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162B1 -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162B1
KR101872162B1 KR1020170118648A KR20170118648A KR101872162B1 KR 101872162 B1 KR101872162 B1 KR 101872162B1 KR 1020170118648 A KR1020170118648 A KR 1020170118648A KR 20170118648 A KR20170118648 A KR 20170118648A KR 101872162 B1 KR101872162 B1 KR 10187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styrene
sensitive adhesiv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642A (ko
Inventor
김장순
장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18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16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J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경화제; 및 점착증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진제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RUBBER ADHESIVE COMPOSITION AND RUBBER ADHESIVE TAPE FOR AUTOMOBI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점착테이프는 오랜 시간 동안 UV와 빗물 등의 노출 환경을 견뎌야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 등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주로 아크릴계 폼 테이프가 적용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킨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아크릴 폼 테이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점착제란 물성이 전혀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제품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인위적으로 움직이게 하지 않는 이상 그 성분의 변화가 없는 성분이다. 즉, 점착제는 짧은 시간의 작은 압력에도 강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점탄성적인 특성을 지닌 물질이다.
일반적인 점착제 조성물로는 고무계, 아크릴계 및 실리콘계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다양한 응용 특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다중결합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져 점착제 조성물로는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초기 박리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경화제; 및 점착증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진제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경화제; 및 점착증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진제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의 스티렌 함량이 20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te),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tetramethylolmethane tetraacrylate),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tetramethylolmethane triacrylate), 트리메탄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1,6-비스(3-아크릴오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헥산[1,6-bis(3-acryloyloxy-2-hydroxypropyl)hexane],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선행고분자(hexamethylene diisocyanate urethane pre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점착증진제는 수소가 첨가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점착증진제는 연화점이 90℃ 이상일 수 있다.
자외선 안정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아크릴 폼 층; 및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된 고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층의 경화도(겔 함량)가 30% 내지 5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경화제; 및 점착증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진제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에 대하여,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증진제를 다량 함유함으로써, 일정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기재에서 초기 박리강도가 우수하므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증진제를 다량 함유함으로써, 일정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기재에서 초기 박리강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경화제; 및 점착증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진제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고, 탄화수소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너지가 매우 낮은 특성을 가지는바, 기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비하여 기재에 젖음성 (wetting)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는 부타디엔 고무의 일종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고무와 같은 이소프렌 고무 등 다른 고무들에 비해 딱딱한(Hard segment)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경화시 고온 내구성에 특히 우수하다. 또한, 동일한 경화제를 동일한 양 첨가하더라도 경화되는 정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의 기재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의 스티렌 함량이 20 중량%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스티렌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응집력이 불충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스티렌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는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가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코팅성에는 문제가 없을지라도 용제의 양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가격적인 면에서 불리하고, 코팅시 휘발하는 용제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미휘발된 용제가 남아있을 경우 경화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가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 상승으로 인해 코팅성에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경화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te),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tetramethylolmethane tetraacrylate),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tetramethylolmethane triacrylate), 트리메탄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1,6-비스(3-아크릴오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헥산[1,6-bis(3-acryloyloxy-2-hydroxypropyl)hexane],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선행고분자(hexamethylene diisocyanate urethane pre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226.27인 것으로, 약 200 정도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분자 구조가 너무 길면 경화가 너무 느슨하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분자 구조가 너무 짧으면 경화가 너무 촘촘히 되어 박리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점착증진제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점착증진제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충분한 박리강도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점착증진제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증진제는 UV 경화형이 아니기 때문에 경화에 참여하지 않아 경화도가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점착증진제는 수소가 첨가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증진제는 반드시 수소가 첨가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그 용도에 따라 중합에 의해 얻어진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점착증진제의 연화점과 점착력 증진효과, 가열 착색 등을 고려하여 수소 첨가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중의 올레핀성 불포화 결합에 수소를 첨가하기 위한 수소화 반응은 개환 중합이 종료한 후, 그 공중합체 용액을 사용하여 행할 수도 있고, 촉매 잔여물이나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 처리한 후에 개환 공중합체를 적절한 용매에 용해함으로써 제조된 공중합체 용액을 사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수소화 반응은 통상 수소압 1.0 내지 15 MPa, 온도 50 내지 200 ℃의 조건으로 행해진다. 