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631B1 -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 - Google Patents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631B1
KR101870631B1 KR1020170118346A KR20170118346A KR101870631B1 KR 101870631 B1 KR101870631 B1 KR 101870631B1 KR 1020170118346 A KR1020170118346 A KR 1020170118346A KR 20170118346 A KR20170118346 A KR 20170118346A KR 101870631 B1 KR101870631 B1 KR 10187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switching
case
compressed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가람
Original Assignee
윤가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가람 filed Critical 윤가람
Priority to KR102017011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기후를 가진 지역이나 더운 날씨에 보다 청량감을 느낄 수 있고, 상온과 저온의 화장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킨 화장수 분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수 분사용기는, 압축공기캡슐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를 제1챔버에 공급하여 제1화장수분사공을 통해 제1챔버의 화장수를 분사하거나, 상기 압축공기를 제2챔버에 공급하여 제2화장수분사공을 통해 제2챔버의 화장수를 분사하도록 작동하는 분사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작동부는 제1챔버와 제2챔버 중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챔버에 압축공기캡슐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SPRAY CONTAINER OF COSMETIC WATER USABLE IN HOT CLIMATE}
본 발명은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온의 화장수와 저온의 화장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고온의 기후에서도 사용편의성을 보다 도모할 수 있는 화장수 분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목적으로 피부에 수분이나 기능성물질을 분사하여 피부를 관리하기 위한 화장수 분사용기가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고, 기능성 물을 채워 분사하는 타입 등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화장수 분사용기는 수시로 사용이 필요하므로, 휴대의 간편성과 사용의 편리함을 고려하여 휴대형의 스프레이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0356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그와 같이 스프레이 방식으로 화장수를 분사하는 화장수 분사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고압의 공기가 밀봉된 공기캡슐(2)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공기챔버(3), 밸브챔버(4), 밸브모듈(5), 화장수챔버(6)를 포함하여 화장수의 분사가 가능하다.
즉, 화장수를 분사하기 위해 사용자가 분사스위치(7)를 누르게 되면 가압력이 화장수챔버(6)로 전달되어 밸브챔버(4)를 기준으로 화장수챔버(6)가 하향하게 되며, 이로 인해 화장수챔버(6)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 밸브핀(5a)이 함께 하향하면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를 고수하는 밸브모듈(5)의 밸브스위치(5b)를 하향 가압하게 된다.
이에 밸브스위치(5b)가 가압되면서 개폐판(5c)이 하향하여 공기관로(5d)의 하단이 개방되고 공기관로(5d)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입관(137)를 거쳐 상단으로 이송되어 공기이송관(5e)으로 유입되며, 상기 공기이송관(5e)의 단부에 배치된 분사공(5f)을 통해 화장수챔버(6)의 공간부(6a)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 공급은 사용자가 분사스위치(7)를 누르고 있는 중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공간부(6a)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공간부(6a)에 저장된 화장수는 유입관(6b)을 거쳐 분사구(6c)를 통해 미립화된 상태로 고압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화장수 분사용기의 경우, 단일의 화장수만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화장수의 온도를 달리하여 분사할 수 없다.
즉, 고온 기후를 가진 지역이나 더운 날씨에 차가운 화장수를 분사함으로써 청량감을 보다 느끼고자 하거나, 서로 다른 온도의 화장수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활용될 수 없다.
