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236B1 -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236B1
KR101750236B1 KR1020150183874A KR20150183874A KR101750236B1 KR 101750236 B1 KR101750236 B1 KR 101750236B1 KR 1020150183874 A KR1020150183874 A KR 1020150183874A KR 20150183874 A KR20150183874 A KR 20150183874A KR 101750236 B1 KR101750236 B1 KR 10175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ing
signal
armed
stations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60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무장스테이션에 실제로 장착물을 장착하지 않고도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는 항공기의 n(n은 자연수)개의 무장스테이션에 연결되는 n개의 커넥터, 상기 n개의 커넥터가 연결되는 무장신호 처리부,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n개의 무장스테이션이 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n개의 무장상태신호가 저장되고, 상기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무장상태신호를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 및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무장상태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무장스테이션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를 표시하는 무장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므로, 무장관리시스템 전문인력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간편하고 신속하게 무장형상 항공기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STORES MANAGEMENT SYSTEM OF AIRCRAFT ON GROUND}
본 발명은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의 무장스테이션에 장착될 장착물의 정상 제어 가능성 여부를 점검하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장형상 항공기의 무장관리시스템은 동체 및 날개에 장착되는 무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투하 또는 발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장관리시스템은 대략 무장제어장치와 무장 장착대, 임무컴퓨터, 전방시현기, 조종간 등으로 구성되며 무장 특성에 따라 투하 또는 발사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무장형상 항공기를 운영함에 있어서,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무장스테이션에 실제 장착물을 장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계측기기와 함께 항공기를 점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할 때마다 상당한 인력과 시간, 자원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41019호 (2014. 12. 10.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장스테이션에 실제로 장착물을 장착하지 않고도 지상에서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는 항공기의 n(n은 자연수)개의 무장스테이션에 연결되는 n개의 커넥터, 상기 n개의 커넥터가 연결되는 무장신호 처리부,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n개의 무장스테이션이 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n개의 무장상태신호가 저장되고, 상기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무장상태신호를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 및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무장상태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무장스테이션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를 표시하는 무장신호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는 상기 n개의 커넥터와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장착되는 장착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상기 장착물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무장상태신호에 부여하는 무장식별번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제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반목적 폭탄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상기 일반목적 폭탄을 지지하는 후크(Hook)의 개폐를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신호 및 상기 일반목적 폭탄의 퓨즈 활성화 장치의 동작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제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훈련목적 폭탄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상기 훈련목적 폭탄을 투하하기 위한 폭탄투하장치를 감시 및 보고하는 오토셀렉터(Autoselector)의 동작 신호, 상기 훈련목적 폭탄의 투하모드에 따른 상기 폭탄 투하 신호, 상기 오토셀렉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오토셀렉터 상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제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로켓발사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로켓의 발사모드에 따른 상기 로켓 발사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제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총(機銃)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기총의 사격모드에 따른 상기 기총 발사 신호 및 상기 기총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총 상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상기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료탱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량에 따른 레벨스위치의 작동 신호 및 상기 레벨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펌프의 작동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는 무장관리시스템 전문인력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간편하고 신속하게 무장형상 항공기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무장을 사용하지 않기에 안전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는 무장관리시스템 점검에 필요한 점검용 무장, 전문인력, 점검시간, 무장운반차량, 무장제어신호 측정을 위한 계측기기 등과 같은 지상지원 자원을 절감하여 항공기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품질검사 절차를 확보하여 나아가 항공기 가격 경쟁력과 유지보수성을 확보하여 항공기 운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불만사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항공기의 무장스테이션과 운영 가능한 무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이하, '점검장치'라 함.)