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240B1 -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240B1
KR101871240B1 KR1020157036562A KR20157036562A KR101871240B1 KR 101871240 B1 KR101871240 B1 KR 101871240B1 KR 1020157036562 A KR1020157036562 A KR 1020157036562A KR 20157036562 A KR20157036562 A KR 20157036562A KR 101871240 B1 KR101871240 B1 KR 10187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vent
state
hover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110A (ko
Inventor
양 왕
퀴앙 후
하오 첸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0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버튼 인터랙션 방법은,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버튼 인터랙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선명하고 정확한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고 완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인터랙션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BUTTON INTERACTION}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510036107.6이고, 출원일자가 2015년 1월 23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버튼 인터랙션(button interaction)은,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버튼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마우스를 통하여 버튼을 클릭하거나 또는 손으로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대응되는 휴먼-컴퓨터 인터랙션 반응을 트리거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웹 디자인 및 애플리케이션(APP) 개발 분야에서 버튼 인터랙션의 응용은 굉장히 광범위하다. 웹 디자인 또는 APP 개발 과정에서, 버튼 인터랙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휴먼-컴퓨터 인터랙션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할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인터랙션 과정이 더욱 직관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휴먼-컴퓨터의 다양성에 대하여 더욱 높은 요구가 제기되었으므로, 버튼 인터랙션 과정에서 어떻게 인터랙션 효율 및 인터랙션 체험을 향상시킬 것인가 하는 것은 현재 업계에서 주목하는 포커스로 되었다.
관련 기술 중에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양태에 근거하면,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튼 인터랙션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3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4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는 롱 프레스 이벤트이고, 상기 제2 기설정 이벤트는 릴리즈 이벤트이며,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는 마우스 호버 이벤트이고, 상기 제4 기설정 이벤트는 마우스 클릭 이벤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파동 패턴을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정적 출력하여,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기설정된 파동주기에 따라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파동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동 패턴이 물결 패턴일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정적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 압력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버튼 주위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정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상기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많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동 패턴이 물결 패턴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파동주기에 따라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는 단계는,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에서 물결 소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물결 소스가 기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점차 감쇠되는 물결 패턴을 왜부로 주기적으로 확산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양태에 근거하면,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모듈;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가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인터랙션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서브모듈;
제1 판정서브모듈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서브모듈;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제1 판정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모니터링서브모듈;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3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서브모듈;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서브모듈;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제2 모니터링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제2 판정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4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는 롱 프레스 이벤트이고, 상기 제2 기설정 이벤트는 릴리즈 이벤트이며,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는 마우스 호버 이벤트이고, 상기 제4 기설정 이벤트는 마우스 클릭 이벤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정적 출력하여,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제1 출력서브모듈;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기설정된 파동주기에 따라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파동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기 위한 제2 출력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동 패턴이 물결 패턴일 경우, 상기 제1 출력서브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서브유닛;
상기 프레스 압력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버튼 주위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정적 출력하기 위한 출력서브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상기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많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동 패턴이 물결 패턴일 경우, 상기 제2 출력서브모듈은,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에서 물결 소스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서브유닛;
상기 물결 소스가 기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점차 감쇠되는 물결 패턴을 외부로 주기적으로 확산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서브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양태에 근거하면,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버튼 인터랙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양태에 근거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버튼 인터랙션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양태에 근거하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기술적 해결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파동 패턴을 출력한다. 상기 파동 패턴은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기에, 버튼 인터랙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선명하고 정확한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고 완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인터랙션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기존의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모식도이다.
도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의 모식도이다.
도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상기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된 실시 예를 묘술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 및 이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서 사용된 단수 형식의 "한가지", "상기", "당해" 등 단어 역시 복수 형식을 포함하는 바, 상하 문장이 명확하게 기타 함의를 표시하는 것은 제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전문용어 "와/또는"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을 반드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제1, 제2 등 전문용어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기술하였을 지라도, 이러한 정보는 상기 전문용어에 한하지 않음을 반드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전문용어는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구분하는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정황하에서, 제1정보는 제2정보로 지칭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정보 역시 제1정보로 지칭할 수 있다. 문맥에 따라, 여기서 사용되는 "만약"은 "……할 경우", "……할 때" 또는 "……를 결정할 때"라고 해석할 수 있다.
기존의 버튼 인터랙션 과정에 있어서, 버튼은 통상적으로 Normal상태, Hover상태 및 Press상태 세가지 상태를 포함한다. 여기서, Normal상태는 버튼의 기본 외관 또는 정지할 경우의 외관이다. Hover상태는 마우스 이벤트를 버튼에 이동하거나 또는 버튼을 이출(移出)할 경우, 버튼이 나타내는 한가지 호버의 상태인 바, Hover상태는 통상적으로 한가지 중간 상태로 이해할 수 있고, 상기 상태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클릭하면 하나의 이벤트가 트리거 되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Press상태는 버튼이 프레스된 상태인 바, 버튼이 Press상태에 처할 경우, 통상적으로 하나의 이벤트가 트리거 되는데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의 스위치 버튼을 예로 들어, 스위치 버튼이 Press상태에 처할 경우, 통상적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를 작동시키는 이벤트를 트리거 할 수 있다.
