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458B1 -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458B1
KR101871458B1 KR1020160105440A KR20160105440A KR101871458B1 KR 101871458 B1 KR101871458 B1 KR 101871458B1 KR 1020160105440 A KR1020160105440 A KR 1020160105440A KR 20160105440 A KR20160105440 A KR 20160105440A KR 101871458 B1 KR101871458 B1 KR 101871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lique
noodle
roller
slitting
emb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700A (ko
Inventor
최영춘
Original Assignee
최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춘 filed Critical 최영춘
Priority to KR102016010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4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4Apparatus for cutting out noodles from a sheet or ribbon of dough by an engaging pair of grooved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odl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으로 공급되는 면대에 사선방향의 엠보싱과 홈을 형성한 다음에, 이러한 사선방향의 엠보싱이 홈이 형성된 면대로부터 국수를 제조함으로써, 국수에 홈과 엠보싱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면대(11)를 연속공급받아 국수(12)를 제조하는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연속으로 지나는 면대(11)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한 사선면대제조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사선면대제조장치(40)는, 사선면대제조장치(40)의 두 개의 롤러를 지나는 면대(11)의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사선의 연속 홈인 사선홈라인(S)이 면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MANUFACTURING SYSTEM FOR NOODLE HAVING SLOPE EMBOSSING LINE}
본 발명은 국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으로 공급되는 면대에 사선방향의 엠보싱과 홈을 형성한 다음에, 이러한 사선방향의 엠보싱과 홈이 형성된 면대로부터 국수를 제조함으로써, 국수에 홈과 엠보싱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를 제조하기 위한 국수제조장치에는 두 개의 롤러가 마련되어 연속으로 공급되는 넓은 면적의 면대가 두 개의 롤러 사이로 지나가게 하면서, 두 개의 롤러 사이에 형성된 돌기와 홈에 의해 다수로 분할되는 국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국수의 제조과정을 보면, 연속으로 지나는 면대의 진행방향으로 다수로 나누어지게 국수를 제조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국수제조장치의 두 개의 롤러로 공급되는 면대는 이전의 제조 과정에 의해 얇게 펴지면서 그 표면이 매우 매끄러우면서 평평한 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측 두 개의 롤러에 형성된 돌기와 홈에 의해 다수로 면대가 분할되어 국수가 된다. 이에 의하여 국수는 연속의 가능 가닥을 이루면서 균일한 두께를 이루고 표면도 면대와 마찬가지로 평평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처럼 제조된 국수는 삶는 과정에 의해 표면은 더욱 미끄럽게 됨으로 인해 젓가락으로 잡으려고 하면 쉽게 미끄러져 먹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특히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이나 외국인, 환자 등은 표면이 매끄러운 국수를 단순히 젓가락으로만 잡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일부 사용자는 포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 등, 국수를 손쉽게 잡을 수 있는 기술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0264612호(2000년 09월 01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584746호(2016년 01월 21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79296호(2012년 07월 12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종래의 국수는 전체적으로 미끈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막대 형태의 젓가락으로 집기 어렵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국수는 다수의 홈과 엠보싱이 마련되어 젓가락으로 잡아도 잘 미끄러지지 않아 국수를 손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이러한 엠보싱이나 홈이 형성된 국수를 제조하기 위한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서는 국수 제조용 면대에 전면적으로 사선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한 것으로 이로 인해 사선의 엠보싱과 홈을 형성한 국수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속도로 연속 공급되는 후판면대를 통과시키며 후판면대의 두께 방향 중앙부를 분할하여 두 겹의 면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후판면대를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이송력을 전달하는 제1,2공급롤러, 제1,2공급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롤러간격조절장치, 상기 제1,2공급롤러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어 제1,2롤러 사이를 통과 후 하강하는 후판면대를 절단하여 두 겹의 독립된 제1,2면대를 생산하는 연속칼날, 상기 연속칼날을 소정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시키는 한 쌍의 풀리 및 풀리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카이슬리팅장치와; 상기 스카이슬리팅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면대를 통과시키며, 면대의 양측면에,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교차된 구조의 사선홈라인을 대칭으로 형성하는 제1사선면대제조장치와; 상기 제1사선면대제조장치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내부로 상기 제2면대를 통과시키며, 면대의 양측면에,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교차된 구조의 사선홈라인을 대칭으로 형성하는 제2사선면대제조장치와; 상기 제1사선면대제조장치의 연직 하부에 구비되며, 제1사선면대제조장치를 통과한 