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17B1 -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817B1
KR101871817B1 KR1020170104590A KR20170104590A KR101871817B1 KR 101871817 B1 KR101871817 B1 KR 101871817B1 KR 1020170104590 A KR1020170104590 A KR 1020170104590A KR 20170104590 A KR20170104590 A KR 20170104590A KR 101871817 B1 KR101871817 B1 KR 101871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te
information
cont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을
Original Assignee
송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을 filed Critical 송지을
Priority to KR102017010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은, 차량의 위치, 방향 지시등의 점등 유무, 브레이크등의 점등 유무, 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 차량의 상태 및 상기 후방 차량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컨텐츠를 차량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주행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후방 램프의 점등 유무, 후방 램프에서 출력되는 빛의 파장, 후방 램프의 점등 지속 시간, 후방 램프의 점멸 여부 및 후방 램프의 점멸 규칙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점등된 후방 램프가 방향 지시등 및 브레이크등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USING REAR VIEW VEHICLE MONITORING FUNCTION}
본 발명은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행 중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차량들에게는 경적을 울리거나 전방 램프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이 있으나,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차량들에게는 운전자의 의사 전달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수가 많아지면서 도로가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한 연령의 운전자가 많아짐에 따라, 주행 중 후방 차량에게 운전자의 의사를 전달하거나 후방 차량에게 경고를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4800호, 2016.09.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은, 차량의 위치, 방향 지시등의 점등 유무, 브레이크등의 점등 유무, 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 차량의 상태 및 상기 후방 차량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컨텐츠를 차량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주행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후방 램프의 점등 유무, 후방 램프에서 출력되는 빛의 파장, 후방 램프의 점등 지속 시간, 후방 램프의 점멸 여부 및 후방 램프의 점멸 규칙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점등된 후방 램프가 방향 지시등 및 브레이크등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후방 차량의 외관, 후방 차량의 모델 명 및 후방 차량의 근접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다.
차량 모델 별 모델 명, 외관 정보, 가격 정보 및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DB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상기 후방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컨텐츠는, 상기 추출된 후방 차량의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주행 차량의 현재 주행 지역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는, 상기 현재 주행 지역과 관련된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연동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101)를 포함하는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컨텐츠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1)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101)는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한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구성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10)의 전방, 측방 및/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차량(10)의 구성 부품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연동되는 다른 디바이스의 일 구성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둘 이상의 디바이스나 서버의 기능을 통칭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차량 후방 시스템(100)은 주로 차량(10)의 주행 중 컨텐츠를 출력하므로,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장착한 차량(10)을 주행 차량(1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주행 차량(10)과 구별하기 위하여, 주행 차량(10)의 주행 중 후방에서 움직이는 차량은 후방 차량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는, 메시지, 광고, 이미지 및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01)에 컨텐츠가 출력될 때 차량(10)의 내부에 위치한 전방 디스플레이(190)에도 컨텐츠가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디스플레이(190)는 차량(10) 내부의 대쉬보드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장치일 수도 있다. 차량(10)의 사용자는, 전방 디스플레이(190)를 통해 현재 후방의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어떤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방 디스플레이(190)에는, 후방의 디스플레이(101)와 동일한 컨텐츠가 출력될 수도 있고, 후방의 디스플레이(101)에 어떠한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지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 등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차량의 위치, 방향 지시등의 점등 유무, 브레이크등의 점등 유무, 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상태를 파악한다(S210).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내부에 구현된 구성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고,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어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고, 내부에 구현된 구성 모듈에 의해 획득된 정보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정보 모두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차량(10)의 상태란, 주행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위치, 주행 차량(10)이 차선을 변경을 시도하고 있는 상태, 주행 차량(10)이 유턴을 시도하고 있는 상태, 주행 차량(10)이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감소시키고 있는 상태 등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S220).