수소화 촉매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제오라이트, 규조토, 마그네시아, 탄소, 탄산칼슘 등으로부터 선택된 담체에 팔라듐, 백금, 플래티나, 로듐, 이리듐, 루테늄, 니켈로부터 선택된 금속이 담지된 불균일계 촉매, 또는 옥탄산니켈/트리에틸알루미늄, 나프텐산니켈/트리에틸알루미늄, 옥탄산코발트/트리 에틸알루미늄, 옥탄산코발트/n-부틸리튬,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디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아세트산팔라듐/트리에틸알루미늄, 리스(트리페닐포스핀) 로로로듐, 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히드리드·카르보닐·클로로·루테늄, 트리스 (트리톨릴포스핀)히드리드카르보닐·클로로·루테늄, 트리스(트리크실릴포스핀) 히드리드·카르보닐·클로로·루테늄, 트리스(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히드리드·카르보닐·클로로루테늄, 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디히드로·카르보닐·루테늄, 비스(트리페닐포스핀)디클로로루테늄 등의 균일계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수소화 촉매는, 통상 개환 공중합체에 대하여 전이 금속 원자 환산으로 10 내지 1000 ppm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수소가 첨가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분자 중의 올레핀성 불포화 결합의 수소화율이 높을수록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게 된다. 그 결과, 탈 용매 공정, 펠릿화 공정, 제품의 성형 가공 공정 등에서 가열에 의한 열 열화나 산소에 의한 열화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수소가 첨가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에는, 공지된 산화 방지제, 예를 들면 2,6-디-t-부틸, 4-메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2,5-디-
t-부틸히드로퀴논,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페놀계 또는 히드로퀴논계 산화 방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트리스(4-메톡시-3,5-디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쓰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쓰리톨디포스파이트 등의 인계 산화 방지제를 배합함으로써 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증진제는 연화점이 9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증진제의 연화점은 약 90℃ 이상, 구체적으로 약 95℃ 내지 약 160℃일 수 있다. 연화점은 일반적으로 물질이 가열에 의해 변형, 연화를 일으키기 시작하는 온도를 일컫는바, 상기 점착증진제는 약 90℃에서 점착증진제의 변형 및 연화가 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증진제의 연화점을 약 9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경우, 고온 신뢰성 조건에서 점착증진제가 유리상태(glassy state)를 유지함으로 열변형률이 작아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고온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다.
반면, 상기 점착증진제의 연화점이 약 90℃ 미만인 경우 고온 조건에서 점착증진제가 연화를 시작하여 내구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증진제의 연화점이 약 160℃ 인 이상인 경우 상온에서 점착제의 점착증진 역할이 미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증진제로서, 이스트만 社의 Regalite 1125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수첨 100%이면서, 연화점을 125℃로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경화제 및 점착증진제 외에 자외선 안정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는바, 안료, 자외선 안정제,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가소제, 점착 부여수지, 실란결합제, 광택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폼 층; 및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된 고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100)는 아크릴 폼 층(10); 및 상기 아크릴 폼 층(10)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된 고무계 점착제층(1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아크릴 폼 층(10)은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크릴계 수지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아크릴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량체에 포함되는 알칼리가 지나치게 장쇄가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유리전이온도(Tg)나 점착성의 조절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므로, 탄소수가 1~12인 알킬기를 갖는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층(11)의 경화도(겔 함량)가 3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고무계 점착제층(11)의 경화도(겔 함량)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고무계 점착제층(11)의 경화도(겔 함량)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무계 점착제층(11)이 너무 딱딱해 지므로 박리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층(11)은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를 통해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는, 열, 자외선광, 가시선광, 적외선 복사선, 및 전자빔 복사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너지원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광(UV)을 사용하여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켰는바, 다른 에너지원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자외선광(UV)을 사용하여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경우, 500mJ/cm2 내지 1000mJ/cm2의 자외선 조사선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무계 접착제층(11)에 외피층(도면 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층은 각종 플라스틱 필름, 종이, 부직포, 유리 또는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100)는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선박(예: 배, 요트, 보트 및 개인용 선박), 항공기 및 기타 유형의 육상, 해상 및 항공 차량과 같은 기판의 외부면에 대한 차체 측면 성형물, 엠블렘, 핀-스트립핑 및 기타 목적물과 같은 부품을 결합시키는 데 특히 유용하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100)는 일반적인 기준으로 차량이 직면할 수 있는 가솔린과 같은 석유계 물질, 윤활제, 세제와 같은 수계 물질, 전면 유리 세척액, 비, 염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기판의 사용시 직면하는 성분 들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100)는 물리력에 대한 내구성이 있는데, 개선된 초기 박리강도를 가져 충격, 걸림, 파괴 또는 다르게 목적물이 기판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기타 힘과 같은 물리력에 의한 제거를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증진제를 다량 함유함으로써, 일정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기재에서 초기 박리강도가 우수하므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참고예 1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25g에, 경화제로서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0.4g 및 점착증진제로서 Regalite 1125 15g을 첨가하고, 용제로서 톨루엔(Toluene) 75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점착증진제로서 Regalite 1125 20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acryl) 수지 25g에, 경화제로서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을 첨가하고, 점착증진제는 첨가하지 아니하고, 용제로서 Regalite 1125 0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점착증진제로서 Regalite 1125 10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경화도(겔 함량) 측정
PET 이형 필름 상에, 참고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나이프 코터로 코팅하였다(코팅 두께: 30~35 ㎛). 이어서, 코팅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금속 할라이드 램프하에 위치시키고, 10 mW/cm의 자외선을 약 3분 동안 조사하여 경화시켜 고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무계 점착제를 1in × 1in(가로×세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무게를 재고, PET 통에 톨루엔 용제를 50ml넣은 후, 24시간 동안 상온에 보관하였다. full swelling된 고무계 점착제를 준비된 130mm × 130mm의 200 mesh에 거른 후, 110℃ 오븐에 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무게를 재었다. 처음 점착제의 무게와 나중 점착제 무게의 차를 계산하여 최종 겔 함량을 측정하였다.