면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세절하여 국수를 제작하는 제1국수성형장치와; 상기 제1국수성형장치의 측부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제2사선면대제조장치를 통과한 면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세절하여, 제1국수성형장치와 동시에 국수를 제작하는 제2국수성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사선면대제조장치는, 평행한 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사선롤러 및 제2사선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사선롤러가 형성한 사선홈라인과 제2사선홈라인이 형성한 사선홈라인의 연장방향은, 면대의 진행방향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종래의 국수가 미끈한 형태를 이루어 젓가락으로 잡기 어려운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국수는 다수의 홈과 엠보싱이 마련되어 젓가락으로 잡아도 잘 미끄러지지 않아 국수를 손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특히 이러한 엠보싱과 홈이 형성된 국수를 제조하기 위한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서는 국수 제조용 면대에 전면적으로 사선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한 것으로 이로 인해 사선의 엠보싱과 홈을 형성한 국수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러한 엠보싱과 홈을 형성한 면대의 바로 다음 단계에서 연속으로 국수를 제조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국수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나아가 스카이슬리팅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두 배로 국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대한 좌측 방향에 대한 것으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대한 우측 방향에 대한 것으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국수성형장치에서 롤러부분을 중점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국수성형장치에서 롤러부분을 중점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국수성형장치에서 롤러부분을 중점으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국수성형장치에서 롤러부분을 중점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사선면대제조장치에서 롤러부분을 중점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사선면대제조장치에서 롤러부분을 중점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사선면대제조장치에서 롤러부분을 중점으로 도시한 좌측면도로, 각각의 롤러기어들이 서로 기어물림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사선면대제조장치에서 양측 롤러들이 위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 양측 롤러들에 형성된 사선엠보싱나선이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사선을 형성한 상태로 서로 같은 방향의 사선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사선면대제조장치에서 양측 롤러들이 위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 양측 롤러들에 형성된 사선엠보싱나선들이 서로 다른 방향의 사선을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사선면대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국수에 대한 예시도로, 다수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두 개의 사선면대제조장치에 앞서 스카이슬리팅장치를 구비한 상태에 대한 좌측 방향에 대한 것으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두 개의 사선면대제조장치에 앞서 스카이슬리팅장치를 구비한 상태에 대한 우측 방향에 대한 것으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면대를 얇게 켜는 스카이슬리팅장치에 대한 일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면대를 얇게 켜는 스카이슬리팅장치에 대한 타측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면대를 얇게 켜는 스카이슬리팅장치 중에서 양측 롤러를 지지하면서 회동시키는 슬리팅롤러회전연동기어장치와 이들 사이를 지나는 연속칼날의 회전 작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면대를 얇게 켜는 스카이슬리팅장치에 대한 타측의 저면 사시도로, 슬리팅연속칼날풀리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슬리팅풀리각도조절장치가 나타나도록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로 마련된 한 쌍의 롤러들이 서로 연동회동되도록 하는 롤러회전연동기어장치에 대한 사시도로, 도 19의 (a)는 구동축기어와 피동축기어 사이의 간격이 넓게 벌어진 상태로, 양측 롤러들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는 예를 보인 것이고, 도 19의 (b)는 구동축기어와 피동축기어 사이의 간격이 좁게 좁아진 상태로, 양측 롤러들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로 마련된 한 쌍의 롤러들이 서로 연동회동되도록 하는 롤러회전연동기어장치에서, 각 기어들이 기어물림된 상태 및 이로 인해 각 기어들이 회전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로 마련된 한 쌍의 롤러들에 있어서 일측 롤러에 대하 타측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롤러간격조절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로 마련된 한 쌍의 롤러들에 있어서 일측 롤러에 대하 타측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롤러간격조절장치에 의하여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재가 장치 몸체에 설치된 간격조절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2 등에서와 같이, 면대(11)를 연속공급받아 국수(12)를 제조하는 국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면대(11)는 이전의 과정에서 반죽되고 얇게 펴져 다수 압착으로 어느 정도 얇은 면대를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연속으로 지나는 면대(11)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한 사선면대제조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사선면대제조장치(40)는, 사선면대제조장치(40)의 두 개의 롤러를 지나는 면대(11)의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사선의 연속 홈인 사선홈라인(S)이 면대(11)에 형성되는 것이 주요 특징인 것이다.