기존의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설계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버튼은 이상의 세가지 버튼 상태로 상이한 버튼 양식을 각각 설계하여, 사용자가 버튼과 인터랙션 페이지를 통해 휴먼-컴퓨터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설계에 있어서, 버튼이 버튼 상태의 전환을 진행할 경우, Hover상태와 Press상태는 버튼을 통하여 상이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기존의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설계에 있어서, 이상의 세가지 버튼 상태 외에도, 통상적으로 로딩(Loading)상태로 인입할 수 있는 바, 상기 Loading상태는 한가지 상태 알림으로서, 통상적으로 한가지 로딩 애니메이션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버튼이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은 단말기에 설치된, 원격 스마트 기기의 APP의 스위치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버튼이 Press상태에 처한 후(곧 버튼을 누름), 통상적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를 작동시키는 하나의 이벤트를 트리거 하고, 상기 이벤트는 트리거된 후, 단말기는 백그라운드에서 스마트 기기에 하나의 작동 인스트럭션을 발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작동 인스트럭션을 수신한 후, 기기를 작동시키고, 작동을 성공한 후 단말기에 작동을 성공한 응답 메세지를 반송한다. 따라서, 도1을 참조하면, 단말기가 상기 작동 인스트럭션을 발송한 후, 상기 버튼의 영역에서 하나의 플로팅 레이어를 출력할 수 있고, 플로팅 레이어에서 도1에 도시된 로딩 애니메이션을 방송(播放)할 수 있으며, 상기 로딩 애니메이션은 상기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表征)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가 작동 성공한 후,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가 반송한 작동 성공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후, 이 때 작동 단말기의 이벤트 로딩이 종료되며, 따라서 상기 로딩 애니메이션의 방송을 정지하고, 플로팅 레이어를 숨길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버튼의 영역은 정상적으로 Press상태에 처할 경우의 버튼 양식을 표시한다.
이상의 묘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 기존의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설계에는 적어도 하기와 같은 흠결이 존재한다.
한편으로, 기존의 설계에 있어서, 상이한 버튼 상태를 상이한 버튼 양식으로 설계하는 것을 통하여(예를 들어 색상으로 구분함)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는 것은, 인터랙션성이 부족하고, 특히는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버튼과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버튼을 가리는 것으로 인해, 인터랙션 알림이 선명하고 정확하게 출력되지 않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기존의 설계에 있어서, Loading상태로 인입하는 것을 통하여, 버튼이 Press상태로 전환 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하는 것은, 실시 과정에서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플로팅 레이어를 출력해야 하는 것으로 인하여 Loading상태가 대응하는 로딩 애니메이션을 방송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에서 단위 면적의 설계 적재 능력을 감소시켜, 충분히 설계 공간을 이용할 수 없기에, 설계 효율이 부족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방법을 제공하는 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파동 패턴을 출력하고, 상기 파동 패턴으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한다. 본 발명은 버튼의 Hover상태, Press상태, Loading상태에 대하여 통합 조정 설계하였고, 기존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설계 중의 버튼 상태와 로딩 애니메이션의 인터랙션 기능을 계승하는 전제하에서, 기존 버튼 상태의 버튼 양식과 Loading상태의 로딩 애니메이션을 통합 조정하고, 통일된 버튼 주위에 분포된 파동 패턴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하며, 시각 초점과 작동 중심을 교묘하게 일체로 융합시켜, 버튼 인터랙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선명하고 정확한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고 완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인터랙션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방법이고, 상기 버튼 인터랙션 방법은 단말기에 응용되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 있어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버튼 상태는 Normal상태, Hover상태와 Press상태 세가지를 포함할 수 있는 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상이한 단말기 하드웨어의 환경하에서 상이한 실현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실시될 경우, 버튼 상태의 전환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터치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 되는 것이므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하여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PC 단말기에서 실시될 경우, 버튼 상태의 전환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마우스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므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하여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아래에 상기 두가지 상이한 단말기 하드웨어 환경을 결부하여 각각 묘사한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실시될 경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롱 프레스 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트리거할 수 있다.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롱 프레스한 후 릴리즈 동작으로 트리거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터치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감정할 수 있고,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기설정 이벤트로 실현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상기 터치 이벤트가 롱 프레스 이벤트(제1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이때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롱 프레스 이벤트인 것으로 판정해 낸 후, 백그라운드에서 버튼이 현재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계속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 만약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또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릴리즈 이벤트(제2 기설정 이벤트)인 것으로 모니터링해 낼 경우, 이때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릴리즈 이벤트인 것으로 판정해 내며, 백그라운드에서 버튼이 이미 현재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확정(
Figure 112015126783243-pct00001
)할 수 있다.
