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457B1 - 활주로 제설차 - Google Patents

활주로 제설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457B1
KR101299457B1 KR1020130028992A KR20130028992A KR101299457B1 KR 101299457 B1 KR101299457 B1 KR 101299457B1 KR 1020130028992 A KR1020130028992 A KR 1020130028992A KR 20130028992 A KR20130028992 A KR 20130028992A KR 101299457 B1 KR101299457 B1 KR 101299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now
runway
center
snowp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식
Original Assignee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09Loosening or dislodging by blowing ; Drying by means of gas streams
    • E01H1/0818Loosening or dislodging by blowing ; Drying by means of gas streams in apparatus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feeding instruments, e.g. brushes, 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01H5/09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tary or moving along a closed circular path, e.g. rotary cutter, digging wheels
    • E01H5/092Brush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설(大雪)시 항공기가 이착륙할 때 원활한 기동력 및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활주로 및 유도로, 계류장을 고속주행하면서 1회 작업으로 신속하게 제설하는 활주로 제설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 장착된 제설기를 이용하여 활주로의 적설 및 압설을 측방으로 밀어내면서 1차적으로 제설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중앙에 설치된 브러시 스위퍼를 이용하여 잔설을 측방으로 쓸어내면서 2차적으로 제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제설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미량의 잔설마저도 불어내면서 완전하게 3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겨울철의 대설에도 활주로를 신속하게 열어주어 항공기의 이착륙에 필요한 기동성 및 제동력, 안전성을 확보하여 항공기의 운항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활주로 제설차{Snowplow car for runway}
본 발명은 대설(大雪)시 항공기가 이착륙할 때 원활한 기동력 및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활주로 및 유도로, 계류장을 고속주행하면서 1회 작업으로 신속하게 제설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에 공항 활주로에 눈이 쌓이면 비행기 운항에 큰 지장을 주므로 공항 활주로에 쌓인 눈은 신속하게 제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공항 활주로는 일반도로나 고속도로에 비해 그 폭이 매우 넓기 때문에 활주로에 쌓인 눈을 활주로 옆으로 치우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공항 활주로를 제설하는 방법은 전방에 제설기가 장착된 제설차량을 이용하여 활주로의 눈을 활주로상의 일정위치에 모은 후 그 모여진 눈을 트럭에 옮겨 실어 활주로 밖의 소정위치에 버리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항 활주로의 제설방법은 제설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항공기 운항에 큰 차질을 빚게 되고, 활주로 위에 달라붙은 눈까지 깨끗하게 제설하지 못하여 제설작업 이후에도 항공기 운항에 지장이 있게 된다.
또한, 활주로의 표면에 염화칼슘을 뿌려 눈을 녹이는 경우는 눈이 신속하게 녹지 않아 차량통행이 원만하지 못하고 이 경우에도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경우 녹은 눈이 얼어 도로가 빙판으로 되고, 상기 활주로 위에 모래를 뿌리는 것은 활주로와 비행 바퀴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긴 하지만 비행기의 활주 속도가 빠르고 활주로 상에 눈이 그대로 쌓여 있기 때문에 항공기 운항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특허출원 제10-2001-0074488호, 명칭/ 공항 활주로용 제설차량」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공항 활주로 위에 쌓인 눈을 채집하여 녹인 후 물탱크에 저장하고, 활주로 위에 달라붙은 나머지 눈을 온수를 분사하여 녹이고, 녹은 물과 분사된 물을 흡입하여 물탱크에 저장하며, 이어서 활주로를 건조함으로써 공항 활주로를 눈이 쌓이기 전의 상태로 신속하고도 완전하게 복원시켜 비행기 운항을 원활하게 하고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더라도 활주로가 빙판이 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활주로에 쌓은 대량의 눈을 채집하여 녹인 후 이를 물탱크에 저장하고, 상기 물탱크 내의 온수를 분사하여 녹은 눈과 물을 재차 흡입한 후 활주로를 건조한다는 