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204B1 - 스타트모터 - Google Patents

스타트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204B1
KR101871204B1 KR1020170000557A KR20170000557A KR101871204B1 KR 101871204 B1 KR101871204 B1 KR 101871204B1 KR 1020170000557 A KR1020170000557 A KR 1020170000557A KR 20170000557 A KR20170000557 A KR 20170000557A KR 101871204 B1 KR101871204 B1 KR 10187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utput shaft
clutch
rotational forc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혁
하상현
Original Assignee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9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starter motor or integrat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스타트모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모터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부; 상기 회전축이 직결하는 출력축; 엔진의 링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되 상기 출력축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상기 회전축과 출력축 사이의 둘레에 축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오버러닝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트모터{start motor}
본 발명은 스타트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속기가 삭제된 상태에서 모터부의 회전축이 출력축에 직결되는 타입의 스타트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시동장치가 마련된다.
시동장치는 통상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엔진 플라이휠을 회전시켜 엔진이 시동되도록 하는 스타트모터를 구비한다.
스타트모터는 엔진의 시동을 위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모터부의 회전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동력전달부를 동작시키고 모터부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동력전달부는 모터부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과, 엔진 쪽 플라이휠의 링기어와 치합하도록 출력축에 마련된 피니언과, 회전축의 회전력이 출력축으로 전달되도록 하면서도 엔진 쪽 회전력이 회전축으로 역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피니언과 함께 출력축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버러닝클러치와,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링기어에 치합하도록 피니언을 오버러닝클러치와 함께 출력축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레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타트모터는 키스위치가 온 되어 스위치부를 통해 모터부로 전류가 인가되고 이동레버의 동작을 통해 피니언이 오버러닝클러치와 함께 출력축을 따라 전진하면서 링기어에 치합됨에 따라 링기어를 회전시켜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키스위치가 오프 되면, 피니언은 오버러닝클러치와 함께 이동레버에 의해 후진하여 링기어로부터 분리되고, 모터부에 인가되던 전류의 흐름은 차단된다.
한편, 스타트모터 중에는 모터부의 회전축이 감속기를 통해 감속된 상태에서 출력축으로 전달되는 김속형과, 감속기가 삭제된 상태에서 모터부의 회전축이 출력축에 직결하는 직결형이 있는데, 이중 직결형 스타트모터의 경우, 링기어 쪽과 통하도록 피니언 일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모터부 안쪽으로 바로 전달되면서 브러시와 같은 모터부의 구성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오버러닝클러치가 출력축 상에서 피니언과 함께 전후진 하는 스타트모터의 구조에서는 링기어와의 치합을 위해 피니언을 이동시키는데 따른 에너지소모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피니언과 링기어 간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오버러닝클러치가 쉽게 손상되고, 오버러닝클러치의 윤활유가 개구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면서 오버러닝클러치의 내구성을 장기간 보장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모터부의 회전축이 피니언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출력축에 직결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모터부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스타트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링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의 이동에 따른 에너지를 줄이고, 오버러닝클러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타트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 엔진의 링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은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되 상기 출력축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는 오버러닝클러치;를 구비하는 스타트모터에 있어서, 상기 오버러닝클러치는, 상기 출력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 후방 둘레에 상기 출력축과 일체로 마련된 내륜;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된 외륜; 및 상기 외륜의 회전력은 상기 내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상기 내륜의 회전력이 상기 외륜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의 둘레에 축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륜은, 상기 내륜 둘레를 감싸는 전방 쪽의 전방통부; 상기 전방통부 후방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된 후방통부; 및 상기 전방통부와 후방통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오버러닝클러치 후방의 상기 모터부를 전방에서 가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출력축의 후단에는 상기 회전축의 결합을 위한 축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축결합홈에 공회전 하도록 결합하는 선단의 축결합부; 및 상기 출결합부보다 외경이 확장되도록 상기 축결합부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후방통부에 결합하는 클러치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결합부 둘레에는 스플라인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통부 내주에는 상기 스플라인 돌기가 체결되도록 스플라인 홈이 마련된 스타트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모터는 오버러닝클러치가 출력축 상에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부의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하고 출력축의 회전력이 모터부 쪽으로 역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시동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브러시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모터부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모터는 피니언이 단독으로 출력축 상에서 이동하면서 링기어와 치합하게 되어 피니언과 링기어의 치합에 따른 충격이 오버러닝클러치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피니언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오버러닝클러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회전축의 클러치결합부와 오버러닝클러치의 외륜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타트모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일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회전축의 클러치결합부와 오버러닝클러치의 외륜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모터는 엔진의 플라이휠(미도시)을 회전시켜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10)와, 모터부(10)의 회전력을 엔진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0)와, 동력전달부(20)를 동작시키고 모터부(10)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부(30)를 구비한다.
