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732B1 -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732B1
KR101869732B1 KR1020160087842A KR20160087842A KR101869732B1 KR 101869732 B1 KR101869732 B1 KR 101869732B1 KR 1020160087842 A KR1020160087842 A KR 1020160087842A KR 20160087842 A KR20160087842 A KR 20160087842A KR 101869732 B1 KR101869732 B1 KR 10186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antenna
article
chamber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096A (ko
Inventor
안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안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안은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08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7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6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은,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물품에 부착된 RIF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로부터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실; 상기 차폐실의 입구 및 출구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차폐실의 내부로상기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 및 상기 차폐실에 마련되고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RFID 안테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은 종래 RFID 시스템과는 다르게 내부 상측, 좌측, 우측 및 하측 각각에 RFID 안테나를 마련함으로써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RFID SYSTEM USING RFID SHEILD ROOM}
본 발명은 태그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물품의 생산, 관리, 유통에 있어서 전파를 이용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RFID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해당 물품의 정보가 담긴 RFID 태그(RFID-tag)를 물품에 부착하고, RFID 태그에 물품에 관한 정보를 RFID 라이터(writer)를 이용하여 인코딩하고, RFID 태그에 인코딩 된 정보를 RFID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획득한다.
이러한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 별도의 RFID 시스템을 이용한다. 기존의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 근처에 RFID 리더 또는 RFID 리더와 유선으로 연결된 안테나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물품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할 때,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RFID 안테나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로 들어오면, RFID 안테나가 태그 신호를 획득하고, RFID 안테나에 의해 획득된 태그 신호는 RFID 리더를 이용하여 물품의 정보를 확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RFID 시스템은 RFID 리더가 읽고자 하는 RFID 태그가 아닌, RFID 리더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다른 RFID 태그까지도 인식할 수 있어서 획득하고자 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류 관련 물품의 경우에는 낱개가 아닌 약 100개 내지 200개 정도가 한번에 박스(box)에 담겨 포장된다. 다시 말해서, 의류 관련 물품의 경우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낱개로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태그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포장된 포장박스 자체를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한번에 태그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RFID 시스템이 한번에 많은 RFID 태그를 인식하여야 하므로 태그 인식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태그 신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26180호 (발명의 명칭: RIFD 태그 인식률 향상을 위한 리더 안테나 구조체, 공개일: 2010. 03. 10.)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에서 차폐실의 내부 상측, 좌측, 우측 및 하측에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안테나를 마련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물품의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태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물품에 부착된 RIF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로부터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실; 상기 차폐실의 입구 및 출구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차폐실의 내부로상기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 및 상기 차폐실에 마련되고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RFID 안테나; 를 포함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D 안테나는, 상기 차폐실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이송 유닛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하측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실은 상기 이송 유닛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인출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하측 안테나가 수용되는 제1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안테나는 상기 제1 서랍의 인출 시 상기 차폐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D 안테나는, 상기 차폐실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는 상측 안테나; 상기 차폐실의 내부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안테나; 및 상기 차폐실의 내부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안테나는, 상기 차폐실 내에서 설치 각도 및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 브라켓을 통해 상기 차폐실의 내부 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실의 내부 벽면에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차폐실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물품으로부터 상기 RFID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RFID 안테나를 에워싸는 가드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RFID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RFID 안테나가 전송하는 신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 및 상기 RFID 리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실은 인출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RFID 리더 및 상기 컨트롤러가 수용되는 제2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RFID 리더 및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서랍의 인출 시 상기 차폐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차폐실의 외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의 처리 현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부재를 통해 상기 