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085B1 -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085B1
KR101870085B1 KR1020170090316A KR20170090316A KR101870085B1 KR 101870085 B1 KR101870085 B1 KR 101870085B1 KR 1020170090316 A KR1020170090316 A KR 1020170090316A KR 20170090316 A KR20170090316 A KR 20170090316A KR 101870085 B1 KR101870085 B1 KR 10187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switch
alarm signal
circuit
hol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효
Original Assignee
배수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효 filed Critical 배수효
Priority to KR102017009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8Printing; Embo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위조방지된 쓰레기 봉투를 고속으로 생산하고 동시에 지정된 생산량을 초과하면 경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에러상황을 빨리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롤(25)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펄스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엔코더(60)와; 상기 인쇄동판롤(30)이 회전할 때마다 불연속적인 인쇄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인쇄센서(70)와; 상기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생산관리정보를 눈으로 직접 식별 가능한 잉크로 인쇄하는 식별정보인쇄프린터(80)와;
상기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생산관리정보를 눈으로 직접 식별이 불가능하고 자외선에 의하여 식별되는 형광잉크로 인쇄하는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와; 상기 엔코더(60)가 펄스신호를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센서(70)가 인쇄신호를 발생할 때, 상기 식별정보인쇄 프린터(80)와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가 상기 제1,2생산관리정보를 인쇄하도록 인쇄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 1,2생산관리정보가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의 길이를 산출하여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수량을 관리하는 생산관리서버(S)와; 상기 생산관리서버가 엔코더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생산량을 초과하여 쓰레기 봉투가 제조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System for production of a forgery garbage bag}
본 발명은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조방지된 쓰레기 봉투를 고속으로 생산하고 동시에 지정된 생산량을 초과하면 경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에러상황을 빨리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의 실제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를 부과하는 제도로서 쓰레기를 배출할 때에는 쓰레기봉투에 담아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 배출을 줄이고, 재활용품은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하여 재활용품은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쓰레기 종량제는 일반가정, 음식점, 소규모 사업장의 일반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일반용 봉투를 사용하도록 하고, 골목청소, 가로청소용은 공공용 봉투를 사용하도록 하며, 음식물 찌꺼기는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일반용, 공공용으로 구분되는 쓰레기봉투는 각각 다른 색상과 다른 용량으로 구분되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데, 이는 해당 자치단체장이 수요량을 예측하여 수량 및 봉투용량을 적정하게 주문하여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량제 쓰레기봉투는 장애인 협회에서 운영하는 공장에서 생산해 내고, 관리는 해당 자치단체에서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해당 자치단체는 쓰레기봉투 생산 공장에 특정 수량만을 찍으라고 지시하지만, 공장에서는 더 많이 찍어내어 불법으로 쓰레기봉투를 유통시킬 수 있으며, 원판 위조 제작이 용이하여 위조 쓰레기봉투가 생산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적정하게 관리하고, 위조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문헌 1. 특허등록 제0348361호
(특허문헌 0002) 문헌 2. 특허등록 제0831377호
(특허문헌 0003) 문헌 3. 특허등록 제0964648호
(특허문헌 0004) 문헌 4. 특허등록 제09411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창출된 것으로서, 쓰레기봉투를 관리하는 해당 자치단체의 주문량외의 생산을 방지하고, 위조된 쓰레기봉투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위조방지정보가 인쇄되며, 그 위조방지정보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고속으로 생산할 수 있는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정된 생산량을 초과하면 경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에러상황을 빨리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가 되는 미인쇄된 관형비닐봉투(V)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권치롤(10)과, 상기 관형비닐봉투(V)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20)(25)과, 상기 다수의 가이드롤(20)(25)을 경유하는 관형비닐봉투(V)에 청소대행지역, 관리하는 지자체 및 관리부서, 전화번호와 같은 쓰레기봉투에 관련된 쓰레기봉투일반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동판롤(30)과, 상기 인쇄동판롤(30)에 의하여 쓰레기봉투일반정보가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를 감는 감기롤(40)과, 상기 인쇄동판롤(30) 및 