즉 사선면대제조장치(40)는, 면대(11)를 연속공급받고, 상기 면대(11)의 양측면을 두 개의 롤러로 가압하며, 이러한 두 개의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롤러에 의하여 면대(11)에 경사진 사선의 홈인 사선홈라인(S)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속으로 지나는 면대(11)는 사선면대제조장치(40)를 지나면서 면대(1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사선홈라인(S)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사선면대제조장치(40)의 두 개의 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롤러는, 상기 면대(11)에 사선홈라인(S)을 형성하는 엠보싱이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은 롤러의 소정 구간 내에서 롤러의 외면을 따라 연속으로 형성된 나선형 엠보싱(embossing)을 이루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엠보싱(embossing)은 제1사선롤러(41) 및 제2사선롤러(42) 등에 형성된 엠보싱의 돌출부와 홈부 등에 의한 가압으로 인해, 면대(11), 그리고 이후의 과정에서 생산된 국수(12) 등의 표면에 엠보싱 돌출부와 홈부를 형성한 엠보싱(embossing) 무늬를 이르며, 결국 면대(11)와 국수(12) 등에 돌출 및 홈 등으로 사선 모양의 엠보싱 무늬를 형성한 것을 의미한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면대(11)가 지나는 영역에 대한 롤러 전체에 구간에 대해 나선형 엠보싱을 형성함으로써, 면대(11) 일면 또는 양면의 전체에 걸쳐 사선의 사선홈라인(S)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면대(11)의 중앙이나 왼쪽 부분이나 오른쪽 일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롤러 구간에 나선형 엠보싱을 형성할 경우, 해당 구간에 대한 면대(11)에만 사선홈라인을 형성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연속으로 공급되고 대면적을 이루는 면대(11)가 세절되어 제조되는 길고 가는 곡물제품이 제조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곡물제품은 다수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한 것이며, 특히 상기 홈과 엠보싱은 곡물제품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사선홈과 사선엠보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엠보싱의 곡물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곡물제품의 예로는 일반적인 원형의 횡단면을 이루는 국수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기타 사각국수, 우동면 국수, 칼국수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곡물제품에 사선방향의 사선홈과 사선엠보싱이 형성된 것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기타 이를 응용한 다양한 곡물제품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사선면대제조장치(40)는, 상기 두 개의 롤러로서 제1사선롤러(41) 및 제2사선롤러(4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1사선롤러(41)는 지나는 면대의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사선홈라인(111)을 형성하는 제1사선엠보싱나선(411)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사선롤러(42)는 지나는 면대의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2사선홈라인(112)을 형성하는 제2사선엠보싱나선(421)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양측 제1사선롤러(41)와 제2사선롤러(42) 모두 사선엠보싱나선이 형성될 수도 있어 면대(11)의 양면에 사선의 사선홈라인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사선롤러(41)나 제2사선롤러(42) 중 하나의 롤러만 사선엠보싱나선이 형성되면, 해당 롤러가 접하는 면대(11)의 면에만 사선홈라인이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하기의 설명에서는 양측 롤러에 모두 사선엠보싱나선이 형성된 실시예를 중점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기타의 예에서는 이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선면대제조장치(40)에서의 양측 롤러인 제1사선롤러(41) 및 제2사선롤러(41)에는 각각 나선형상으로 돌출된 제1사선엠보싱나선(411)과 제2사선엠보싱나선(4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양측 롤러의 제1사선엠보싱나선(411)과 제2사선엠보싱나선(421) 등의 최근접된 부분은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롤러간격(a)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롤러간격(a)을 이룸으로써 연속으로 지나는 면대(11)의 일부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으로 안정적으로 지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롤러간격(a)을 이루는 양측 롤러 중에서,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제2사선롤러(42) 측에 사선면대구동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갖는 사선면대구동부재(43)에 의한 구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측 롤러라고 할 경우, 제2사선롤러(42)의 제2롤러축(422)에는 제2롤러기어(423)가 마련되고, 피동측인 제1사선롤러(41)의 제1롤러축(412)에는 제1롤러기어(413)가 마련되며, 이러한 제2롤러기어(423)와 제1롤러기어(413)가 서로 기어결합됨으로써, 양측 제2사선롤러(42)와 제1사선롤러(41)가 서로 동일 회전수로 연동되도록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제1사선롤러(41)에서 제1사선엠보싱나선(411)의 제1사선엠보싱부(4111)와 제2사선롤러(42)에서 제2사선엠보싱나선(421)의 제2사선엠보싱부(4211) 사이의 간격이 롤러간격(a)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롤러간격(a) 만큼 면대(11)에 사선홈라인(S)의 홈 깊이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사선롤러(41)에서 제1사선엠보싱나선(411)의 제1사선홈부(4112)와, 제2사선롤러(42)에서 제2사선엠보싱나선(421)의 제2사선홈부(4212) 사이의 간격인 돌출높이형성간격(b)은, 면대의 각면에서 롤러간격(a)으로 인해 형성되는 홈의 높이가 된다. 