차폐실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실의 하단부에는 바퀴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RFID 안테나에 의한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물품에 대해 요동을 발생시키는 인식률 향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률 향상수단은, 상기 이송 유닛에 형성되는 단차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식률 향상수단은, 상기 이송 유닛에 인접 배치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나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 유닛에 대해 충격을 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은, 종래 RFID 시스템과는 다르게 내부 상측, 좌측, 우측 및 하측 각각에 RFID 안테나를 마련함으로써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은, 차폐실의 하단부에 서랍을 마련하여 서랍의 내부에 RFID 안테나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하측 안테나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은, 차폐실의 내부 상측, 좌측, 우측 및 하측 각각에 위치되는 RFID 안테나에 의해 한번에 많은 양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RFID 인식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서랍이 열려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RFID 안테나가 차폐실의 우측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률 향상수단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100, 이하 'RFID 시스템' 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100)은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차폐실(110), 차폐실(110)의 내부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120) 및 차폐실에 마련되어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ID 안테나(1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RFID 태그는 의류 물품의 케어라벨(care-label)에 부착된다. 여기서, 의류 물품은 의류 관련 물품, 즉 의류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모자, 가방, 악세서리 등과 같은 패션 잡화 일체를 포괄하여 지칭한다. 이와 같은 케어라벨에는 상기한 의류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가 인쇄된다. 케어라벨에 인쇄되는 물품 정보는 예컨대 제조국, 판매자 정보, 세탁 및 취급 주의사항 등과 같이 해당 물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다양한 내용들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폐실(110)은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공간이다. 이러한 차폐실(110)은 사각형의 형태로, 전방 및 후방 각각에는 개구된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차폐실(110)은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공간이므로, 외부의 전파와 혼용되기 않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폐실(110)의 내부는 전자파 차단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이나 도전성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와 외부의 전파(예컨대, 인식하고 하는 태그가 아닌 RFID 태그)와 혼용되지 않도록, 차폐실(110)의 개구된 입구 및 출구에는 차폐 셔터(118a, 118b)가 마련된다. 이러한 차폐 셔터(118a, 118b)는 차폐실(110)의 개구된 입구 및 출구를 폐쇄한다. 즉, 차폐 셔터(118a, 118b)는 차폐실(110)의 내부에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이 위치될 때, 물품(1)에 부착된 RFID 태그 인식률을 높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 셔터(118a, 118b)는 차폐실(110)의 일측에 마련된 셔터 구동부재(117)의 구동에 의해 차폐실(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차폐 셔터(118a, 118b)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재(117)는 풀리(pulley), 타이밍 벨트(timing belt) 및 타이밍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motor)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폐 셔터(118a, 118b)는 전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구리 섬유 또는 니켈 섬유를 직조하여 이루어지며, 차폐 셔터(118a, 118b)의 신호 차단률 상승 및 강도 보강을 위하여 고무판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덧대어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 셔터(118a, 118b)는 차폐실(110)의 입구 및 출구 모두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차폐실(110)의 입구 쪽에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폐실(110)의 입구 쪽에는 차폐 셔터(118a)가 마련되고, 출구 쪽에는 차폐 셔터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차폐실(110)의 입구 쪽에 마련되는 차폐 셔터(118a)는 구리 섬유 또는 니켈 섬유를 직조하는 형태로 마련되고, 출구 쪽에 마련되는 차폐 셔터(118b)는 차폐실(110)의 입구 쪽에 마련되는 차폐 셔터(118a)와는 다르게 고무판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폐실(110)의 외부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마련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140)에는 차폐실(110)의 외부 일측에 마련되어 RFID 시스템(100)의 처리 현황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40)에는 RFID 시스템(100)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예컨대 차폐실(110)의 내부를 확인하게 구현할 수도 있고, 현재 차폐실(110) 내부에서 처리되고 있는 물품의 처리 현황을 파악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영상장치(예컨대, 모니터)와 입력장치(예컨대,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 마련되어, 작업자가 RFID 시스템(100)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차폐실(110)의 후방 쪽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차폐실(110)의 후방 쪽에 위치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차폐실(110)의 좌측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차폐실(110)의 좌측 쪽에 위치한다. 한편, 도면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차폐실(110)의 후방 및 좌측으로만 회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작업 환경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차폐실의 전방 및 우측으로도 회전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후방 또는 좌측으로 회전되도록 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회전부재(142)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부재(142)는 차폐실(110)의 외측 상단부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차폐실(1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차폐실(110)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40)의 회전 반경은 회전부재(142)의 길이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폐실(110)의 회전 부재(142)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14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알림등(116)이 마련된다. 알림등(116)은 RFID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다시 말해서, 알림등(116)은 차폐실(110) 내부에 물품(1)이 위치되어 RFID 시스템(100)이 작동될 때의 동작 상태를 색상이 다른 불빛의 점멸을 통해 알려준다.
