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396B1 -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 - Google Patents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396B1
KR101261396B1 KR1020110016909A KR20110016909A KR101261396B1 KR 101261396 B1 KR101261396 B1 KR 101261396B1 KR 1020110016909 A KR1020110016909 A KR 1020110016909A KR 20110016909 A KR20110016909 A KR 20110016909A KR 101261396 B1 KR101261396 B1 KR 10126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unit
simulation
charge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604A (ko
Inventor
임승찬
이강훈
조민영
김재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Priority to KR102011001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3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8/00Practice or training ammunition
    • F42B8/28Land or marine mines; Depth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42C11/001Electric circuits for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 F42C11/007Electric circuits for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for land m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모어 모의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크레모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을 장입하는 뇌관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외부격발기로부터 제공되는 격발신호에 따라 장입된 뇌관을 폭파시키는 뇌관폭파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모의발사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모의발사부; 상기 뇌관폭파부에 장입된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고,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외부 격발기로부터 격발 신호가 제공되면 제1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제1 모의발사부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시키는 발사제어부; 및 상기 제1 모의발사부, 제2 모의발사부 및 발사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뇌관의 장입여부를 확인한 후 모의발사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뇌관이 반드시 장입되어야만 발사가 되도록 제어하여 실제로 크레모어 장치가 폭파하면서 살상 효과를 내는 실전과 유사한 상황이 연출되어 훈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Claymore simulator and methods of detecting deton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한 후 뇌관 폭파와 동시에 모의 발사를 함으로써, 실전과 유사한 상황이 연출되어 훈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의 교전 시스템 중의 하나인 마일즈 시스템(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 MILES)은 실탄을 대신하여 레이저 광을 발사하고, 사람이 착용하거나 차량 등에 장착된 감지 장비가 이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의 피격여부를 결정짓는 레이저 응용 훈련체계이다. 전술한 마일즈 시스템은 레이저 발사기가 장착된 화기 모의 장치 및 레이저 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소자들이 장착된 감지 장비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마일즈 시스템은 수류탄, 지뢰, 크레모어 등과 같은 폭탄류의 동작을 모사하였으며, 이러한 폭탄류의 동작 모사에 따른 피해를 모사하기 위하여 레이저 광을 이용하거나, 근거리 RF 신호를 이용하거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632503호는 "훈련용 레이저 크레모어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크레모어 장비의 동작을 모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발사기 제어모듈은 유탄격발모드인지 무탄격발모드인지 판단한 후 유탄격발모드일 경우 뇌관폭파부로 뇌관폭파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뇌관이 폭파됨과 동시에 레이저광을 발사하게 되는데, 이는 뇌관 폭파 여부와 상관없이 레이저광을 발사하게 된다. 따라서, 모의 훈련에서 뇌관이 폭파하지 않더라도 레이저가 발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뇌관이 폭파하면서 크레모어의 살상 및 파괴 효과를 내는 실제 전쟁 상황과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훈련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한 후 뇌관 폭파와 동시에 모의발사를 함으로써, 실전과 유사한 상황이 연출되어 훈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크레모어 형상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을 장입하는 뇌관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외부격발기로부터 제공되는 격발신호에 따라 장입된 뇌관을 폭파시키는 뇌관폭파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모의발사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모의발사부; 상기 뇌관폭파부에 장입된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고,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외부 격발기로부터 격발 신호가 제공되면 제1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제1 모의발사부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시키는 발사제어부; 및 상기 제1 모의발사부, 제2 모의발사부 및 발사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보다 더 큰 저항값을 가지며, 일단은 뇌관 폭파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풀업저항;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사제어부는 상기 풀업저항과 뇌관폭파부의 접점에 대한 전압값을 제공받고, 제공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사제어부는 뇌관폭파부의 뇌관연결단자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레모어 모의 장치는 경고음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사제어부는 상기 뇌관폭파부에 장입된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고, 뇌관이 미장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면 경고음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경고음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경고음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크레모어 형상을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을 