즉 면대의 각면에 대해서, 제1사선엠보싱부(4111)와 제2사선엠보싱부(4211)에 의해 홈이 형성되며, 제1사선홈부(4112)와 제2사선홈부(4212)에 의해 면대(11)의 돌출된 엠보싱 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돌출높이형성간격(b)과 롤러간격(a) 차이만큼 면대의 홈과 엠보싱의 높이 차이가 되는 것이다.(실제로는 a, b 등은 양면에 대한 총합이므로, 각각의 면들에 대해서는 a/2, b/2 만큼의 홈과 엠보싱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및 사선면대제조장치(40) 등에 있어서 상기 제1사선엠보싱나선(411)과 제2사선엠보싱나선(421)인 양측 사선엠보싱나선에 대해서, 양측 사선엠보싱나선이 이루는 경사방향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대칭나선방향의 실시예가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대칭나선방향의 실시예로 하여 양측 제1사선엠보싱나선(411)과 제2사선엠보싱나선(421)이 구비될 경우, 면대(11)에 양면에 형성되는 제1사선홈라인(111)과 제2사선홈라인(112) 등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지향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면대(11)에 대해서, 이후의 과정으로 개별 분할되는 국수(12)로 제조될 경우, 즉 면대(11)의 진행방향으로 세절(細切)되어 국수(12)를 형성할 경우, 양측 사선엠보싱나선이 동일 각도를 이룰 경우에는 면대(11) 및 국수(12)의 양방향 면에 서로 홈과 돌출된 부분이 대칭되게 형성될 것이다.
또한 양측 사선엠보싱나선이 이루는 경사방향이 동일 방향을 이루는 동일나선방향으로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사선엠보싱나선(411)과 제2사선엠보싱나선(421) 등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앞선 대칭의 예와는 다르게, 면대(11)의 양면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사선홈라인이 형성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양측 제1사선엠보싱나선(411) 및 제2사선엠보싱나선(421)이 이루는 각도는 동일 각도를 이루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경사 각도를 이루는 것이다.
이로써 이러한 제1사선엠보싱나선(411) 및 제2사선엠보싱나선(421)에 의해 형성되는 면대(11)나 국수(12)에서도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사선홈라인이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경사 기울기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이로 인해 형성되는 면대(11)에는 일면 또는 양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진 사선인 사선홈라인(S)이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양면에 사선홈라인이 형성될 경우, 양면의 사선홈라인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반대의 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양면에 형성된 사선홈라인의 각도가 같거나 또는 다른 각도의 경사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의 사선면대제조장치(40)에 의하면 면대(11)로부터 국수(12)를 제조하기 전의 단계에서, 면대(11)에 일면 또는 양면으로 사선으로 경사진 사선홈라인(S)을 형성하게 되며, 이후의 과정에서 면대(11)를 소정의 간격으로 세절하여 국수(12)를 제조하는 과정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선면대제조장치(40)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사선홈라인(S)이 형성된 면대를 연속으로 공급받는 국수성형장치(60)를 구비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상기 국수성형장치(60)는 양측 국수성형롤러(61) 사이로 사선홈라인(S)이 형성된 면대를 공급받아 다수의 국수(12)로 절개하여, 국수(12)에 다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앞선 과정에서 사선면대제조장치(40)에 의해 면대(11)의 일면이나 양면에 사선홈라인(S)을 형성한 상태에서, 국수성형장치(60)에 의해 진행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이루게 세절함으로써 국수(12)를 제조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국수(12)의 일면 또는 양면에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국수사선홈(121)이나 국수사선엠보싱(122)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홈과 엠보싱인 국수사선홈(121)이나 국수사선엠보싱(122)이 형성된 국수(12)는 밋밋한 형태가 아니므로,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집더라도 미끄러지지 않아 손쉽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젓가락질이 서툰 사용자라도 손쉽게 국수를 먹을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근래에는 젓가락질이 서툰 외국인이라도 이러한 국수사선홈(121)이나 국수사선엠보싱(122)이 형성된 국수(12)를 손쉽게 즐겨먹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국수(12)는 