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215B1 - 통신용 단자블럭 - Google Patents

통신용 단자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215B1
KR101872215B1 KR1020180011358A KR20180011358A KR101872215B1 KR 101872215 B1 KR101872215 B1 KR 101872215B1 KR 1020180011358 A KR1020180011358 A KR 1020180011358A KR 20180011358 A KR20180011358 A KR 20180011358A KR 101872215 B1 KR101872215 B1 KR 10187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coupling
lower fixing
protrus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인택
학 기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영티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영티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영티엠에스
Priority to KR102018001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국측의 통신선과 가입자측의 통신선을 접속시키는 단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자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동선핀과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선핀을 고정시키는 상부인입홀드 및 상기 하부고정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홀드를 통해 전화국측의 통신선과 가입자측의 통신선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결한 구성으로 광통신선과의 복합구성시 매우 유용한 통신용 단자블럭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국선과 내선을 각각의 체결홀드에 삽입하고 상기 체결홀드를 하부고정판 및 상부인입홀드에 상기 체결홀드를 간단하게 결합함으로써 통신선을 단자에 쉽게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간결한 구성으로 단자함 내부에 광통신선과의 복합구성시 단자함 내부의 공간차지가 적어 복합구성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통신선을 측면이 아닌 상부면에서 인입함으로써, 작업자가 국선 및 내선을 접속키실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속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용 단자블럭{Terminal block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화국측의 통신선과 가입자측의 통신선을 접속시키는 단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자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에 안착되는 동선핀과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선핀을 고정시키는 상부인입홀드 및 상기 하부고정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홀드를 통해 전화국측의 통신선과 가입자측의 통신선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결한 구성으로 광통신선과의 복합구성시 매우 유용한 통신용 단자블럭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먼저, 유선통신망을 구축함에 있어서, 전화국으로부터 각 세대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선로는 전화국에서 공급되는 국선이 전신주에 설치된 옥외 단자함을 통해 분기되고, 분기된 인입선들이 각 세대의 건물벽 등에 설치되는 옥내용 단자함에 이르게되며, 상기 옥내용 단자함에서 통신선을 세대내에 필요한 장소(방, 거실 등)에 공급함으로 각 세대의 말단 단말에 연결된다.
즉, 일반적으로 전화국에서 공급되는 전화국선을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최종적으로 연결 분배하기 위해서 단자함을 사용하는데, 상기 단자함 내부에는 단자핀이 장착된 통신용 단자블럭이 형성되어 있어 전화국선(국선)과 가입자선(내선)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단자블럭은 통상 일측으로 국선단자캡이 장착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내선단자캡이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각각의 단자캡은 서로 분리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국선단자캡은 단자블럭 상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체결부에 의해 단자블럭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내선단자캡은 단자블럭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단자블럭에 고정정된다.