PC 단말기에서 실시될 경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마우스 이벤트를 호버하는 것을 통하여 트리거 될 수 있다.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마우스 이벤트 호버한 후 클릭 동작을 진행하는 것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따라서, PC 단말기가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마우스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링한 마우스 이벤트가 기설정 이벤트로 실현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판정해 낸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마우스 호버 이벤트(제3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이때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PC 단말기가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마우스 호버 이벤트인 것을 판정해 낸 후, 백그라운드에서 버튼이 현재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PC 단말기는 계속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 만약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또한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마우스 클릭 이벤트(제4 기설정 이벤트)인 것으로 모니터링해 낼 경우, 이때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PC 단말기가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마우스 클릭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버튼이 이미 현재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확정(
Figure 112015126783243-pct00002
)할 수 있다.
단계202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는,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된 것일 수 있고,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 상태에 대해 통합 조정을 진행하는 목적에서 비롯하여,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거나,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할지라도, 통일적으로 버튼 주위에서 하나의 파동 패턴을 출력할 수 있으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한다.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에, Loading상태의 기능을 대체하여,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한다.
실시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정적 상태인 과정이므로, 따라서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정적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이 밖에,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동적 과정이므로, 따라서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 기설정된 파동주기에 따라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파동 패턴의 출력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이벤트의 완전한 로딩 진행상황을 제공한다.
여기서, 실시 과정에서, 상기 파동 패턴은, 물결 패턴일 수 있는 바, 아래에 상기 파동 패턴이 물결 패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에 대하여 롱 프레스 동작 또는 마우스 서스펜드 동작을 진행할 경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한 후, 버튼 주위에서 버튼을 에워싼 물결 패턴을 정적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인터랙션 알림을 수신한 후, 상기 버튼이 현재 이미 Hover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정확하게 알게 될 수 있다. 이 밖에, 알림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롱 프레스 동작을 통해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트리거하는 정황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고, 그 다음 프레스 압력의 세기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정황하에서, 물결 패턴을 출력하는 개수는 프레스 압력의 세기에 결정될 수 있는 바,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많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에 대하여 롱 프레스 동작을 진행한 후의 릴리즈 동작 또는 마우스 클릭 동작을 통하여,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킨 후, 기설정된 확산 속도에 따라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버튼을 에워싼 물결 패턴을 밖으로 향해 확산시킬 수 있다.
실시 과정에서, 버튼 가장자리에 하나의 물결 소스를 설정할 수 있고, 그 다음 단말기는 백그라운드에서 물결 소스가 매 고정 시간마다 하나의 물결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매 하나의 물결이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외부로 확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더욱 훌륭한 인터랙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물결 패턴은 외부로 확산하는 과정에서 점차 감쇠될 수도 있고, 단말기는 인터랙션 인터페이스가 일정한 빈도에 따라 주기적으로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리프레시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매번 리프레시 후 현재 물결의 위치 및 감쇠 정도를 재차 산출하고, 그 다음 물결을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에 렌더링시킨다. 여기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에 대한 리프레시 비율은, 실제 수요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실시 과정에서 비교적 높은 리프레시 빈도를 설정함으로써, 렌더링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물결 패턴의 감쇠 과정은, 상이한 물결 패턴을 위해 상이한 명암 정도를 설정하는 것을 통해 물결 패턴의 감쇠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되고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이때 상기 버튼을 에워싼 물결 패턴을 밖으로 향해 확산시키는 것을 동기화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동적 출력되는 상기 파동 패턴의 과정과 상기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완전하게 연관시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이벤트의 완전한 로딩 진행상황을 동기화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버튼이 Press상태로 전환한 후, 이때 버튼은 "누름"상태에 처하고, 사용자가 "누름" 버튼을 팝업하는 상태로 회복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재차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터치동작 또는 마우스 동작을 통해 버튼 상태의 전환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황하에서, 버튼의 Press상태는 현재의 Normal상태인 것으로 인정할 수 있고, 버튼이 "누름" 이전의 Normal상태는 현재의 Press상태인 것으로 인정할 수 있으며, 버튼이 현재의 Normal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 이때 버튼은 "팝업"상태에 처하는 바, 여기서 상세한 버튼 상태 전환 과정은 이상의 실시예의 묘사와 동일하기에, 본 실시예에서 더 서술하지 않겠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파동 패턴을 출력하고, 상기 파동 패턴이 인터랙션 알림 및 상기 버튼 상태 전환하여 트리거된 이벤트를 표징하는 로딩 진행상황을 발송한다. 본 발명은 버튼의 Hover상태, Press상태, Loading상태에 대하여 통합 조정 설계하였고, 기존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설계 중의 버튼 상태와 로딩 애니메이션의 인터랙션 기능을 이어받는 전제하에, 기존 버튼 상태의 버튼 양식과 Loading상태의 로딩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통합 조정을 진행하였으며, 버튼 주위에 분포된 파동 패턴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통일로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하고, 시각 초점과 작동 중심을 교묘하게 일체로 융합시켜, 버튼 인터랙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선명하고 정확한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고 완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인터랙션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방법이고,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응용되며, 상기 단말기는 PC 단말기 또는 터치 스크린 스마트 단말기일 수 있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 있어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302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정적 출력하여,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한다.