또한, 차폐실(110)의 일측에는 이동 부재(119)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차폐실(110)의 하단부에는 바퀴(wheel) 형태를 가지는 이동 부재(119)가 마련된다. 이러한 이동 부재(119)는 차폐실(110)의 하단부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RFID 시스템(100)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120)은 차폐실(110)의 내부로 물품을 이송한다. 다시 말해서, 이송 유닛(120)은 차폐실(110)의 전방의 입구 측에 위치된 물품(1)이 차폐실(1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차폐실(110)의 내부에 위치된 물품(1)이 다시 차폐실(110)의 후방 출구 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송 유닛(120)은 차폐실(110)의 내부에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차폐실(110)의 내부에는 정확하게 지정된 위치에 물품(1)이 위치되어야 만 물품(1)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수동으로 차폐실(110)의 내부에 물품(1)을 위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송 유닛(120)에 작업자가 물품(1)을 올려 놓으면, 물품(1)은 자동적으로 이송 유닛(120)을 따라 차폐실(110)의 내부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차폐실(110)의 내부를 지나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120)은 일종의 컨베이어(conveyer)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이송 유닛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이송 유닛(120)의 일측에는 센서(122)가 마련된다. 센서(122)는 이송 유닛(120) 위에 올려지는 물품(1)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센서(122)는 사물을 인식하는데 사용하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의 일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122)는 이송 유닛(120)의 전방 또는 후방 모두 중 어느 한 곳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센서(122)는 물품(1)이 차폐실(110)의 내부로 집입하였는지 또는 진입하지 않았는지를 파악한다. 만약, 센서(122)가 물품(1)이 차폐실(110)의 내부로 진입하였다고 감지하면 차폐실(110)의 입출구 측 차폐 셔터(118a, 118b)를 폐쇄하고, 센서(122)가 물품(1)이 차폐실(110)의 내부로부터 진출하였다고 감지하면 차폐실(110)의 입출구 측을 막고 있던 차폐 셔터(118a, 118b)를 개방하여 물품(1)이 차폐실(110)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 유닛(120)의 일측, 즉 차폐실(110)의 입구측에 위치된 이송 유닛(120)의 일측에는 이송 가이드(124)가 마련된다. 이송 가이드(124)는 일종의 가이드(guide)이며, 길이방향으로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송 가이드(124)는 이송 유닛(120) 위에 위치되는 물품(1)이 이송 유닛(120)에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물품(1)이 차폐실(110)의 전방에서 차폐실(110)의 내부를 지나 후방으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120)은 인식률 향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식률 향상수단은 이송 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1)에 대해 요동을 발생시켜 RFID 안테나(130)에 의한 물품(1)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인식률 향상수단은 차폐실(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 유닛(120)에 형성되는 단차부(126)로 제공될 수 있다. 이송 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1)이 단차부(126)를 통과하게 되면, 단차부(126)의 높이로 인하여 물품(1)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RFID 안테나(130)에 의한 물품(1)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인식률 향상수단은 이송 유닛(120)에 인접 배치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나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송 유닛(120)에 대해 충격을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인식률 향상수단은 유압 또는 공기 등으로 구동되는 예컨대, 유압 실린더 또는 에어 실린더와 같은 실린더(127, cylinder)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127)는 이송 유닛(120)과 인접하게 마련되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유닛(120)의 하단부에 이송 유닛(120)을 받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여 실린더(127)로 마련되는 인식률 향상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이 이송 유닛(120)에 의해 실린더(127)가 위치된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실린더(127)에 의해 이송 유닛(120)에 일시적인 충격을 가해짐으로써 이송 유닛(120)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요동되게 된다. 그러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에도 일시적으로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RFID 안테나(130)에 의한 물품(1)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인식률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한 바와 같이 실린더(127)는 후술할 컨트롤러(14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이송 유닛(120)에 충격을 가하거나, 실린더(127)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송 유닛(120)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폐실(110)에 마련되어 물품(1)의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RFID 안테나(130)가 마련된다. 이러한 RFID 안테나(130)는 차폐실(110)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35)에 회전 브라켓(135)을 이용하여 장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필요시 RFID 안테나(130)의 설치 각도 및 방향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차폐실(110) 내부에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을 낱개로 통과시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을 박스에 담아 포장한 상태로 차폐실(110)을 통해 RIFD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에 입력된 정보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RFID 안테나(130)는 차폐실(110)의 내부 상측, 좌측, 우측 및 하측에 적어도 하나씩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RFID 안테나(130)는 차폐실(110)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는 상측 안테나(131)와, 차폐실(110)의 내부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안테나(132), 차폐실(110)의 내부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안테나(133) 및 차폐실(110)의 하측에 마련되는 하측 안테나(134)을 포함한다.