평시 피부의 수분보충용으로는 상온의 화장수로 충분하나, 얼굴피부의 모공을 수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차가운 화장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과 저온의 화장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고온 기후를 가진 지역이나 더운 날씨에 보다 청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구조의 화장수 분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장수 분사용기는, 소정간격으로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외단부에 설치되고 제1화장수분사공을 가진 제1분사버튼과,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수를 저장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2케이스의 외단부에 설치되고 제2화장수분사공을 가진 제2분사버튼과,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수를 저장하고 압축공기캡슐이 내부에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제2챔버와,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압축공기캡슐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제1챔버에 공급하여 상기 제1화장수분사공을 통해 상기 제1챔버의 화장수를 분사하거나,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제2챔버에 공급하여 상기 제2화장수분사공을 통해 상기 제2챔버의 화장수를 분사하도록 작동하는 분사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작동부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중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챔버에 상기 압축공기캡슐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로전환부재가 상기 압축공기캡슐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유로전환공간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 내에 무게추가 설치되며, 상기 무게추는 중력에 의해 상기 유로전환공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유로전환공간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로와,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유로전환공간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로전환공간이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가 결합된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원주형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연결유로와 연결되되, 상기 유로전환공간의 일단부에 원추형패킹이 상기 유로전환공간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원추형패킹에는 상기 제1연결유로가 연장된 관통로가 원추면에서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1연결유로가 상기 유로전환공간에 연통되는 것이며, 상기 무게추에는 일단부에 상기 원추형패킹이 삽입되는 원추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의 타단부의 측벽에는 상기 제2연결유로가 상기 유로전환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무게추가 중력에 의해 상기 유로전환공간의 일단부로 이동시, 상기 원추형홈에 상기 원추형패킹이 삽입되어 상기 관통로를 막고 상기 연통공을 개방하며, 상기 무게추가 중력에 의해 유로전환공간의 타단부로 이동시, 상기 연통공을 막고 상기 관통로를 개방시키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유로에 상기 제1챔버에서 상기 유로전환공간으로 화장수의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에서 상기 제1챔버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허용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로전환부재는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압축공기캡슐로부터 압축공기가 상기 유로전환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급유로 상에 푸쉬밸브체가 설치되고, 상기 푸쉬밸브체는 탄지된 푸쉬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서로 접근시, 상기 유로전환부재가 상기 푸쉬로드를 눌러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유로전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유로를 개방시키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는, 분사작동부에 제1챔버와 제2챔버 중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챔버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상온의 화장수 또는 차가운 화장수를 선택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어, 고온 기후나 더운 날씨에서 청량감을 느끼기 위해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상온의 화장수는 평시 피부의 수분보충용으로 사용하고 차가운 화장수는 얼굴피부의 모공을 수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는 종래 화장수 분사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에서 제1케이스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분사작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에서 제1케이스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분사작동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에서 제2케이스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에서 제2케이스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분사작동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에서 제2케이스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분사작동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에서 무게추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는, 소정간격으로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와,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단부에 설치되고 제1화장수분사공(12)을 가진 제1분사버튼(11)과,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수를 저장하는 제1챔버(13)와, 상기 제2케이스(20)의 외단부에 설치되고 제2화장수분사공(22)을 가진 제2분사버튼(21)과, 상기 제2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수를 저장하고 압축공기캡슐(30)이 내부에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제2챔버(23)와,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를 서로 결합시키고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를 제1챔버(13)에 공급하여 제1화장수분사공(12)을 통해 제1챔버(13)의 화장수를 분사하거나, 압축공기를 제2챔버(23)에 공급하여 제2화장수분사공(22)을 통해 제2챔버(23)의 화장수를 분사하도록 작동하는 분사작동부(50)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는 화장수 분사용기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봉체와 같은 형상을 이룬다.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는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제2케이스(20)에서 제1케이스(10)에 삽입된 삽입부(24)는 외경이 감소되어 제1케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제2케이스(20)의 삽입부(24)가 외경이 감소되는 부분이므로 제2케이스(20)에 삽입부(24)가 생성되는 위치에는 단턱(24a)이 형성되고, 제1케이스(10)의 외면의 단부와 제2케이스(20)의 상기 단턱(24a)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h)이 형성되어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서로 접근하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케이스(10)의 외단부에는 제1화장수분사공(12)을 가진 제1분사버튼(11)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분사버튼(11)은 사용자가 제2케이스(20)를 손으로 감싼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나 집게손가락으로 제1분사버튼(11)을 눌러 제1화장수분사공(12)을 통해 제1챔버(13)의 화장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제1분사버튼(11)을 누르면 제1분사버튼(11)이 제1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제1분사버튼(11)이 설치된 제1케이스(10)가 제2케이스(20) 측으로 접근하여 이동하는 작동이 발생한다.
상기 제1챔버(13)는 제1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수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저장된 화장수가 후술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제1화장수분사공(12)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제1챔버(13)에는 제1화장수분사공(12)으로 화장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관(13a)이 설치된다.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의 외단부에는 각각 장착될 수 있는 덮개(15,25)가 설치된다.