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내부에 구현된 구성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고,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어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고, 내부에 구현된 구성 모듈에 의해 획득된 정보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정보 모두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내부에 구현된 메모리에 차량 모델 별 모델 명, 외관 정보, 가격 정보 및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DB를 저장하거나, 연동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차량 정보 DB의 적어도 일부를 전송받을 수 있고, 차량 정보 DB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차량의 상태란, 후방 차량이 주행 차량(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정도, 후방 차량의 주행 속도, 후방 차량의 주행 태양(예를 들어, 졸음 운전이나 음주 운전 등으로 비틀거리며 운전하는 모습, 위협 운전 등), 차량 정보 DB를 이용한 후방 차량의 추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주행 차량(10)의 상태와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의 상태 또는 후방 차량의 상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주행 차량(10)의 상태 및 후방 차량의 상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컨텐츠란,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되는 것으로, 후방 차량을 향한 메시지, 후방 차량을 포함하는 주변 차량을 향한 광고 등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차량의 상태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컨텐츠의 내용 일부를 수정할 수도 있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선택된 컨텐츠(또는, 선택되어 수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한다(S24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위치 센서(120), 광학 센서(13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101), 컨텐츠 제공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중에서 디스플레이(101)는 주행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나머지 구성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의 전방, 측방, 후방 및/또는 내부에 위치하거나,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연동된 외부의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치 센서(120)는 주행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센서(120)는 둘 이상의 인공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위치 센서(120)는 GPS 수신기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위치 센서(12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연동된 주행 차량(10)의 네비게이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위치 센서(12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연동된 전방 디스플레이(190)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광학 센서(130)는 주행 차량(10)의 후방 램프의 근방에 위치하여 후방 램프의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광학 센서(130)에서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램프의 점등 유무, 후방 램프에서 출력되는 빛의 파장, 후방 램프의 점등 지속 시간, 후방 램프의 점멸 여부 및 후방 램프의 점멸 규칙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점등된 후방 램프가 방향 지시등인지 아니면 브레이크 등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외부에 위치한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부 및/또는 무선 인터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0)의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통신부(14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주행 차량(10)의 블랙 박스와 연동되거나, 블랙 박스와 연동된 서버와 연동되거나, 주행 차량(10)의 카메라와 연동될 수도 있다. 이로써,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통신부(140)를 통해 주행 차량(10)의 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측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40)는 차량(10)의 내부에 위치한 전방 디스플레이(190)에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전방 디스플레이(19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주행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주변의 차량들이 볼 수 있도록 외부에 드러나 있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150)는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된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될 컨텐츠를 선택 및/또는 수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150)는 주행 차량(10)의 상태 및/또는 후방 차량의 상태에 기초하여, 적절한 컨텐츠를 선택/수정하거나,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컨텐츠 제공부(150)는 제어부(11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컨텐츠 제공부(150)에서 선택/수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01)로 출력하는 경우, 동일한 내용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출력 알림 메시지를 전방 디스플레이(19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모바일 디바이스(300),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OBD(On-Board Dignostic) 단말(4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달리,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단일 장치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 연동된 둘 이상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주행 차량(10)의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전화,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제어부(310), 통신부(320), 위치 센서(330) 및 컨텐츠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33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행 차량(10)의 사용자는 차량에 탑승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소지하므로, 제어부(310)는, 위치 센서(330)를 통해 획득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외부에 위치한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부(320)는 OBD 단말(401)로부터 주행 차량(1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BD 단말(401)로부터 전송되는 주행 차량(10)의 정보에는, 주행 차량(10)의 속도, 방향 지시등의 점등 여부, 브레이크등의 점등 여부, 근접 센서의 센싱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OBD 단말(401)은 차량의 OBD(On-Board Dignostic) 단자에 장착되는 차량 진단 스캐너를 의미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통신부(320)를 통해 OBD 단말(401)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OBD 단말(401)과 연동된 하이패스 단말기나 차량의 내부 디스플레이 시스템 등을 통해 OBD 단말(401)이 획득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320)는, 주행 차량(10)의 블랙 박스와 연동되거나, 블랙 박스와 연동된 서버와 연동되거나, 주행 차량(10)의 카메라와 연동될 수도 있다. 