모터부(10)는 고정자(11) 및 회전자(12)와, 회전자(12)에 고정된 회전축(13)과, 회전축(13)에 고정되어 회전자(12)로 전류를 인가하는 정류자(14)와, 정류자(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러시(15)를 구비하고, 이러한 모터부(10)의 구성은 모터케이스(16)를 통해 수용된다.
스위치부(30)는 스위치케이스(30a)와, 스위치케이스(30a) 일단에 결합되는 절연재질의 캡(30b)을 구비하여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스위치케이스(30a)에는 원통형의 코일(31)과, 코일(31)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코일(31)의 내측에 마련된 플런저(32)가 설치된다.
캡(30b)에는 차량의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되는 배터리단자(33)와, 모터부(10)와 연결되는 모터단자(34)가 설치된다. 캡(30b) 외부로 연장된 배터리단자(33)와 모터단자(34)에는 각각 차량의 배터리(미도시)와 모터부(10)에 접속되는 케이블(35a,35b)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30)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모터부(10)로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해 이동접점(36a)과 고정접점(36b)을 구비한다. 키스위치(미도시)의 온 상태에서 이동접점(36a)이 고정접점(36b)에 접촉함에 따라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은 모터부(10)로 인가되고, 키스위치(미도시)의 오프 상태에서는 이동접점(36a)이 고정접점(36b)에서 이격됨에 따라 모터부(10)로 인가되던 배터리(미도시) 전류의 흐름은 차단된다.
고정접점(36b)은 배터리단자(33)와 모터단자(34)의 내측 단부를 통해 구성되고, 이동접점(36a)은 플런저(32)와 연동하는 콘택트로드(37)에 설치되어 콘택트로드(37)의 왕복동작에 의해 고정접점(36b) 사이를 접속 또는 차단하게 된다. 콘택트로드(37)는 플런저(32)와 축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케이스(30a)에는 코일(32)과 상호작용하는 고정철심(38)이 고정되고, 콘택트로드(37)는 고정철심(38)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동접점(36a)과 고정철심(38) 사이에는 플런저(32)의 복귀를 위한 리턴스프링(39)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모터는 감속기가 삭제된 직결형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20)는 모터부(10)의 회전축(13)이 직결하도록 회전축(13)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는 출력축(21)과, 플라이휠의 링기어(1)에 치합되도록 출력축(21)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22)을 포함하여 시동하우징(23)에 설치된다. 피니언(22)이 링기어(1)에 치합될 수 있도록 피니언(22) 일측의 시동하우징(23)에는 개구(23a)가 형성된다.
모터케이스(16)와 스위치케이스(30a)는 시동하우징(2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한 몸을 이루게 되며, 동력전달부(20)는 한 쌍의 케이스(16,30a)가 시동하우징(23)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케이스(16,30a)와 시동하우징(23)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동력전달부(20)는 스위치부(30)의 동작에 따라 피니언(22)을 출력축(21) 상에서 전진 및 후진시키는 이동레버(24)와, 회전축(13)의 회전력을 출력축(21)으로 전달하면서 출력축(21)의 회전력이 회전축(13)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마련된 오버러닝클러치(40)를 구비하는데, 피니언(22)이 출력축(21) 상에서 단독적으로 이동하면서 링기어(1)와 치합하도록 오버러닝클러치(40)는 회전축(13)과 출력축(21) 사이의 둘레에 축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오버러닝클러치(40)가 출력축(21) 상에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구조에서는 스타트모터의 동작과정에서 오버러닝클러치(40) 후방의 모터부(10)가 오버러닝클러치(40)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구(23a)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동하우징(23)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브러시(15) 등으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모터부(10)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피니언(22)과 오버러닝클러치(40) 사이의 출력축(21) 둘레에는 시동하우징(23)과 모터케이스(16)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플랜지부재(25)를 설치함으로써, 시동하우징(23) 내부로 진입한 이물질이 모터부(1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플랜지부재(25)는 오버러닝클러치(4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내주를 통해 피니언(22)과 오버러닝클러치(40) 사이의 출력축(21)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외주가 시동하우징(23)의 내벽에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재(25)의 내주와 출력축(21) 사이는 베어링(26a)을 포함하는 회전지지부재(26)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 오버러닝클러치(40)의 축방향 유동이 방지된 상태에서 피니언(22)이 단독으로 링기어(1)와 치합되는 구조에서는 피니언(22)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서 스위치부(30)의 구동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피니언(22)과 링기어(1) 간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이 오버러닝클러치(4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오버러닝클러치(40)가 손상되거나 오버러닝클러치(40)의 윤활유가 개구(23a)를 통해 스타트모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오버러닝클러치(40) 자체의 내구성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버(24)는 일단이 플런저(32)에 연결된 후크(32a)에 결합되고, 이동레버(24)의 타단은 피니언(22)에 결합될 수 이다. 