장입하는 뇌관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뇌관연결단자에 뇌관이 장입되면 뇌관연결정보를 전송하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면 장입된 뇌관을 폭파시키는 뇌관폭파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뇌관폭파부로부터 뇌관연결정보가 제공되면, 격발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격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격발신호 인식회로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모의발사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모의발사부;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로부터 격발정보가 제공되면, 제1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제1 모의발사부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시키는 발사제어부; 및 상기 제1 모의발사부, 제2 모의발사부, 격발신호 인식회로부 및 발사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의 발사부는 레이저광원, RF 통신모듈, LED 광원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각각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은, (a) 뇌관폭파부의 뇌관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뇌관폭파부에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수신되면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제1 및 제2 모의발사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레모어 모의 장치는 뇌관보다 더 큰 저항값을 가지며, 일단은 뇌관 폭파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부에 연결된 풀업 저항을 더 구비하고, 상기 (a) 단계는 풀업저항과 뇌관폭파부의 접점에 대한 전압값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뇌관폭파부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뇌관의 장입여부를 확인한 후 모의발사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뇌관이 반드시 장입되어야만 발사가 되도록 제어하여 실제로 크레모어 장치가 폭파하면서 살상 효과를 내는 실전과 유사한 상황이 연출되어 훈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뇌관의 미장입 또는 동작 이상을 알려주는 경고음 제어모듈을 더 구비함으로써, 뇌관이 미장입된 상태에서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었을 경우 경고음을 울려, 사용자로 하여금 뇌관의 미장입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 장치의 모의발사부의 배치 형태 및 전후 방향에 따른 정면 폭발 영역과 후폭풍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격발신호 인식회로부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발사제어부의 격발감지방법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 장치는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고, 뇌관이 장입되어야만 모의발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10)는 뇌관폭파부(100), 모의발사부(110), 발사제어부(120), 전원부(도시하지 않음) 및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크레모어 형상을 가지며,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고정되도록 배치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상기 뇌관폭파부(10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을 장입하는 뇌관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외부격발기로부터 제공되는 격발신호에 따라 장입된 뇌관을 폭파시킨다.
상기 모의 발사부(110)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크레모어의 전방으로의 폭발을 모사하기 위한 제1 모의발사부(112)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배치되어 후폭풍을 모사하기 위한 제2 모의발사부(1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모의 발사부(112, 114)는 레이저광원, RF 통신모듈, LED 광원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모의 발사부(112)는 상기 발사제어부(120)로부터 제1 구동신호를 입력받으면 정면 폭발 영역으로 크레모어 실화기와 유사한 살상 및 파괴범위를 나타내는 레이저광, RF신호, LED 광 중 어느 하나를 발사하고, 상기 제2 모의 발사부(114)는 상기 발사제어부(120)로부터 제2 구동신호를 입력받으면 후폭풍 영역으로 크레모어 실화기와 유사한 살상 및 파괴범위를 나타내는 레이저광, RF 신호, LED 광 중 어느 하나를 발사함으로써, 크레모어의 폭발을 모사하여 훈련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 장치의 모의발사부의 배치 형태 및 전후 방향에 따른 정면 폭발 영역과 후폭풍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모어에 의한 피해 영역은 크레모어의 배치 위치 및 전후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데, 크레모어의 배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서 지향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일정 각도 범위(즉, 피해 각도)의 부채꼴 형태의 지역이 피해 영역이 된다. 또한, 크레모어의 정면 폭발과 후폭풍은 그 피해 범위의 반경과 각도가 서로 상이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크레모어의 피해 범위의 각도는 정면은 약 60도 이내이고 후면은 120도의 범위이며, 피해 범위의 반경은 정면이 후면보다 넓은 반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모의발사부(112), 제2 모의발사부(114) 및 발사제어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 발사제어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발사제어부(120)는 상기 뇌관폭파부(100)에 장입된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고,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1 및 제2 모의 발사부(112, 114)를 구동시킨다. 상기 발사제어부(120)는 외부격발기로부터 직접 격발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크레모어 모의 장치(10)에 격발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격발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격발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모의 발사부(112, 114)를 구동시킨다. 상기 크레모어 모의장치(10)가 격발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 상기 격발감지부는 외부 격발기와 연결되어 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발사제어부(120)로 격발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사제어부(120)는 격발신호를 제공받게 되면, 제1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제1 모의발사부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시킨다.