이로써,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통신부(320)를 통해 주행 차량(10)의 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측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통신부(3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4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주행 차량(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위치 센서(330)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위치, 통신부(320)를 통해 획득된 주행 차량(10)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주행 차량(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통신부(320)를 통해 획득된 후방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부(34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출력될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출력될 컨텐츠를 선택 및/또는 수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340)는 주행 차량(10)의 상태 및/또는 후방 차량의 상태에 기초하여, 적절한 컨텐츠를 선택/수정하거나, 통신부(32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컨텐츠 제공부(340)에 의해 선택(또는 선택 및 수정)된 컨텐츠를 통신부(3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101), 통신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제어부(43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10)와 달리 한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하여,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수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스플레이(300)의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주행 차량(10)의 내부에 위치한 전방 디스플레이(19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디스플레이(190)는, OBD 단말(401)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상태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방 디스플레이(190) 자체에서 획득된 데이터 및 OBD 단말(4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방 차량(10) 및 후방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초하여 적절한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후방의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의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컨텐츠가 전방 디스플레이(190)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차량의 위치, 방향 지시등의 점등 유무, 브레이크등의 점등 유무, 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상태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광학 센서(130)를 통해 센싱된 정보 또는 OBD 단말(40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오른쪽 방향 지시등이 점등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주행 차량(10)이 도로 상의 오른쪽 점선에 접근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로써,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이 오른쪽으로 차선 변경을 시도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위와 같이 파악된 주행 차량(10)의 상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의 차선 변경과 관련하여 후방 차량에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Ex: 양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를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선택된 컨텐츠를 차량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01)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의 상태뿐만 아니라, 후방 차량(500)의 상태 역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근접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후방 차량(5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영상에 나타나는 후방 차량의 크기 변화를 통해 후방 차량이 전방 차량(10)으로 다가오는 속도, 후방 차량과 전방 차량(10)의 거리, 후방 차량의 번호판 번호, 후방 차량의 차종 및 가격 정보(차량 정보 DB의 추가 이용 필요) 등을 파악할 수 있고, 후방 근접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후방 차량과 전방 차량(10)의 근접 정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리고,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의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후방 차량(500)의 상태에 기초하여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의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된 "양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메시지의 컨텐츠를, "제네시○ 차주님, 양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와 같이 상기 후방 차량(500)의 상태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근접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후방 차량(5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영상에 나타나는 후방 차량의 크기 변화를 통해 후방 차량이 전방 차량(10)으로 다가오는 속도, 후방 차량과 전방 차량(10)의 거리 등을 파악할 수 있고, 후방 근접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후방 차량과 전방 차량(10)의 근접 정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리고,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차량(500)의 상태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차량(500)이 기 설정된 정도 이내로 근접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후방 차량에 경고 메시지(Ex: 안전 거리를 지켜주세요)를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차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후방 차량(500)의 차종이나 번호가 파악된 경우,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 제네시○ 차주님(또는 1234 차주님), 안전 거리를 지켜주세요"와 같은 후방 차량(500) 맞춤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10)의 현재 주행 지역을 파악하고, 현재 주행 지역과 관련된 광고를 컨텐츠로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이 현재 제1 지역구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부에 저장된 제1 지역구와 관련된 광고를 컨텐츠로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01)로 출력하고, 주행 차량(10)이 계속 이동하여 제1 지역구를 벗어나 제2 지역구에 진입한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부에 저장된 제2 지역구와 관련된 광고를 컨텐츠로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01)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후방 차량(5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후방 차량(500)의 차량 관리 상태, 차량 튜닝 여부, 차량 악세서리 착용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차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500)의 모델 명, 가격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파악된 후방 차량(500)의 상태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500) 맞춤형 광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차량(500)의 튜닝 상태에 기초하여 자동차 튜닝 업소의 맞춤형 광고를 컨텐츠로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01)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후방 