감기롤(4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25)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펄스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엔코더(60)와; 상기 인쇄동판롤(30)이 회전할 때마다 불연속적인 인쇄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인쇄센서(70)와; 상기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생산관리정보를 눈으로 직접 식별 가능한 잉크로 인쇄하는 식별정보인쇄프린터(80)와; 상기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생산관리정보를 눈으로 직접 식별이 불가능하고 자외선에 의하여 식별되는 형광잉크로 인쇄하는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와; 상기 엔코더(60)가 펄스신호를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센서(70)가 인쇄신호를 발생할 때, 상기 식별정보인쇄 프린터(80)와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가 상기 제1,2생산관리정보를 인쇄하도록 인쇄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 1,2생산관리정보가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의 길이를 산출하여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수량을 관리하는 생산관리서버(S)와; 상기 생산관리서버가 엔코더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생산량을 초과하여 쓰레기 봉투가 제조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생산자가 쓰레기봉투를 관리하는 해당 자치단체의 주문량외의 생산을 방지할 수 있고, 위조된 쓰레기봉투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위조방지정보가 인쇄되며, 그 위조방지정보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고속으로 생산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또한, 지정된 생산량을 초과하면 경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에러상황을 빨리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생산관리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생산관리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은, 지면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쓰레기봉투가 되는 미인쇄된 관형비닐봉투(V)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권치롤(10)과, 관형비닐봉투(V)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20)(25)과, 다수의 가이드롤(20)(25)을 경유하는 관형비닐 봉투(V)에 쓰레기봉투에 관련된 쓰레기봉투일반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동판롤(30)과, 인쇄동판롤(30)에 의하여 쓰레기봉투일반정보가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를 감는 감기롤(40)과, 권치롤(10)과 감기롤(40) 사이에서 관형비닐봉투(V)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롤(50)과, 인쇄동판롤(30), 감기롤(40) 및 이송롤(5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은, 가이드롤(25)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펄스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엔코더(60)와; 인쇄동판롤(30)이 회전할 때마다 불연속적인 인쇄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인쇄센서(70)와; 엔코더(60)가 펄스신호를 발생한 상태에서 인쇄센서(70)가 상기 인쇄신호를 발생한 이후에,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생산관리정보를 인쇄하는 식별정보 인쇄 프린터(80)와; 엔코더(60)가 펄스신호를 발생한 상태에서 인쇄센서(70)가 인쇄신호를 발생한 이후에,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생산관리정보를 자외선에 의하여 식별되는 형광잉크로 인쇄하는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와; 관형비닐봉투(V)에 인쇄된 쓰레기봉투일반정보, 제1생산관리정보, 제2생산관리정보를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부(100)와; 엔코더(60)가 펄스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인쇄센서(70)가 인쇄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였을 때, 제1,2생산관리정보가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의 길이를 산출하여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을 관리하는 생산관리서버(S);를 포함한다.
권취롤(10)에는 롤상으로 감겨진 미인쇄된 관형비닐봉투롤이 설치되며, 관형비닐봉투(V)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가이드롤(20)은 권취롤(10)과 인쇄동판롤(30)과 감기롤(40) 사이에 다수개 설치되어, 관형비닐봉투(V)가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인쇄동판롤(30)은 그 외주면에 쓰레기봉투일반정보, 예를 들면 발주처, 일반용인지 공공요인지를 표시하는 용도, 용량, 청소대행업체, 청소대행지역, 관리하는 지자체 및 관리부서, 전화번호, 쓰레기 배출시간, 쓰레기봉투의 재질등의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형비닐봉투(V)가 인쇄동판롤(30)을 경유할 때 패턴에 채워진 잉크가 관형비닐봉투(V)로 전사되어 인쇄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쇄동판롤(30)에 의한 인쇄과정은 그라비아인쇄방식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기롤(40)은 쓰레기봉투일반정보 및 위조방지를 위한 제1,2생산관리정보가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를 감기 위한 것이다. 감기롤(40)은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구동되어 인쇄가 완료된 관형비닐봉투(V)를 롤상으로 감고. 감기롤(40)에 최종적으로 감겨진 관형비닐봉투롤은 재단기(미도시)로 옮겨져 일정한 크기로 재단됨으로서, 쓰레기봉투가 완성된다.
이송롤(50)은, 마찰을 일으키는 마찰롤(51)과, 마찰롤(51)에 밀착되는 밀착롤(52)로 구성되며, 마찰롤(51) 또는 밀착롤(52)은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이때 마찰롤(51)은 그 외주면에 관형비닐봉투(V)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실리콘 고무나 합성 또는 천연고무로 이루어지는 마찰층(5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마찰롤(51)과 밀착롤(52) 사이를 경유하는 관형비닐봉투(V)는 일방향으로 이송된다.