한편, 상기 발사제어부(120)가 상기 뇌관폭파부(100)의 뇌관 장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중 하나는 뇌관폭파부의 뇌관연결단자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발사제어부(120)는 뇌관폭파부(100)의 뇌관연결단자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저항값이 사전에 설정된 뇌관저항값이면 뇌관이 장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저항값이 무한대이면 뇌관이 미장입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발사제어부(120)는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먼저 뇌관폭파부(100)의 뇌관연결단자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상기 저항값이 사전에 설정된 뇌관저항값인지 무한대인지에 따라 뇌관이 장입되었는지 뇌관이 미장입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10)는 뇌관이 미장입되었거나 동작의 이상을 경고하는 경고음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뇌관폭파부(100)에 뇌관이 미장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발사제어부(120)는 상기 경고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경고음 모듈이 경고음을 발생하여 뇌관이 미장입되었음을 외부로 알리게 된다.
한편, 상기 발사제어부(120)가 상기 뇌관폭파부(100)의 뇌관 장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10)에 풀업저항(15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풀업저항과 뇌관폭파부 사이의 전압값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풀업저항(150)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뇌관폭파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압(Vin)을 공급받는다. 상기 풀업저항(150)은 뇌관보다 큰 저항값을 갖는 저항으로 구성되며, 약 1M Ω 정도의 매우 큰 값을 갖는 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뇌관폭파부에 장입되는 뇌관의 저항값은 약 1.8 Ω 정도의 매우 작은 값이다. 따라서, 뇌관이 장입되지 않을 경우, 뇌관폭파부의 저항값이 무한대이므로 풀업저항으로부터 발사제어부로 전원의 전압값이 그대로 공급되지만, 뇌관이 장입되는 경우 뇌관폭파부의 저항값이 풀업저항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수학식 1의 전압분배법칙에 의해서 발사제어부로 제공되는 전압(Vout)은 매우 작은 값이 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13739559-pat00001
따라서, 풀업저항의 저항값과 뇌관의 저항값, 그리고 전원의 전압값이 사전에 설정되면, 뇌관의 장입여부에 따라 발사제어부에 제공되는 전압값이 달라지므로 이를 이용해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공된 전압값이 제1 전압값인 경우,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하고, 제2 전압값인 경우 뇌관이 미장입되었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전압값이 제1 전압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발사제어부로 5V의 전압이 제공되면, 제2 전압값으로 인식하여 뇌관이 장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0V에 가까운 전압이 제공되면, 제1 전압값으로 인식하여 뇌관이 장입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발사제어부에서 판단하기 위한 전압값은 사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크레모어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는 뇌관폭파부에 뇌관이 장입되었는지 판단한다(S300).
다음, 상기 발사제어부는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수신되면(S110),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제1 및 제2 모의발사부로 송신한다(S320).
상기 발사제어부에서 뇌관폭파부의 뇌관장입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뇌관폭파부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상기 측정된 저항값이 사전에 설정된 뇌관저항값인 경우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저항값이 무한대일 경우 뇌관이 미장입되었다고 판단한다.