일예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5630호는 국선단자캡과 내선단자캡의 결합분리가 가능한 단자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블록에 장착되는 국선단자캡의 일측에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내선단자캡에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국선단자캡과 내선단자캡을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국선과 내선 연결 및 교체작업시 단자캡이 단자블록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단자캡의 분리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단자유니트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3275호는 멀티 자유배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멀티자유배선단자는 XDSL의 특성상 여러개소에 멀티배선이 주어졌을 때 그로 인한 속도저하 및 불안정한 환경조성 등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단자함 내부의 단자핀 일측으로 다수개의 보조핀을 장착하고, 상기 단자핀과 보조핀 상단으로는 접속도체가 형성된 단자캡을 장착함으로써, 멀티배선 중 가입자선이 수용되는 단자에서 단독배선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화국선과 가입자선의접속 전환을 용이하게 하며, 선로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시에도 선로의 차단없이 지속적인 연결이 가능하여 배선작업의 효율성 및 가입자의 통화 연결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단자함 내부에서 서지차단회로가 형성된 소음필터를 장착함으로써 낙뢰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하고, 필터 장착시 소요되는 이니력과 비용의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멀티 자유배선 단자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단자블럭은 가입자측(내선)과 전화국측(국선)의 통신선을 상호 연결 시킬 때 공구를 이용하여 내선과 국선 즉, 통신선의 피복 제거작업 및 결합(접속)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연결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단자블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들이 추가되어 있고, 특히 국선단자캡과 내선단자캡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인해 단자함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상기 단자함의 규격이 증가하여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통신환경의 변화, 그리고 사용자들의 욕구 증대로 인해 초고속 광대역 정보통신 환경, 유비쿼터스 환경의 조성이 필요성이 대두되어 증대되고 있는 광통신선과의 복합구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563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32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단자함에 설치되는 종래의 통신용 단자블럭은 내선과 국선의 통신선을 연결시킬 때 공구를 이용하여 피복 제거작업 및 결합작업이 이루어져 연결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부피가 광통신선과의 복합구성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간결한 구성으로 광통신선과의 복합구성이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국선과 내선의 피복제거 필요 없이도 간편하게 통신선을 접속시킬 수 있는 통신용 단자블럭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에 안착되되, 양측이 상기 하부고정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동선핀과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선핀을 고정하는 상부인입홀드 및 상기 하부고정판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하부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인입홀드에 착탈되며, 통신선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한 쌍의 제1인입홀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럭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고정판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내측면 하부에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와 어느 하나의 결합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와 인접한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과 상부면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결합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와 인접한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홈 및 전면과 후면에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선핀은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점검돌기와 일측말단과 타측말단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속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인입홀드는 관통형성되되, 상기 동선핀의 점검돌기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홀드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면 하부와 후방면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하부고정판의 결합홈에 인입되는 힌지돌기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핀내입홈과 상기 몸체의 상부면과 상기 제1돌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한 쌍의 핀내입홈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인입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홀드의 제2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제1인입홀과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제2인입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홀드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는 일측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한 쌍의 걸림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용 단자블럭은 국선과 내선을 각각의 체결홀드에 삽입하고 상기 체결홀드를 하부고정판 및 상부인입홀드에 상기 체결홀드를 간단하게 결합함으로써 통신선을 단자에 쉽게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간결한 구성으로 단자함 내부에 광통신선과의 복합구성시 단자함 내부의 공간차지가 적어 복합구성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통신선을 측면이 아닌 상부면에서 인입함으로써, 작업자가 국선 및 내선을 접속키실 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속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의 하부고정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의 동선핀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의 상부인입홀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의 체결홀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의 체결홀드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A-A"선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을 분해하여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자블럭과 단자함의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은 전화국측의 통신선(이하, '국선'이라 한다.)과 가입자측의 통신선(이하, '내선'이라 한다.)