엔코더(60)는, 가이드롤(25)이 회전될 때 대응되는 펄스신호를 발생함으로서 관형비닐봉투(V)의 이송길이를 알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엔코더(6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엔코더(60)는 프레임(F)의 소정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롤(25)의 마찰층(25a)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롤센서(61)를 구비하고 있으며, 마찰층(25a)의 회전에 연동되어 롤센서(61)가 회전될 때 대응되는 펄스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즉, 엔코더(60)는 관형비닐봉투(V)를 이송시키는 가이드롤(25)의 회전수를 측정함으로써, 관형비닐봉투(V)의 이송거리에 해당하는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관형비닐봉투의 이송거리를 회전거리로 감지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며, 예를 들면 이송거리를 회전각도로 변환하여 회전각도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인쇄센서(70)는, 관형비닐봉투(V)를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동판롤(30)이 1회전 때마다 불연속적인 인쇄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즉, 인쇄는 관형비닐봉투(V)가 회전되는 인쇄동판롤(30)에 밀착될 때 이루어지기 때문에, 쓰레기봉투일반정보가 인쇄될 때마다 인쇄센서(70)는 인쇄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쇄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센서(70)는, 프레임(F)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광신호를 발생하는 발광센서(71)와, 발광센서(71)로부터 발광되는 광신호를 수광하는 수광센서(72)와, 인쇄동판롤(30)의 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발광센서(71)에서 발생된 광신호가 수광센서(72)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차단하는 광신호차단돌기(73)로 구성된다. 따라서 쓰레기봉투일반정보를 인쇄하기 위하여 인쇄동판롤(30)이 회전될 때마다 광신호차단돌기(73)가 발광센서(71)에서 수광센서(72)로 조사되는 광신호를 차단하기 때문에, 인쇄센서(70)는 불연속적인 인쇄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식별정보 인쇄프린터(80)는, 엔코더(60)가 펄스신호를 발생하고 인쇄센서(70)가 인쇄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위조방지정보로서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생산관리정보를 식별가능한 잉크로 인쇄한다. 즉, 쓰레기봉투일반정보가 인쇄될 때마다 발생되는 인쇄신호에 연동되어, 식별정보 인쇄프린터(80)는 제1생산관리정보를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잉크로 인쇄하는 것이다.
비식별정보 인쇄프린터(90)는, 엔코더(60)가 펄스신호를 발생하고 인쇄센서(70)가 인쇄신호를 발생하였을 때, 위조방지정보로서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생산관리정보를 자외선에 의하여 식별되는 형광잉크로 인쇄한다. 즉, 쓰레기봉투일반정보가 인쇄될 때마다 발생되는 인쇄신호에 연동되어,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는 제2생산관리정보를 형광잉크로 인쇄하는 것이다. 이때 제2생산관리정보는 일반 가시광선 환경에서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고 자외선에 의하여만 확인가능한 형광잉크로 인쇄되기 때문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제2생산관리정보가 표시되지 않으면 쓰레기봉투가 위조된 것이다.
상기한 식별번호 인쇄프린터(80)와 비식별정보 인쇄프린터(90)는 프레임의 소정부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식별번호 인쇄프린터(80) 및 비식별정보 인쇄프린터(90)는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유통기한, 제조일자, 로트(lot)번호, 시리얼(serial)번호, 바코드, 한글로고 등을 주로 인쇄하는 것을 사용한다. 본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프린터는 7 dots 고속인쇄 모드 모드일 경우 250m/분으로 인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한글표현은 텍스트 모드에서 가능하고, 112,500bps의 고속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식별정도 인쇄프린터(80)와 비식별정보 인쇄프린더(90)에 의하여 각각 인쇄되는 제1생산관리정보와 제2생산관리정보는 각각 다른 내용일 수도 있고, 동일한 내용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생산관리정보와 제2생산관리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상정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생산관리정보는 적어도 생산수량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인쇄연도와 분기를 나타내는 정보, 쓰레기봉투의 고유번호 및 그 고유번호가 홀수일 경우와 짝수일 경우를 구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유번호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을 알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생산자가 생산숫자를 임의 지정할 수 없도록 하는 일련번호(serial number) 또는 중복방지를 위한 난수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2생산관리정보는, 인쇄동판롤(30)에서 인쇄되는 쓰레기봉투일반정보의 일부내용, 예를 들면 발주처, 일반용인지 공공요인지를 표시하는 용도, 용량, 청소대행업체, 청소대행지역, 관리하는 지자체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쓰레기봉투 생산공장에서 위조를 목적으로 인쇄동판롤을 다른 것으로 교체할경우, 제1,2생산관리정보에 포함된 쓰레기봉투일반정보의 일부내용이 인쇄동판롤(30)에 의하여 인쇄되는 쓰레기 봉투일반정보과 다르기 때문에 위조가 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히터부(100)는, 관형비닐봉투(V)에 인쇄되는 쓰레기봉투일반정보, 제1생산관리정보, 제2생산관리정보를 빠르게 건조시킨다. 관형비닐봉투(V)에는 쓰레기봉투일반정보 이외에 제1,2생산관리정보가 인쇄되기 때문에, 이러한 인쇄된 제1,2생산관리정보를 빠르게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부(100)를 채용하는 것이다.