일련의 과정은 사실상 어려운 실정으로 이를 제품화할 수 없는 미완성의 발명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활주로용 제설차량이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는 신개념의 원스톱 활주로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에 장착된 제설기를 이용하여 활주로의 적설 및 압설을 측방으로 밀어내면서 1차적으로 제설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중앙에 설치된 브러시 스위퍼를 이용하여 잔설을 측방으로 쓸어내면서 2차적으로 제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제설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미량의 잔설마저도 불어내면서 완전하게 3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전방에 제설기를 장착하고, 상기 차량의 중앙 하측에는 브러시 스위퍼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브러시 스위퍼는 로테이션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수평 상으로 회전하면서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차량의 후방에는 센터 덕트의 내부로 유입된 바람을 어느 한쪽의 사이드 덕트로 유도한 후 터닝시켜 개방된 다른 한쪽의 사이드 덕트를 통해 분출하면서 활주로의 잔설을 측방으로 불어내는 제설 송풍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을 주행하면서 제설기를 이용하여 밀어내기 방식으로 1차 제설한 활주로의 잔설을 연속적으로 브러시 스위퍼를 이용하여 쓸어내기 방식으로 2차 제설한 후 제설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미량의 잔설과 물기를 불어내기 방식으로 신속하고 완벽하게 3차 제설함으로써 겨울철의 대설에도 활주로를 신속하게 열어주어 항공기의 이착륙에 필요한 기동성 및 제동력, 안전성을 확보하여 항공기의 운항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활주로 제설차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활주로 제설차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활주로 제설차에 의한 활주로의 제설 작업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제설기의 설치상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브러시 스위퍼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브러시 스위퍼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외부고정링, 내부회전링, 볼 및 턴테이블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턴테이블 및 브러시 장착대의 조립상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설 송풍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설 송풍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설 송풍장치의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제설 송풍장치의 사용상태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차량(1)의 전방에 장착된 제설기(100), 상기 차량(1)의 중앙에 설치된 브러시 스위퍼(200), 상기 차량(1)의 후방에 장착된 제설 송풍장치(300)의 구성요소로 대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1)의 전방 범퍼(2)에 제설기(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설기(100)는 활주로 및 유도로의 적설 및 압설을 차량(1)의 측면 쪽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1차 제거하는 장비로써 작업중 노면의 돌출부와 충돌시 제설판(101)이 회전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차량(1)의 운전석에서 조이스틱이 구비된 메인 컨트롤장치를 이용하여 제설판(101)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동작함으로써 작업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량(1)의 중앙에는 제설기(100)의 1차 제설작업에서 남아있는 잔설을 대형 회전브러시(273)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2차 제거하여 항공기의 이착륙에 필요한 기동성 및 제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시 스위퍼(2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브러시 스위퍼(200)의 기술구성은 도 5와 같이 차량(1)의 메인프레임(3) 중앙 양측에 스위퍼 지지대(210)가 부착되고, 상기 스위퍼 지지대(210)의 하측에는 사각체의 턴테이블 베이스(22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220)는 사각틀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의 바닥판(221) 중앙에는 내부회전링(250)이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221a)이 형성된다.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220)의 중앙 바닥판(221)에는 외부고정링(230)이 안착 설치되고, 상기 외부고정링(230)의 내측에 다수의 회전볼(240)을 매개로 내부회전링(250)이 회전가능하게 끼움 설치된다.