제2케이스(20)의 외단부에도 제2화장수분사공(22)을 가진 제2분사버튼(21)이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도 6과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수 분사용기를 거꾸로 세워 제2분사버튼(21)이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케이스(10)를 한손으로 감싸 쥐고 엄지손가락이나 집게손가락으로 제2분사버튼(21)을 눌러 제2화장수분사공(22)을 통해 제2챔버(23)의 화장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제2분사버튼(21)을 누르면 제2분사버튼(21)이 설치된 제2케이스(20)가 제1케이스(10) 측으로 접근하는 작동이 발생한다.
상기 제2챔버(23)는 제2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수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저장된 화장수가 후술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제2화장수분사공(22)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제2챔버(23)에는 압축공기캡슐(30)이 내부에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케이스(20)가 중간의 나선결합부(29)로 인해 분해되어 제2챔버(23)가 개방될 수 있고, 제2챔버(23)의 상부에는 압축공기캡슐(30)이 장착되는 캡슐장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캡슐장착부(28)에 압축공기캡슐(30)을 장착한 후, 화장수를 넣고 제2케이스(20)를 다시 나선결합하여 조립함으로써 제2챔버(23)가 폐쇄될 수 있다.
제2챔버(23)에서 화장수는 압축공기캡슐(30)과 접촉함으로써 압축공기캡슐(30)의 온도와 저장되는 화장수를 동일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압축공기캡슐(30)은 냉장보관한 후 사용하고, 냉장보관된 압축공기캡슐(30)이 제2챔버(23)에 장착됨으로써 제2챔버(23)의 화장수도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2챔버(23)에는 제2화장수분사공(22)으로 화장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관(22a)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분사작동부(50)는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를 서로 결합시키고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화장수의 분사를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분사작동부(50)는 제1챔버(13)와 제2챔버(23) 중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챔버에 압축공기캡슐(30)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유로(59)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전환부재(60)는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유로전환공간(61)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61) 내에 무게추(62)가 설치된다.
유로전환부재(60)는 바(bar)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케이스(10)에 설치되되 제1챔버(13)에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제2케이스(20)의 삽입부(24)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유로전환부재(60)에는 제1케이스(10)에 고정된 부분에 제1챔버(13)와 연통되는 제1연결유로(51)가 형성되어 있고 제1연결유로(51)와 유로전환공간(61)이 연결된다.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은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가 결합된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원주형공간으로 형성된다.
제1연결유로(51)에는 제1챔버(13)에서 유로전환공간(61)으로 화장수의 유동을 차단하고, 유로전환공간(61)에서 제1챔버(13)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허용하는 체크밸브(54)가 설치된다.
제2연결유로(52)는 제2챔버(23)와 유로전환공간(61)을 연결하는 통로이고, 제2연결유로(52)가 유로전환공간(61)과 연통될 수 있도록 제1연결유로(51)가 설치되는 측의 반대측 즉, 유로전환공간(61)의 타단부의 측벽에 연통공(66)이 설치된다.
상기 무게추(62)는 중력에 의해 유로전환공간(61) 내에서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연결유로(51)와, 제2연결유로(52)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킨다.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로전환공간(61)의 일단부에서 제1연결유로(51)와 연결되되, 유로전환공간(61)의 일단부에 원추형패킹(63)이 유로전환공간(61)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원추형패킹(63)에는 제1연결유로(51)가 연장된 관통로(63b)가 원추면(63a)에 형성됨에 의해 제1연결유로(51)가 유로전환공간(61)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무게추(62)에는 일단부에 원추형패킹(63)이 삽입되는 원추형홈(62a)이 형성됨으로써, 도 9의 (b)와 같이 무게추(62)가 중력에 의해 유로전환공간(61)의 일단부로 이동시, 무게추(62)의 원추형홈(62a)에 원추형패킹(63)이 삽입되어 관통로(63b)를 막고 유로전환공간(61)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통공(66)은 개방시킨다.
만일, 무게추(62)가 중력에 의해 유로전환공간(61)의 타단부로 이동시에는, 상기 연통공(66)을 막고 원추형패킹(63)의 관통로(63b)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분사작동부(50)는 제2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가 유로전환공간(61)으로 공급되는 공급유로(59) 상에 푸쉬밸브체(57)가 설치된다.
상기 푸쉬밸브체(57)는 탄지된 푸쉬로드(57b)를 구비하고,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가 서로 접근시, 유로전환부재(60)가 푸쉬로드(57b)를 눌러 압축공기가 유로전환공간(61)으로 유입되도록 공급유로(59)를 개방시킨다.