생산관리서버(S)는 엔코더(60)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관형비닐봉투(V)의 이송길이를 산출하고, 엔코더(60)와 인쇄센서(70)로부터 각각 펄스신호와 인쇄신호가 수신될 때 식별정보 인쇄프린터(80)와 비식별정보 인쇄프린터(90)가 제1,2생산관리정보를 인쇄하도록 인쇄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또한 생산관리서버(S)는, 제1,2생산관리정보가 인쇄되는 관형비닐봉투(V)의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을 관리한다. 더 나아가 생산관리서버(S)는 인쇄날짜, 생산량 등의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자체에서 파견된 관리자는, 인쇄동판롤(30)에서 인쇄되는 쓰레기봉투일반정보의 일부내용으로, 발주처, 일반용인지 공공용인지를 표시하는 용도, 용량, 청소대행업체, 청소대행지역, 관리하는 지자체에 관련된 정보를 생산관리서버(S)에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관리서버(S)는 제1,2생산관리정보에 입력 및 등록된 쓰레기봉투일반정보의 일부내용이 포함되게 식별정보인쇄프린터(80) 및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의 인쇄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쓰레기봉투일번정보의 일부내용을 입력 및 등록은, 생산관리서버(S)에 접근이 용인된 지자체 관리자에 의하여만 이루어진다.
상기한 생산관리서버(S)는 지자체에 주로 설치되나 쓰레기봉투 생산공장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생산관리서버(S)가 지자체에 설치될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쓰레기봉투 생산공장의 쓰레기봉투 생산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엔코더(60), 인쇄센서(70). 식별정보인쇄프린터(80) 및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격으로 제1,2생산관리정보의 인쇄는 물론, 인쇄되는 관형비닐봉투(V)의 양이나, 인쇄날짜, 생산량 등의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생산관리서버(S)가 쓰레기봉투 생산 공장에 설치될 경우, 생산관리서버(S)는 지자체에서 파견된 관리자나 소정의 사용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접근이 용인되어 관리된다.
상기와 같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생산관리서버(S)에 쓰레기봉투의 규격별 생산량을 입력하면, 인쇄되는 관형비닐봉투(V)의 길이를 산출하고 그 길이와 엔코더(60)의 펄스신호를 비교한다.
또 생산관리서버(S)는 각각의 제1,2생산관리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한 일련번호의 최종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인쇄가 재개되면 그 데이터베이스화한 최종 일련번호에 이어서 다른 연속되는 일련번호를 인쇄하도록, 인쇄작업이 완료되거나 인쇄가 중단될 경우 작업일시,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의 길이 및 소정 기간동안의 인쇄된 관형 비닐봉투의 누적길이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생산관리서버(S)에 쓰레기봉투의 규격별 생산량을 입력하면, 인쇄되는 관형비닐봉투(V)의 길이를 산출하고 그 길이와 엔코더(60)의 펄스신호를 비교하여 생산량을 초과하면 필요한 쓰레기 봉투의 갯수를 초과하여 생산하는 것이므로 생산관리서버(S)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여 초과생산을 인지하지 못한 작업자에게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한다.