을 접속시키는 단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자함(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에 결합되는 하부고정판(100)과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동선핀(200)과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선핀(200)을 고정시키는 상부인입홀드(300) 및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드(400)의 간결한 구성으로 광통신선과의 복합구성이 매우 유용한 통신용 단자블럭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국선과 내선 즉, 통신선(10)을 상기 체결홀드(400)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인입홀(460)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인입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홀드(400)를 상기 하부고정판(100)에 결합시 인입된 통신선(10)의 피복이 상기 동선핀(200)에 의해 벗겨져 별도의 피복제거가 필요없어 간편하게 통신선을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자함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이후 자세히 설명될 하부고정판(100)의 하부가 고정결합되어 단자함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은 단자함의 내부에 하부가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하부고정판(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나사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판(100)은 하부에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나사홀과 대응되는 베이스결합부(미표시)가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지지프레임(22)의 상부에 하부면이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부가하여, 이하에서 체결홀드(400)를 설명시 하부고정판(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홀드(40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하부고정판(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체결홀드(400)일 경우, 일측 및 타측 즉, 방향성을 가지는 기재사항이 모두 대향되는 방향임은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단자함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통신용 단자블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하부고정판(100);과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안착되되, 양측이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동선핀(200);과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선핀(200)을 고정하는 상부인입홀드(300); 및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하부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인입홀드(300)에 착탈되며, 통신선(10)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한 쌍의 제1인입홀(460)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고정판(100)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내측면 하부에 '∩'형상의 결합홈(112)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110);와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인접한 결합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120);과 상부면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인접한 결합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홈(130); 및 전면과 후면에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선핀(200)은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점검돌기(210);과 일측말단과 타측말단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속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인입홀드(300)는 관통형성되되, 상기 동선핀(200)의 점검돌기(21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홀드(400)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전방면 하부와 후방면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결합홈(112)에 인입되는 힌지돌기(42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43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420)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440);와 상기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435)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핀내입홈(450);과 상기 몸체(4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돌출부(430)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한 쌍의 핀내입홈(450)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인입홀(4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홀드(400)의 제2돌출부(440)는 상기 한 쌍의 제1인입홀(460)과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제2인입홀(4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홀드(400)는 상기 몸체(410)의 상부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몸체(4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몸체(412)는 일측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한 쌍의 걸림홈(41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하부고정판(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자함 내부에 고정설치된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베이스결합부(미표시)가 상기 나사홈의 상부에 위치되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고정핀(200)과 상부인입홀드(300) 및 체결홀드(4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통신용 단자블럭(이하, '단자블럭'이라 한다.)은 하나의 단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국선과 내선을 접속시키는 갯수가 제조시 정해져 있으나 갯수가 한정되지 않고, 국선과 내선을 접속시키는 갯수가 더 필요할 경우 복수 개를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고정판(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부고정판(100)은 하부에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베이스결합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22)의 상부에 안착되는 몸체(미표시)와, 상기 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외측방향 즉, 각각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내측면 하부에 '∩'형상의 결합홈(112)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110)와,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인접한 결합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120)과,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인접한 결합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홈(130) 및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110)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체결홀드(40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돌출형성되어 제1수용홈(120)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드(4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돌기(420)가 상기 결합홈(112)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홀드(400)가 회전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드(400)가 결합을 위해 하부고정판(100)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경우 제1수용홈(120)에 상기 체결홀드(400)의 내측 즉, 타측이 수용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체결홀드(400)는 결합을 위해 하부고정판(100)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경우, 상기 체결홀드(400)에 인입된 통신선(10)이 동선핀(200)에 접속되고, 상기 체결홀드(400)의 내측 즉, 타측이 제1수용홈(120)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통신선(10)을 고정 및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제1수용홈(120)은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동선핀(200)의 