즉 상기 외부고정링(230)의 내주면 및 내부회전링(250)의 외주면에는 도 7과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볼 요홈(231)(251)이 상호 마주하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볼 요홈(231)(251)에는 다수의 회전볼(240)이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볼(240)을 매개로 내부회전링(25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회전링(250)의 상단에는 저면 중앙에 지지홀더(261)가 부착된 턴테이블(260)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지지홀더(261)에는 브러시 장착대(270)의 중앙 상단에 부착된 연결브라켓(271)이 결합핀(272)으로 관통하여 일체화 연결되며, 상기 브러시 장착대(270)의 하측에 대형 회전브러시(27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장착대(270)의 후면에는 회전브러시(273)의 상측을 감싸는 비산방지커버(274)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220)의 저면과 상기 브러시 장착대(270)의 전면에는 도 5와 같이 실린더 브라켓(281)이 부착되고, 상기 실린더 브라켓(281)에는 로테이션 실린더(280)의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로테이션 실린더(280)의 선형운동에 따라 턴테이블(260)과 연결된 브러시 장착대(270)가 수평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 장착대(270) 및 회전브러시(273)는 도 6과 같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회전브러시(273)의 회전작동시 잔설을 측방으로 쓸어내는 방식으로 원활하게 2차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브러시 스위퍼(200)는 차량(1)의 일반 주행시에는 승강시켜 주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작업시에 한해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퍼 지지대(210)는 양 측면에 한 쌍의 승하강 프레임(291)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291)의 하단부는 턴테이블 베이스(220)의 양측에 일체화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291)의 중앙 외면과 스위퍼 지지대(210)의 상측에 각각 부착된 실린더 브라켓(292)에는 한 쌍의 스위퍼 승하강실린더(290)의 양측이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위퍼 승하강실린더(290)의 선형운동에 따라 회전브러시(273)는 승하강하면서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1)의 후방 하측에는 제설기(100)와 브러시 스위퍼(200)에 의해 제거되고 남은 미량의 잔설은 물론 물기를 함께 날려 보내는 제설 송풍장치(30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설 송풍장치(300)는 센터 덕트(320)의 내부로 유입된 터보 블로워(5)의 바람을 밀폐된 어느 한쪽의 사이드 덕트(350)로 유도한 후 상기 사이드 덕트(350)를 통과하면서 반대방향으로 터닝시켜 개방된 다른 한쪽의 사이드 덕트(350a) 쪽으로 분출함으로써 활주로의 잔설, 물기 및 이물질을 좌우 어느 한쪽으로 날려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제설 송풍장치(300)은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310), 센터 덕트(320), 풍향 조절판(330), 풍향 조절실린더(340), 한 쌍의 사이드 덕트(350)(350a), 덕트 스윙실린더(360)의 구성요소로 대분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10)은 메인프레임(3)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310)의 사이에는 센터 덕트(320)가 일체화 연결 설치된다.
상기 센터 덕트(320)는 "┻"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 상부에 덕트 연결부(3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덕트 연결부(321)에는 차량(1)에 탑재된 터보 블로워(5)와 일체화 연결되는 메인 덕트(315)가 삽입 설치되어 많은 량의 바람이 센터 덕트(320)의 내부로 유입되며, 양측 선단 및 하부는 개방 형성되되 내부에는 수평상으로 유로 분리벽(322)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로 분리벽(322)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제1 상부유로(323) 및 제1 하부유로(324)가 구획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덕트(320)의 중앙에는 전후면을 관통하여 풍향 조절축(331)이 설치되고, 상기 풍향 조절축(331)의 상부에는 좌우 어느 한쪽으로 선회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상부유로(323)의 좌우 어느 한쪽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풍향 조절판(330)이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풍향 조절축(331)의 일측 선단에는 선회링크(332)가 부착되고, 이 선회링크(332) 및 상기 센터 덕트(320)의 전면에는 풍향 조절실린더(340)의 양측이 각각 회전 자유롭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풍향 조절축(331)의 하측에는 상기 