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402B1 - 무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무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402B1
KR101872402B1 KR1020170184642A KR20170184642A KR101872402B1 KR 101872402 B1 KR101872402 B1 KR 101872402B1 KR 1020170184642 A KR1020170184642 A KR 1020170184642A KR 20170184642 A KR20170184642 A KR 20170184642A KR 101872402 B1 KR101872402 B1 KR 10187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and
arming
command signal
initi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목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9/00Systems for controlling missiles or projecti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장치는,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로부터 무장의 발사 여부를 각각 명령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무장 관리부; 상기 출력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송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이용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무장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장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EAPON}
본 발명은 무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장은 표적 또는 목표에 도달하여 파괴하는 무기를 말한다. 무장 관리 컴퓨터(SMC;Store Management Computer)는 무장의 탑재체, 예를 들어 무장 비행체의 비행 방향, 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정밀한 표적의 타격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무장 관리 컴퓨터는 무장으로부터 무장 상태 신호를 파악하여 무장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또한, 무장 인터페이스 유닛(Weapon Interface Unit, 이하 WIU)은 RIU(Remote Interface Unit)라고도 불리며 무장 관리 컴퓨터와 연동하여 전투기 또는 전투 헬기 등의 무장 비행체에 장착된 무장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장 인터페이스 유닛은 MIL-STD-1760 signals, Non MIL-STDE-1760 signals과 같은 다양한 무장 상태 신호를 무장과 주고 받으며, Digital Multiplex Data Network, Critical/Discrete Signal Network, Wideband Signal network 등의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하여 무장 관리 컴퓨터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전투기 또는 전투 헬기와 같이 무장 비행체에 장착되는 무장의 개수가 증대되고 복잡해짐에 따라서 무장 관리 컴퓨터 및 무장 인터페이스 유닛의 구성 또한 복잡해져 이의 고장 발생 확률 또한 증대하고 있다.
무장 관리 컴퓨터 및 무장 인터페이스 유닛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무장 관리 컴퓨터로부터 생성되어 무장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하여 무장에 전달되는 무장 발사 명령 신호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잘못된 무장 발사 명령 신호가 무장에 전달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전투 상황의 발생 및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무장 발사 명령 신호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750236 B1
본 발명은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무장 발사를 명령하는 제어 신호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장치는,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로부터 무장의 발사 여부를 각각 명령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무장 관리부; 상기 출력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송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이용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무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는 이산(discrete)된 디지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 관리부는, 상기 무장 관리 데이터로부터 각각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 관리부는, 상기 무장 관리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에 각각 전송하는 통신 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에서 선택된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로 출력하는 유효성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 제어부는, 상기 유효 제어 명령 신호와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비교하여 에러 유무를 감지하고, 에러 유무에 따라 최종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에러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방법은,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로부터 각각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에서 유효 제어 명령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와 상기 유효 제어 명령 신호를 비교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 제어 명령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선택된 개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상기 유효 제어 명령 신호와 다른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선택된 개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최종 제어 명령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제어 방법에 의하면, 무장 관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로부터 유효한 제어 명령 신호를 선택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로 출력함으로써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제어 명령 신호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와 유효한 제어 명령 신호를 비교하여 무장 관리부 또는 인터페이스부의 에러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사전 대응이 가능하게 되며, 일부 회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최소 임무의 수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 제어 명령 신호가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제어 명령 신호가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무장 제어 장치는 무장 관리부로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무장의 발사 여부를 제어한다. 