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766B1 -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766B1
KR101872766B1 KR1020170143181A KR20170143181A KR101872766B1 KR 101872766 B1 KR101872766 B1 KR 101872766B1 KR 1020170143181 A KR1020170143181 A KR 1020170143181A KR 20170143181 A KR20170143181 A KR 20170143181A KR 101872766 B1 KR101872766 B1 KR 10187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er
trailer
frame
snow
tra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식
Original Assignee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7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 없이 트랙터에 연결하여 짐을 실어 나르는 트레일러와 상기 트랙터의 사이에 제설기를 장착하여 겨울철 도로를 제설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제설차는 일반적인 트럭에 브러시 스위퍼가 일체화된 활주로 제설차의 용도로만 제한됨으로써 겨울철이 지나면 트럭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트레일러의 적재베드 전방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제설기 견인프레임을 트랙터의 헤드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에는 견인용 제설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Description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Traction type snow remover for trailer}
본 발명은 동력 없이 트랙터에 연결하여 짐을 실어 나르는 트레일러와 상기 트랙터의 사이에 제설기를 장착하여 겨울철 도로를 제설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trailer, 연결차)는 트럭 또는 트랙터의 뒷부분에 견인되는 차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는 그 상부에 다양한 짐, 화물 등과 같은 다양한 적재물을 싣고,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면서, 원하는 장소에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트레일러는 연결방식에 따라 풀(full) 트레일러와 세미(semi) 트레일러로 크게 구분한다. 풀 트레일러의 경우 트레일러는 단독으로 화물의 중량를 지탱한다. 따라서 트랙터는 단순히 트레일러를 견인할 뿐이며, 이 형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브레이크가 없기 때문에 경량하물(輕量荷物)을 운반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세미 트레일러는 트레일러와 적하중량(積荷重量)의 일부가 트랙터에 직접 작용하며, 따라서 트랙터는 지지력과 견인력을 가져야 하므로 뒷바퀴는 보통 더블로 하고 연결기를 설치하여 트레일러와의 상대운동, 연결, 분리를 수월하게 한다.
또한, 트레일러는 운송물의 용도에 따라 평판(Flat Bed)트레일러, 중량물 운송용 로보이(Low Bed), 덤프 트레일러, 곡물운송용 트레일러(Hopper), 유류 및 액체 운송용 트레일러, 가스 운송용 진공 트레일러, 냉동물 운송용 트레일러, 초대형 중량물 운송용 트랜스포터등 지형과 운송물 내용, 도로여건에 따라 여러 장비가 존재한다.
이러한 트레일러는 그 상부에 다양한 짐, 화물 등과 같은 다양한 적재물을 싣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한편, 겨울철 도로나 공항의 활주로를 제설하는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346141호, 명칭/ 제설성능을 향상시킨 활주로 제설차 브러시 스위퍼」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활주로 및 유도로, 계류장을 고속주행하면서 제설하는 활주로 제설차에 장착된 회전브러시가 마모되더라도 자동으로 하강하면서 항상 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일반적인 트럭에 브러시 스위퍼가 일체화된 활주로 제설차의 용도로 제한됨으로써 겨울철이 지나면 트럭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에 반해 트레일러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트랙터를 차고지 등에 별도 보관하는데 통상 여러 대의 트랙터를 운용하는 경우 특히 겨울철에는 운행하지 않는 트랙터가 많아 이 트랙터를 이용하여 제설을 한다면 제설장비의 구입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트랙터의 활용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트레일러의 적재베드 전방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제설기 견인프레임을 트랙터의 헤드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에는 견인용 제설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설기 견인프레임은 견인식 제설기가 장착된 센터프레임의 전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프론트프레임 및 리어 프레임을 각각 분리하여 제설기 견인프레임의 길이를 줄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상기 견인식 제설기는 로테이션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수평 상으로 회전하면서 트랙터의 진행방향과 직선상으로 일치시켜 트랙터의 일반주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겨울철 운휴 중인 트랙터를 이용하여 제설작업을 시행함으로써 별도의 트럭 일체형 제설기를 구입함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함은 물론 트랙터의 활용도를 더욱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사이에 연결된 제설기 견인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을 때 각각 분리 해체함으로써 길이를 대폭 줄여 취급 및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테이션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수평 상으로 회전하는 견인식 제설기를 트랙터의 진행방향과 직교상으로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한꺼번에 넓은 폭의 도로를 제설함은 물론 일반주행시에는 제설기를 트랙터와 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회전시켜 트랙터의 일반주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다른 주행차량과의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견인식 제설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견인식 제설기가 일반 주행시 트랙터와 일직선상으로 회전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설기 견인프레임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견인식 제설기의 장착상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견인식 