(100)는 사용자가 지상, 또는 항공기의 조종석에서 간편하게 조작하고, 점검사항들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점검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함체(10)를 포함하며, 함체(10)의 외부에는 다수의 스위치(30)와 다수의 램프(50)가 상부면에 노출될 수 있다. 다수의 스위치(30)는 사용자가 소정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램프(50)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어 사용자가 점검사항들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함체(10) 내부에는 소정의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가 내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항공기에는 n(n은 자연수)개의 무장스테이션(1, 2, 3, ..., n)이 마련될 수 있다. 무장스테이션(1, 2, 3, ..., n)의 개수는 항공기의 모델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점검장치(100)는 함체(10)의 측면에 노출되는 n개의 커넥터(71, 72, 73, ,..., 7n)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71, 72, 73, ,..., 7n)는 무장스테이션(1, 2, 3, ..., n)과 무장신호 처리부(110)를 연결하여 케이블을 통해 무장스테이션(1, 2, 3, ..., n)과 무장신호 처리부(110)가 신호들을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점검장치(100)는 무장신호 처리부(110),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 무장신호 표시부(150),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커넥터(70),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 무장신호 표시부(150),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사용자가 스위치(30)를 조작함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 커넥터(71, 72, 73, ,..., 7n)를 통해 무장스테이션(1, 2, 3, ..., n)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 무장신호 표시부(150)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에는 n개의 무장스테이션(1, 2, 3, ..., n)이 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무장상태신호는 무장스테이션(1, 2, 3, ..., n)에 장착물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장착물이 장착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점검장치(100)의 스위치(30)를 조작하여 n개의 무장스테이션(1, 2, 3, ..., 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에 저장된 무장상태신호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무장스테이션(1, 2, 3, ..., n)에 대응되는 무장상태신호를 호출하여 무장스테이션(1, 2, 3, ..., n)으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무장스테이션(1, 2, 3, ..., n)으로 무장상태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무장스테이션(1, 2, 3, ..., n)에서는 무장상태신호에 반응하는 무장신호가 무장신호 처리부(110)로 피드백될 수 있다. 무장신호 표시부(150)는 무장스테이션(1, 2, 3, ..., n)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를 다수의 램프(50)의 점등, 또는 소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무장스테이션(1, 2, 3, ..., n)에는 항공기의 사용목적, 운용상태 등에 따라 다른 장착물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무장스테이션(1, 2, 3, ..., n)에 장착된 장착물의 식별이 필요하다.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는 무장스테이션(1, 2, 3, ..., n)에 장착된 장착물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는 n개의 커넥터(71, 72, 73, ,..., 7n)와 무장신호 처리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에는 무장스테이션(1, 2, 3, ..., n)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물의 종류에 따른 식별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점검장치(100)의 스위치(30)를 조작하여 n개의 무장스테이션(1, 2, 3, ..., 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무장스테이션(1, 2, 3, ..., n)의 하위분류 중에서 장착물의 종류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에 저장된 식별번호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장착물에 대응되는 무장상태신호를 호출하여 무장스테이션(1, 2, 3, ..., n)으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무장스테이션(1, 2, 3, ..., n)으로 장착물의 식별번호가 포함된 무장상태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무장스테이션(1, 2, 3, ..., n)에서는 무장상태신호에 반응하는 무장신호가 무장신호 처리부(110)로 피드백될 수 있다. 무장신호 표시부(150)는 무장스테이션(1, 2, 3, ..., n)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를 다수의 램프(50)의 점등, 또는 소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휴대가 가능한 점검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돕기 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의 작용에 대해 5개의 무장스테이션이 마련된 항공기의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항공기의 무장스테이션과 운영 가능한 무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항공기에는 제 1무장스테이션(1), 제 2무장스테이션(2), 제 3무장스테이션(3), 제 4무장스테이션(4) 및 제 5무장스테이션(5)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무장스테이션(1), 제 5무장스테이션(5)에는 일반목적 폭탄(31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3무장스테이션(3)에는 훈련목적 폭탄(33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1무장스테이션(1), 제 2무장스테이션(2), 제 4무장스테이션(4) 및 제 5무장스테이션(5)에는 로켓발사장치(350), 기총(37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무장스테이션(2) 및 제 4무장스테이션(4)에는 연료탱크(39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점검장치는 제 1, 2, 3, 4, 5무장스테이션(1, 2, 3, 4, 5)에 실제로 장착물을 장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장스테이션(1, 2, 3, 4, 5)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무장스테이션(1, 2, 3, 4, 5)에 장착물이 장착된 것과 같은 무장상태신호를 발생하고, 제 1, 2, 3, 4, 5무장스테이션(1, 2, 3, 4, 5)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를 표시한다.