그러나, 무장 관리부 및 무장 관리부로부터의 신호 전달 경로인 인터페이스부(200)는 장착되는 무장의 개수가 증대됨에 따라 복잡한 구성을 가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높은 고장 확률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무장 관리부 및 인터페이스부(20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무장 관리부로부터 생성되어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하여 무장에 전달되는 제어 명령 신호는 발사 명령을 미발사 명령으로 출력하거나, 미발사 명령을 발사 명령으로 출력하는 등 잘못된 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잘못된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 명령 신호가 무장에 전달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전투 상황의 발생 및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무장의 발사 명령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특정 시간 동안 제어 명령 신호가 동일하게 유지되면 유효한 제어 명령 신호로 간주하는 시간적 처리 또는 출력된 제어 명령 신호를 필터링(filtering) 또는 채터링(chattering)하여 무장의 발사 명령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려는 처리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처리 기법의 경우에는 제어 명령 신호를 특정 시간 동안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가 있어, 전투 상황에서 명령에 대한 즉각적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없고, 실시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회로의 오동작으로부터 발생하는 오류 신호에는 대응할 수 없으며, 모니터링 또는 필터링 또는 채터링을 위한 데이터 처리 기능의 추가로 인해 장치의 복잡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관리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부(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장치는,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무장의 발사 여부를 각각 명령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무장 관리부(100); 상기 출력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200); 및 상기 전송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이용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하는 무장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무장은 비행체 등에 탑재되어 표적을 파괴할 수 있는 무기를 말한다. 즉, 무장이라 함은 목표물인 표적을 파괴하거나 살상할 수 있는 무기로서, 유도 미사일(guided missile)과 같이 로켓, 제트엔진 등으로 추진되어 표적에 닿으면 폭발하여 표적을 파괴하거나, M60과 같이 항공 탄알로서 표적을 살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무기를 의미한다. 무장에는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무장의 상태를 포함하는 무장 데이터를 외부 또는 무장 관리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장 관리부(100)는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무장의 발사 여부를 각각 명령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무장 관리부(100)는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하여 무장의 탑재 상태, 무장의 발사 준비 상태, 사용자의 명령 등을 포함하는 무장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장의 발사 명령 또는 무장의 미발사 명령을 포함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무장 관리 컴퓨터(SMC;Store Management Computer)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무장 관리 컴퓨터(SMC)를 무장 관리부(100)라고 부르기로 한다.
무장 관리부(100)는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복수 개로 출력한다. 여기서, 초기 제어 명령 신호는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신호 또는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신호가 이산(discrete)된 디지털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초기 제어 명령 신호는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물리적으로 다른 복수 개로 출력된다.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는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는 하나의 무장 관리 모듈 내에서 분기되어 출력될 수도 있으나, 무장 관리부(100)가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하나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장 관리 모듈(110), 제2 무장 관리 모듈(120) 및 제3 무장 관리 모듈(130)을 포함하여 무장 관리 모듈을 복수 개로 구비하고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각 무장 관리 모듈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즉, 각 무장 관리 모듈은 하나의 무장 관리 모듈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다른 무장 관리 모듈 모두 즉시 상태가 갱신되는 미러(mirror) 방식에 의하여 동일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장 관리 모듈을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경우 일 무장 관리 모듈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다른 무장 관리 모듈에 의하여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출력될 수 있어, 무장 발사 여부 명령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은 각각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무장 관리 데이터(D)는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로 각각 직접 수신될 수도 있으나, 무장 관리 데이터(D)가 일 무장 관리 모듈로 직접 수신되고, 일 무장 관리 모듈에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다른 무장 관리 모듈에 각각 전달하여 각 무장 관리 모듈이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이 각각 직접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경우, 장치가 복잡해지며 이로 인한 고장 발생의 확률도 증가하기 때문에 일 무장 관리 모듈에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다른 무장 관리 모듈에 각각 전달하여 각 무장 관리 모듈이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 무장 관리 모듈에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다른 무장 관리 모듈에 각각 전달하여 각 무장 관리 모듈이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는 경우, 각 무장 관리 모듈로 수신되는 무장 관리 데이터(D)는 동기화될 필요가 있다. 즉,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은 각각 미러 방식에 의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에 각각 동기화된 무장 관리 데이터(D)가 수신되어야 동일한 처리에 의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장 관리부(100)는 수신되는 무장 관리 데이터(D)를 동기화하여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에 각각 전송하기 위한 통신 버스(140)(BU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장 관리 데이터(D)를 동기화하여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에 각각 전송하기 위하여는 공지된 다양한 고속의 통신 버스(140)를 사용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출력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세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00)는 제1 초기 제어 명령 신호(I1), 제2 초기 제어 명령 신호(I2) 및 제3 초기 제어 명령 신호(I3)(I3)를 각각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파이버 채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파이버 채널은 파이버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채널로서, I/O 채널의 단순성, 주변 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망의 유연성과 상호 연결성의 장점을 가진다. 