단계303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기설정된 파동주기에 따라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파동 패턴의 출력을 정지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이상의 단계302와 단계303의 순서는 상호 교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버튼 상태는 Normal상태, Hover상태와 Press상태 세가지를 포함할 수 있고,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에, 상이한 단말기 하드웨어 환경하에 상이한 실현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실시될 경우, 버튼 상태의 전환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터치 이벤트를 트리거한 것이므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통해 실현시킬 수 있다. PC 단말기에서 실시될 경우, 버튼 상태의 전환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마우스 이벤트를 트리거한 것이므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통해 실현시킬 수 있다.
아래에 상기 두가지 상이한 단말기 하드웨어 환경을 결부하여 각각 묘사한다.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실시될 경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롱 프레스 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트리거할 수 있고,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롱 프레스한 후 릴리즈 동작으로 트리거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터치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감정할 수 있고, 모니터링한 터치 이벤트가 기설정 이벤트로 실현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상기 터치 이벤트가 롱 프레스 이벤트(제1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이때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롱 프레스 이벤트인 것으로 판정해 낸 후, 백그라운드에서 버튼이 현재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터치 스크린 단말기는 계속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 만약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또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릴리즈 이벤트(제2 기설정 이벤트)인 것으로 모니터링해 낼 경우, 이때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 단말기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릴리즈 이벤트인 것으로 판정해 내며, 백그라운드에서 버튼이 이미 현재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확정(
Figure 112015126783243-pct00003
)할 수 있다.
PC 단말기에서 실시될 경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마우스 이벤트를 호버하는 것을 통하여 트리거 될 수 있다.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마우스 이벤트 호버한 후 클릭 동작을 진행하는 것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따라서, PC 단말기가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한한 마우스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링한 마우스 이벤트가 기설정 이벤트로 실현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판정해 낸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마우스 호버 이벤트(제3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이때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PC 단말기가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마우스 호버 이벤트인 것을 판정해 낸 후, 백그라운드에서 버튼이 현재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PC 단말기는 계속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바, 만약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또한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마우스 클릭 이벤트(제4 기설정 이벤트)인 것으로 모니터링해 낼 경우, 이때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PC 단말기가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마우스 클릭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버튼이 이미 현재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확정(
Figure 112015126783243-pct00004
)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는,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된 것일 수 있고,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 상태에 대해 통합 조정을 진행하는 목적에서 비롯하여,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거나,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할지라도, 통일적으로 버튼 주위에서 하나의 파동 패턴을 출력할 수 있으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한다.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에, Loading상태의 기능을 대체하여,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한다.
실시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정적 상태인 과정이므로, 따라서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정적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이 밖에,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동적 과정이므로, 따라서 버튼이 Hover상태에서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 기설정된 파동주기에 따라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파동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며,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이벤트의 완전한 로딩 진행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 과정에서, 상기 파동 패턴, 물결 패턴일 수 있는 바, 아래에 상기 파동 패턴이 물결 패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에 대하여 롱 프레스 동작 또는 마우스 서스펜드 동작을 진행할 경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한 후, 버튼 주위에서 버튼을 에워싼 물결 패턴을 정적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인터랙션 알림을 수신한 후, 상기 버튼이 현재 이미 Hover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정확하게 알게 될 수 있다. 이 밖에, 알림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롱 프레스 동작을 통해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트리거하는 정황에 대해, 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고, 그 다음 프레스 압력의 세기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정황하에서, 물결 패턴을 출력하는 개수는 프레스 압력의 세기에 결정될 수 있는 바,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많다.
예를 들어,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이 터치 스크린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한, 원격 스마트 기기의 APP의 스위치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것임을 예로 들어,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롱 프레스 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통해,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트리거한 후, 상기 버튼 주위에서 에워싸인 물결패턴을 정적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버튼 주위에 물결패턴이 나타난 것을 관찰한 후, 상기 버튼이 현재 이미 Hover상태로 전환된 것을 정확하게 될 수 있다. 이 밖에, 알림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단말기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고, 그 다음 프레스 압력의 세기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많다.
선행의 실현과 비교하면, 상기 물결패턴이 버튼 주위에서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버튼을 롱 프레스할 경우, 버튼 상태 전환 후 발송하는 인터랙션 알림을 가리지 않기에, 제공하는 방식이 더욱 직관적이므로 사용자는 선명하고 정확한 인터랙션 알림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에 대하여 롱 프레스 동작을 진행한 후의 릴리즈 동작 또는 마우스 클릭 동작을 통하여,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킨 후, 기설정된 확산 속도에 따라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버튼을 에워싼 물결 패턴을 밖으로 향해 확산시킬 수 있다.