일반목적 폭탄의 무장제어시스템 점검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에 장착된 일반목적 폭탄(310)에 대한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의 일반목적 폭탄(310)에 해당되는 스위치(30)를 온(ON)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을 선택함에 따라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에 장착물이 장착된 것과 같은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의 무장상태신호를 호출한다.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으로 전송되는데,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는 일반목적 폭탄(31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를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의 무장상태신호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 일반목적 폭탄(31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으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으로 무장상태신호가 각각 전송됨에 따라,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되면 사용자는 항공기의 조종석에 마련된 조정간을 조작하고, 다기능시현기와 점검장치(100)를 통해 일반목적 폭탄(310)과 관련된 사항들을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에는 일반목적 폭탄(310)의 전, 후를 지지하는 한쌍의 후크가 각각 설치되며, 한쌍의 후크를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반목적 폭탄(310)에는 전방, 중간, 후방에 퓨즈가 설치되고,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에는 각 퓨즈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아밍 유닛(arming unit)와 같은 퓨즈 활성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5무장스테이션(1, 5)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신호와, 퓨즈 활성화 장치의 동작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신호와, 퓨즈 활성화 장치의 동작 신호가 포함된 무장신호는 무장신호 처리부를 통해 무장신호 표시부로 전송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상 동작되면 해당 램프가 점등되고 후크 잠김 상태 및 무장 고유식별번호 인식에 사용되는 스위치가 자동 오프(OFF)되지만, 반대로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상 동작되지 않으면 해당 램프는 점등되지 않고 후크 잠김 상태 및 무장 고유식별번호 인식에 사용되는 스위치가 자동 오프(OFF)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램프와 스위치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퓨즈 활성화 장치가 정상 동작되면 해당 램프가 점등되지만, 반대로 퓨즈 활성화 장치가 정상 동작되지 않으면 해당 램프는 점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램프의 점등 유무를 확인하며 퓨즈 활성화 장치의 동작을 점검할 수 있다.
훈련목적 폭탄의 무장제어시스템 점검
제 3무장스테이션(3)에 장착된 훈련목적 폭탄(330)에 대한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 3무장스테이션(3)의 훈련목적 폭탄(330)에 해당되는 스위치(30)를 온(ON)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 3무장스테이션(3)을 선택함에 따라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제 3무장스테이션(3)에 장착물이 장착된 것과 같은 제 3무장스테이션(3)의 무장상태신호를 호출한다.
제 3무장스테이션(3)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3무장스테이션(3)으로 전송되는데,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는 훈련목적 폭탄(33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를 제 3무장스테이션(3)의 무장상태신호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 훈련목적 폭탄(33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제 3무장스테이션(3)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3무장스테이션(3)으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제 3무장스테이션(3)으로 무장상태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제 3무장스테이션(3)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무장스테이션(3)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되면 사용자는 항공기의 조종석에 마련된 조정간을 조작하고, 다기능시현기와 점검장치(100)를 통해 훈련목적 폭탄(330)과 관련된 사항들을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무장스테이션(3)에는 4발의 훈련목적 폭탄(330)이 장착될 수 있다. 4발의 훈련목적 폭탄(330)의 장착 및 투하를 위해 제 3무장스테이션(3)에는 4발의 훈련목적 폭탄을 운반하고 분리하기 위해 후크(hook)와 프리로드(preload)로 구성되는 폭탄투하장치(CRM;comming release module)와, 폭탄투하장치를 제어하는 오토 셀렉터(Autoselector)가 설치된다.
