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794A -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794A
KR20120073794A KR1020100135667A KR20100135667A KR20120073794A KR 20120073794 A KR20120073794 A KR 20120073794A KR 1020100135667 A KR1020100135667 A KR 1020100135667A KR 20100135667 A KR20100135667 A KR 20100135667A KR 20120073794 A KR20120073794 A KR 2012007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veyor
closing
articl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2833B1 (ko
Inventor
우종완
Original Assignee
우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완 filed Critical 우종완
Priority to KR102010013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8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은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될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도중에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물품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RFID 리더의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가 모두 폐쇄될 때 외부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폐실; 상기 차폐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전방개구 개폐수단; 상기 차폐실의 후방개구를 개폐하는 후방개구 개폐수단; 상기 물품의 상기 전방개구로의 완전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 감지수단; 상기 물품의 상기 후방개구로의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진출 감지수단; 상기 후방 개구의 폐쇄를 감지하는 폐쇄 감지수단 및 각각의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방개구 개폐수단과 상기 후방개구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Produc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Shield Room And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베이어를 통해 물품을 이송하면서 RFID 리더를 통해 물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인식하는 물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전파를 차단한 상태에서 물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인식할 수 있도록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사물의 정보를 수집이나 저장 또는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RFID 시스템은 물품의 정보, 예를 들어 색상, 사이즈, 디자인 등의 정보가 내장되어 물품에 부착되는 전자태그(Electronic Tag) 및 전자태그의 정보를 읽거나 쓰기위한 RFID 리더(Reader)로 구성된다. 이러한 RFID 기술은 RFID 리더의 형태에 따라 고정형, 휴대형 또는 모바일 RFID 기술로 분류되고, 전자태그의 내부 배터리 및 송신 장치 내장 여부에 따라 능동형 RFID 기술 또는 수동형 RFID 기술로 분류된다.
이러한 RFID 기술은 현재 유통과 보안 및 안전과 같은 다양한 분야로 적용 범위가 넓혀지고 있는데, 특히 기존의 바코드를 이용한 시스템을 대체하여 물류 관리의 네트워크화 및 지능화를 꾀하고 있다. 종래에는 대부분 바코드가 표시된 라벨을 물품에 부착시키고 바코드 리더로 정보를 읽어내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바코드 시스템은 라벨이 찢어지거나 먼지가 쌓이면 바코드 인식률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RFID 기술은 인식률의 저하가 적고 인식 속도가 빠르며 바코드에 비해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도 크다.
도 1은 종래 RFID 물류 관리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기술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서는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근처에 RFID 리더 또는 RFID 리더와 유선으로 연결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물품이 이동함에 따라 전자태그가 RFID 리더의 안테나의 인식 영역 내로 들어오면 RFID 리더는 전자태그의 정보를 읽거나 쓰기 시작한다. 이렇게 얻게 되는 정보를 토대로 물품의 입출고 처리나 분류 또는 검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RFID 물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RFID 리더가 읽고자 하는 전자태그가 아닌, 송수신 거리 내에 있는 다른 전자태그에 의한 신호 때문에 인식 오류 또는 인식률 저하가 생길 수 있으며 RFID 리더 근처의 외부 신호간섭으로 시스템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RFID 차폐실을 사용하여 외부 전파를 차단한 상태에서 물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인식하도록 하여 태그 인식률 향상시키고 외부 신호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는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은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될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도중에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물품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RFID 리더의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가 모두 폐쇄될 때 외부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폐실; 상기 차폐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전방개구 개폐수단; 상기 차폐실의 후방개구를 개폐하는 후방개구 개폐수단; 상기 물품의 상기 전방개구로의 완전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 감지수단; 상기 물품의 상기 후방개구로의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진출 감지수단; 상기 후방 개구의 폐쇄를 감지하는 폐쇄 감지수단 및 각각의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방개구 개폐수단과 상기 후방개구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따르면, RFID 차폐실을 구비하여 외부 전파를 차단한 상태에서 물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인식할 수 있어 전자태그 인식률 저하 및 신호 간섭에 따른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컨베이어를 통해 물품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RFID 리더의 과부하 없이 전자태그를 원활히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RFID 물류 관리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2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도.