한편, 발사제어부에서 뇌관폭파부의 뇌관장입여부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으로 뇌관폭파부와 전원부의 사이에 풀업저항을 구비하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에 있어서, 풀업저항과 뇌관폭파부의 접점에 대한 전압값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상기 제공된 전압값이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압값인 경우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공된 전압값이 사전에 설정된 제2 전압값인 경우 뇌관이 미장입되었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전압값이 제1 전압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 장치는 뇌관폭파부로부터 제공되는 뇌관연결정보 및 외부격발기로부터 제공되는 격발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격발정보를 전송하는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를 구비하고, 뇌관이 장입되었을 때만 모의발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30)는 뇌관폭파부(300), 모의발사부(310), 발사제어부(320), 격발신호 인식회로부(330), 전원부(도시하지 않음) 및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크레모어 형상을 가지며,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고정되도록 배치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제1 실시예의 크레모어 모의장치와 유사하나,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를 구비한다는 점, 격발신호 인식회로부 및 뇌관폭파부에서 격발신호를 인식한다는 점 및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에서 뇌관의 장입여부를 확인한 후에 발사제어부로 격발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격발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크레모어 모의장치와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뇌관폭파부(30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을 장입하는 뇌관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뇌관연결단자에 뇌관이 장입되면 뇌관연결정보를 전송하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면 장입된 뇌관을 폭파시키게 된다. 상기 뇌관연결정보는 뇌관이 뇌관연결단자에 장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33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뇌관폭파부로부터 뇌관연결정보가 제공되면 격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발사제어부(320)로 전송한다. 상기 격발 정보는 격발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뇌관폭파부(300)는 뇌관이 장입되면 상기 뇌관폭파부(300), 격발신호 인식회로부(330) 및 외부격발기가 폐회로가 구성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상기 뇌관폭파부(300) 및 격발신호 인식회로부(330)로 전달되게 된다. 즉, 뇌관폭파부(300), 격발신호 인식회로부(330) 및 외부 격발기는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폐회로를 형성하는데, 뇌관폭파부에 뇌관이 장입되어야만 상기 폐회로가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뇌관이 장입되어서 폐회로가 완성되는 경우에 외부 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뇌관폭파부(300)는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로 뇌관연결정보를 전송하고, 격발신호 인식회로부(330)는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전송되어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330)는 발사제어부로 격발정보를 전송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사제어부(320)는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330)로부터 격발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1 및 제2 모의발사부(312, 314)를 구동시킨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를 구비하여 뇌관폭파부에 뇌관이 장입되면 외부격발기와 뇌관폭파부가 격발신호 인식회로부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격발정보를 발사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격발신호 인식회로부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는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500).
다음,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는 뇌관폭파부로부터 뇌관연결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510). 이때, 뇌관폭파부로부터 뇌관연결정보가 수신되면 뇌관이 장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발사제어부로 격발정보를 전송한다(S520). 한편,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는 외부격발기와 뇌관폭파부로부터 격발신호와 뇌관연결정보를 동시에 수신받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뇌관의 장입여부를 확인한 후 모의발사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크레모어 장치가 폭파하면서 살상 효과를 내는 실전과 유사한 상황이 연출되어 훈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은 군(軍) 훈련 시스템에 사용되거나 서바이벌 게임과 같은 오락 분야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0, 20, 30 : 크레모어 모의장치
100, 300 : 뇌관폭파부
110, 310 : 모의발사부
112, 312 : 제1 모의발사부
114, 314 : 제2 모의발사부
120, 320 : 발사제어부
330 : 격발신호인식회로부
150 : 풀업저항

Claims (9)

  1. 크레모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을 장입하는 뇌관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외부격발기로부터 제공되는 격발신호에 따라 장입된 뇌관을 폭파시키는 뇌관폭파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모의발사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모의발사부;
    상기 뇌관폭파부에 장입된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고,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외부 격발기로부터 격발 신호가 제공되면, 제1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제1 모의발사부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시키는 발사제어부; 및
    상기 제1 모의발사부, 제2 모의발사부 및 발사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모어 모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모어 모의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보다 더 큰 저항값을 가지며, 일단은 뇌관 폭파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풀업 저항;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사제어부는 상기 풀업저항과 뇌관폭파부의 접점에 대한 전압값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모어 모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제어부는
    뇌관폭파부의 뇌관연결단자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모어 모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모어 모의 장치는
    경고음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사제어부는 상기 뇌관폭파부에 장입된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고, 뇌관이 미장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면 경고음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경고음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경고음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모어 모의 장치.