제설기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견인식 제설기의 회전상태 평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트랙터(10), 한 쌍의 제설기 견인프레임(30), 견인식 제설기(4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트랙터(10)는 운전석(11)의 후방에 헤드부(12)가 설치되고, 헤드부(12)의 상단에는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은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일측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블럭(32c)의 하단에 킹핀(32b)이 형성됨으로 이 킹핀(32b)을 헤드부(12)의 상단에 연결 설치할 수 있고,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의 타측은 트레일러(20)의 적재베드(21) 전방 상단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트레일러(20)는 적재베드(21)의 상단에 엔진, 터보블로워 등이 수납된 다용도 탑(22)이 탑재되고, 후방 하측에는 잔설을 측방으로 불어내어 제거하는 제설 송풍장치(2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의 중앙에는 견인식 제설기(40)가 장착됨으로써 트랙터(10)의 운행에 따라 트레일러(20) 및 견인식 제설기(40)가 후방에서 견인 운행되며, 킹핀(32b)에 의하여 트레일러(20)가 트랙터(10)를 따라서 선회하면서 운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은 제설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트랙터(10)와 분리하여 보관할 때 전체적인 길이를 줄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은 견인식 제설기(40)가 장착된 센터 프레임(31)의 전방에 형성된 연결플랜지(31a)에 프론트 프레임(32)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플랜지(32a)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론트 프레임(32)의 전방 선단에는 킹핀(32b)이 형성된 고정블럭(32c)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 프레임(31)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플랜지(31a)에는 리어 프레임(33)의 전방에 형성된 연결플랜지(33a)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리어 프레임(33)의 후방은 적재베드(21)의 전방 상단에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트랙터(10)와 트레일러(20)의 사이에 연결된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를 각각 분리 해체함으로써 길이를 대폭 줄여 취급 및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의 중앙에 설치되어 회전브러시(48)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노면을 제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식 제설기(40)는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의 중앙 양측에 제설기 장착대(41)가 부착되고, 상기 제설기 장착대(41)의 하측에는 사각체의 턴테이블 베이스(42)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42)는 사각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의 바닥판(42a) 중앙을 관통하여 내부 회전링(43)이 외부로 노출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42)의 중앙 바닥판(42a)에는 외부 고정링(44)이 안착 설치되고, 상기 외부 고정링(44)의 내측에 다수의 회전볼(45)을 매개로 내부 회전링(43)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회전링(43)의 상단에는 저면 중앙에 지지홀더(46a)가 부착된 턴테이블(46)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지지홀더(46a)에는 브러시 장착대(47)의 중앙 상단에 부착된 연결브라켓(47a)이 결합핀(47b)으로 관통하여 일체화 연결되며, 상기 브러시 장착대(47)의 하측에 회전브러시(4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42)의 저면과 상기 브러시 장착대(47)의 전면에는 실린더 브라켓(49a)이 부착되고, 상기 실린더 브라켓(49)에는 로테이션 실린더(49)의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로테이션 실린더(49)의 선형운동에 따라 턴테이블(46)과 연결된 브러시 장착대(47)가 수평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 장착대(47) 및 회전브러시(48)는 도 2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트랙터(10)의 진행방향과 직교상으로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한꺼번에 넓은 폭의 도로를 제설함은 물론 일반 주행시에는 도 4와 같이 트랙터(10)와 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회전시켜 트랙터(10)의 양측으로 돌출됨을 방지하여 일반주행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다른 주행차량과의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견인식 제설기(40)는 일반 주행시에는 승강시켜 주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작업시에 한해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설기 장착대(41)는 양 측면에 한 쌍의 승하강 프레임(50)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50)의 하단부는 턴테이블 베이스(42)의 양측에 연결판(51)을 매개로 일체화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50)의 중앙 외면과 제설기 장착대(41)의 상측에 각각 부착된 실린더 브라켓(52a)에는 한 쌍의 제설기 승하강실린더(52)의 양측이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설기 승하강실린더(52)의 선형운동에 따라 견인식 제설기(40)는 승하강 하면서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 프레임(50)의 중앙 외면에는 가이드 링크(53)의 상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가이드 링크(53)의 하측은 턴테이블 베이스(42)의 외면에 부착된 가이드 브라켓(54)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승하강 프레임(50)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10: 트랙터 12: 헤드부
20: 트레일러 21: 적재베드
30: 제설기 견인프레임 31: 센터 프레임
32: 프론트 프레임 32b: 킹핀
32c: 고정블럭 33: 리어 프레임
40: 견인식 제설기 41: 제설기 장착대
42: 턴테이블 베이스 42a: 바닥판
43: 내부 회전링 44: 외부 고정링
45: 회전볼 46: 턴테이블
47: 브러시 장착대 48: 회전브러시
49: 로테이션 실린더 50: 승하강프레임
51: 연결판 52: 제설기 승하강실린더
53: 가이드 링크 54: 가이드 브라켓

Claims (5)

  1. 운전석(11)의 후방에 헤드부(12)가 설치된 트랙터(10)와;