제1 상부유로(323)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 양측으로 각각 구분하는 산형의 차단벽(335)이 유로 분리벽(32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풍향 조절실린더(340)의 선택적인 선형운동에 따라 선회링크(332) 및 풍향 조절판(330)이 상기 제1 상부유로(323)의 좌우 어느 한쪽을 막아주어 외부로 분출되는 풍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터 덕트(32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사이드 덕트(350)(350a)가 연결 설치되되, 상기 센터 덕트(320)의 상부면 및 사이드 덕트(350)(350a)의 상부면에 부착된 힌지브라켓(356)은 상호 힌지축(357)으로 관통 결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덕트(350)(350a)는 힌지축(357)을 기점으로 상하 선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덕트(350)(350a)는 일측 선단 및 하부가 개방되되 내부에는 수평상으로 유로 분리벽(352)이 밀폐된 타측 선단의 내면(351)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로 분리벽(352)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제2 상부유로(353) 및 제2 하부유로(354)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덕트(350)(350a)에 설치된 유로 분리벽(352) 및 타측 선단의 내면(351) 사이에는 제2 상부유로(353)를 통과하는 바람을 하측의 제2 하부유로(354)로 터닝 유도시키는 터닝 유로(35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 덕트(320)의 양측 상부면에 부착된 실린더 브라켓(361)과 상기 사이드 덕트(350)(350a)의 상부면에 부착된 실린더 브라켓(361)에는 덕트 스윙실린더(360)의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덕트 스윙실린더(360)의 작동에 따라 도 12와 같이 어느 한쪽의 사이드 덕트(350a)를 상부로 스윙 작동하여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마운팅 브라켓(310)의 외면과 메인 덕트(315)의 양측 상부면에 부착된 실린더 브라켓(361)에는 상기 메인 덕트(315)의 상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덕트 승하강실린더(370)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덕트 승하강실린더(370)의 선형운동에 따라 메인 덕트(315) 및 사이드 덕트(350)(350a)를 동시에 승하강 작동하면서 상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설 송풍장치(300)는 활주로를 주행하면서 우측으로 잔설을 날려보낼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풍향 조절판(330)을 도면상 우측으로 선회 작동하여 제1 상부유로(323)의 우측을 막아주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덕트(350)(350a) 가운데 우측 사이드 덕트(350a)를 상부로 스윙 작동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 덕트(315)로 유입된 바람은 센터 덕트(320)의 제1 상부유로(323)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고, 순차적으로 사이드 덕트(350)의 제2 상부유로(353), 터닝 유로(355)를 경유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제2 하부유로(354) 및 제1 하부유로(324)로 통과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대기중으로 분출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활주로에 쌓인 잔설마저도 빠짐없이 외부로 불어내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활주로 제설차(C)를 이용한 원스톱 제설작업은 도 4와 같이 한꺼번에 다수 대의 활주로 제설차(C)가 사선 상으로 편대를 이룬 상태로 활주로를 주행함으로써 한꺼번에 넓은 영역의 활주로를 신속하게 제설함은 물론 제설기(100)에 의한 1차 제설작업, 브러시 스위퍼(200)에 의한 2차 제설작업 및 제설 송풍장치(300)에 의한 3차 제설작업을 연속하여 원스톱으로 시행함으로써 작업 성능이 매우 뛰어나며, 겨울철의 대설에도 활주로를 신속하게 열어주어 항공기의 이착륙에 필요한 기동성 및 제동력, 안전성을 확보하여 항공기의 운항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함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C: 활주로 제설차 1: 차량
3: 메인프레임 5: 터보 블로워
100: 제설기 101: 제설판
200: 브러시 스위퍼 210: 스위퍼 지지대
220: 턴테이블 베이스 221: 바닥판
230: 외부고정링 240: 회전볼
250: 내부고정링 260: 턴테이블
270: 브러시 장착대 273: 회전브러시
280: 로테이션 실린더 291: 승하강 프레임
290: 스위퍼 승하강실린더 300: 제설 송풍장치
310: 마운팅 브라켓 315: 메인 덕트
320: 센터 덕트 321: 덕트 연결부
322, 352: 유로 분리벽 323: 제1 상부유로
324: 제1 하부유로 330: 풍향 조절판
335: 차단벽 340: 풍향 조절실린더
350, 350a: 사이드 덕트 353: 제2 상부유로
354: 제2 하부유로 355: 터닝 유로
357: 힌지축 360: 덕트 스윙실린더
370: 덕트 승하강실린더

Claims (6)

  1. 차량(1)의 전방 범퍼(2)에 장착된 제설기(100)와;