실시 과정에서, 버튼 가장자리에 하나의 물결 소스를 설정할 수 있고, 그 다음 단말기는 백그라운드에서 물결 소스 매 고정 시간을 걸러 하나의 물결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매 하나의 물결이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외부로 확산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더욱 훌륭한 인터랙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물결 패턴이 외부로 확산하는 과정에서 점차 감쇠시킬 수 있고, 단말기는 인터랙션 인터페이스가 일정한 빈도 주기성에 따라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리프레시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매번 리프레시 후 현재 물결의 위치 및 감쇠 정도를 재차 산출하고, 그 다음 물결을 인터랙션 인터페이스에 렌더링시킨다. 여기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에 대한 리프레시 비율은, 실제 수요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실시 과정에서 비교적 높은 리프레시 빈도를 설정함으로써, 렌더링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물결 패턴의 감쇠 과정은, 상이한 물결 패턴을 위해 상이한 명암 정도를 설정하는 것을 통해 물결 패턴의 감쇠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되고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이때 상기 버튼을 에워싼 물결 패턴을 밖으로 향해 확산시키는 것을 동기화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동적 출력되는 상기 파동 패턴의 과정과 상기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완전하게 연관시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이벤트의 완전한 로딩 진행상황을 동기화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이 터치 스크린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한, 원격 스마트 기기의 APP의 스위치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것임을 여전히 예로 들어, 사용자가 상기 버튼에 대하여 롱 프레스를 진행한 후의 릴리즈 동작을 통해,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킨 후, 통상적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를 작동시키는 하나의 이벤트를 트리거 할 수 있고, 상기 이벤트가 트리거된 후, 단말기는 백그라운드에서 스마트 기기에게 하나의 작동 인스트럭션을 발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작동 인스트럭션을 수신한 후, 기기를 작동시키고 작동 성공 후 단말기에 작동을 성공한 응답 메세지를 반송한다. 따라서, 도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에게 하나의 작동 인스트럭션을 발송한 후, 기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버튼을 에워싼 점차 감쇠되는 물결 패턴을 밖으로 향해 확산시키며, 상기 물결 패턴의 확산 과정과 상기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이 완전히 동기화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물결 패턴이 동적 출력되는 과정에서 제공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관찰하는 것을 통해, 상기 이벤트의 완전한 로딩 진행상황을 동기화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선행의 실현과 비교하면, 상기 물결패턴이 버튼 주위에서 출력되고, 또한 Loading상태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하므로, 따라서 독립적인 플로팅 레이어을 인입하여 Loading상태가 대응하는 로딩 애니메이션을 방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중 단위 면적의 설계 적재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설계 공간을 충분히 이용함으로써 설계 효율을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버튼이 Press상태로 전환한 후, 이때 버튼은 "누름"상태에 처하고, 사용자가 "누름" 버튼을 팝업하는 상태로 회복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재차 상기 버튼이 소재하는 영역에 대하여 지정된 터치동작 또는 마우스 동작을 통해 버튼 상태의 전환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황하에서, 버튼의 Press상태는 현재의 Normal상태인 것으로 인정할 수 있고, 버튼이 "누름" 이전의 Normal상태는 현재의 Press상태인 것으로 인정할 수 있으며, 버튼이 현재의 Normal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할 경우, 이때 버튼은 "팝업"상태에 처하는 바, 여기서 상세한 버튼 상태 전환 과정은 이상의 실시예의 묘사와 동일하기에, 본 실시예에서 더 서술하지 않겠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파동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파동 패턴이 인터랙션 알림 및 상기 버튼 상태 전환하여 트리거된 이벤트를 표징하는 로딩 진행상황을 발송한다. 본 발명은 버튼의 Hover상태, Press상태, Loading상태에 대하여 통합 조정 설계하였고, 기존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설계 중의 버튼 상태와 로딩 애니메이션의 인터랙션 기능을 이어받는 전제하에, 기존 버튼 상태의 버튼 양식과 Loading상태의 로딩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통합 조정을 진행하였으며, 버튼 주위에 분포된 파동 패턴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통일로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하고, 시각 초점과 작동 중심을 교묘하게 일체로 융합시켜, 버튼 인터랙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선명하고 정확한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고 완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인터랙션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버튼 인터랙션 방법 실시예와 서로 대응되게, 본 발명은 장치의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도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모식 블록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600)는 판정모듈(601)과 출력모듈(6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정모듈(601)은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모듈(602)은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파동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파동 패턴이 인터랙션 알림 및 상기 버튼 상태 전환하여 트리거된 이벤트를 표징하는 로딩 진행상황을 발송한다. 본 발명은 버튼의 Hover상태, Press상태, Loading상태에 대하여 통합 조정 설계하였고, 기존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설계 중의 버튼 상태와 로딩 애니메이션의 인터랙션 기능을 이어받는 전제하에, 기존 버튼 상태의 버튼 양식과 Loading상태의 로딩 애니메이션에 대하여 통합 조정을 진행하였으며, 버튼 주위에 분포된 파동 패턴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랙션 알림을 통일로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표징하고, 시각 초점과 작동 중심을 교묘하게 일체로 융합시켜, 버튼 인터랙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선명하고 정확한 인터랙션 알림을 출력하고 완전한 인터랙션 프로세스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인터랙션 체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도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6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판정모듈(601)은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601A), 제1 판정서브모듈(601B), 제1 결정서브모듈(601C)과 제2 결정서브모듈(601D)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601A)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판정서브모듈(601B)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결정서브모듈(601C)은 제1 판정서브모듈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결정서브모듈(601D)은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제1 판정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도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6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판정모듈(601)은 제2 모니터링서브모듈(601E), 제2 판정서브모듈(601F), 제3 결정서브모듈(601G)과 제4 결정서브모듈(601G)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모니터링서브모듈(601E)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판정서브모듈(601F)은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3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 결정서브모듈(601G)은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4 결정서브모듈(601G)은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제2 모니터링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제2 판정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4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도8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가 표시하는 제2 모니터링서브모듈(601E), 제2 판정서브모듈(601F), 제3 결정서브모듈(601G)과 제4 결정서브모듈(601G)의 구조는 전술한 도7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9를 참조하면, 도9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6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출력모듈(602)은 제1 출력서브모듈(602A)과 제2 출력서브모듈(602B)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서브모듈(602A)은 상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정적 출력하여,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출력서브모듈(602B)은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기설정된 파동주기에 따라 상기 버튼 주위에서 상기 파동 패턴을 동적 출력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파동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도9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에서 표시하는 제1 출력서브모듈(602A)과 제2 출력서브모듈(602B)의 구조는 전술한 도7-8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10을 참조하면, 도10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9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파동 