또한, 4발의 훈련목적 폭탄(330)은 싱글 투하모드, 페어 투하모드, 쿼드 투하모드로 투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무장스테이션(3)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에는 오토 셀렉터의 동작 신호와, 폭탄 투하 신호 및 오토셀렉터 상태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토셀렉터의 동작 신호, 폭탄 투하 신호 및 오토셀렉터 상태 신호가 포함된 무장신호는 무장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무장신호 표시부(150)로 전송된다. 이때, 오토 셀렉터가 정상 동작되면 투하 신호를 표시하는 램프가 점등되고 해당 폭탄투하장치(CRM)의 후크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스위치가 자동 오프(OFF)되지만, 반대로 오토 셀렉터가 정상 동작되지 않으면 투하 신호를 표시하는 램프가 점등되지 않고 해당 폭탄투하장치(CRM)의 후크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스위치가 자동 오프(OFF)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램프와 스위치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여 오토 셀렉터의 동작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폭탄 투하모드가 정상 동작되면 해당 램프가 점등되지만, 반대로 폭탄 투하모드가 정상 동작되지 않으면 해당 램프는 점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램프의 점등 유무를 확인하며 폭탄 폭탄 투하모드의 동작을 점검할 수 있다.
로켓발사장치의 무장제어시스템 점검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에 장착된 로켓발사장치(350)에 대한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로켓발사장치(350)에 해당되는 스위치(30)를 온(ON)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을 선택함에 따라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에 장착물이 장착된 것과 같은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무장상태신호를 호출한다.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 전송되는데,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는 로켓발사장치(35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를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무장상태신호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 로켓발사장치(35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 무장상태신호가 각각 전송됨에 따라,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되면 사용자는 항공기의 조종석에 마련된 조정간을 조작하고, 다기능시현기와 점검장치(100)를 통해 로켓발사장치(350)과 관련된 사항들을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 3, 4무장스테이션(1, 2, 3, 4, 5)에 각각 로켓발사장치(350)가 장착되므로, 항공기에는 총 4개의 로켓발사장치(350)가 장착되며, 각각의 로켓발사장치(350)는 총 7발의 로켓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로켓의 발사모드는 단일 로켓발사장치(350) 내부의 각각의 로켓을 1발씩 발사할 수 있는 제 1싱글(single) 발사모드, 단일 로켓발사장치(350) 내부의 모든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리플(ripple) 발사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로켓의 발사모드는 4개의 로켓발사장치(350)의 로켓을 순차적으로 발사하는 제 2싱글 발사모드, 4개의 로켓발사장치(350)의 로켓을 모두 발사하는 살보(salvo) 발사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에는 제 1싱글 발사모드, 리플 발사모드, 제 2싱글 발사모드, 살보 투하모드에 따른 로켓 발사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켓 발사 신호가 포함된 무장신호는 무장신호 처리부를 통해 무장신호 표시부로 전송된다. 이때, 각각의 로켓 발사모드가 정상 동작되면 해당 램프가 점등되지만, 반대로 각각의 로켓 발사모드가 정상 동작되지 않으면 해당 램프는 점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램프의 점등 유무를 확인하며 로켓의 발사모드를 점검할 수 있다.
기총의 무장제어시스템 점검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에 장착된 기총(370)에 대한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기총(370)에 해당되는 스위치(30)를 온(ON)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을 선택함에 따라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에 장착물이 장착된 것과 같은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무장상태신호를 호출한다.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 전송되는데,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는 기총(37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를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무장상태신호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 기총(37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 무장상태신호가 각각 전송됨에 따라,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되면 사용자는 항공기의 조종석에 마련된 조정간을 조작하고, 다기능시현기와 점검장치(100)를 통해 기총(370)과 관련된 사항들을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 3, 4무장스테이션(1, 2, 3, 4, 5)에 각각 기총(370)이 장착되므로, 항공기에는 총 4개의 기총(370)가 장착될 수 있다. 기총의 사격모드는 단발 사격모드, 점사 사격모드, 연발 사격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 4, 5무장스테이션(1, 2, 4, 5)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에는 기총 발사 신호 및 기총 상태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총 발사 신호 및 기총 상태 신호가 포함된 무장신호는 무장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무장신호 표시부(150)로 전송된다. 이때, 각각의 기총 사격모드가 정상 동작되면 해당 램프가 점등되고 다기능시현기에 표시되는 탄 수가 줄어들지만, 반대로 각각의 기총 사격모드가 정상 동작되지 않으면 해당 램프는 점등되지 않고 다기능시현기에 표시되는 탄 수가 줄어들지 않는다. 또한 기총 사격 중 발생할 수 있는 탄 걸림 현상에 대해 점검장치(100)에 설치된 IDB 온(ON/OFF) 스위치를 통해 점검할 수 있으며 IDB 스위치를 온(ON) 위치에 두면 기총 사격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만 IDB 스위치를 오프(OFF)에 두면 무장제어장치가 기총 사격 중 탄 걸림 상황으로 인식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노리쇠 전진(FWD)와 노리쇠 후진(BWD) 신호를 일정시간 출력하며 이를 점검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램프의 점등 유무와 해당 스위치 및 다기능시현기를 확인하며 기총의 사격모드를 점검할 수 있다.