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는 차폐실(110)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35)을 통해 차폐실(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는 가이드 레일(135)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 브라켓(136)을 이용하여 차폐실(110)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35)에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회전 브라켓(136)은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와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체결되므로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도 선택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35)은 일반적인 레일(rail)의 형태로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 각각을 차폐실(110)의 내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회전 브라켓(136)은 판(plate)와 볼조인트(ball-joint)의 형태가 합쳐진 형태이며,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를 전/후/좌/우 360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다.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가 가이드 레일(135) 및 회전 브라켓(136)을 통해 차폐실(110)의 내부 상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기 때문에,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360도 회전시켜 물품(1)의 RFID 태그 인식률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100)은 우측 안테나(133)를 보호하는 가드 부재(137)가 마련된다. 가드 부재(137)는 우측 안테나(133)의 외측에서 우측 안테나(132)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드 부재(137)는 물품이 포장된 박스가 이송 유닛(120)을 통해 차폐실(1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송될 때, 물품(1)이 우측 안테나(133)를 건드려 우측 안테나(133)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가드 부재(137)는 투명한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측 안테나(133)의 외부를 보호할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떤 것으로든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는 차폐실(110)의 내부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안테나(133)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지만, 가드 부재(137)는 우측 안테나(133) 만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차폐실(110)의 내부 상측 및 좌측의 상측 안테나(131) 및 좌측 안테나(132)의 외측에도 가드 부재(137)를 마련함으로써, 이송 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1)으로 인해 상측 안테나(131) 및 좌측 안테나(132)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폐실(110)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는 하측 안테나(134)는 상기한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및 우측 안테나(133)와 달리 별도의 공간에 위치된다. 하측 안테나(134)는 차폐실(110)의 내부 하측에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하측 안테나(134)는 차폐실(110)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되, 이송 유닛(120) 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측 안테나(134)는 차폐실(110)의 이송 유닛(120) 보다 아래의 위치에 마련되는 제1 서랍(114)에 수용된다. 이때, 하측 안테나(13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서랍(114)의 내부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수용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고정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하측 안테나(134)는 물품(1)의 RFID 태그를 인식하여야 하므로, 하측 안테나(134)를 제1 서랍(114)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물품(1)으로부터 인식한 RFID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하측 안테나(134)가 제1 서랍(114)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 서랍(114)의 인출 시 차폐실(110)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하측 안테나(134)의 유지 보수를 함에 있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제1 서랍(114)의 내부에 수용되는 하측 안테나(134)는 제1 서랍(114)의 안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하측 안테나(134)가 제1 서랍(114)의 가장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서랍(114)을 닫으면, 하측 안테나(134)는 차폐실(110)의 하단부의 중앙(center)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이송 유닛(120)에 의해 차폐실(110)의 내부 지정된 위치에 물품(1)이 위치할 경우, 차폐실(110)의 내부, 즉 이송 유닛(120)의 하단부 중앙 위치에 하측 안테나(134)가 위치되게 되어 물품(1)의 RFID 태그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도면에는 하측 안테나(134)가 제1 서랍(114)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하측 안테나(134) 자체를 차폐실(110)의 하단부에 인출되는 서랍의 형태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차폐실(110)의 하단부에는 제2 서랍(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서랍(112)에는 RFID 안테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RFID 리더(142) 및 RFID 리더(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RFID 리더(142)는 제2 서랍(112)의 내부에 컨트롤러(140)가 수용되면, 컨트롤러(140)와 인접한 위치, 예컨대 컨트롤러(140)의 상단부에 위치된다.
RFID 리더(142)는 RFID 안테나(130), 즉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우측 안테나(133) 및 하측 안테나(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우측 안테나(133) 및 하측 안테나(134)가 전송하는 신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한다. 컨트롤러(140)는 RFID 리더(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RFID 시스템(100)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차폐실(110), 이송 유닛(120) 및 RFID 안테나(130), 즉 RFID 시스템(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40)에는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우측 안테나(133) 및 하측 안테나(134)에 의해 인식된 태그 정보가 RFID 리더(142)에 의해 판독되어 저장된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센서(122)로부터 물품(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센서(122)로부터 전달받은 물품(1)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셔터 구동부재(115)를 작동시켜 차폐실(110)의 입구 및 출구 측의 차폐 셔터(118a, 118b)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물품(1)의 RFID 태그 인식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을 이송 유닛(120) 위에 올려 놓는다. 여기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의 입력을 통해 이송 유닛(120)의 이송 속도를 설정한다. 이때, 이송 유닛(120)의 이송 속도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1)의 크기 및 박스에 담긴 물품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 다음, 이송 유닛(120)의 일측, 즉 차폐실(110)의 입구 측에 마련된 센서(122)에 의해 물품(1)의 위치가 감지되면 차폐실(110)의 입구 및 출구 측의 차폐 셔터(118a, 118b)가 상승 슬라이딩되어 차폐실(110)의 전방 및 후방이 폐쇄된다.
