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908B1 -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908B1
KR101869908B1 KR1020170136863A KR20170136863A KR101869908B1 KR 101869908 B1 KR101869908 B1 KR 101869908B1 KR 1020170136863 A KR1020170136863 A KR 1020170136863A KR 20170136863 A KR20170136863 A KR 20170136863A KR 101869908 B1 KR101869908 B1 KR 10186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e
electrical signal
microph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임병상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레이져라이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져라이팅(주) filed Critical 레이져라이팅(주)
Priority to KR102017013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05B33/0845
    • H05B33/0857
    • H05B37/023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장소를 비추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 조명부, 미리 정해진 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가 저장된 제1 저장부,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마이크,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이격된 제2 마이크,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빔포밍 영역 이내의 소리를 추출하기 위해 빔포밍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 상기 조명부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게 되면 상기 조명부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기구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각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청각 장애인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요인으로 청각에 이상이 있어 소리를 듣지 못하기 때문에 미리 약속된 수화 등 주로 시각적 정보에 의존하여 의사소통하거나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청각적 정보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는 제대로 대응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 특히 집의 경우 각각의 방이 벽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청각 장애인이 집에서 일어나는 여러 상황을 적시에 인식하기 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아기가 울고 있어도 다른 방에 있거나 다른 일을 하느라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 못하면 이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고령 또는 기타 사정으로 인해 소리를 제대로 듣기 어려운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최근 들어 독거노인의 고독사 문제 등이 크게 대두됨에 따라 상대적인 약자에 대한 생활 관리 시스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집에서 일어나는 여러 상황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장소를 비추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 조명부, 미리 정해진 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가 저장된 제1 저장부,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마이크,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이격된 제2 마이크,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빔포밍 영역 이내의 소리를 추출하기 위해 빔포밍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 상기 조명부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게 되면 상기 조명부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포밍 영역은 상기 장소에서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주로 발생하는 지점이 그 빔포밍 영역 이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소에 TV나 라디오가 있을 경우, 상기 빔포밍 영역은 TV나 라디오가 그 빔포밍 영역 밖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색상 또는 조도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조도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점멸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지속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주기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모드로 작동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동작, 심장 박동이나 맥박 또는 호흡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사용자의 동작, 심장 박동이나 맥박 또는 호흡에 대한 정상 범위가 저장된 제2 저장부 및 상기 센서에 의한 생체 신호가 상기 제2 저장부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미리 정해진 사람 또는 기관으로 미리 정해진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상기 제2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는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모드로 작동하기 시작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는 마이크, 판단부, 제어부 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소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소리에 따라 조명부의 색상, 조도, 점멸 여부 등을 달리 제어함으로써 소리라는 청각적 정보를 조명부라는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이거나 고령 또는 기타 사정으로 인해 소리를 제대로 듣기 어려운 상황에 있더라도 해당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는 빔포밍(beamforming) 마이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소리만 추출하고 사용자가 관심이 없는 그밖에 다른 소리, 예컨대 TV나 라디오 또는 외부의 소리는 노이즈로 제거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제대로 인식하였다는 취지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동작, 심장 박동이나 맥박, 호흡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보호자, 주치의, 소방서, 경찰서, 보건소, 주민센터, 병원 등으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보호자 등이 사용자를 방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의 개요도이다.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가 설치된 장소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100)의 개요도이다. 또한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100)가 설치된 장소(R)의 예시로서, 도 2는 상기 장소(R)의 측면도에 해당하고 도 3은 상기 장소(R)의 평면도에 해당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조명 기구(100)는 조명부(110), 제1 저장부(121), 제1 마이크(122), 제2 마이크(123), 처리부(124), 제1 판단부(125), 제어부(126), 스위치(130), 센서(141), 제2 저장부(142), 제2 판단부(143) 및 통신부(144)를 포함한다.