패턴이 물결 패턴일 경우, 상기 제1 출력서브모듈(602A)은 획득서브유닛(602A1)과 출력서브유닛(602A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획득서브유닛(602A1)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서브유닛(602A2)은 상기 프레스 압력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버튼 주위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정적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상기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많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10에 도시된 상기 장치 실시예에서 표시하는 획득서브유닛(602A1)과 출력서브유닛(602A2)의 구조는 전술한 도6-8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도11을 참조하면, 도1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한가지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도9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파동 패턴이 물결 패턴일 경우, 상기 제2 출력서브모듈(602B)은 설정서브유닛(602B1)과 제어서브유닛(602B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서브유닛(602B1)은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에서 물결 소스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서브유닛(602B2)은 상기 물결 소스가 기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밖으로 향하여 점차 감쇠되는 물결 패턴을 확산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도11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에서 표시하는 설정서브유닛(602B1)과 제어서브유닛(602B2)의 구조는 전술한 도6-8 또는 10의 장치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장치의 매 하나의 모듈 또는 유닛의 기능과 작용의 실현 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 인터랙션 방법에서 대응되는 단계의 실현 과정을 참조하기 바라는 바,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장치 실시예에 대해 말하자면, 이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기에 관련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부분적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이상의 묘사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여기서 분리 부재로 설명되는 모듈 또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모듈 또는 유닛 디스플레이 부재로서 물리적 모듈 또는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모듈 또는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세 수요에 근거하여 그중의 부분 또는 전부의 모듈 또는 유닛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정황하에서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발명은 버튼 인터랙션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응하게, 본 발명은 단말기를 더 제공하는 바, 상기 단말기는 메모리, 및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한가지 버튼 인터랙션 장치(1200)이고, 상기 장치(12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방송 단말,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기기, 의료기기, 휘트니스기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12를 참조하면, 장치(12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202), 메모리(1204), 전원 어셈블리(1203),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204), 오디오 어셈블리(1205), 입력/출력(I/O)의 인터페이스(1206), 센서 어셈블리(1207) 및 통신 어셈블리(1208)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202)는 통상적으로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동작과 관련한 장치(1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202)는 상기 버튼 인터랙션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1209)를 포함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싱 어셈블리(120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2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1202)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204)와 프로세싱 어셈블리(1202)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4)는 장치(1200)의 작동을 지지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장치(1200)에서 작동하기 위한 그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인스트럭션, 연락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정보,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204)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1203)는 장치(12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1203)는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및 장치(12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204)는 상기 장치(12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의 손동작을 감지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작동과 관련한 지속시간과 압력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204)는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2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촬영모드 또는 화상모드일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와 광학 줌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205)는 오디오신호를 출력/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1205)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한 바, 장치(12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호출모드, 기록모드 및 음성인식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또한 메모리(12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어셈블리(1208)를 거쳐 발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1205)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인터페이스(1206)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202)와 주변 인터페이스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작동버튼과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207)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12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1207)는 장치(1200)의 온/오프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위치, 예를 들어 상기 어셈블리는 장치(1200)의 모니터와 키패드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어셈블리(1207)는 장치(1200) 또는 장치(1200)의 한 어셈블리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1200)의 접촉여부, 장치(1200) 방위 또는 가속/감속과 장치(1200)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207)는 아무런 물리접촉이 없을 경우 주변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배치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207)는CMOS 또는 CCD 영상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하여 영상응용에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207)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208)는 장치(1200)와 기타 기기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편리하도록 한다. 장치(1200)는 통신표준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을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1208)는 방송신호를 거쳐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의 방송신호 또는 방송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208)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주파수 인식(RFID)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InDA)기술, 초광대역(UWB)기술, 블루투스(BT)기술과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장치(1200)는 상기 버튼 인터랙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부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상기 버튼 인터랙션 방법을 완성하도록 장치(1200)의 프로세서(1209)가 실행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메모리(1204)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켓과 광 데이터 저장기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매체 중의 인스트럭션이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이동 단말기로 하여금 버튼 인터랙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할 경우,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파동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단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8)

  1. 단말기에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고, 상기 프레스 압력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정적 출력하고, 상기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상기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더 많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에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물결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는 버튼 인터랙션(interaction) 방법.