    상기 차량(1)의 메인프레임(3) 중앙 양측에 부착된 스위퍼 지지대(210)의 하측에 턴테이블 베이스(22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220)의 중앙에 외부고정링(230)이 안착 설치되며, 상기 외부고정링(230)의 내측에 다수의 회전볼(240)을 매개로 내부회전링(250)이 회전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내부회전링(250)의 상단에 결합된 턴테이블(260)의 저면에 부착된 지지홀더(261)에는 회전브러시(27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시 장착대(270)의 중앙 상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220)의 저면 및 브러시 장착대(270)에 로테이션 실린더(280)의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 설치된 구성을 갖는 브러시 스위퍼(200)와;
    상기 차량(1)의 후방 하측에 장착되고, 센터 덕트(320)의 내부로 유입된 터보 블로워(5)의 바람을 밀폐된 어느 한쪽의 사이드 덕트(350)로 유도한 후 상기 사이드 덕트(350)를 통과하면서 반대방향으로 터닝시켜 개방된 다른 한쪽의 사이드 덕트(350a) 쪽으로 분출하면서 활주로의 잔설을 측방으로 불어내어 제거하는 제설 송풍장치(30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설 송풍장치(300)는, 메인프레임(3)의 후방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마운팅 브라켓(310)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31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중앙 상부에 돌출 형성된 덕트 연결부(321)에는 터보 블로워(5)와 연결된 메인 덕트(315)가 삽입 설치되며, 양측 선단 및 하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된 유로 분리벽(322)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제1 상부유로(323) 및 제2 하부유로(354)가 형성된 센터 덕트(320)와;
    상기 센터 덕트(320)의 중앙 전후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풍향 조절축(331)에 일체로 부착되고, 좌우로 선회하면서 상기 제1 상부유로(323)의 어느 한쪽을 막아주는 풍향 조절판(330)과;
    상기 풍향 조절축(331)의 하측에 상기 제1 상부유로(323)를 좌우 양측으로 각각 구분하도록 유로 분리벽(32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벽(335)과;
    상기 풍향 조절축(331)의 일측에 연결된 선회링크(332) 및 상기 센터 덕트(320)의 전면에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 설치된 풍향 조절실린더(340)와;
    상기 센터 덕트(320)의 양단에 힌지축(357)을 매개로 상하 선회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일측 선단 및 하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수평상으로 유로 분리벽(352)이 밀폐된 타측 선단 내면(351)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유로 분리벽(352)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상기 제1 상부유로(323) 및 제2 하부유로(354)와 연통하는 제2 상부유로(353) 및 제2 하부유로(354)가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덕트(350)(350a)와;
    상기 센터 덕트(320)의 상부면 및 사이드 덕트(350)(350a)의 상부면에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 설치된 덕트 스윙실린더(3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제설차.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고정링(230)의 내주면 및 상기 내부회전링(250)의 외주면에는 각각 볼 요홈(231)(251)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고, 상기 볼 요홈(231)(251)에 다수의 회전볼(240)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제설차.
  3. 제 1항에 있어서,
    스위퍼 지지대(210)는 양 측면에 한 쌍의 승하강 프레임(291)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프레임(291)의 하단부는 턴테이블 베이스(220)의 양측에 일체화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291)의 외면 및 스위퍼 지지대(210)의 상측에는 상기 브러시 스위퍼(2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스위퍼 승하강실린더(290)의 양측이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제설차.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사이드 덕트(350)(350a)의 유로 분리벽(352) 및 타측 선단의 내면(351) 사이에는 제2 상부유로(353)에서 제2 하부유로(354)로 바람을 터닝시키는 터닝 유로(3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제설차.
  6. 제 1항에 있어서,
    마운팅 브라켓(310)의 외면 및 메인 덕트(315)의 상부면에는 상기 메인 덕트(315)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덕트 승하강실린더(370)의 양측이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로 제설차.