그 다음, 차폐실(110)에 마련된 RFID 안테나(130), 즉 차폐실(110)의 내부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우측 안테나(133) 및 하측 안테나(134)에 의해 차폐실(110)의 내부의 지정된 위치에 물품(1)이 위치되면, 물품(1)의 RFID 태그를 인식한다.
여기서, 차폐실(110)로 들어온 물품(1)이 이송 유닛(120)을 통과하면서 이송 유닛(120)에 형성된 단차부(126) 또는 실린더(127)에 의한 이송 유닛(120)에 일시적으로 가해진 충격에 의하여 RFID 안테나(130)에 대한 물품(1)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그 다음,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우측 안테나(133) 및 하측 안테나(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RFID 리더(142)가 상측 안테나(131), 좌측 안테나(132), 우측 안테나(133) 및 하측 안테나(134)가 전송하는 신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한다. 이때, RFID 리더(142)에 의해 판독된 정보는 RFID 리더(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140)에 저장되고,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이용하여 판독된 결과를 확인한다.
그 다음, 차폐실(110)의 내부에서 물품(1)의 RFID 태그 인식이 완료되면, 차폐실(110)의 입구 및 출구 측의 차폐 셔터(118a, 118b)가 하강 슬라이딩 되어 차폐실(110)이 개방되면, 판독이 완료된 물품(1)이 차폐실(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되게 된다.
그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이송 유닛(120)의 후단, 즉 차폐실(110)의 입구측의 센서(122)에 의해 물품(1)이 감지되면 차폐 셔터(118a, 118b)가 하강 슬라이딩되어 차폐실(110)이 개방되고, RFID 태그에 입력된 물품 정보가 인식된 물품(1)은 이송 유닛(120)에 의해 차폐실(110)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100)은, 종래 RFID 시스템과는 다르게 내부 상측, 좌측, 우측 및 하측 각각에 RFID 안테나를 마련함으로써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100)은 차폐실의 하단부에 서랍을 마련하여 서랍의 내부에 RFID 안테나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하측 안테나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100)은 차폐실의 내부 상측, 좌측, 우측 및 하측 각각에 위치되는 RFID 안테나에 의해 한번에 많은 양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RFID 인식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
100: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110: 차폐실 112: 제2 서랍
114: 제1 서랍 116: 알림등
118a: 입구측 차폐 셔터 118b: 출구측 차폐 셔터
119: 바퀴 부재
120: 이송 유닛
122: 센서 124: 이송 가이드
126: 단차부 127: 실린더
130: RFID 안테나
131: 상측 안테나 132: 좌측 안테나
133: 우측 안테나 134: 하측 안테나
135: 가이드 레일 136: 회전 브라켓
137: 가드 부재
140: 디스플레이 유닛 142: 회전 부재
150: 컨트롤러
160: RFID 리더

Claims (13)

  1.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물품에 부착된 RIF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로부터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실;
    상기 차폐실의 입구 및 출구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차폐실의 내부로 상기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 및
    상기 차폐실에 마련되고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RFID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ID 안테나는, 상기 차폐실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는 상측 안테나; 상기 차폐실의 내부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안테나; 상기 차폐실의 내부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안테나 및 상기 차폐실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이송 유닛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하측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실은 상기 이송 유닛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인출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하측 안테나가 설치된 제1 서랍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안테나는 유지 보수의 편리를 위해 상기 제1 서랍에 수용 장착되어 상기 제1 서랍의 인출시 상기 차폐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안테나, 상기 좌측 안테나 및 상기 우측 안테나는,
    상기 차폐실 내에서 설치 각도 및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 브라켓을 통해 상기 차폐실의 내부 벽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실의 내부 벽면에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택된 위치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실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물품으로부터 상기 RFID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RFID 안테나를 에워싸는 가드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RFID 안테나가 전송하는 신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 및
    상기 RFID 리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실은 인출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RFID 리더 및 상기 컨트롤러가 수용되는 제2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RFID 리더 및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서랍의 인출 시 상기 차폐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실의 외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의 처리 현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부재를 통해 상기 차폐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실의 하단부에는 바퀴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안테나에 의한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물품에 대해 요동을 발생시키는 인식률 향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률 향상수단은,