상기 푸쉬밸브체(57)의 일단은 유로전환부재(60)에 접촉한 상태로서 유로전환부재(60)가 푸쉬밸브체(57)를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2케이스(20)의 삽입부(24) 내의 공간에 분사작동지지체(55)가 설치되고 중공형상인 분사작동지지체(55)의 중심부에 푸쉬밸브체(57)가 분사작동지지체(55)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분사작동지지체(55)의 중공의 공간 내에 유로형성체(56)가 고정설치되고,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가 상기 공급유로(59)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푸쉬밸브체(57)는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푸쉬밸브체(57)의 단부에 개폐헤드(57a)가 설치되어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개폐헤드(57a)가 유로형성체(56)에서 이격된 경우, 압축공기는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의 내면과 삽입된 푸쉬밸브체(57) 사이의 틈으로 유동할 수 있다.
푸쉬밸브체(57)를 탄지시키는 스프링(57c)은 유로형성체(56)에 의해 지지되어 푸쉬밸브체(57)가 유로전환부재(60)에 접촉하고 개폐헤드(57a)가 유로형성체(56)에 밀착하여 중심유로(56a)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제2연결유로(52)는 미세한 통로이므로 화장수의 누출위험은 거의 없으나, 제2연결유로(52)에 별도의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수 분사용기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케이스(20)의 나선결합부(29)를 풀어 제2케이스(20)을 양 부분으로 분해하여 제2챔버(23)를 개방하고, 냉장고에 보관되어 저온상태인 압축공기캡슐(30)을 캡슐장착부(28)에 장착한다.
이후, 분해된 제2케이스(20)에 화장수를 주입한 후 제2케이스(20)를 조립함으로써 제2챔버(23)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제2챔버(23)에 수용된 화장수는 압축공기캡슐(30)에 접촉하여 열교환됨으로써, 압축공기캡슐(30)과 같은 저온상태가 될 수 있다.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상온의 화장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제1케이스(10) 및 제1챔버(13)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손으로 감아 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무게추(62)가 도 9의 (a)와 같이, 유로전환공간(61)의 타단부로 이동하여 제2연결유로(52)가 유로전환공간(61)과 연통되는 연통공(66)을 막게 된다.
이후, 제2케이스(20)를 한 손으로 감싸쥔 상태에서 제1분사버튼(11)을 엄지손가락이나 집게손가락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제2케이스(20)에 대하여 제1케이스(10)가 도 5와 같이 화장수 분사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소정량(Δh) 눌러져 제1케이스(10)가 제2케이스(20)에 접근한다.
이와 동시에 제1케이스(10)에 결합된 유로전환부재(60)도 제2케이스(20)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푸쉬밸브체(57)를 누르게 된다.
푸쉬밸브체(57)는 유로전환부재(60)에 의해 눌러지면서 유로형성체(56)로부터 이격되고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유로(59)를 통해 유로전환공간(6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가 캡슐장착부(28)를 통과하여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를 통해 상승하고,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에는 푸쉬밸브체(57)가 삽입되어 있으나, 그 중심유로(56a)의 내벽과 푸쉬밸브체(57) 사이의 틈을 통해 압축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체(56)를 통과한 압축공기는 푸쉬밸브체(57)의 상단을 통과하여 유로전환부재(60)의 중심공급공(68)을 통해 유로전환공간(6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유로전환공간(61)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무게추관통공(62b)을 통해 무게추(62)를 통과하고 제1연결유로(51)의 체크밸브(54)를 밀어 통과하면서 제1챔버(13)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챔버(13)에 공급된 압축공기는 제1챔버(13) 내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제1화장수분사공(12)을 통해 화장수가 강제로 분사되도록 한다.
한편, 모공을 수축시킬 필요가 있거나 고온의 날씨에서 청량감을 느끼기 위해, 차가운 화장수를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제2케이스(20) 및 제2챔버(23)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손으로 파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9의 (b)와 같이 중력에 의해 무게추(62)가 유로전환공간(61)의 일단부로 이동하여 제1연결유로(51)를 막게 된다. 즉, 무게추(62)의 원추형홈(62a)에 유로전환부재(60)의 원추형패킹(63)이 삽입되어 관통로(63b)를 막고 유로전환공간(61)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통공(66)은 개방시킴으로써, 제2연결유로(52)가 유로전환공간(61)과 연결된다.