도 4는 도2에서 B-B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B-B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은 물품 박스(100)를 이송하는 컨베이어(250), 물품 박스(100), 물품박스(100)에 내장된 각 물품 또는 물품박스(100)와 여기에 내장된 각 물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인식하는 RFID 리더(미도시), 컨베이어(250) 및 RFID 리더 안테나(320)를 에워싸는 차폐벽(310)으로 이루어진 차폐실(300), 차폐실(300) 전방과 후방을 각각 개폐하는 전방 전동셔터(330)와 후방 전동셔터(340), 물품 박스(100)의 차폐실(300) 진입과 진출 및 후방셔터(345)의 폐쇄를 감지하는 다수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컨베이어(250)와 전동셔터(330),(34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컨베이어(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과 중앙 및 후방 컨베이어의 3부분으로 분리된 채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전방 컨베이어(200)로부터 물품 박스(100)를 이송 받거나 후방 컨베이어(240)로 물품 박스를 이송하는 중앙 컨베이어(220)는 차폐실(3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250)는 수평 벨트 컨베이어 또는 플렉시블(Flexible) 컨베이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 컨베이어(220) 부근, 예를 들어 좌방이나 우방 또는 상방에는 1개 이상의 RFID 리더 안테나(320)(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설치될 수 있다. RFID 리더(미도시)는 차폐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물류 관리 시스템에서는 가격적 측면을 고려하여 수동형 RFID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동형 RFID에서는 RFID 리더에서 인식 범위 내에 RF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자태그는 이 신호를 후방산란변조(back-scattering modulation)시켜 다시 되돌려 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후방산란변조란 RFID 리더의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전자태그가 신호의 크기 또는 위상을 변조시키고 산란시켜 다시 RFID 리더에 송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수동형 RFID 기술에서는 전자태그가 별도의 전지를 내장하고 있지 않고, RFID 리더에서 송출하는 전자파를 정류하여 자신의 전원으로 이용하게 된다.
전술한 방식을 이용하는 물류 관리 시스템에서는 컨베이어(250)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 박스(100)가 인식 범위 내로 들어오게 되면 물품 박스(100)에 부착된 전자태그(120)를 읽기 시작하는데, 이때 인식 범위 내에 다른 물품 박스가 있는 경우, 다른 물품 박스에 부착된 전자태그에 의해서도 신호가 후방산란변조 될 수 있어 인식 오류의 가능성이 있다. 더하여, RFID 리더 안테나(32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공간으로 방사되어 전자파의 세기가 약해지면 인식률 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생길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차폐실(300)은 RFID 리더가 전자태그(120)를 읽는 동안에 발생되는 RF 신호의 외부 방출 및 외부 신호에 의한 신호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차폐실(300)은 전자파 차단이 가능한 차폐벽(310)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전방 및 후방 차폐벽(310)에는 물품 박스(100)가 통과하는 통로가 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차폐벽(3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전동셔터(330),(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실(300)의 전방과 후방의 통로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전동셔터(330),(340)는 물품 박스(100)가 차폐실(100) 내부로 이송되는 과정에는 통로를 열어서 차폐실(300)을 개방하고 물품 박스(100)가 차폐실 내부에 완전히 진입하면 통로를 막아서 차폐실(300)을 폐쇄함으로써 내부와 외부의 전자파를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셔터(330),(34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셔터(330),(340)는 회전축(334)과 회전축(334)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져 있는 셔터(332) 및 회전축(33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336)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셔터(332)는 전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구리 섬유 또는 니켈 섬유를 직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강도 보강을 위해 유연 재질, 예를 들어 후면에 고무판을 덧댈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셔터(332)는 직조물이 아니라 다수의 좁고 긴 금속판, 예를 들어 알루미늄 판 양단을 연결하여 회전축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길 수 있는 통상의 금속재 셔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셔터(335),(345)가 구동 모터(336)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334)에 감기면 차폐실(300)은 개방되는 반면에 회전축(336)에서 풀어지면 차폐실(300)은 폐쇄된다.