일측 또는 타측이 수용되고, 통신선(10)이 인입된 상기 체결홀드(400)의 내측 즉, 타측이 수용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홈(112)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즉,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드(400)의 힌지돌기(420)가 개방된 하부로 인입되어 결합되며, 필요시 상기 체결홀드(400)가 쉽게 분리가능하므로, 단자함의 해체시 상기 체결홀드(400)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홈(112)은 필요시 작업자가 상기 체결홀드(400)를 쉽게 분리하여 통신선(10)을 상기 체결홀드(400)의 제1인입홀(460)과 제2인입홀(442) 및 보조인입홈(474)에 통신선(10)을 인입시킨 후 다시 상기 체결홀드(400)의 힌지돌기(420)를 결합시킴으로써, 더욱더 정교한 작업이 간결하고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안착홈(130)은 이후에 설명될 동선핀(200)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전송과 송신을 위한 한 쌍의 동선핀(200)에 의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인접한 결합부(110)의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체결홀드(400)에 의해 한 쌍의 국선과 한 쌍의 내선이 접속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130)은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이후에 설명될 동선핀(200)의 제1결합홀(230)과 대응되는 제1결합돌기(150)와, 상기 제1결합돌기(15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동선핀(200)의 제2결합홀(240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150)와 제2결합돌기(160)는 각각 상기 동선핀(200)의 제1결합홀(230)과 제2결합홀(240)에 결합되어 상기 동선핀(20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돌기(150)와 제2결합돌기(160)의 형상은 동선핀(200)의 제1결합홀(230)과 제2결합홀(2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원통형 또는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40)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상부인입홀드(300)의 체결부(35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인입홀드(300)가 하부고정판(100)의 상부 즉, 몸체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덧붙여, 상기 제1수용홈(120)과 결합부(110)는 내측면에 형성되되, 결함홈(1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단턱(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다시 한번 설명하면, 상기 단턱(112)은 상기 제1수용홈(120)과 결합부(11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1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될 체결홀드(400)의 제3돌출부(370)의 말단에 형성된 경사면(472)가 모서리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체결홀드(400)가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핀(200)은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안착되되, 양측이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한 쌍의 안착홈(130)에 한 쌍이 안착되므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국선과 내선을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고정핀(200)은 양측 즉,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수용홈(120)에 위치되도록 돌출되고, 이후에 설명될 체결홀드(400)에 인입된 통신선(10)이 상기 체결홀드(400)의 회전에 의해 접속되어 국선과 내선을 접속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동선핀(200)은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점검돌기(210)와, 일측말단과 타측말단에 각각 내측방향 즉, 각각 타측방향과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속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선핀(200)은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홀(230)과, 상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홀(2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돌기(210)는 단자함의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쉽게 국선과 내선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부인입홀드(300)에 관통형성된 관통홀(31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작업자가 쉽게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홈(220)은 이후에 설명될 체결홀드(400)에 인입된 통신선(10)이 인입되어 접속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측방향 즉, 일측에 형성된 접속홈(220)은 타측방향, 타측에 형성된 접속홈(220)은 일츨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접속홈(220)은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체결홀드(400)에 인입된 통신선(10)이 상기 체결홀드(400)가 힌지돌기(420)를 축으로 회전되어 하부고정판(100) 및 상부인입홀드(300)에 결합될 때 피복이 벚겨지며, 엄밀히 말하면 찢어지며 내측의 도체가 동선핀(200)과 접속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종래에 통신선(10)의 피복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결합홈(230)과 제2결합홈(2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고정판(100)의 안착홈(130)에 형성되어 있는 제1결합돌기(150)와 제2결합돌기(160)에 각각 대응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150)와 제2결합돌기(16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동선핀(200)이 안정적으로 안착홈(130)에 안착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상부인입홀드(300)는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선핀(200)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전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140)의 사이에 내입되고, 하부말단에 내측방향으로 걸림돌기(352)가 형성되는 체결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350)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동선핀(20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부인입홀드(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안착홈(130)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가압부(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360)에 의해 동선핀(200)이 안착홈(130)에 더욱더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동선핀(200)의 두께는 대략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안착홈(130)의 깊이의 절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앞서 설명한 상부인입홀드(300)의 가압부(360)가 상기 안착홈(130)에 내입되어 상기 동선핀(200)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상기 동선핀(200)의 두께가 상기 안착홈(130)의 깊이의 절반으로 이우러진다면 상기 가압부(360)의 돌출된 높이가 상기 안착홈(130)의 깊이의 절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부인입홀드(300)는 관통형성되되, 앞서 설명한 상기 동선핀(200)의 점검돌기(21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3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310)에 의해 상기 동선핀(200)의 점검돌기(210)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유지보수시 쉽게 국선과 내선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돌기(21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상부인입홀드(300)의 상부에 커버(미도시)가 더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인입홀드(300)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결합부(110)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돌출편(320)과, 