횡단면이 둥근 일반국수, 횡단면이 사각인 사각국수로써 칼국수, 우동국수 등 다양한 국수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한 국수성형장치(60)도 그에 알맞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에 있어서, 면대(11)에 사선의 홈을 형성하는 사선면대제조장치(40)에 의한 단계에 앞서, 두꺼운 면대를 얇게 형성하여 2열의 사선면대제조장치 및 국수성형장치들을 구비함으로써 전체 국수 생산량을 증대시키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것으로, 도 13 내지 도 22 등에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면대보다 두꺼운 두께의 후판면대(131)를 얇게 켜서 후판면대(131)보다 얇은 두께의 면대로 분할하는 스카이슬리팅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 13, 도 14 등에서처럼 이러한 상기 스카이슬리팅장치(20)는, 후판면대(131)를 연속으로 공급받는 양측의 슬리팅공급롤러(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를 구비하고, 이러한 상기 양측의 슬리팅공급롤러 사이로 지나는 후판면대(131)를 얇게 켜 두 개의 제1면대(132), 제2면대(133)로 분할하는 연속칼날(23)이 지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면서 이러한 상기 연속칼날(23)의 양측을 지지하는 슬리팅연속칼날풀리를 구비하여, 연속칼날(23)이 안정적으로 양측 슬리팅공급롤러 사이를 연속해서 지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두꺼운 두께의 후판면대(131)를 보다 얇은 두께의 면대인 제1면대(132), 제2면대(133)로 얇게 켜서 분할하게 된다.
그리고 제1면대(132)는 연속공급받는 사선면대제조장치인 제1사선면대제조장치(141)로 공급되어 제1면대(132)에 사선 방향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하고, 제2면대(133)는 연속공급받는 사선면대제조장치인 제2사선면대제조장치(132)로 공급되어 제2면대(133)에 사선 방향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후 각각의 면대는 이후에 마련된 국수성형장치(60)로써 제1국수성형장치(151) 및 제2국수성형장치(152) 등으로 공급되어 사선방향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한 국수를 각각 만들게 된다. 그리하여 사선방향의 홈과 엠보싱을 형성한 국수를 스카이슬리팅장치(20)가 마련되지 않은 장치에 비해 두 배로 증가되어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스카이슬리팅장치(20)에 대한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카이슬리팅장치(20)는, 두꺼운 두께의 면대를 연속공급받는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 사이로 지나는 두꺼운 면대의 중앙에서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지나면서 두꺼운 면대를 얇게 켜 양측으로 두 개의 제1슬리팅면대(12) 및 제2슬리팅면대(13)로 제조하는 연속칼날(23)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속으로 지나는 연속칼날(23)에 의해 두꺼운 면대가 얇게 켜져 얇은 두께의 면대들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후 얇은 면대를 이용해서 중공국수나 일반국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에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다수 공정들에 의해서 두꺼운 면대(131, 후판면대(厚板麵帶))를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후판면대는 그대로 국수를 만들기에는 두껍게 제조된 것이지만 이를 분할하여 얇게 함으로써 얇은 면대로 하여 중공국수, 원형국수, 사각국수, 칼국수 등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순차적으로 압연된 면대(11)를 연속공급받아 중공국수 및 일반국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국수를 제조하는 국수제조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국수제조장치에 의하면, 국수를 제조하기 위한 면대보다 두꺼운 두께를 형성한 두꺼운 후판면대(131)를 공급받고, 국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스카이슬리팅장치(20)로 두꺼운 면대를 얇게 켜서 얇은 면대(132)(133)로 분할하며 이후 분할된 면대들로부터 각각 국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국수를 제조하기 위해 얇은 면대를 제조하는 상기 스카이슬리팅장치(20)는, 순차적으로 압연되어 두꺼운 두께를 이루는 후판면대(厚板麵帶, 131)를 연속공급받는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 사이로 지나는 후판면대(131)의 중앙을 지나면서 후판면대(131)를 얇게 켜 양측으로 두 개의 제1면대(132) 및 제2면대(133)로 제조하는 칼날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칼날은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 사이의 중앙에서 연속되게 지나며 띠 형상을 이루어 후판면대(131)를 얇게 켜는 연속칼날(2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제1슬리팅공급롤러(21), 제2슬리팅공급롤러(22) 등은 두꺼운 두께의 후판면대(131)를 공급받아 중앙의 연속칼날(23) 측으로 잘 지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기 위해 제1슬리팅공급롤러(21)와 제2슬리팅공급롤러(22)는 외면이 둥글고 매끈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카이슬리팅장치(20)의 일측에는 롤러구동부(미도시됨)가 마련되어 일측롤러의 축을 회동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일측 롤러(도 15 내지 도 17 등에서는 제1슬리팅공급롤러(21))의 회동은 다른 롤러(도 15 내지 도 17 등에서는 제2슬리팅공급롤러(22))를 연동되게 회동시키는 롤러회전연동기어장치(31)를 구비한다.