피니언(22)의 둘레에는 걸림홈(22a)이 마련되고, 이동레버(24)의 타단은 걸림홈(22a)에 끼워지도록 체결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4a는 이동레버(24)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부를 가리킨다. 따라서 피니언(22)은 스위치부(30)의 플런저(32)가 양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출력축(21) 상에서 이동레버(24)에 이끌려 단독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오버러닝클러치(40)는 회전축(13)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축(13)에 결합된 외륜(41)과, 출력축(21)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된 내륜(42)과, 외륜(41)의 회전력이 내륜(42)으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내륜(42)의 회전력이 외륜(41)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외륜(41)과 내륜(42)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부재(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축방향 유동이 방지된 상태에서 회전축(13)의 회전력이 출력축(21)으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출력축(21)의 회전력이 회전축(13)으로 역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내륜(42)은 출력축(21)의 성형과정에서 회전축(13) 쪽 출력축(21)의 후방 둘레에 출력축(21)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외륜(41)은 내륜(42) 둘레를 내륜(42)과 이격된 상태로 감싸는 전방 쪽의 전방통부(41a)와, 전방통부(41a) 후방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마련된 후방통부(41b)와, 전방통부(41a)와 후방통부(41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1c)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통부(41b)는 출력축(21) 후단 둘레에 지지된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클러치부재(43)는 외륜(41)의 전방통부(41a)와 내륜(42) 사이의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클러치롤러(43a)를 포함할 수 있다. 외륜(41)의 전방통부(41a)와 내륜(42) 사이의 둘레에는 쐐기형으로 마련된 복수의 클러치홈(44)이 형성되고, 각 클러치롤러(43a)는 클러치홈(44)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미도시)을 통해 클러치홈(44)의 좁은 영역으로 탄성지지 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3)을 통해 외륜(41)이 회전하게 되면, 클러치롤러(43a)는 클러치홈(44)의 좁은 영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륜(42)과 외륜(41) 사이가 잠기도록 하고, 이에 따라 외륜(41)의 회전력이 내륜(42)으로 전달되어 출력축(21)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출력축(21)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내륜(4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클러치롤러(43a)는 스프링(미도시)을 압축하면서 클러치홈(44)의 넓은 영역으로 이동하여 내륜(42)과 외륜(41) 사이에 미끄럼을 유발하고, 이에 따라 내륜(42)과 외륜(41) 사이의 잠김이 해제되면서 내륜(42)의 회전력이 외륜(41)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출력축(21)의 후단에는 회전축(13)의 결합을 위한 축결합홈(21a)이 마련되고, 회전축(13)의 선단에는 축결합홈(21a)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축결합부(13a)가 마련될 수 있다. 출력축(21)의 선단은 시동하우징(23)에 마련된 부시(23b)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결합부(13a)와 축결합홈(21a) 사이는 베어링(27a)을 포함하는 회전지지부재(27)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외륜(41)은 회전축(13)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축(13)과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축결합부(13a) 후방의 회전축(13)에는 축결합부(13a)보다 외경이 확장된 클러치결합부(13b)가 마련되고, 클러치결합부(13b) 둘레에는 스플라인 돌기(13c)가 마련되며, 외륜(41)의 후방통부(41b) 내주에는 스프라인 돌기(13c)가 체결되도록 스프라인 홈(41d)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 5와 같이, 클러치결합부(13b´)는 다각형 모양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둘레가 각이 지도록 마련되고, 외륜(41)의 후방통부(41b´)는 내주가 클러치결합부(13b´)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구멍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륜(41)과 회전축(13) 간의 결합구조는 회전축(13)의 회전력이 외륜(41)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타트모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키스위치(미도시)가 온 되어 코일(31)이 여자되면, 코일(31)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플런저(32)가 고정철심(38) 쪽으로 당겨지면서 이동레버(24)는 피니언(11)을 출력축(21) 상에서 단독으로 전진시켜 엔진 쪽 플라이휠의 링기어(1)에 치합되도록 한다.