차량(500)이 고가 차량인 경우 고가 업종과 관련된 광고를 컨텐츠로서 선택하고, 후방 차량(500)이 저가 차량인 경우 저가 업종과 관련된 광고를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연동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통한 광고 노출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에는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연동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도 3에서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통신부(140)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300)일 수도 있고, 도 4에서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주행 차량(10)의 후방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광고가 노출된 경우 그 누적 데이터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광고가 노출될 때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주행 차량(10)의 사용자(차주)가 광고를 노출시킨 누적 횟수나 누적 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주행 차량(10)의 상황이나 후방 차량(500)에 적합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후방 디스플레이 시스템
101: 디스플레이

Claims (5)

  1. 차량의 위치, 방향 지시등의 점등 유무, 브레이크등의 점등 유무, 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주행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후방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및 후방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차량 모델 별 모델 명, 외관 정보, 가격 정보 및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DB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행 차량의 상태 및 상기 후방 차량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컨텐츠를 차량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주행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후방 램프의 점등 유무, 후방 램프에서 출력되는 빛의 파장, 후방 램프의 점등 지속 시간, 후방 램프의 점멸 여부 및 후방 램프의 점멸 규칙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점등된 후방 램프가 방향 지시등 및 브레이크등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후방 차량의 외관, 후방 차량의 모델 명 및 후방 차량의 근접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상기 후방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 DB에 기초하여 상기 후방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는, 상기 추출된 후방 차량의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광고를 포함하는,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주행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주행 차량의 현재 주행 지역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는, 상기 현재 주행 지역과 관련된 광고를 포함하는,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KR1020170104590A 2017-08-18 2017-08-18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KR101871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90A KR101871817B1 (ko) 2017-08-18 2017-08-18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90A KR101871817B1 (ko) 2017-08-18 2017-08-18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470A Division KR20190019816A (ko) 2018-03-21 2018-03-21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817B1 true KR101871817B1 (ko) 2018-06-28

Family

ID=6278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590A KR101871817B1 (ko) 2017-08-18 2017-08-18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633A (ko) * 2009-03-03 2010-09-13 주식회사 다올하이테크 차량용 후방 안내 시스템
KR20140012364A (ko) * 2012-07-19 2014-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3407A (ko) * 2013-01-18 2014-07-28 광주과학기술원 인식기, 차량모델인식장치 및 방법
KR20160104800A (ko) 2015-02-26 2016-09-06 (주)경봉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744198B1 (ko) * 2016-12-27 2017-06-07 이상훈 현장 맞춤형 이동식 차량 광고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633A (ko) * 2009-03-03 2010-09-13 주식회사 다올하이테크 차량용 후방 안내 시스템
KR20140012364A (ko) * 2012-07-19 2014-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3407A (ko) * 2013-01-18 2014-07-28 광주과학기술원 인식기, 차량모델인식장치 및 방법
KR20160104800A (ko) 2015-02-26 2016-09-06 (주)경봉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744198B1 (ko) * 2016-12-27 2017-06-07 이상훈 현장 맞춤형 이동식 차량 광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54218B (zh) 标识信息显示装置和方法
CN107578644B (zh) 用于运行包括信号源的交通基础设施单元的方法和设备
KR20190019808A (ko)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US20120133738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t Least One Driver Assistance Function
US20090072996A1 (en) Vehicle illumination system
EP2523173B1 (en) Driver assisting system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JP2012243303A (ja) 車両用端末の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装置、及びこれを具備する車両
KR101871819B1 (ko)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CN108737992A (zh) 通过车辆间通信的摄像机辅助的车辆车灯的诊断
US964349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US20170178591A1 (en) Sig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N110775070A (zh) 用于在车辆之间交换信息的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314424A (zh) 基于汽车的超车辅助方法、装置及汽车
JP2020126664A (ja) 自動車用の運転者支援システム
CN112298016A (zh) 一种远光灯提醒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US10425168B2 (en)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parking apparatus, and vehicle
CN111277956A (zh) 车辆盲区信息的采集方法及装置
KR101871817B1 (ko)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CN112298022A (zh) 一种迎宾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90019816A (ko) 차량 후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JP7470967B2 (ja) システム、プログラム、機械学習方法、及び機械学習モデル等
KR200485588Y1 (ko) 차량 후방 메시지 표시 장치
CN114523905A (zh) 一种显示车辆周围目标检测及轨迹预测的系统及方法
CN112298020A (zh) 一种车机信息展示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298017A (zh) 一种互动系统、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