이후, 제1케이스(10)를 한 손으로 감싸 쥔 상태에서 제1분사버튼(11)을 엄지손가락이나 집게손가락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제1케이스(10)에 대하여 제2케이스(20)가 도 8과 같이 화장수 분사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소정량(Δh) 눌러져 제2케이스(20)가 제1케이스(10)에 접근한다.
이와 동시에 제1케이스(10)에 결합된 유로전환부재(60)도 제2케이스(20)의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푸쉬밸브체(57)가 유로전환부재(60)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푸쉬밸브체(57)는 유로전환부재(60)에 의해 눌러지면서 개폐헤드(57a)가 유로형성체(56)로부터 이격되어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를 개방하고,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가 공급유로(59)를 통해 유로전환공간(6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가 캡슐장착부(28)를 통과하여 유로형성체(56)의 중심유로(56a)를 통해 하강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체(56)를 통과한 압축공기는 푸쉬밸브체(57)과 유로전환부재(60)의 접촉부분을 통과하여 유로전환부재(60)의 중심공급공(68)을 통해 유로전환공간(6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유로전환공간(61)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개방된 연통공(66)을 통해 제2연결유로(52)로 공급되고 제2연결유로(52)를 통과하면서 제2챔버(23)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챔버(23)에 공급된 압축공기는 제2챔버(23) 내의 압력을 높이면서 제2화장수분사공(22)을 통해 차가운 화장수가 강제로 분사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작용에 의해 본 실시예의 화장수 분사용기는, 필요에 따라 상온의 화장수 또는 차가운 화장수를 선택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어, 더운 날씨나 더운 지역에서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제1케이스 11; 제1분사버튼
12; 제1화장수분사공 13; 제1챔버
15; 덮개 20; 제2케이스
21; 제2분사버튼 22; 제2화장수분사공
23; 제2챔버 24; 삽입부
24a; 단턱 25; 덮개
28; 캡슐장착부 30; 압축공기캡슐
50; 분사작동부 51; 제1연결유로
52; 제2연결유로 54; 체크밸브
55; 분사작동지지체 56; 유로형성체
56a; 중심유로 57; 푸개폐헤드
57a; 쉬밸브체 57b; 푸쉬로드
57c; 스프링 59; 공급유로
59; 공급유로 60; 유로전환부재
61; 유로전환공간 62; 무게추
62a; 원추형홈 62c; 오링
63; 원추형패킹 63a; 원추면
63b; 관통로 66; 연통공

Claims (5)

  1. 소정간격으로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20)와,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단부에 설치되고 제1화장수분사공(12)을 가진 제1분사버튼(11)과,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수를 저장하는 제1챔버(13)와,
    상기 제2케이스(20)의 외단부에 설치되고 제2화장수분사공(22)을 가진 제2분사버튼(21)과,
    상기 제2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수를 저장하고 압축공기캡슐(30)이 내부에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제2챔버(23)와,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제1챔버(13)에 공급하여 상기 제1화장수분사공(12)을 통해 상기 제1챔버(13)의 화장수를 분사하거나,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제2챔버(23)에 공급하여 상기 제2화장수분사공(22)을 통해 상기 제2챔버(23)의 화장수를 분사하도록 작동하는 분사작동부(5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작동부(50)는 상기 제1챔버(13)와 상기 제2챔버(23) 중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챔버에 상기 압축공기캡슐(30)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유로(59)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 분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재(60)는
    상기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유로전환공간(61)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61) 내에 무게추(62)가 설치되며,
    상기 무게추(62)는 중력에 의해 상기 유로전환공간(61)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챔버(13)와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로(51)와, 상기 제2챔버(23)와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로(52)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 분사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은
    상기 제1케이스(10) 및 상기 제2케이스(20)가 결합된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원주형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연결유로(51)와 연결되되,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의 일단부에 원추형패킹(63)이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원추형패킹(63)에는 상기 제1연결유로(51)가 연장된 관통로(63b)가 원추면(63a)에서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1연결유로(51)가 상기 유로전환공간(61)에 연통되는 것이며,
    상기 무게추(62)에는 일단부에 상기 원추형패킹(63)이 삽입되는 원추형홈(62a)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의 타단부의 측벽에는 상기 제2연결유로(52)가 상기 유로전환공간(61)과 연통되는 연통공(66)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무게추(62)가 중력에 의해 상기 유로전환공간(61)의 일단부로 이동시, 상기 원추형홈(62a)에 상기 원추형패킹(63)이 삽입되어 상기 관통로(63b)를 막고 상기 연통공(66)을 개방하며, 상기 무게추(62)가 중력에 의해 유로전환공간(61)의 타단부로 이동시, 상기 연통공(66)을 막고 상기 관통로(63b)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 분사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유로(51)에는 상기 제1챔버(13)에서 상기 유로전환공간(61)으로 화장수의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유로전환공간(61)에서 상기 제1챔버(13)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허용하는 체크밸브(5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 분사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재(60)는 상기 제1케이스(10)와 결합되며,