한편, 진입 감지용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350),(355)는 차폐실(300) 내부로 진입하는 물품 박스(100)를 감지하기 위해 전방 차폐벽의 적소, 예를 들어 컨베이어(250)보다 높은 위치의 통로 하단 양쪽이나 내면 하단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진출 감지용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360),(362)는 차폐실(300) 외부로 진출하는 물품 박스(100)를 감지하기 위해 후방 차폐벽의 적소, 예를 들어 컨베이어(220)보다 높은 위치의 통로 하단 양쪽이나 내면 하단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폐쇄 감지용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370),(375)는 후방셔터(345)가 차폐실(300)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후방 차폐벽의 통로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는 차폐실(30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의 전기적인 구성은 물품 박스(100)의 차폐실(300) 진입을 감지하는 차폐실 진입 감지부(410), 물품 박스(100)의 차폐실(300) 진출을 감지하는 차폐실 진출 감지부(420), 후방셔터(345)의 폐쇄를 감지하는 후방셔터 폐쇄 감지부(430), 전방 전동셔터(330)의 모터(470)와 이를 구동하는 전방 전동셔터 구동부(440), 후방 전동셔터(340)의 모터(472)와 이를 구동하는 후방 전동셔터 구동부(450), 컨베이어(250)의 모터(474)와 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460) 및 전술한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전동셔터 구동부(440),(450)와 컨베이어 구동부(46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차폐실 진입 감지부(410)와 차폐실 진출 감지부(420)는 광선, 바람직하게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발광소자와 적외선을 검출하는 수광소자 및 그 주변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셔터 폐쇄 감지부(430)는 차폐실 진입 및 진출 감지부(410),(420)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및 그 주변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셔터(345)가 완전히 폐쇄될 때 가해지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기계적 스위치 및 그 주변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전방 및 후방 전동셔터(330),(340)에 사용되는 모터(470),(472)는 전압 변화에 대한 선형 수하 특성과 출력 토크 대 입력 전류의 선형성 등으로 제어 특성이 좋은 DC 모터 중, BLDC 모터(Brushless DC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셔터 구동부(440),(450)는 모터(470),(472)에 의해 셔터(335),(345)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경우 모터를 정지하기 위한 리미터 스위치 및 그 주변 회로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는 달리 물리적인 접점을 갖는 릴레이 스위치 및 그 주변 회로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컨베이어(250)에 사용되는 모터(474)는 속도 조절이 용이한 가변속 모터, 예를 들어 속도 제어 모터(speed control motor)나 BLDC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구동하기 위한 컨베이어 구동부(460)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식 스위치 또는 물리적인 접점을 갖는 릴레이 스위치 및 그 주변 회로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400)는 전술한 구성요소의 자동 제어 및 감시를 위해서 예를 들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구성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500)에는 RFID 리더(540)가 리딩한 전자태그(520)의 정보, 예를 들어 물품 박스 정보(번호)와 물품의 크기 또는 색상 등으로 분류된 물품 관리 정보(번호), 수량 정보 및 태그 리딩 시간 등의 필드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4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500)가 연결될 수 있는데, 호스트 컴퓨터(500)는 전자태그의 정보를 분석 및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에 송신함으로써 원할한 물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리더(540)의 리딩 속도에 비해 컨베이어(250)의 구동 속도가 빠르거나 인식해야하는 전자태그가 많은 경우 컨베이어(250)의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속도 0)시키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RFID 리더(540)의 리딩 속도와 이송되는 물품 수량을 비교 및 분석하여 속도 조절 신호를 제어부(4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차폐실(300)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제어부(400)가 주체가 되어 도 8에 도시된 물류 관리 방법을 수행함을 밝혀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FID 차폐실(300)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 의해 물품의 입출고 처리나 분류 또는 검수함에 있어서, 먼저 단계 S100에서 차폐실(300)의 전방셔터(335)를 개방하고 후방셔터(345)를 폐쇄함으로써 물류 관리를 개시한다. 이어서 단계 S120에서 컨베이어(250)를 구동시켜 물품 박스(100)를 차폐실(300) 내부로 이송하고, 단계 S140에서 물품 박스(100)가 차폐실(300) 내부에 완전히 진입 완료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폐실 진입 감지부(410)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경우 수광소자의 출력 신호가 로우레벨인 경우에는 현재 물품이 차폐실(300) 내부로 진입중이라고 판단하고, 이 상태에서 수광소자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로 변환되면 물품이 차폐실 내부로 완전히 진입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진입 완료로 판단되면 전방셔터(335)를 폐쇄하여 차폐실(300) 내부와 외부를 차단(단계 S160)하게 된다.
다음으로, RFID 리더(540)는 차폐실(300)이 외부와 차단되면 물품 박스(100), 물품박스(100)에 내장된 각 물품 또는 물품박스(100)와 여기에 내장된 각 물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읽기 시작한다(점선 블록).
한편, 호스트 컴퓨터는 RFID 리더(540)의 과부하, 예를 들어 RFID 리더(540)의 리딩 속도에 비해 컨베이어(250)의 속도가 빠르거나 리딩해야 하는 전자태그가 많은 경우를 판단하여 속도 조절 신호를 제어부(400)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180에서는 호스트 컴퓨터(500)로부터 속도 조절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되면 단계 S200에서 컨베이어(250)의 속도를 조절한다.
이어서, 단계 S220에서는 물품 박스(100)가 후방셔터(345) 부근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 결과, 도달하였다면 후방셔터(340)를 개방(단계 S240)하는데, 이에 따라 컨베이어(250)의 흐름에 의해 물품 박스(100)가 차폐실(300) 외부로 진출되게 된다. 단계 S260에서는 물품이 차폐실(300) 외부로 완전한 진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완전 진출된 경우에는 후방셔터(345)를 폐쇄(단계 S280)한다.