KR1020130028992A 2013-03-19 2013-03-19 활주로 제설차 KR101299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92A KR101299457B1 (ko) 2013-03-19 2013-03-19 활주로 제설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92A KR101299457B1 (ko) 2013-03-19 2013-03-19 활주로 제설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457B1 true KR101299457B1 (ko) 2013-08-29

Family

ID=4922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992A KR101299457B1 (ko) 2013-03-19 2013-03-19 활주로 제설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4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41B1 (ko) 2013-10-07 2013-12-31 이텍산업 주식회사 제설성능을 향상시킨 활주로 제설차 브러시 스위퍼
KR101872766B1 (ko) * 2017-10-31 2018-06-29 이텍산업 주식회사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CN108755555A (zh) * 2018-08-20 2018-11-06 中国重汽集团柳州运力科迪亚克机械有限责任公司 除雪车滚刷连接装置
KR20190061145A (ko)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노면 제설용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3631B2 (ja) * 1996-05-31 1999-07-26 株式会社協和機械製作所 スノーブラシ装置
JP2002275845A (ja) 2001-03-12 2002-09-25 Kato Works Co Ltd 清掃作業車
US6748678B2 (en) * 2002-06-12 2004-06-15 Schmidt Engineering And Equipment, Inc. Snow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JP2008290550A (ja) 2007-05-24 2008-12-04 Mk Seiko Co Ltd 洗車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3631B2 (ja) * 1996-05-31 1999-07-26 株式会社協和機械製作所 スノーブラシ装置
JP2002275845A (ja) 2001-03-12 2002-09-25 Kato Works Co Ltd 清掃作業車
US6748678B2 (en) * 2002-06-12 2004-06-15 Schmidt Engineering And Equipment, Inc. Snow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JP2008290550A (ja) 2007-05-24 2008-12-04 Mk Seiko Co Ltd 洗車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41B1 (ko) 2013-10-07 2013-12-31 이텍산업 주식회사 제설성능을 향상시킨 활주로 제설차 브러시 스위퍼
KR101872766B1 (ko) * 2017-10-31 2018-06-29 이텍산업 주식회사 트레일러용 견인식 제설기
KR20190061145A (ko)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노면 제설용 차량
CN108755555A (zh) * 2018-08-20 2018-11-06 中国重汽集团柳州运力科迪亚克机械有限责任公司 除雪车滚刷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457B1 (ko) 활주로 제설차
US4827637A (en) Apparatus for clearing a surface of snow and dirt
KR100732112B1 (ko) 차선 세척장치 및 차선과 경계석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
CN105539484A (zh) 列车转向架区域防积雪装置
JP2014507579A (ja) 霧除去システム
CN205223963U (zh) 一种轨道除雪用推雪铲
CN105568918A (zh) 一种可自动避让的吸尘车吸盘结构
US20180312142A1 (en) Pneumatic footplate cleaning
CN103088782B (zh) 设置在汽车中的除冰装置
CN104612098B (zh) 一种喷射式撒盐除雪车
KR101048322B1 (ko) 측구 분진 흡입 청소장치
US20170056938A1 (en) Device for clearing an area around elevated objects
CN101069486B (zh) 路面清扫车
CN203063845U (zh) 设置在汽车中的除冰装置
CN109515469A (zh) 喷气式扫石排障装置
CN104118696B (zh) 一种融雪剂抛洒装置
CN208183633U (zh) 一种铲雪车
CN114150603B (zh) 一种道路防溅护栏
CN213805166U (zh) 一种机场跑道除冰雪装置
CN202705979U (zh) 一种机场、高速公路除雪车
KR101346141B1 (ko) 제설성능을 향상시킨 활주로 제설차 브러시 스위퍼
CN108978377B (zh) 防落雪快速除雨高速坡面
US2034391A (en) Street or road marker
JP4243555B2 (ja) 除雪車
RU2465393C1 (ru) Отвал для уборки снег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