어느 하나의 돌출편(32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편(320)과 인접한 돌출편(3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수용홈(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편(320)과 제2수용홈(330)은 앞서 설명한 하부고정판(100)의 결합부(110)와 제1수용홈(120)을 상부방향으로 연장형하고, 이에 따라 더욱더 동선핀(200)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인입홀드(300)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전후방향을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체결홈(330)은 이후에 설명될 체결홀드(40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상기 체결홀드(400)는 상부가 상기 체결홈(3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드(400)의 상부 타측 즉, 내측 하부에 체결돌기(412b)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홈(330)은 한 쌍의 안착홈(130)이 포함되도록 하부고정판(100)과 상부인입홀드(300)에 결합되는 체결홀드(400)의 상부 전후방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고정판(100)의 어느 하나의 안착홈(130) 일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안착홈(130)과 인접한 결합부(110) 및 상기 결합부(110)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안착홈(130) 일부의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체결홈(330)은 하나의 체결홀드(400)가 아닌 두개의 체결홀드(400) 각각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이 결합됨으로써, 더욱더 한 쌍의 동선핀(200)이 안정적으로 하부고정판(100)과 상부인입홀드(300)의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홀드(4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체결홀드(400)는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하부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인입홀드(300)에 착탈되며, 통신선(10)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한 쌍의 제1인입홀(460)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하부고정판(100)과 상부인입홀드(300)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인입홀(460)에 통신선(10)이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수직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체결홀드(400)는 상기 제1인입홀(460)을 통해 통신선(10)이 수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통신선(10)이 측방향에서 인입되는 것보다 작업자의 작업이 수월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선핀(200)에 의해 피복이 자연스럽게 제거되므로, 통신선(10)의 피복을 제거하는 번거로운 작업 공수가 줄어들어 작업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헨케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체결홀드(400)는 하부고정판(100)의 측면에서 결합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전방면 하부와 후방면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결합홈(112)에 인입되는 힌지돌기(42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43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420)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제2돌출부(440)와, 상기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435)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핀내입홈(450)과, 상기 몸체(4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돌출부(430)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한 쌍의 핀내입홈(450)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인입홀(4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돌기(420)는 하부고정판(100)의 결합홈(112)의 개방된 하부로 인입되어 체결홀드(400)의 몸체(410)가 상기 힌지돌기(420)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상기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는 핀내입홈(450)을 형성하여 상기 핀내입홈(450)의 내측에 동선핀(200)의 일측 또는 타측이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4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돌출부(4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1인입홀(460)은 통신선(10)이 내입되어 상기 통신선(10)이 상기 핀내입홈(450)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핀내입홈(450)에 위치된 통신선(10)은 동선핀(200)의 접속홈(220)에 의해 피복이 제거되며 접속된다.
즉, 본 발명의 체결홀드(400)는 상기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에 의해 형성되는 핀내입홈(450)에 통신선(10)이 인입됨으로써, 힌지돌기(420)를 축으로 회전되면 상기 핀내입홈(450)에 인입된 통신선(10)의 피복이 제거되며 동선핀(200)과 접속되어 국선과 내선이 접속되는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핀내입홈(450)은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 상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435)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1격벽(435)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내입된 통신선(10)의 혼선 및 동선핀(200)과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돌출부(440)는 상기 한 쌍의 제1인입홀(460)과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제2인입홀(4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인입홀(442)에 통신선(10)의 말단이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통신선(10)이 동선핀(200)의 접속홈(220)에 접속시 더욱 안정적으로 접속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홀드(400)는 상기 몸체(410)의 상부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몸체(4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412)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체결홀드(400)를 더욱더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상부몸체(412)는 일측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한 쌍의 걸림홈(41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걸림홈(412a)을 이용하여 통신선(10)을 고정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통신선(10)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홈(412a)은 제1인입홀(460)과 제2인입홀(442) 및 이후에 설명될 보조인입홈(474)에 통신선(10)이 인입되면 상기 제1인입홀460)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통신선(10)을 일측의 개방된 곳을 통해 걸어 상기 통신선(10)이 구부러지며 제1인입홀(460)과 제2인입홀(442) 및 보조인인홈(474)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되는 체결홀드(400)에 의해 통신선(10)이 동선핀(200)의 접속홈(220)에 인입될 때 더욱더 안정적으로 인입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체결홀드(400)는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2돌출부(440)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472)이 말단면에 형성된 제3돌출부(4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홀드(400)는 상기 제3돌출부(470)의 말단면인 경사면(472)이 하부고정판(100)에 형성된 단턱(122)과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하부고정판(100)과 