파이버 채널의 파이버 재질은 트위스트 구리선(twisted pair copper wire), 광섬유 케이블(fiber-optic cabl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파이버 채널은 기가비트 속도(gigabit speed)의 전송이 가능한 고속 인터페이스로서, 링크당 2개의 광채널에 의한 전이중 링크(양방향성), 단일 링크 상에서 100~800Mbps 성능(초고속), 10km거리까지 지원(장거리), 커넥터 소형화(I/O채널 단순성), 기존의 다중분기 채널보다 더 높은 연결성, 기존 채널 및 망 프로토콜에 관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명령어 제공 등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에 대한 주변의 환경 노이즈(주변의 전자기)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고, 전송 속도 및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장 제어부(300)는,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하여 전송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이용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무장 제어부(300)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에서 선택된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출력하는 유효성 검증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 검증부(310)로부터 출력된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전송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비교하여 에러 유무를 감지하고, 에러 유무에 따라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하는 에러 감지부(3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효성 검증부(310)에 의하여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구성 및 에러 감지부(320)로부터 에러 유무에 따라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하는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효 제어 명령 신호(R)가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제어 명령 신호(F)가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세 개로 출력되는 일 예를 도시하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는 두 개 또는 세 개를 초과하는 복수 개로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효성 검증부(310)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즉 제1 초기 제어 명령 신호(I1), 제2 초기 제어 명령 신호(I2) 및 제3 초기 제어 명령 신호(I3) 중에서 선택된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출력한다.
먼저, 무장 관리부(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또는 무장 관리부(10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무장 관리부(100)는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무장의 발사가 명령되면, 제1 초기 제어 명령 신호(I1), 제2 초기 제어 명령 신호(I2) 및 제3 초기 제어 명령 신호(I3)로 무장의 발사 명령을 출력한다. 또한, 무장 관리부(100)는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무장의 미발사가 명령되면, 제1 초기 제어 명령 신호(I1), 제2 초기 제어 명령 신호(I2) 및 제3 초기 제어 명령 신호(I3)로 무장의 미발사 명령을 출력한다. 이 경우, 유효성 검증부(310)는 각각 무장의 발사 명령 또는 무장의 미발사 명령을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출력하게 된다.
반면, 무장 관리부(100) 또는 인터페이스부(200)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제1 초기 제어 명령 신호(I1), 제2 초기 제어 명령 신호(I2) 및 제3 초기 제어 명령 신호(I3)는 서로 다른 무장의 발사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성 검증부(310)는 서로 다른 무장의 발사 명령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선택된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출력하게 된다. 이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선택된 개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선택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검증부(310)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과반수를 이루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와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동일한 개수로 포함되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하여 무장 관리부(100)는 홀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FALSE"로 나타내고,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TRUE"로 나타내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성 검증부(310)는 세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TRUE"가 두 개 이상 포함되는 경우,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선택하여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유효성 검증부(310)는 세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TRUE"가 전혀 포함되지 않거나, 하나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TRUE"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FALSE"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반면, 유효성 검증부(310)는 세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TRUE"가 두 개로 포함되거나, 세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TRUE"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TRUE"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성 검증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는 그 자체를 무장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부(300)는 에러 감지부(320)를 더 포함하여 무장 관리부(100) 또는 인터페이스부(200)의 에러(error) 유무를 더 확인하고, 에러 유무에 따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부터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에러 감지부(320)는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비교하여 에러 유무를 감지하여 에러 신호(E)를 출력하고, 감지된 에러 유무에 따라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에러 신호(E) 중 에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를 "FALSE"로 나타내고, 에러가 감지되는 경우를 "TRUE"로 나타내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 감지부(320)는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비교하여 에러 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에러 신호(E)를 출력한다. 여기서, 에러 유무의 감지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다른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선택된 개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에러가 존재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다른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하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에러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할 때,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FALSE"가 출력되고, 제1 초기 제어 명령 신호(I1), 제2 초기 제어 명령 신호(I2) 및 제3 초기 제어 명령 신호(I3)가 각각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FALSE"인 경우 에러 감지부(320)는 에러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에러 신호(E)로서 "FALSE"를 출력한다. 또한,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TRUE"가 출력되고, 제1 초기 제어 명령 신호(I1), 제2 초기 제어 명령 신호(I2) 및 제3 초기 제어 명령 신호(I3)가 각각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TRUE"인 경우에도 에러 감지부(320)는 에러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에러 신호(E)로서 "FALSE"를 출력한다.