    상기 이송 유닛에 형성되는 단차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률 향상수단은,
    상기 이송 유닛에 인접 배치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나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 유닛에 대해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KR1020160087842A 2016-07-12 2016-07-12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KR10186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42A KR101869732B1 (ko) 2016-07-12 2016-07-12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42A KR101869732B1 (ko) 2016-07-12 2016-07-12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195A Division KR20180061132A (ko) 2018-05-30 2018-05-30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096A KR20180007096A (ko) 2018-01-22
KR101869732B1 true KR101869732B1 (ko) 2018-07-19

Family

ID=6109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42A KR101869732B1 (ko) 2016-07-12 2016-07-12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834A (zh) * 2018-07-25 2019-01-11 芜湖市联网汇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信息在线监测装置
CN108848641B (zh) * 2018-07-27 2024-05-14 北京蓝天清科控股有限公司 射频识别设备及其外壳组件
KR102311217B1 (ko) * 2021-01-04 2021-10-13 김대운 Rfid 태그용 제품 검사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315A (ja) * 1998-10-23 2000-05-09 Kobayashi Kirokushi Co Ltd 保管物の管理システム
KR20070006946A (ko) * 2002-02-21 2007-01-11 프로메가 코포레이션 원격 컴퓨터와의 통신을 사용하고 다수의 무선 주파수태그를 판독하는 피처를 갖는 무선 주파수 판매시점관리 및배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3794A (ko) * 2010-12-27 2012-07-05 우종완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40145043A (ko) * 2013-06-12 2014-12-22 자바무선기술(주) 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315A (ja) * 1998-10-23 2000-05-09 Kobayashi Kirokushi Co Ltd 保管物の管理システム
KR20070006946A (ko) * 2002-02-21 2007-01-11 프로메가 코포레이션 원격 컴퓨터와의 통신을 사용하고 다수의 무선 주파수태그를 판독하는 피처를 갖는 무선 주파수 판매시점관리 및배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3794A (ko) * 2010-12-27 2012-07-05 우종완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40145043A (ko) * 2013-06-12 2014-12-22 자바무선기술(주) 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진성, 이경환, 정유정, "귀금속 관리를 위한 900㎒ Near Field RFID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35, no.1, pp. 78-84(2010.01.31.) 1부. *
이진성, 이경환, 정유정, "귀금속 관리를 위한 900㎒ Near Field RFID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35, no.1, pp.78-84(2010.01.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096A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732B1 (ko)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EP4071058A1 (en) Luggage processing station and system thereof
US8556181B2 (en) Device for registering goods
US9508238B2 (e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portal
US8401146B2 (en) Conveyer belt with optically visible and machine-detectable indicators
KR20180061132A (ko)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EP2874924B1 (en) Portal data reader indicator light control
EP1873682A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from objects provided with bar codes and RFID tags
US5187354A (en) Hand scanner for reading bar codes and deactivating article surveillance tags
KR101192833B1 (ko)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EP0412351B1 (en) A device for the automatic reading of bar-codes applied on articles
KR102000757B1 (ko) 전자태그 식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91132B1 (ko) Rfid 태그 기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3444809U (zh) 转运生产线用安全上料系统
JPH0967012A (ja) 積込み装置
US20140175289A1 (en) Conveyer Belt with Optically Visible and Machine-Detectable Indicators
CN212130367U (zh) 速通式防撞三辊闸
CN210635288U (zh) 一种包含rfid采集设备的一体式传送带
KR102311217B1 (ko) Rfid 태그용 제품 검사장비
JP5494184B2 (ja) ランドリモニタシステム
CN114341027A (zh) 物品搬送设备
JP2021002186A (ja) 電子タグ読取装置
CN214098471U (zh) 快递袋rfid扫码通道机
KR101093344B1 (ko) Rfid 태그 인식장치
CN213866992U (zh) 一种标签检测装置及检针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