즉 이러한 스카이슬리팅장치에 있어서 롤러회전연동기어장치(31)는, 상기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의 회전축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를 동일하게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스카이슬리팅장치에 있어서 롤러회전연동기어장치(31)는 도 16, 도 17, 도 19, 도 20 등의 예에서처럼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 일측은 피동형 슬리팅롤러회전연동기어장치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롤러구동부(미도시됨)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며, 일측 슬리팅공급롤러의 회전력을 다른 측 슬리팅공급롤러로 전달하도록 다수의 슬리팅연동기어들이 구비된다.
즉 도 20에서처럼, 제1슬리팅공급롤러(21)를 구동 측의 롤러로 예로 하고, 제2슬리팅공급롤러(22)를 피동 측의 롤러로 예로하여 설명하면, 롤러구동부(미도시됨)의 회전력으로 제1슬리팅공급롤러(21)의 축인 구동축(314)을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구동축(314)의 회전으로 동축을 이루는 구동축기어(315)가 회전된다. 이에 이러한 구동축기어(315), 그리고 연동되는 피동축기어(318) 등은 이들 상부에 마련된 연동기어들에 의해 연동되는 것으로, 구동축기어(315)와 구동축연동기어(316)가 회전된다. 다만 구동축(314)과 구동축기어(315)가 상부에서 양측 롤러의 중앙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회전(도 20의 예에서 구동축은 시계방향 회전)되는 것에 반해, 이러한 구동축기어(315)와 기어물림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연동기어(316)는 반대의 회전방향(도 20의 예에서는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축연동기어(316)와 기어물림으로 회전되는 피동축연동기어(319)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연동되고, 최종 피동축(317)과 동축을 이루는 피동축기어(318)는 피동축연동기어(319)와 기어물림으로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도 20의 예에서는 피동축(317) 및 피동축기어(318)는 반시계방향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피동축(317)은 제2슬리팅공급롤러(22)와 동축을 이루어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구동축(314)과 동축을 이루는 제1슬리팅공급롤러(21)와, 피동축(317)과 동축을 이루는 제2슬리팅공급롤러(22)는 서로의 상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결국 이들 롤러 사이로 공급되는 두꺼운 면대를 중앙의 연속칼날(23)로 지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축기어(315), 구동축연동기어(316), 피동축연동기어(319), 피동축기어(318) 등은 롤러회전연동기어장치(31)의 회전연동몸체(3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축기어(315)가 결합되는 구동축지지대(312)와, 피동축기어(318)가 결합되는 피동축지지대(313) 등은 회전연동몸체(3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후술되는 스카이슬리팅장치에 있어서 롤러간격조절장치(33)에 의해 양측 롤러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때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상기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롤러간격조절장치(33)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카이슬리팅장치에 있어서 롤러간격조절장치(33)에 의하면, 작업자가 조작하기 위한 작동부(331, 즉 손잡이부분), 작동부(331)에 의해 회전되며 긴 막대형상을 하는 연동로드부(332), 이들 연동로드부(332) 양측으로 회전되면서 일측 롤러를 이동시키는 조절작동부(333)(334)가 마련된다.
이러한 양측 조절작동부(333)(334) 등은 롤러의 양쪽 축을 함께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며, 이로서 두 롤러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동로드부(332) 양측과 함께 조절작동부(333)(334)에는 서로 연동결합되면서 서로의 축방향이 직각을 이루게 하기 위한 헬리컬기어가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조절작동부(333)(334)에는 헬리컬기어가 마련되어 회전되면서 스카이슬리팅장치(20) 몸체에서 위치가 변동하지 않는 조절회전부(335), 조절회전부(335) 중앙의 암나사산과 나사결합으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조절이동부(336)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도 21, 도 22 등에서와 같이 조절이동부(336)는 제1슬리팅공급롤러(21)의 양측 축을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재(337)와 결합되어 결국 롤러를 이동시켜 양측 롤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즉 롤러지지부재(337)는 스카이슬리팅장치(20)의 몸체에 형성된 간격조절레일(338)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양측 롤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스카이슬리팅장치에 있어서 롤러간격조절장치(33)는 도 21 등에서는 작업자가 손으로 돌리도록 하는 회전손잡이로써 작동부(3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더하여 작동부는 제어컨트롤러(미도시됨)에 의해 자동작동을 위한 작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한 작동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카이슬리팅장치(20)에는, 연속으로 지나는 연속칼날(23)에 대해서, 상기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 양측으로 위치되고 연속칼날(23)이 외면을 지나는 제1슬리팅연속칼날풀리(24) 및 제2슬리팅연속칼날풀리(25)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양측의 풀리들이 서로 당겨진 상태에서 이들 사이를 연속으로 지나는 연속칼날(23)에 의해, 두꺼운 두께의 후판면대가 얇게 켜지는 것이다.