조명부(110)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장소(R)를 전체적으로 비추기 위한 것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천장에 설치된다. 그러나 조명부(110)는 필요에 따라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조명부(110)는 복수의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만약 어느 하나의 모드를 제1 모드라 하고 다른 하나의 모드를 제2 모드라 하며 또 다른 하나의 모드를 제3 모드라 한다면 조명부(110)는 색상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져 각 모드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10)는 제1 모드에서는 흰색으로 발광하고 제2 모드에서는 빨간색으로 발광하며 제3 모드에서는 파란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10)는 조도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져 각 모드에서 서로 다른 조도로 발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10)는 제1 모드에서는 제1 조도로 발광하고 제2 모드에서는 제1 조도보다 어두운 제2 조도로 발광하며 제3 모드에서는 제1 조도보다 밝은 제3 조도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10)는 점멸 가능하게 이루어져 제1 모드에서는 지속적으로 발광하고 제2 모드와 제3 모드에서는 주기적으로 점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명부(110)의 모드는 조명 기구(100)가 설치된 장소(R)에서 어떠한 소리가 발생하였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1 저장부(121)에는 미리 정해진 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1 저장부(121)에는 전화기의 벨 소리, 초인종의 벨 소리, 아기나 애완동물의 울음소리, 냄비에서 물이 끓을 때 나는 소리 등 상기 장소(R)에서 가능한 여러 소리로서 특히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제1 마이크(122)와 제2 마이크(123)는 상기 장소(R)에서 소리가 발생하면 그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단 이를 위한 제1 마이크(122)와 제2 마이크(123)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1 마이크(122)와 제2 마이크(123)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제1 마이크(122)와 제2 마이크(123)는 서로 다른 지점을 지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소(R)에서 동일한 지점에 동일한 소리가 발생하더라도 제1 마이크(122)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의 파형과 제2 마이크(123)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의 파형은 서로 다른 양상을 가질 수 있다.
처리부(124)는 제1 마이크(122)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와 제2 마이크(123)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하여, 상기 장소(R)에서 미리 정해진 빔포밍 영역(A) 이내의 소리만 추출하고 빔포밍 영역(A) 밖의 소리는 노이즈로 제거하기 위해 빔포밍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단 이를 위한 구체적인 처리 방법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이때 빔포밍 영역(A)은 제1 저장부(121)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주로 발생하는 지점이 그 빔포밍 영역(A) 이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소에 전화기, 초인종, 가스레인지 등이 있다면 빔포밍 영역(A)은 전화기, 초인종, 가스레인지 등이 그 빔포밍 영역(A) 이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나 애완동물이 주로 활동하는 구역이 그 빔포밍 영역(A) 이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반면 빔포밍 영역(A)은 사용자가 관심이 없는 그밖에 다른 소리는 배제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소(R)에 TV나 라디오 등이 있다면 빔포밍 영역(A)은 TV나 라디오 등이 그 빔포밍 영역(A) 밖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TV나 라디오 등에서 예컨대 아기의 울음소리가 나오더라도 이를 노이즈로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실제 아기의 울음소리만 포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소(R)에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면 창문이 빔포밍 영역(A) 밖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창문을 통해 들려오는 외부의 소리를 노이즈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장소(R)의 소리를 보다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다.
제1 판단부(125)는 처리부(124)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 즉 빔포밍 영역(A) 이내의 소리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와 제1 저장부(121)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를 비교하여 처리부(124)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가 어떠한 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로써 제1 판단부(125)는 상기 장소(R)에서 어떠한 소리가 발생하였는지, 다시 말해 전화기가 울리고 있는지, 초인종이 울리고 있는지, 아기가 울거나 애완동물이 짖고 있는지, 냄비에서 물이 끓고 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리부(124)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TV나 라디오 또는 외부의 소리가 아닌, 실제 전화기가 울리고 있는지, 실제 초인종이 울리고 있는지, 실제 아기가 울거나 애완동물이 짖고 있는지, 실제 냄비에서 물이 끓고 있는지 등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6)는 조명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명 기구(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어떠한 소리가 발생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6)는 조명부(110)가 기본적으로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되 제1 판단부(125)가 처리부(124)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가 제1 저장부(121)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조명부(110)가 다른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126)는 제1 판단부(125)가 처리부(124)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가 전화기의 벨 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시 말해 조명 기구(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전화기가 울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조명부(11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이거나 고령 또는 기타 사정으로 인해 소리를 제대로 듣기 어려운 상황에 있더라도 조명부(11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6)는 제1 판단부(125)가 처리부(124)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가 또 다른 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예컨대 아기의 울음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시 말해 조명 기구(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아기가 울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조명부(110)가 제3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명부(110)의 모드를 통해 해당 정보들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스위치(130)는 조명부(110)가 제2 모드나 제3 모드로 작동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명부(110)가 다시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위치(130)는 상기 장소(R)에서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닿을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41)는 초고감도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심장 박동이나 맥박, 호흡 등을 포함하는 각종 생체 신호를 감지한다.