반면,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다른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하나라도 포함되는 경우 에러 감지부(320)는 에러가 감지되는 것으로 하여 에러 신호(E)로서 "TRUE"를 출력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장 관리부(100)가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각 무장 관리 모듈로부터 제1 초기 제어 명령 신호(I1), 제2 초기 제어 명령 신호(I2) 및 제3 초기 제어 명령 신호(I3)가 출력되는 경우, 각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다른 명령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200) 또는 무장 관리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에러 감지부(320)는 에러 신호(E)로서 에러가 감지되지 않는 "FALSE"가 출력되는 경우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로 출력한다. 또한, 에러 감지부(320)는 에러 신호(E)로서 에러가 감지되는 "TRUE"가 출력되는 경우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에 관계 없이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로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FALSE"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장 제어부(300)는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로부터 유효 제어 명령 신호(R) 및 에러 신호(E)를 확인하고, 확인된 유효 제어 명령 신호(R) 및 에러 신호(E)로부터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함으로써 무장의 발사 명령 또는 무장의 미발사 명령을 포함하는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신뢰성 있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방법은,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는 과정(S100); 상기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각각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200);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에서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선택하는 과정(S300); 및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와 상기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비교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하는 과정(S400);을 포함한다.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는 과정(S100)은,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한다. 무장 관리 데이터(D)는 무장의 발사 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무장의 탑재 상태, 무장의 발사 준비 상태, 사용자의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200)은 무장 관리부(100)로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각각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는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는 하나의 무장 관리 모듈 내에서 분기되어 출력될 수도 있으나, 무장 관리부(100)가 무장 관리 데이터(D)로부터 하나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무장 관리 모듈을 복수 개로 구비하여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각 무장 관리 모듈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지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은 각각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수신하고, 각 무장 관리 모듈은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D)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각각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선택하는 과정(S300)은 무장 제어부(300)에 의하여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에서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선택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에서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선택하는 것은 유효성 검증부(310)에 의하여 수행되며,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선택하는 과정(S300)은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선택된 개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선택된 개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무장의 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로 선택하는 과정은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선택하는 과정(S400)은 무장 제어부(300)에 의하여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와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선택하는 과정(S300)에서 선택된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비교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와 유효 제어 명령 신호(R)를 비교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하는 것은 에러 감지부(320)에 의하여 수행되며,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선택하는 과정(S400)은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다른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선택된 개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무장의 미발사를 명령하는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로 출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 유효 제어 명령 신호(R)와 다른 초기 제어 명령 신호가 선택된 개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에러가 감지되는 것으로 하여 에러 신호(E)를 출력하고, 확인된 에러 유무에 따라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를 출력하는 과정은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장 제어 방법에 의하면, 무장 관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로부터 유효한 제어 명령 신호를 선택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F)로 출력함으로써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제어 명령 신호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와 유효한 제어 명령 신호를 비교하여 무장 관리부(100) 또는 인터페이스부(200)의 에러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사전 대응이 가능하게 되며, 일부 회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무장의 발사 여부를 명령하는 최소 임무의 수행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무장 관리부 110: 제1 무장 관리 모듈