이에 아울러 상기 제1슬리팅연속칼날풀리(24) 및 제2슬리팅연속칼날풀리(25)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슬리팅칼날풀리간격조절부(26)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리팅칼날풀리간격조절부(26)는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 등의 일측에 위치되어 제1슬리팅연속칼날풀리(24) 및 제2슬리팅연속칼날풀리(2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슬리팅칼날풀리간격조절부(26)는 스카이슬리팅장치(20) 몸체에 대해 풀리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슬리팅칼날풀리간격조절부(26)는 도 15의 예시에서와 같이, 회전되며 일측에 헬리컬기어가 형성된 칼날풀리작동부(261), 이러한 칼날풀리작동부(261)의 헬리컬기어와 연동되는 헬리컬기어를 형성한 풀리간격조절회동부(262)가 마련된다. 이러한 풀리간격조절회동부(262)는 스카이슬리팅장치(20) 몸체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작동만 하게 된다. 그리고 풀리간격조절회동부(262)의 중앙의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간격조절이동부(미도시됨)는 일측 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몸체를 왕복이동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양측 풀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슬리팅공급롤러(21) 및 제2슬리팅공급롤러(22) 타측에는, 제1슬리팅연속칼날풀리(24) 및 제2슬리팅연속칼날풀리(25)를 구동시키는 풀리구동부(240)가 마련된다.
또한 도 18에서처럼 풀리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풀리를 감아 도는 연속칼날(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팅풀리각도조절장치(27)가 마련된다.
이러한 슬리팅풀리각도조절장치(27)는, 풀리회전축(271)이 스카이슬리팅장치(20)의 몸체에 대해 회동되게, 풀리회전축(271)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회동시키는 풀리축회동지지부재(272)가 마련된다. 또한 풀리축회동지지부재(272)를 중심으로 하여, 풀리회전축(271)이 회동되게 하면서, 풀리회전축(271)의 기울기 각도가 정해진 경우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풀리축기울기조절부재(273)가 마련된다.
이러한 풀리축기울기조절부재(273)는, 도 18의 예에서처럼 풀리축회동지지부재(272) 아래에서, 양측 풀리가 배열된 방향으로 각각 대향되게 두개가 마련된다. 또한 이들 풀리축기울기조절부재(273)는 조절볼트를 포함한 것으로, 조절볼트의 조절에 의해 풀리회전축(271) 아래 부분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풀리축회동지지부재(272)를 중심으로 하여 풀리회전축(271)의 기울기가 바뀌면서 기울기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풀리회전축(271)의 기울기 조절이 손쉽게 되어, 풀리로부터 벨트 형태의 연속칼날(2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1 : 면대 12 : 국수
20 : 스카이슬리팅장치
40 : 사선면대제조장치 41 : 제1사선롤러
42 : 제2사선롤러 60 : 국수성형장치

Claims (7)

  1. 일정 속도로 연속 공급되는 후판면대를 통과시키며 후판면대의 두께 방향 중앙부를 분할하여 두 겹의 면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후판면대를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이송력을 전달하는 제1,2공급롤러, 제1,2공급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롤러간격조절장치, 상기 제1,2공급롤러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어 제1,2롤러 사이를 통과 후 하강하는 후판면대를 절단하여 두 겹의 독립된 제1,2면대를 생산하는 연속칼날, 상기 연속칼날을 소정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시키는 한 쌍의 풀리 및 풀리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카이슬리팅장치와;
    상기 스카이슬리팅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면대를 통과시키며, 면대의 양측면에,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교차된 구조의 사선홈라인을 대칭으로 형성하는 제1사선면대제조장치와;
    상기 제1사선면대제조장치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내부로 상기 제2면대를 통과시키며, 면대의 양측면에,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교차된 구조의 사선홈라인을 대칭으로 형성하는 제2사선면대제조장치와;
    상기 제1사선면대제조장치의 연직 하부에 구비되며, 제1사선면대제조장치를 통과한 면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세절하여 국수를 제작하는 제1국수성형장치와;
    상기 제1국수성형장치의 측부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제2사선면대제조장치를 통과한 면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세절하여, 제1국수성형장치와 동시에 국수를 제작하는 제2국수성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사선면대제조장치는,
    평행한 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1사선롤러 및 제2사선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사선롤러가 형성한 사선홈라인과 제2사선홈라인이 형성한 사선홈라인의 연장방향은, 면대의 진행방향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05440A 2016-08-19 2016-08-19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KR101871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40A KR101871458B1 (ko) 2016-08-19 2016-08-19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40A KR101871458B1 (ko) 2016-08-19 2016-08-19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00A KR20180020700A (ko) 2018-02-28