    상기 제2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압축공기캡슐(30)로부터 압축공기가 상기 유로전환공간(61)으로 공급되는 공급유로(59) 상에 푸쉬밸브체(57)가 설치되고,
    상기 푸쉬밸브체(57)는 탄지된 푸쉬로드(57b)를 구비하며,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가 서로 접근시, 상기 유로전환부재(60)가 상기 푸쉬로드(57b)를 눌러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유로전환공간(61)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유로(59)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 분사용기
KR1020170118346A 2017-09-15 2017-09-15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 KR10187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46A KR101870631B1 (ko) 2017-09-15 2017-09-15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46A KR101870631B1 (ko) 2017-09-15 2017-09-15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631B1 true KR101870631B1 (ko) 2018-06-25

Family

ID=6280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346A KR101870631B1 (ko) 2017-09-15 2017-09-15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6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284A (ja) * 1995-08-08 2001-10-23 Daizo:Kk エアゾール製品
EP2107012A1 (en) * 2008-04-04 2009-10-07 Wella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product
JP3175446U (ja) * 2012-02-23 2012-05-10 株式会社渡久クリエイト パーソナルケア用スプレー
KR20150007187A (ko) * 2013-07-10 2015-01-20 (주)윤영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KR20150134792A (ko) * 2014-05-23 2015-12-02 박상원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KR101773714B1 (ko) * 2016-06-23 2017-09-1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 케어 및 두피 마사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284A (ja) * 1995-08-08 2001-10-23 Daizo:Kk エアゾール製品
EP2107012A1 (en) * 2008-04-04 2009-10-07 Wella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product
JP3175446U (ja) * 2012-02-23 2012-05-10 株式会社渡久クリエイト パーソナルケア用スプレー
KR20150007187A (ko) * 2013-07-10 2015-01-20 (주)윤영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KR20150134792A (ko) * 2014-05-23 2015-12-02 박상원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KR101773714B1 (ko) * 2016-06-23 2017-09-1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 케어 및 두피 마사지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75446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3482B1 (en) Cosmetic article having improved dispensing structure
KR100375716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US20170156454A1 (en) Wearable Hand Sanitizer Apparatus
US3940029A (en) Rechargeable sprayer with improved valve system and charge cycle limit stop therefor
US7678066B2 (en) Cooling massage device and product dispenser including such a device
KR101378719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US6508256B2 (en) Foundation-retained cosmetic implement
KR102225578B1 (ko) 유체의 급속 팽창에 의한 피스톤 구동 방식의 무침 주사 장치
JP2008110228A (j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BRPI0612905A2 (pt) dispositivo de pulverização para dispensar um fluido refrigerante
KR101930255B1 (ko) 휴대용 충전식 산소미스트 용기
JP2008254751A (ja) 倒立用の定量噴射型エアゾールバルブ、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および倒立用エアゾール製品の噴射器
KR101893074B1 (ko) 두피 케어 용기
KR102254977B1 (ko) 압력분사방식을 갖는 휴대형 화장액 분사장치
KR101870631B1 (ko)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
JP4262581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の小分定量分配装置
JP2007319729A (ja) 吸引式噴射器
JP426501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霧容器
KR102536706B1 (ko) 에어브러시용 분사헤드
JP3175446U (ja) パーソナルケア用スプレー
JP2022044517A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ー
KR102524968B1 (ko) 제품 공급 용기를 가압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장품 포트
JP4702864B2 (ja) エアゾール装置用噴射装置
KR102161360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분무기
KR100936181B1 (ko) 잔 가스 배출 기능을 갖는 정량 분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