120: 제2 무장 관리 모듈 130: 제3 무장 관리 모듈
140: 통신 버스 200: 인터페이스부
300: 무장 제어부 310: 유효성 검증부
320: 에러 감지부

Claims (9)

  1. 무장의 발사를 제어하기 위한 무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장 관리 데이터로부터 무장의 발사 여부를 각각 명령하는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무장 관리부;
    상기 출력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송된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이용하여 최종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무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장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 중에서 선택된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유효 제어 명령 신호로 출력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 제어 명령 신호와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비교하여 에러 유무를 감지하고, 에러 유무에 따라 최종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에러 감지부;를 포함하는 무장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초기 제어 명령 신호는 이산(discrete)된 디지털 신호를 포함하는 무장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장 관리부는,
    상기 무장 관리 데이터로부터 각각 초기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무장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장 관리부는,
    상기 무장 관리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복수 개의 무장 관리 모듈에 각각 전송하는 통신 버스;를 더 포함하는 무장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84642A 2017-12-29 2017-12-29 무장 제어 장치 KR101872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42A KR101872402B1 (ko) 2017-12-29 2017-12-29 무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642A KR101872402B1 (ko) 2017-12-29 2017-12-29 무장 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49A Division KR101863308B1 (ko) 2018-03-19 2018-03-19 무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402B1 true KR101872402B1 (ko) 2018-06-28

Family

ID=6278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642A KR101872402B1 (ko) 2017-12-29 2017-12-29 무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4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609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무장 제어 장치
KR20150062608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무장 관리 장치
KR101736349B1 (ko) * 2016-03-09 2017-05-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리던던시 구현을 위한 중앙 집중식 구조의 항공기 스토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36346B1 (ko) * 2016-03-09 2017-05-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리던던시 구현을 위한 중앙 집중식 구조의 항공기 스토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50236B1 (ko) 2015-12-22 2017-06-2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609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무장 제어 장치
KR20150062608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무장 관리 장치
KR101750236B1 (ko) 2015-12-22 2017-06-2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KR101736349B1 (ko) * 2016-03-09 2017-05-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리던던시 구현을 위한 중앙 집중식 구조의 항공기 스토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36346B1 (ko) * 2016-03-09 2017-05-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리던던시 구현을 위한 중앙 집중식 구조의 항공기 스토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9, No.3, pp.632-637, 20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7712A1 (en) Small uavs with radar receivers to be used as bistatic radar launched from tactical fighter jets
US20210063114A1 (en) Aircraft armament system control electronics
EP2723641B1 (en) Apparatus for use on unmanned vehicles
KR20150050169A (ko) 어뢰기만기 발사계통 통제장치
KR102035632B1 (ko) 스토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872402B1 (ko) 무장 제어 장치
KR101863308B1 (ko) 무장 제어 방법
NO302317B1 (no) Utskyter-styresystem for overflate-utskutte aktive radarmissiler
CN109855488B (zh) 一种moems引信安全系统
JP5697734B1 (ja) 移動体搭載電子機器制御装置
US7654186B1 (en) Fuze module
CN110440642B (zh) 一种靶弹测发控系统
RU2689008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пуска управляемых ракет и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комплекса ракетного вооружения
KR101560299B1 (ko) 무장 제어 장치
KR101560296B1 (ko) 무장 관리 장치
CN107870628B (zh) 一种无人直升机地面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269235B1 (ko) 공대공 미사일 유도 장치
US7493045B2 (en) Real time fiber optic matrix switch interconnection
SE21000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detection of a pyrotechnical countermeasure
KR102618178B1 (ko) 다수의 기폭 모듈을 제어 및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68864A (ko) 편대 항공기 간 데이터 공유 기능을 갖는 탑재 훈련 장비
RU2790352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уска авиационных ракет
RU2467925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ружием и пассивными помехами
KR101314654B1 (ko) 공대공 미사일 유도 방법
JP2018091758A (ja) 電子戦装置及びマルチセンサ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