즉, 생산관리서버(S)는 엔코더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생산량을 초과하여 쓰레기 봉투가 제조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 권치롤
20, 25: 가이드롤
30: 인쇄동판롤
40: 감기롤
50: 이송롤
51: 마찰롤
52: 밀착롤
60: 엔코더
70: 인쇄센서
80: 식별정보인쇄프린터
90: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
100: 히터부
S: 생산관리서버
V: 관형비닐봉투

Claims (2)

  1. 쓰레기봉투가 되는 미인쇄된 관형비닐봉투(V)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권치롤(10)과, 상기 관형비닐봉투(V)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20)(25)과, 상기 다수의 가이드롤(20)(25)을 경유하는 관형비닐봉투(V)에 청소대행지역, 관리하는 지자체 및 관리부서, 전화번호와 같은 쓰레기봉투에 관련된 쓰레기봉투일반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동판롤(30)과, 상기 인쇄동판롤(30)에 의하여 쓰레기봉투일반정보가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를 감는 감기롤(40)과, 상기 인쇄동판롤(30) 및 감기롤(4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25)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펄스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엔코더(60)와;
    상기 인쇄동판롤(30)이 회전할 때마다 불연속적인 인쇄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인쇄센서(70)와;
    상기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생산관리정보를 눈으로 직접 식별 가능한 잉크로 인쇄하는 식별정보인쇄프린터(80)와;
    상기 관형비닐봉투(V)에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생산수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생산관리정보를 눈으로 직접 식별이 불가능하고 자외선에 의하여 식별되는 형광잉크로 인쇄하는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와;
    상기 엔코더(60)가 펄스신호를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센서(70)가 인쇄신호를 발생할 때, 상기 식별정보인쇄 프린터(80)와 비식별정보인쇄프린터(90)가 상기 제1,2생산관리정보를 인쇄하도록 인쇄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 1,2생산관리정보가 인쇄된 관형비닐봉투(V)의 길이를 산출하여 생산되는 쓰레기봉투의 수량을 관리하는 생산관리서버(S)와;
    상기 생산관리서버가 엔코더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생산량을 초과하여 쓰레기 봉투가 제조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2. 삭제
KR1020170090316A 2017-07-17 2017-07-17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KR10187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316A KR101870085B1 (ko) 2017-07-17 2017-07-17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316A KR101870085B1 (ko) 2017-07-17 2017-07-17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085B1 true KR101870085B1 (ko) 2018-06-21

Family

ID=6280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316A KR101870085B1 (ko) 2017-07-17 2017-07-17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586B1 (ko) * 2022-07-14 2023-02-06 에코케미칼(주) 생산량 관리 및 에너지 효율 기능을 적용한 비닐봉투 생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9607A (ja) * 1993-10-29 1995-05-19 Kawasaki Steel Corp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記録方法
JPH07129687A (ja) * 1993-11-08 1995-05-19 Asahi Chem Ind Co Ltd 生産計画警報システム
KR101009094B1 (ko) * 2010-04-06 2011-01-18 박도일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KR101658332B1 (ko) * 2016-03-31 2016-09-20 송주희 근전도를 이용한 드론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9607A (ja) * 1993-10-29 1995-05-19 Kawasaki Steel Corp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記録方法
JPH07129687A (ja) * 1993-11-08 1995-05-19 Asahi Chem Ind Co Ltd 生産計画警報システム
KR101009094B1 (ko) * 2010-04-06 2011-01-18 박도일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KR101658332B1 (ko) * 2016-03-31 2016-09-20 송주희 근전도를 이용한 드론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586B1 (ko) * 2022-07-14 2023-02-06 에코케미칼(주) 생산량 관리 및 에너지 효율 기능을 적용한 비닐봉투 생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0919B1 (en) Discriminating web material dispenser
US20090177315A1 (en) Product,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Product
KR101870085B1 (ko)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CN112789159A (zh) 膜固定装置和方法
CN102336066A (zh) 打印机和辊子
CN107847088A (zh) 纸制品分配器
CN107128082A (zh) 一种打印机自动续纸装置和自动续纸打印机
JP5531402B2 (ja) 画像形成装置
JP4537516B2 (ja) 分包紙用紙管
KR101009094B1 (ko) 위조방지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CN102336065A (zh) 打印机和辊子
JP5467126B2 (ja) 薬剤包装装置、薬剤包装装置の制御方法、分包紙及び分包紙用紙管
JP2007109202A (ja) 自動販売機
JP3240297B1 (ja) 分包紙及び分包紙ロール
CN100496991C (zh) 印刷装置的使用后原版保护系统、保护方法及印刷装置
JP3609826B2 (ja) 薬剤包装装置及び薬剤分包方法
JP3950163B2 (ja) 薬剤包装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の制御方法
KR100216671B1 (ko) 유가증권의 위조여부 판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97413B1 (ko) 암표시를 갖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제조장치
CN213950109U (zh) 一种同速纸架接纸报警装置及其控制电路
KR101131816B1 (ko) 쓰레기봉투 생산관리시스템
JP2010137929A (ja) ロール紙終端近傍の印字制御手段
US20220283683A1 (en) Scrolling protective film system for touchscreen
JP2002011074A (ja) 分包紙用紙管及び分包紙ロール
KR20120114822A (ko) 쓰레기봉투 생산수량 위조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