연료탱크의 무장제어시스템 점검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에 장착된 연료탱크(390)에 대한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의 연료탱크(390)에 해당되는 스위치(30)를 온(ON)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을 선택함에 따라 무장신호 처리부(110)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에 장착물이 장착된 것과 같은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의 무장상태신호를 호출한다.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으로 전송되는데, 무장식별번호 생성부(170)는 연료탱크(39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를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의 무장상태신호에 부여한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390)에 해당되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의 무장상태신호는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으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으로 무장상태신호가 각각 전송됨에 따라,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으로부터 무장신호가 피드백되면 사용자는 항공기의 조종석에 마련된 조정간을 조작하고, 다기능시현기와 점검장치(100)를 통해 연료탱크(390)과 관련된 사항들을 점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에는 연료탱크(390) 내부의 연료량을 검출할 수 있는 레벨센서, 레벨센서에 의해 검출된 연료량에 따라 연료탱크(390) 내부의 연료를 공급하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에는 연료탱크(390) 내부의 연료가 기 설정된 하한치에 도달했을 때, 펌프로 공급되는 파워를 차단하는 레벨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4무장스테이션(2, 4)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에는 레벨스위치의 작동신호 및 펌프의 작동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점검장치(100)에 설치된 레벨스위치에 해당되는 스위치를 온(ON)에 위치시키면 다기능시현기에 위치한 연료상태 표시등이 점등되고, 다기능시현기를 통해 펌프 파워 온/오프(ON/FF) 스위치를 온(ON)으로 전환하면, 점검장치(100)에 위치한 펌프 파워에 해당되는 램프가 점등되는지 확인하여 연료탱크(390)가 정상동작하는지 점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는 무장스테이션에 장착물을 실제로 장착하지 않고도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는 무장관리시스템 전문인력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간편하고 신속하게 무장형상 항공기 무장제어시스템을 점검이 가능하며, 무장관리시스템 점검에 필요한 전문인력, 점검시간, 무장운반차량, 무장제어신호 측정을 위한 계측기기 등과 같은 지상지원 자원을 절감하여 항공기 생산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품질검사 절차를 확보하여 나아가 항공기 가격 경쟁력과 유지보수성을 확보하여 항공기 운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불만사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2, 3, 4, 5 : 무장스테이션
10 : 함체 30 : 스위치
50 : 램프 70 : 커넥터
100 :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110 : 무장신호 처리부 130 : 무장상태신호 생성부
150 : 무장신호 표시부 170 : 무장식별번호 생성부
190 : 전원부 310 : 일반목적 폭탄
330 : 훈련목적 폭탄 350 : 로켓발사장치
370 : 기총 390 : 연료탱크

Claims (7)

  1. 항공기의 n(n은 자연수)개의 무장스테이션에 연결되는 n개의 커넥터;
    상기 n개의 무장스테이션이 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n개의 무장상태신호가 저장되고, 상기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택 무장스테이션에 대한 선택 무장상태신호를 생성하는 무장상태신호 생성부;
    상기 n개의 커넥터와 상기 무장상태신호 생성부에 연결되며, 상기 선택 무장스테이션으로 상기 선택 무장상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선택 무장스테이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선택 무장스테이션으로부터 피드백되는 무장신호를 처리하는 무장신호 처리부; 및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 무장상태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선택 무장스테이션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무장신호를 표시하는 무장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커넥터와 상기 무장신호 처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장착되는 장착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번호가 저장되고, 상기 장착물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식별번호를 상기 무장상태신호에 부여하는 무장식별번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제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반목적 폭탄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상기 일반목적 폭탄을 지지하는 후크(Hook)의 개폐를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 신호;및
    상기 일반목적 폭탄의 퓨즈 활성화 장치의 동작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제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훈련목적 폭탄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무장스테이션에 상기 훈련목적 폭탄을 투하하기 위한 폭탄투하장치를 감시 및 보고하는 오토셀렉터(Autoselector)의 동작 신호;
    상기 훈련목적 폭탄의 투하모드에 따른 상기 폭탄 투하 신호; 및