피니언(22)이 링기어(1)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이동접점(36a)이 플런저(32)와 함께 고정접점(36b) 쪽으로 이동하여 고정접점(36b)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부(10)는 배터리(미도시)의 전류를 공급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오버러닝클러치(40)는 클러치결합부(13b)에 의해 회전하는 외륜(41)의 회전력을 내륜(42)으로 전달하여 출력축(21)이 회전되도록 하고, 따라서 피니언(22)은 출력축(21)과 함께 회전하면서 링기어(1)를 치합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엔진을 시동시키게 된다.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는 피니언(22)과 함께 출력축(21)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오버러닝클러치(40)는 내륜(42)의 회전력이 외륜(4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모터부(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엔진(미도시)의 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키스위치(미도시)가 오프 됨에 따라, 코일(31)의 전류는 차단되고, 이때는 리턴스프링(39)의 동작에 의해 플런저(32)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면서 피니언(22)은 이동레버(24)에 의해 후진하면서 링기어(1)로부터 분리되고, 이와 연동하는 콘택트로드(37)에 의해 이동접점(36a)이 고정접점(36b)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모터부(10)로 인가되던 배터리(미도시)의 전류흐름은 차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타트모터의 동작 중 오버러닝클러치(40)는 출력축(21) 후방 둘레에 축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모터부(10)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 축방으로 유동이 방지된 오버러닝클러치(40)는 피니언(22)과 링기어(1)의 치합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 자체적인 내구성도 개선될 수 있게 된다.
10: 모터부 13: 회전축
13a: 축결합부 13b: 클러치결합부
13c: 스플라인 돌기 20: 동력전달부
21: 출력축 22: 피니언
24: 이동레버 25: 플랜지부재
30: 스위치부 40: 오버러닝클러치
41: 외륜 41a: 전방통부
41b: 후방통부 41c: 연결부
41d: 스플라인 홈

Claims (4)

  1.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 엔진의 링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은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되 상기 출력축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는 오버러닝클러치;를 구비하는 스타트모터에 있어서,
    상기 오버러닝클러치는,
    상기 출력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 후방 둘레에 상기 출력축과 일체로 마련된 내륜;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된 외륜; 및
    상기 외륜의 회전력은 상기 내륜으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상기 내륜의 회전력이 상기 외륜으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의 둘레에 축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륜은,
    상기 내륜 둘레를 감싸는 전방 쪽의 전방통부;
    상기 전방통부 후방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된 후방통부; 및
    상기 전방통부와 후방통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오버러닝클러치 후방의 상기 모터부를 전방에서 가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출력축의 후단에는 상기 회전축의 결합을 위한 축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축결합홈에 공회전 하도록 결합하는 선단의 축결합부; 및
    상기 축결합부보다 외경이 확장되도록 상기 축결합부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후방통부에 결합하는 클러치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결합부 둘레에는 스플라인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후방통부 내주에는 상기 스플라인 돌기가 체결되도록 스플라인 홈이 마련된 스타트모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00557A 2017-01-03 2017-01-03 스타트모터 KR10187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57A KR101871204B1 (ko) 2017-01-03 2017-01-03 스타트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57A KR101871204B1 (ko) 2017-01-03 2017-01-03 스타트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204B1 true KR101871204B1 (ko) 2018-08-02

Family

ID=6325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557A KR101871204B1 (ko) 2017-01-03 2017-01-03 스타트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071Y1 (ko) * 1989-03-31 1992-07-27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동전동기
JP2009180211A (ja) * 2008-02-01 2009-08-13 Denso Corp スタ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071Y1 (ko) * 1989-03-31 1992-07-27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동전동기
JP2009180211A (ja) * 2008-02-01 2009-08-13 Denso Corp スター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045B1 (ko) 일방향 클러치의 클러치내부에 스토퍼를 갖는 스타터
US4587861A (en) Internal speed-reduction type starter
JP3603508B2 (ja) スタータ
US9188099B2 (en) Starter
JP4992692B2 (ja) スタータ
US20030102741A1 (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mechanism for a coaxial starter motor assembly
CN103032238B (zh) 起动机
CN103032240B (zh) 起动机
JPH0786341B2 (ja) 同軸形スタータ
US9920734B2 (en) Starter
KR101871204B1 (ko) 스타트모터
KR20050041942A (ko) 스타터
KR100931037B1 (ko) 출력 샤프트와 피니언 기어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결합을확보할 수 있는 개선된 헬리컬 스플라인 구성을 구비하는엔진 스타터
JP5535704B2 (ja) スタータ
JP2005188345A (ja) スタータ
US9482200B2 (en) Starter
KR101932460B1 (ko) 스타트모터
JP2012087765A (ja) スタータ
JP5472367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13139764A (ja) スタータ
US5513540A (en) Engine starter gearing having improved grease retention
KR101932461B1 (ko) 스타트모터
JP2012026337A (ja) スタータ
KR101901262B1 (ko) 스타트모터
US20160273533A1 (en) Oil pump-driv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