    상기 헤드부(12)의 상단에 연결되는 킹핀(32b)이 형성된 고정블럭(32c)이 일측 선단에 형성되고, 타측은 트레일러(20)의 적재베드(21) 전방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호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제설기 견인프레임(30)과;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의 중앙에 장착된 견인식 제설기(4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설기 견인프레임(30)은 견인식 제설기(40)가 장착된 센터 프레임(31)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프론트 프레임(32)의 선단에 고정블럭(32c)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 프레임(31)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프레임(33)은 적재베드(21)의 전방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견인식 제설기(40)는 양 측면에 부착된 제설기 장착대(41)의 하측에 턴테이블 베이스(42)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42)의 중앙에 외부 고정링(44)이 안착 설치되며, 상기 외부 고정링(44)의 내측에 다수의 회전볼(45)을 매개로 내부 회전링(43)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내부 회전링(43)의 상단에 결합된 턴테이블(46)의 저면에 부착된 지지홀더(46a)에는 회전브러시(4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시 장착대(47)의 중앙 상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42)의 저면 및 브러시 장착대(47)에 로테이션 실린더(49)의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내부 회전링(43)의 상단에는 저면 중앙에 지지홀더(46a)가 부착된 턴테이블(46)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지지홀더(46a)에는 브러시 장착대(47)의 중앙 상단에 부착된 연결브라켓(47a)이 결합핀(47b)으로 관통하여 일체화 연결되며, 상기 브러시 장착대(47)의 하측에 회전브러시(4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설기 장착대(41)는 양 측면에 한 쌍의 승하강 프레임(50)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50)의 하단부는 턴테이블 베이스(42)의 양측에 연결판(51)을 매개로 일체화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50)의 외면 및 제설기 장착대(41)의 상측에는 견인식 제설기(4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제설기 승하강실린더(52)의 양측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승하강 프레임(50)의 중앙 외면에 상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가이드 링크(53)의 하측은 턴테이블 베이스(42)의 외면에 부착된 가이드 브라켓(54)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43181A 2017-10-31 2017-10-31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87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181A KR101872766B1 (ko) 2017-10-31 2017-10-31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181A KR101872766B1 (ko) 2017-10-31 2017-10-31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766B1 true KR101872766B1 (ko) 2018-06-29

Family

ID=6278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1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2766B1 (ko) 2017-10-31 2017-10-31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70B1 (ko) * 2019-10-25 2020-01-21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목적 도로관리차용 견인식 제설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2654U (zh) * 2010-05-14 2011-01-26 王广华 联合清雪车
KR101299457B1 (ko) * 2013-03-19 2013-08-29 이텍산업 주식회사 활주로 제설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2654U (zh) * 2010-05-14 2011-01-26 王广华 联合清雪车
KR101299457B1 (ko) * 2013-03-19 2013-08-29 이텍산업 주식회사 활주로 제설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70B1 (ko) * 2019-10-25 2020-01-21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목적 도로관리차용 견인식 제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5303A (en) Vehicle transporting apparatus
US7134829B2 (en) Cargo trailer
US8061277B2 (en) Road and rail vehicle with pivotable axle and associated methods
US6659491B2 (en) Trailer system
US8262118B2 (en) Vehicle power unit and body unit system
AU673179B2 (en) Convertible railway-roadway vehicle and method of use
CA2328938A1 (en) Transportable lift truck with telescopic lifting arm
US4943202A (en) Tilting mobile platform
SE520032C2 (sv) Fordon för körning på såväl väg som järnvägsspår
US3677425A (en) Land and water craft trailer unit
CN104417634A (zh) 纯电动牵引车及适用于场内运输的车辆
US4650205A (en) Highway train
RU96108936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контейнера и т.п. на погрузочную платформу и снятия их с нее
US2146567A (en) Trailer transport vehicle
CN101327902B (zh) 公铁两用牵引叉车及其驱动方法
KR101872766B1 (ko)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CA2421419C (en) Slide assembly
US9315141B1 (en) Load support carrier and methods of use
US96828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modal container handling
KR102068670B1 (ko) 다목적 도로관리차용 견인식 제설기
CN201109358Y (zh) 公铁两用牵引叉车
KR102152966B1 (ko) 트레일러 연결 장치
US9987965B2 (en) Safety device for towing trailer
CN1321832C (zh) 可载荷转移的轻型山地运输车
KR880000083Y1 (ko) 농기계 운반용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