단 이를 위한 생체 센서(141)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저장부(142)에는 사용자의 동작, 심장 박동이나 맥박, 호흡 등에 대한 정상 범위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센서(141)가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면 제2 저장부(142)에는 사용자의 맥박에 대한 정상 범위가 50회 내지 100회로 저장될 수 있다.
제2 판단부(143)는 센서(141)에 의해 감지된 생체 신호가 제2 저장부(142)에 저장된 정상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센서(141)가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센서(141)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맥박이 50회보다 적거나 100회보다 많다면 제2 판단부(143)는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44)는 미리 정해진 사람이나 기관, 예컨대 보호자, 주치의, 인근 소방서, 경찰서, 보건소, 주민센터, 병원 등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이에 통신부(144)는 제2 판단부(143)가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사람이나 기관으로 미리 정해진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조명 기구(100)의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 조명 기구(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100)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부(110)는 기본적으로 제1 모드로 작동한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흰색으로, 적절한 조도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S1). 즉 조명부(110)는 제1 모드에서 보편적인 조명등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만약 조명 기구(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소리가 발생하면 제1 마이크(122)와 제2 마이크(123)는 그 음파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S2).
그러면 처리부(124)는 제1 마이크(122)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와 제2 마이크(123)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빔포밍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S3).
그리고 제1 판단부(125)는 처리부(124)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와 제1 저장부(121)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를 비교하여 어떠한 소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 예를 들어 제1 판단부(125)는 초인종이 울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아기가 울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제어부(126)는 어떠한 소리가 발생하였는지에 따라 조명부(11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거나 제3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 예를 들어 제어부(126)는 초인종 벨 소리가 발생하였다면 조명부(110)가 빨간색으로, 비교적 어두운 조도로, 그리고 다소 천천히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아기 울음소리가 발생하였다면 조명부(110)가 파란색으로, 비교적 밝은 조도로, 그리고 다소 빠르게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청각 장애인이거나 고령 또는 기타 사정으로 인해 소리를 제대로 듣기 어려운 상황에 있더라도 조명부(110)의 모드를 통해 초인종의 벨 소리가 발생하였는지, 아기의 울음소리가 발생하였는지 등을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인식하고 나면 이제 스위치(130)를 누를 것이다.
그러면 조명부(110)는 다시 제1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S1).
한편 센서(141), 제2 저장부(142), 제2 판단부(143) 및 통신부(144)는 평상시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조명부(110)가 제1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작동하기 시작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예컨대 약 5분 동안 스위치(130)가 작동하지 않으면 활성화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S6).