  5. 크레모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뇌관을 장입하는 뇌관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뇌관연결단자에 뇌관이 장입되면 뇌관연결정보를 전송하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면 장입된 뇌관을 폭파시키는 뇌관폭파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가 제공되고, 상기 뇌관폭파부로부터 뇌관연결정보가 제공되면 격발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격발신호 인식회로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모의발사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모의발사부;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로부터 격발정보가 제공되면, 제1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제1 모의발사부 및 제2 모의발사부를 구동시키는 발사제어부; 및
    상기 제1 모의발사부, 제2 모의발사부, 격발신호 인식회로부 및 발사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구비하며, 상기 격발신호 인식회로부의 격발 정보는 격발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모어 모의 장치.
  6.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모의 발사부는
    레이저광원, RF 통신모듈, LED 광원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각각 제1 구동신호 및 제2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모어 모의 장치.
  7. 크레모어 모의 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뇌관폭파부의 뇌관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뇌관폭파부에 뇌관이 장입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부격발기로부터 격발신호를 수신되면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제1 및 제2 모의발사부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크레모어 모의 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모어 모의 장치는 뇌관보다 더 큰 저항값을 가지며, 일단은 뇌관 폭파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원부에 연결된 풀업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a) 단계는 풀업저항과 뇌관폭파부의 접점에 대한 전압값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뇌관폭파부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뇌관의 장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모어 모의장치의 발사제어부의 제어방법.
KR1020110016909A 2011-02-25 2011-02-25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 KR101261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909A KR101261396B1 (ko) 2011-02-25 2011-02-25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909A KR101261396B1 (ko) 2011-02-25 2011-02-25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604A KR20120097604A (ko) 2012-09-05
KR101261396B1 true KR101261396B1 (ko) 2013-05-07

Family

ID=4710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909A KR101261396B1 (ko) 2011-02-25 2011-02-25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46B1 (ko) * 2019-02-22 2019-10-15 대한민국 복합형 크레모아 격발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5664A1 (en) 2007-11-07 2009-07-02 Raytheon Company Simulated M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5664A1 (en) 2007-11-07 2009-07-02 Raytheon Company Simulated M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46B1 (ko) * 2019-02-22 2019-10-15 대한민국 복합형 크레모아 격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604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4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training against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US75070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training against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US8312814B2 (en) Simulated hand grenade having a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US20070264616A1 (en) Structure of Detecting Device Used in Miles System and Gun Simulator
US9410783B1 (en) Universal smart fuz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or other remote armament systems
KR100815501B1 (ko) 폭탄 모의 장치 및 상기 폭탄 모의 장치를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US20130291755A1 (en) Non-pyrotechnic signature for medium caliber projectile
US20090165664A1 (en) Simulated Mine
JP2002228397A (ja) 爆発する発射体をシミュレート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70020705A (ko) 총기 및/또는 로켓에 의한 타격 표시용 장치 및 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1703B1 (ko) 모의된 실제 특성을 이용한 유도탄 발사절차 점검 시스템
KR101261396B1 (ko)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의 격발감지방법
US9228803B2 (en) Universal tube launched munitions system
KR20100136274A (ko) 공압 감지를 이용한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100584928B1 (ko) 총기 모사시스템
US5326268A (en) Training device for simulating an unexploded submunition
KR101229872B1 (ko) Led를 이용한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KR101511256B1 (ko) 수류탄 제어 시스템
KR100624202B1 (ko) 모의수류탄의 구조 및 작동방법
KR102546040B1 (ko) 공중폭발탄 신관 및 이를 구비한 무기체계
KR101229862B1 (ko) 대인탄 모의 화기에 의한 피해를 모의하는 레이저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0268352U (zh) 一种迫击炮对抗模拟器
KR101229867B1 (ko) 화기 장착용 범용 레이저 발사기
CN118034039B (zh) 一种用于低成本制导炮弹的最优炸高决策系统及方法
KR101356553B1 (ko) 기폭 시간이 자동 가변되는 신관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