상부인입홀드(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제3돌출부(470)는 상기 제2돌출부(44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인입홀(44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인입홈(47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인입홈(474)에 통신선(10)의 말단이 인입되어 통신선(10)이 동선핀(200)의 접속홈(220)에 접속될 때 더욱더 안정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제1인입홀(460)과 제2인입홀(442) 및 보조인입홈(474)에 통신선(10)을 인입시킨 후 체결홀드(400)를 회전시키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통신선(10)은 보조인입홈(474)이 형성된 제3돌출부(470)와 제2인입홀(442)이형성된 제2돌출부(440)에 의해 핀내입홈(450)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신선(10)이 지지되며, 상부몸체(412)와 제1돌출부(430)에 형성된 제1인입홀(460)에 의해 상기 핀내입홈(450)의 상부에 위치하는 통신선(10)이 지지되어 상기 핀 내입홈(450)에 위치하는 통신선(10)이 동선핀(200)의 접속홈(220)에 안정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체결홀드(400)는 상기 제2돌출부(440)와 상기 제3돌출부(470)의 사이에 제1격벽(435)과 같이 상기 제2돌출부(440)와 상기 제3돌출부(470)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선(1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미표시)을 구획하는 제2격벽(44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격벽(445)에 의해 제2돌출부(440)의 하부로 인입된 즉, 상기 제3돌출부(470)의 보조인입홈(474)으로 인입되는 통신선(10)의 혼선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더욱 안정적으로 통신선(10)이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신선(10)은 앞서 설명한 상기 상부몸체(412)의 걸림홈(412a)에 통신선(10)의 상부가 한번 더 고정됨에 따라 동선핀(200)의 접속홈(220)에 접속될 때 더욱어 안정적으로 제1인입홀(460)과 제2인입홀(442) 및 보조인입홈(474)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더욱더 안정적으로 접속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상부몸체(412)는 타측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전후방에 즉, 도 7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41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기(412b)가 앞서 설명된 상부인입홀드(300)의 체결홈(340)에 끼움결합되어 체결홀드(400)의 상부가 상기 상부인입홀드(300)와 착탈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결홀드(400)는 상기 상부인입홀드(300)의 체결홈(340) 하나에 하나의 체결돌기(412b)가 끼움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체결돌기(412b)가 인접한 체결홈(340)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체결홀드(400)의 상부가 상기 체결홈(340)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라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체결홀드(400)는 상부몸체(412)의 타측에 상부인입홀드(300)의 체결홈(340)과 인접한 체결홈(340)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부(미표시)가 내입되는 내입홈(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에 상기 상부인입홀드(300)의 연결부가 내입됨으로 인해 상기 체결홀드(400)가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412)는 일측에 일측방향 즉,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걸림홈(412a)의 사이에 형성되는 누름부(412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누름부(412c)를 이용하여 체결홀드(4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쉽게 통신선(10)을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412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홀드(400)의 해체시 상기 체결홀드(400)의 상부를 상부인입홀드(300)로부터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통신선 20 : 베이스프레임
100 : 하부고정판 110 : 결합부
112 : 결합홈 120 : 제1수용홈
130 : 안착홈 140 : 결합돌기
200 : 동선핀 210 : 점검돌기
220 : 접속홈 300 : 상부인입홀드
310 : 관통홀 400 : 체결홀드
410 : 몸체 412 : 상부몸체
412a : 걸림홈 420 : 힌지돌기
430 : 제1돌출부 435 : 제1격벽
440 : 제2돌출부 442 : 제2인입홀
450 : 핀내입홈 460 : 제1인입홀

Claims (7)

  1. 하부고정판(100);과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안착되되, 양측이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동선핀(200);과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선핀(200)을 고정하는 상부인입홀드(300); 및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하부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인입홀드(300)에 착탈되며, 통신선(10)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한 쌍의 제1인입홀(460)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고정판(100)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내측면 하부에 '∩'형상의 결합홈(112)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110);와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인접한 결합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120);과
    상부면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부(110)와 인접한 결합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홈(130); 및
    전면과 후면에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럭.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선핀(200)은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점검돌기(210);와
    일측말단과 타측말단에 각각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속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인입홀드(300)는
    관통형성되되, 상기 동선핀(200)의 점검돌기(21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드(400)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전방면 하부와 후방면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하부고정판(100)의 결합홈(112)에 인입되는 힌지돌기(42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430);와
    상기 몸체(4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430)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440);와
    상기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435)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핀내입홈(450);과
    상기 몸체(4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돌출부(430)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한 쌍의 핀내입홈(450)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인입홀(4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드(400)의 제2돌출부(440)는
    상기 한 쌍의 제1인입홀(460)과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제2인입홀(4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럭.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드(400)는
    상기 몸체(410)의 상부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몸체(4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412)는
    일측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한 쌍의 걸림홈(41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자블럭.