    상기 오토셀렉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오토셀렉터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제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로켓발사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로켓의 발사모드에 따른 상기 로켓 발사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제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총(機銃)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기총의 사격모드에 따른 상기 기총 발사 신호;및
    상기 기총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총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장상태신호는 상기 n개의 무장스테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료탱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무장상태신호이며,
    상기 무장신호는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량에 따른 레벨스위치의 작동 신호;및
    상기 레벨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펌프의 작동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KR1020150183874A 2015-12-22 2015-12-22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KR10175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74A KR101750236B1 (ko) 2015-12-22 2015-12-22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74A KR101750236B1 (ko) 2015-12-22 2015-12-22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236B1 true KR101750236B1 (ko) 2017-06-27

Family

ID=5951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874A KR101750236B1 (ko) 2015-12-22 2015-12-22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402B1 (ko) 2017-12-29 2018-06-2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장 제어 장치
KR20220056553A (ko) 2020-10-28 2022-05-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장이 탑재된 회전익 항공기의 무장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5084A (ja) 2008-09-30 2010-04-15 General Electric Co <Ge> 装備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5084A (ja) 2008-09-30 2010-04-15 General Electric Co <Ge> 装備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402B1 (ko) 2017-12-29 2018-06-2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장 제어 장치
KR20220056553A (ko) 2020-10-28 2022-05-0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장이 탑재된 회전익 항공기의 무장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payload capacity, carriage efficiency, and adaptive flexibility of external stores mounted on an aerial vehicle
US7059569B1 (en) Method for aerial rearmament of aircraft
KR100914270B1 (ko)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US7614334B2 (en) Common services pod for dispensing countermeasure devices
JP5410442B2 (ja) 適応可能な発射システム
US11733014B2 (en) Munitions rack with structural element and insertable ejectors
KR101750236B1 (ko) 항공기의 무장제어시스템 지상 점검장치
US7866246B2 (en) Method for rapid countermeasure deployment using a pod
GB2114274A (en) Airborne missile launcher
KR101032124B1 (ko)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EP2641053B1 (en) A pyrotechnic countermeasure dispensing system
KR20110031915A (ko) 건 시뮬레이터
KR102085746B1 (ko) 항공기 무장 관리 장치
NO302317B1 (no) Utskyter-styresystem for overflate-utskutte aktive radarmissiler
CN110440642B (zh) 一种靶弹测发控系统
RU23979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щения подводной среды реактивным снарядом со взрывным источником звука (варианты)
KR101488106B1 (ko) 훈련용 유도탄 모의기
US20130205980A1 (en) Weapon System Methods for Firing and Detecting Ammunition Bodies
SE1350219A1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hothantering för ett markbaserat fordon
RU22991U1 (ru)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запуска с носителя ракет переносного зенитного ракетного комплекса типа &#34;игла&#34;
CN210479043U (zh) 一种用于无人机挂载机枪的枪栓驱动工具
KR20110082860A (ko) 탄 적재 시스템
KR101336497B1 (ko) 함포용 근접신관마비장치의 시험장비
RU2794523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гнем пусковой установки реактивной системы залпового огня
KR101261396B1 (ko)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