  2. 단말기에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에서 물결 소스를 설정하고, 상기 물결 소스가 기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점차 감쇠되는 물결 패턴을 외부로 주기적으로 확산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에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물결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튼 인터랙션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3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4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튼 인터랙션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는 롱 프레스 이벤트이고, 상기 제2 기설정 이벤트는 릴리즈 이벤트인 버튼 인터랙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는 마우스 호버 이벤트이고, 상기 제4 기설정 이벤트는 마우스 클릭 이벤트인 버튼 인터랙션 방법.
  7. 삭제
  8.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모듈;
    상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서브유닛과, 상기 프레스 압력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정적 출력하기 위한 출력서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상기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더 많은 제1 출력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서브모듈;
    제1 판정서브모듈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서브모듈;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제1 판정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서브모듈은,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물결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는 버튼 인터랙션 장치.
  9.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모듈;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에서 물결 소스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서브유닛과, 상기 물결 소스가 기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점차 감쇠되는 물결 패턴을 외부로 주기적으로 확산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제2 출력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서브모듈;
    제1 판정서브모듈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서브모듈;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제1 모니터링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제1 판정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서브모듈은,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물결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는 버튼 인터랙션 장치.
  10. 삭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모니터링서브모듈;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3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서브모듈;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서브모듈;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제2 모니터링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마우스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제2 판정서브모듈에 의해 상기 마우스 이벤트가 제4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서브모듈을 포함하는 버튼 인터랙션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는 롱 프레스 이벤트이고, 상기 제2 기설정 이벤트는 릴리즈 이벤트인 버튼 인터랙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설정 이벤트는 마우스 호버 이벤트이고, 상기 제4 기설정 이벤트는 마우스 클릭 이벤트인 버튼 인터랙션 장치.
  14. 삭제
  15.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버튼이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될 경우, 사용자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프레스 압력을 획득하고, 상기 프레스 압력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버튼 주위에서, 인터랙션 알림을 발송하고 상기 버튼 상태 전환에 의해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로딩 진행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기설정된 개수의 물결 패턴을 정적 출력하고, 상기 프레스 압력이 클수록 상기 버튼 주위에서 정적 출력하는 물결 패턴의 개수가 더 많고,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에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물결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버튼 인터랙션 장치.
  16.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에서 물결 소스를 설정하고, 상기 물결 소스가 기설정된 확산속도에 따라 점차 감쇠되는 물결 패턴을 외부로 주기적으로 확산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버튼에서 버튼 상태 전환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1 기설정 이벤트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기설정 이벤트일 경우, 상기 버튼을 Normal상태로부터 Hover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이벤트를 재차 모니터링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제2 기설정 이벤트로 판정될 경우, 상기 버튼을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결정하고, 상기 버튼이 Hover상태로부터 Press상태로 전환될 경우에 트리거된 이벤트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물결 패턴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버튼 인터랙션 장치.
  17.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중의 임의의 1항에 기재된 버튼 인터랙션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18. 청구항 17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7036562A 2015-01-23 2015-10-28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71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36107.6 2015-01-23
CN201510036107.6A CN104598112B (zh) 2015-01-23 2015-01-23 按钮交互方法和装置
PCT/CN2015/093065 WO2016115930A1 (zh) 2015-01-23 2015-10-28 按钮交互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110A KR20160102110A (ko) 2016-08-29
KR101871240B1 true KR101871240B1 (ko) 2018-08-02

Family

ID=5312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562A KR101871240B1 (ko) 2015-01-23 2015-10-28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05676B2 (ko)
EP (1) EP3089016A4 (ko)
JP (1) JP6211721B2 (ko)
KR (1) KR101871240B1 (ko)
CN (1) CN104598112B (ko)
MX (1) MX2016002007A (ko)
RU (1) RU2651194C2 (ko)
WO (1) WO2016115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8112B (zh) * 2015-01-23 2019-01-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按钮交互方法和装置
CN106547461B (zh) * 2015-09-23 2021-11-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操作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05706051A (zh) * 2016-01-21 2016-06-22 马岩 一种app操作方法及系统
USD832284S1 (en) * 2016-12-12 2018-10-30 Curious.Com, Inc. Computer display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6660S1 (en) * 2016-12-28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328143B (zh) * 2017-04-14 2024-06-21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按钮激活方法及装置
USD887423S1 (en) * 2017-11-07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5332S1 (en) * 2018-02-06 2019-04-09 Krikey, In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2764S1 (en) * 2018-03-16 2020-01-14 Magic Leap,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0992S1 (en) * 2018-03-16 2021-06-01 Magic Leap,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2131S1 (en) 2018-03-16 2020-08-04 Magic Leap,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1037S1 (en) 2018-06-03 2019-09-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con