2. 초기 박리강도 측정
참고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인 고무계 점착제를 1in ×10 ㎝(가로×세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시편의 일면을 ABS 및 도장에 각각 부착하고, 2㎏ 롤러로 2회 왕복하여 부착한 후, 상온(23℃) 온도에서 3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박리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초기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화도(겔 함량) 및 초기 박리강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구분 수지(g) 경화제(g)
점착증진제
(g)
경화도(%) 초기 박리강도 (gf/in)
ABS 도장
참고예 1 SBS 고무
25
HDDA
0.4
Regalite 1125
15
48 1523 1875
실시예 2 SBS 고무
25
HDDA
0.4
Regalite 1125
20
35 2373 2454
비교예 1 아크릴 수지
25
BPO
0.4
Regalite 1125
0
55 1521 1834
비교예 2 SBS 고무
25
HDDA
0.4
Regalite 1125
10
62 1398 1632
* HDDA: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 BPO: 과산화벤조일(benzoyl peroxide)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2에 따른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증진제를 다량 함유함으로써, 일정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기재에서 초기 박리강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고무계 점착제층으로서,
    상기 고무계 점착제층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경화제; 및 점착증진제를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증진제의 함량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이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의 스티렌 함량은 20중량% 내지 30중량% 이고,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의 함량은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이며,
    상기 점착증진제의 연화점은 90℃ 이상이고,
    상기 고무계 점착제층의 경화도(겔 함량)가 30% 내지 50%인
    고무계 점착제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hexaacrylte),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tetramethylolmethane tetraacrylate),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tetramethylolmethane triacrylate), 트리메탄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1,6-비스(3-아크릴오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헥산[1,6-bis(3-acryloyloxy-2-hydroxypropyl)hexane],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선행고분자(hexamethylene diisocyanate urethane pre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고무계 점착제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증진제는 수소가 첨가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인
    고무계 점착제층.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안정제, 광개시제, 열개시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층.
  7. 아크릴 폼 층; 및
    상기 아크릴 폼 층의 양면에 형성된 제1항에 따른 고무계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8. 삭제
KR1020170118648A 2017-09-15 2017-09-15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KR10187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48A KR101872162B1 (ko) 2017-09-15 2017-09-15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648A KR101872162B1 (ko) 2017-09-15 2017-09-15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383A Division KR20150098296A (ko) 2014-02-20 2014-02-20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42A KR20170106642A (ko) 2017-09-21
KR101872162B1 true KR101872162B1 (ko) 2018-06-27

Family

ID=6003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648A KR101872162B1 (ko) 2017-09-15 2017-09-15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1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164A (ja) * 2001-08-23 2005-01-13 テサ・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水素化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ベースとする接着剤による塗装表面用の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14B1 (ko) * 2005-10-17 2008-06-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핫멜트형 점착제 성분이 포함된 자외선 경화형 핫멜트점착제조성물 및 점착테이프
KR101393860B1 (ko) * 2011-10-11 2014-05-14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점착테이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164A (ja) * 2001-08-23 2005-01-13 テサ・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水素化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ベースとする接着剤による塗装表面用の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642A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8296A (ko)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EP3040391B1 (en) Rubber-based adhesiv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TWI747995B (zh) 附黏著劑之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KR102062177B1 (ko)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층
KR101393860B1 (ko) 자동차용 점착테이프
JP7076217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83399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JP5554775B2 (ja) 粘弾性のポリオレフィン支持体を有する接着テープ
CN109072028B (zh) 光学粘合剂组合物和包含其固化产物的光学粘合层
KR101647156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20170053135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KR101872162B1 (ko)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무계 점착테이프
EP1242554B1 (en) Heat activated adhesive
KR101576688B1 (ko) 장식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장식 패널
JP2014031005A (ja) 光反応物層含有シートおよび光反応物層含有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111963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KR102102684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KR101008231B1 (ko)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KR102102636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광학용 점착 필름
WO2022244556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60150206A (ko) 자동차용 접착필름
KR101406084B1 (ko) 내충격성 및 고투과성을 가진 속경화형 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130604A (ko)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무계 점착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