이에 의하면 평상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불필요하게 수집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이 지나치게 감시되거나 관련 전력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조명부(110)가 다른 모드로 작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즉 조명부(110)가 보편적인 조명등과 달리 작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스위치(130)를 누르지 않았다면 이는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어 제대로 거동할 수 없는 상황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센서(141), 제2 저장부(142), 제2 판단부(143) 및 통신부(144)가 활성화되며 만약 사용자의 건강에 실제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사람이나 기관으로 "사용자의 가정에서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취지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람이나 기관의 담당자가 사용자를 방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사용자가 거주하는 장소를 비추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 조명부,
    미리 정해진 소리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가 저장된 제1 저장부,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마이크,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이격된 제2 마이크,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빔포밍 영역 이내의 소리를 추출하기 위해 빔포밍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부,
    상기 조명부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게 되면 상기 조명부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모드로 작동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사용자의 동작, 심장 박동이나 맥박 또는 호흡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사용자의 동작, 심장 박동이나 맥박 또는 호흡에 대한 정상 범위가 저장된 제2 저장부 및
    상기 센서에 의한 생체 신호가 상기 제2 저장부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미리 정해진 사람 또는 기관으로 미리 정해진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상기 제2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는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모드로 작동하기 시작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이상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활성화됨으로써,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동작, 심장 박동이나 맥박 또는 호흡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센서에 의한 생체 신호가 상기 제2 저장부의 정상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미리 정해진 사람 또는 기관으로 미리 정해진 정보를 전송하는 조명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영역은 상기 장소에서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발생할 것으로 미리 예정된 지점이 그 빔포밍 영역 이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되는 조명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에 TV나 라디오가 있을 경우, 상기 빔포밍 영역은 TV나 라디오가 그 빔포밍 영역 밖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되는 조명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색상 또는 조도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에서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조도로 발광하는 조명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점멸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지속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주기적으로 점멸하는 조명 기구.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36863A 2017-10-20 2017-10-20 조명 기구 KR101869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63A KR101869908B1 (ko) 2017-10-20 2017-10-20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63A KR101869908B1 (ko) 2017-10-20 2017-10-20 조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908B1 true KR101869908B1 (ko) 2018-06-25

Family

ID=6280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63A KR101869908B1 (ko) 2017-10-20 2017-10-20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9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26B1 (ko) *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9907B1 (ko) * 2014-11-12 2015-05-18 문기영 독거 관리대상자 케어 시스템
KR101566698B1 (ko) * 2013-07-11 2015-11-06 주식회사 엔젤럭스 스마트 회전 led 조명장치
KR101654609B1 (ko) * 2014-07-18 2016-09-07 함준혁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1385B1 (ko) * 2015-07-01 2017-02-01 빛기술 주식회사 유아용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손목 밴드
WO2017085487A1 (en) * 2015-11-20 2017-05-26 Native Design Limited Lighting and sound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426B1 (ko) *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66698B1 (ko) * 2013-07-11 2015-11-06 주식회사 엔젤럭스 스마트 회전 led 조명장치
KR101654609B1 (ko) * 2014-07-18 2016-09-07 함준혁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9907B1 (ko) * 2014-11-12 2015-05-18 문기영 독거 관리대상자 케어 시스템
KR101701385B1 (ko) * 2015-07-01 2017-02-01 빛기술 주식회사 유아용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손목 밴드
WO2017085487A1 (en) * 2015-11-20 2017-05-26 Native Design Limited Lighting and sou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9196B2 (en) Status indication triggering and user interfacing in a smart-home device
US10276018B2 (en) Method for remote presence detection and/or remote behavioral analysis, its implementing device and presence detection device
ES2971050T3 (es) Método y dispositivo de notificación
US20130100268A1 (en) Emergency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and method
JP6699000B2 (ja) 照明装置
KR101328865B1 (ko) 청각 장애인용 손목시계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27714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20200082679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4989214B2 (ja) 防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照明器具
JP2024026674A (ja) 警報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83398B1 (ko) 조명 기구
KR101869908B1 (ko) 조명 기구
JP2005301355A (ja) 防犯装置および照明器具
CN108235536B (zh) 智能灯及体感监测系统
KR20090094572A (ko) 청각장애인 등을 위한 알림 시스템
KR102470807B1 (ko) 상황 감지를 위한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1368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lighting system based on user lighting preferences
JP2020091720A (ja) 健康被害警告方法、健康被害警告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4047346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798035B1 (ko) Led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TWI702573B (zh) 音響裝置、音響裝置之控制方法及音響裝置之控制程式
GB2581221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3631030A (zh) 用于提供声音掩蔽环境的系统和方法
KR20210026777A (ko)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38495A (ko) 소리 발생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