CN109960448B (zh) * 2019-03-21 2020-01-17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场景特效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244948B (zh) * 2019-04-24 2023-07-07 深圳点猫科技有限公司 基于编程语言对按钮状态进行切换的方法以及电子设备
USD976264S1 (en) * 2019-05-16 2023-01-24 Pathway Innovations And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3760427B (zh) * 2019-08-09 2022-12-16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页面元素的方法和电子设备
CN111859214A (zh) * 2020-06-24 2020-10-30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网页浏览器的加载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7049A1 (en) * 2009-01-13 2010-07-15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response to touch inputs
WO2014100953A1 (en) * 2012-12-24 2014-07-03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562A (en) * 1995-01-17 1997-12-02 Fisher; Thomas A. Closely integrated key icons in a graphical interface
JPH08227341A (ja) * 1995-02-22 1996-09-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6825861B2 (en) * 2001-01-08 2004-11-30 Apple Computer, Inc. Three state icons for operation
JP3755499B2 (ja) 2002-09-06 2006-03-15 ソニー株式会社 Gui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支援装置、gui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755500B2 (ja) * 2002-09-06 2006-03-15 ソニー株式会社 Gui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支援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086977A (ja) * 2005-09-21 2007-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機器
US7692629B2 (en) * 2006-12-07 2010-04-06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touch screen interfaces
US9652030B2 (en) * 2009-01-30 2017-05-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vigation of a virtual plane using a zone of restriction for canceling noise
KR101304321B1 (ko) * 2010-01-22 2013-09-11 전자부품연구원 싱글 터치 압력에 기반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KR20120023339A (ko) * 2010-09-03 2012-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터치신호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20102401A1 (en) * 2010-10-25 2012-04-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xt selection
CN102654831A (zh) 2011-03-04 2012-09-0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集中控制web页面事件与状态的装置和方法
JP5790238B2 (ja) 2011-07-22 2015-10-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36380A1 (en) * 2011-08-02 2013-02-07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cking and Displaying Views of an Application
US10706096B2 (en) 2011-08-18 2020-07-07 Apple Inc. Management of local and remote media items
JP5930363B2 (ja) * 2011-11-21 2016-06-0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情報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US20130311294A1 (en) * 2012-05-21 2013-11-21 BrandinteIX, Inc. Mobile messaging ecosystem - closed loop
CN102799347B (zh) * 2012-06-05 2017-01-04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于触屏设备的用户界面交互方法、装置及触屏设备
CN103748586B (zh) 2012-08-17 2019-03-1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
CN103677981B (zh) 2012-09-03 2017-08-29 联想(北京)有限公司 状态切换方法和装置
JP2014093046A (ja) * 2012-11-06 2014-05-1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85336B1 (ko) * 2012-12-20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CN104035820B (zh) * 2013-03-08 2018-06-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终端的数据加载方法和装置
US9766723B2 (en) * 2013-03-11 2017-09-19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hover over stylus control functionality
CN103246475B (zh) * 2013-04-27 2016-03-0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按钮识别区域的调整方法及装置
CN103631379B (zh) * 2013-11-21 2017-05-31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选择的视觉反馈方法和装置
CN103699413B (zh) * 2013-12-24 2017-05-03 北京世界星辉科技有限责任公司 优化游戏运行环境的方法、客户端、服务器及系统
CN104598112B (zh) * 2015-01-23 2019-01-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按钮交互方法和装置
US20160224220A1 (en) * 2015-02-04 2016-08-04 Wipro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 screens
KR101749933B1 (ko) * 2015-11-12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7049A1 (en) * 2009-01-13 2010-07-15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response to touch inputs
WO2014100953A1 (en) * 2012-12-24 2014-07-03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50332107A1 (en) * 2012-12-24 2015-11-19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05676B2 (en) 2020-07-07
JP2017511947A (ja) 2017-04-27
JP6211721B2 (ja) 2017-10-11
EP3089016A4 (en) 2017-05-03
RU2016114553A (ru) 2017-10-19
US20160342302A1 (en) 2016-11-24
KR20160102110A (ko) 2016-08-29
WO2016115930A1 (zh) 2016-07-28
CN104598112B (zh) 2019-01-18
RU2651194C2 (ru) 2018-04-18
CN104598112A (zh) 2015-05-06
EP3089016A1 (en) 2016-11-02
MX2016002007A (es)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40B1 (ko) 버튼 인터랙션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12267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nd mobile terminal
EP3842905B1 (en) Ic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562322B (zh) 切换页面的方法和装置
CN107544810B (zh) 控制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US20100099465A1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 and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KR201200792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754959B1 (en) Quick access to an application in the lock screen
AU2012254959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03224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ving icons between different pages
US20210165670A1 (en) Method, apparatus for adding shortcut plug-in, and intelligent device
CN107390977A (zh) 按键操作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610912B (zh) 应用显示方法、应用显示装置及存储介质
US9609106B2 (en) Display apparatus for releasing lock status and method thereof
KR20140063060A (ko) 투명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11552426A (zh) 智能设备的操作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010056A (zh) 桌面显示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30167054A1 (en) Display apparatus for releasing locked state and method thereof
CN111273979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6020694A (zh) 电子设备、选区动态调整方法及装置
KR2014010431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65974A1 (en) Display apparatus for releasing lock status and method thereof
CN114035722A (zh) 应用程序的交互方法、装置及介质
CN111381667A (zh) 界面布局的调整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134798A1 (en) Small window exi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