KR101871458B1 true KR101871458B1 (ko) 2018-06-26

Family

ID=6140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440A KR101871458B1 (ko) 2016-08-19 2016-08-19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28763A1 (it) * 2020-11-27 2022-05-27 Italiana Pastifici S R L Procedimento di produzione a freddo di pasta alimentare e relativo apparato di produzi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45Y1 (ko) 2004-08-24 2004-12-17 구뜨누보 주식회사 국수 제조 장치
JP2011229457A (ja) * 2010-04-27 2011-11-17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手揉み風麺類の製造方法
KR101618576B1 (ko) * 2015-07-16 2016-05-09 최영춘 두꺼운 면대를 얇게 켜는 스카이슬리팅장치를 구비한 국수제조장치
JP7067371B2 (ja) 2018-08-27 202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システム、認証機、及び携帯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371B2 (ja) * 1987-01-20 1995-07-26 明星食品株式会社 手もみ風▲麺▼の製法及びその装置
KR980006235U (ko) 1998-02-27 1998-04-30 최영춘 중공되는 국수제조장치
KR101736345B1 (ko) * 2009-12-30 2017-05-16 김혜옥 파형의 국수 제조장치
KR20120079296A (ko) 2011-01-04 2012-07-12 박윤신 속심을 갖는 국수 제조 이중 노즐 장치
KR101584746B1 (ko) 2015-08-11 2016-01-21 이규복 곡물국수용 제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45Y1 (ko) 2004-08-24 2004-12-17 구뜨누보 주식회사 국수 제조 장치
JP2011229457A (ja) * 2010-04-27 2011-11-17 Nissin Foods Holdings Co Ltd 手揉み風麺類の製造方法
KR101618576B1 (ko) * 2015-07-16 2016-05-09 최영춘 두꺼운 면대를 얇게 켜는 스카이슬리팅장치를 구비한 국수제조장치
JP7067371B2 (ja) 2018-08-27 202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システム、認証機、及び携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00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45461A (ja) 二重ロール型可変シート長小孔列穿孔システム
US5196223A (en) Method of producing pie dough having slits
CH621685A5 (ko)
US6024554A (en) Dough sheeting apparatus
US7850888B2 (en) Striped drinking straw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736345B1 (ko) 파형의 국수 제조장치
WO2013182627A1 (de)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flach ausgewalzten, kontinuierlich geförderten teigbandes
KR101871458B1 (ko) 사선엠보싱 국수제조장치
US56142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lattice baked food products
KR101453439B1 (ko)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AU682971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food products
JP5208600B2 (ja) 麺帯圧延機および麺帯圧延方法
US5402715A (en) Rolling mill for noodle making
EP0841009A2 (en) A device for shaping portions of bread dough or the like
US7806678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moving trim from dough products
KR101732635B1 (ko) 두꺼운 면대를 얇게 켜는 스카이슬리팅장치를 구비한 국수제조장치
KR101618576B1 (ko) 두꺼운 면대를 얇게 켜는 스카이슬리팅장치를 구비한 국수제조장치
DE60109244T2 (de) Schneidkopf für mehrere Papierrollen
JP2006000154A (ja) 成型加工食品製造装置および成型加工食品製造方法
EP158862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Produkts aus Süsswarenmasse
EP3417711A1 (de) Teigverarbeitungsvorrichtung
DE19638307A1 (de) Verfahren zum Schneiden von kontinuierlich geförderten, flächigen Produkten aus Papier oder ähnlichen Materialien
US10897912B2 (en) Variable contoured rounding bar,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EP15134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strand into individual pieces
RU26023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ирального криволинейного воздух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