en) 2018-12-31 2022-08-30 David Craig Holland Audiovisual apparatus for simultaneous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coverage on production sets
USD908165S1 (en) 2018-12-31 2021-01-19 David Craig Holland Three-headed camera system
CN113099174A (zh) * 2021-03-26 2021-07-09 武汉固德超前高新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多目摄像头及含有多目摄像头的爬行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138A (ja) * 2003-02-05 2004-08-26 I-O Data Device Inc 多眼立体視用カメラ
JP2007286521A (ja) * 2006-04-19 2007-11-01 Eyedentify:Kk 複数の撮像体の画像から裸眼立体視可能な立体画像を生成する簡易撮像装置
KR100788786B1 (ko) * 2006-07-25 2007-12-27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간격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카메라 장치
JP2009223233A (ja) * 2008-03-18 2009-10-01 Eyedentify:Kk パンタグラフ連動制御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8905B2 (ja) * 2007-10-02 2012-04-18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ケーブル施工支援システム、端子台プレート及びケーブル施工支援方法
US10045005B2 (en) * 2013-12-10 2018-08-07 Lg Electronics Inc. 3D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138A (ja) * 2003-02-05 2004-08-26 I-O Data Device Inc 多眼立体視用カメラ
JP2007286521A (ja) * 2006-04-19 2007-11-01 Eyedentify:Kk 複数の撮像体の画像から裸眼立体視可能な立体画像を生成する簡易撮像装置
KR100788786B1 (ko) * 2006-07-25 2007-12-27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간격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카메라 장치
JP2009223233A (ja) * 2008-03-18 2009-10-01 Eyedentify:Kk パンタグラフ連動制御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829A (ko) 2018-09-07 2020-03-17 (주)위지윅스튜디오 리그 결합형 가상 카메라를 활용한 실시간 cg 영상 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621A (ko) 2017-06-27
US20170176841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026B1 (ko)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 장치
US9706187B2 (en) Camera rig for shooting multi-view images and videos and imag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for use with same
US10805559B2 (en) Multi-camera array with shared spherical lens
TWI527985B (zh) 攝影用滑移裝置
US20210201521A1 (en) Image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KR100934424B1 (ko) 영상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전자장비 및 전자장비에서의방법, 그리고 이 방법의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생성물
CN105187693B (zh) 监控摄像机
US11089190B2 (en) Forming combined image by imaging system with rotatable reflector
CN101872108A (zh) 投影仪及其显示画面的调整方法、移动终端
US20120188332A1 (en) Imaging apparatus
CN107347129B (zh) 光场相机
US20120086782A1 (en) Stereoscopic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ereoscopic image pickup method
CN104361599A (zh) 云台摄像机的标定及拍摄方法
US10827118B2 (en) System for panoramic imaging
US9042717B2 (en) Camera system with rotating mirror
KR101297835B1 (ko)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KR101729164B1 (ko) 멀티 구 교정장치를 이용한 멀티 카메라 시스템의 이미지 보정 방법
ITPD20100150A1 (it) Supporto per apparecchiature video-fotografiche
US8817384B2 (en) Zoom lens device
JP2006293035A5 (ko)
US10254506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5086279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を備えた車両
JP2020170092A5 (ja) 取付装置、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KR200467570Y1 (ko)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KR102067436B1 (ko)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및 이를 적용한 영상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