KR1020180011358A 2018-01-30 2018-01-30 통신용 단자블럭 KR10187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58A KR101872215B1 (ko) 2018-01-30 2018-01-30 통신용 단자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58A KR101872215B1 (ko) 2018-01-30 2018-01-30 통신용 단자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215B1 true KR101872215B1 (ko) 2018-06-28

Family

ID=6278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58A KR101872215B1 (ko) 2018-01-30 2018-01-30 통신용 단자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4237A (zh) * 2019-06-13 2019-09-10 苏州市龙源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z30汇流接线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701A (en) * 1976-07-30 1977-08-0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Quick connector for service wires
KR100343275B1 (ko) 1997-05-01 2002-08-22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극저온액체를생성시키는시스템
KR100345630B1 (ko) 1994-09-22 2002-11-30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피사체의전후위치관계판정방법및2차원영상을3차원영상으로변환하는방법
KR20080004208U (ko) * 2007-03-26 2008-10-01 장영선 통신선 접속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701A (en) * 1976-07-30 1977-08-0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Quick connector for service wires
KR100345630B1 (ko) 1994-09-22 2002-11-30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피사체의전후위치관계판정방법및2차원영상을3차원영상으로변환하는방법
KR100343275B1 (ko) 1997-05-01 2002-08-22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극저온액체를생성시키는시스템
KR20080004208U (ko) * 2007-03-26 2008-10-01 장영선 통신선 접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4237A (zh) * 2019-06-13 2019-09-10 苏州市龙源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z30汇流接线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7603B2 (ja) フラット・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を取り付ける方法と、同組み合わせ装置
US7979985B2 (en) Multi-port mounting bracket and method
EP0966147A2 (en) Indoor XDSL splitter assembly
TW200832841A (en) Upgradeable patch panel
US6520605B2 (en) Wall mounting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case
KR101872215B1 (ko) 통신용 단자블럭
JP5891457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盤
US4343527A (en) Telephone connecting device
CN101379663B (zh) 网络线缆的永久终端
RU2407225C1 (ru) Комплект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с внутренней и внешней рамами
US9716924B2 (en) Omedia panel
JP4079155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セント
JP2009026502A (ja) マルチメディア配線装置
JP5161923B2 (ja) 架台搭載式パンチダウンパネル及びパンチダウンパネル基板
US7059920B2 (en) Spring clip connector
JP2573456B2 (ja) 屋内配線システム
JP4546546B2 (ja) 直列ユニット
US7331829B2 (en) Snap-in mounting bracket-terminal block
CN219040903U (zh) 一种便于维护的防水插
CN212211279U (zh) 一种新型直插式六类网络配线架
JP2010146970A (ja) 情報コンセント
KR100202302B1 (ko) 통신용 단자블럭 조립대
CN208369779U (zh) 高稳定的配线架
JP5090029B2 (ja) アウトレット
US20070275606A1 (en)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combination including at least one telecommunicatins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