다음으로, 단계 S300에서는 후방셔터(345)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00의 판단 결과, 후방셔터(345)가 완전히 폐쇄된 경우에는 단계 S320로 진행하여 전방셔터(335)를 개방한 후에 단계 S100 이하를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의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은 전체가 하나로 연결된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차폐실(300)은 컨베이어의 중앙 부분에 컨베이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차폐실 진입 감지부(410)와 차폐실 진출 감지부(420) 및 후방셔터 폐쇄 감지부(430)는 초음파 센서 및 그 주변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차폐실(300) 전방 및 후방 통로의 셔터(332)는 미닫이문 형태로 구현되어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셔터(332)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외부 신호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방법 실시예로, 전방셔터(335)와 후방셔터(345)를 따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 8의 물류 관리 방법과는 달리 물품이 컨베이어(250)를 따라 차폐실(300) 내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는 차폐실(300)의 전방 및 후방 셔터(335),(345)를 동시에 개방하고 차폐실(300)에 진입 완료하면 동시에 폐쇄하는 한편, 물품이 후방셔터(345) 부근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동시에 개방하는 물류 관리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100 : 물품 박스 120 : 박스용 전자태그
200 : 전방 컨베이어 220 : 중앙 컨베이어
240 : 후방 컨베이어 250 : 컨베이어
300 : 차폐실 310 : 차폐벽
320 : 안테나 330 : 전방 전동셔터
332 : 셔터 334 : 회전축
335 : 전방셔터 336 : 모터
340 : 후방 전동셔터 345 : 후방셔터
350 : 진입 감지용 발광 소자 355 : 진입 감지용 수광 소자
360 : 진출 감지용 발광 소자 365 : 진출 감지용 수광 소자
370 : 폐쇄 감지용 발광 소자 375 : 폐쇄 감지용 수광 소자
400 : 제어부 410 : 차폐실 진입 감지부
420 : 차폐실 진출 감지부 430 : 후방셔터 폐쇄 감지부
440 : 전방 전동셔터 구동부 450 : 후방 전동셔터 구동부
460 : 컨베이어 구동부 470, 472 : 모터
474 : 모터 500 : 호스트 컴퓨터
520 : 전자태그 540 : RFID 리더

Claims (10)

  1.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될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도중에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물품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RFID 리더의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가 모두 폐쇄될 때 외부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폐실;
    상기 차폐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전방개구 개폐수단;
    상기 차폐실의 후방개구를 개폐하는 후방개구 개폐수단;
    상기 물품의 상기 전방개구로의 완전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 감지수단;
    상기 물품의 상기 후방개구로의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진출 감지수단;
    상기 후방 개구의 폐쇄를 감지하는 폐쇄 감지수단 및
    각각의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전방개구 개폐수단과 상기 후방개구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감지수단과 상기 진출 감지수단 및 상기 폐쇄 감지수단은 각각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 및 적외선을 검출하는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진입 감지수단은 상기 전방개구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출 감지수단은 상기 후방개구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폐쇄 감지수단은 상기 후방개구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진입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물품이 전방개구로 완전 진입하면 상기 차폐실의 전방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진출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물품이 상기 후방개구에 도달하면 상기 차폐실의 후방개구를 개방하며
    상기 폐쇄 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후방개구의 폐쇄를 감지하면 상기 차폐실의 전방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전방개구 개폐수단과 상기 후방개구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개구 개폐수단 및 상기 후방개구 개폐수단은 각각,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기며 전파 차단 섬유로 직조된 셔터,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셔터가 전방개구 및 후방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전방과 중앙 및 후방 컨베이어의 3부분으로 분리된 채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폐실은 상기 중앙 컨베이어를 내장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RFID 리더의 과부하를 판단하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속도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8.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될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도중에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물품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RFID 리더의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가 모두 폐쇄될 때 외부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폐실을 갖춘 물류 관리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되,
    컨베이어를 따라 물품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폐실의 전방개구를 개방하고 후방개구를 폐쇄하는 (a) 단계;
    물품이 상기 차폐실에 진입 완료되면 상기 전방개구를 폐쇄하는 (b) 단계;
    물품이 상기 후방개구에 도달하면 상기 후방개구를 개방하는 (c) 단계 및
    물품이 상기 차폐실 외부로 진출 완료되면 상기 후방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전방개구를 개방하는(d)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9. RFID 리더에 의해 인식될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도중에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물품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RFID 리더의 안테나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가 모두 폐쇄될 때 외부의 전파를 차단하는 차폐실을 갖춘 물류 관리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되,
    컨베이어를 따라 물품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폐실의 전방개구 및 상기 후방개구를 개방하는 (a) 단계;
    물품이 상기 차폐실에 진입 완료되면 상기 전방개구 및 상기 후방개구를 폐쇄하는 (b) 단계 및
    물품이 상기 후방개구에 도달하면 상기 전방개구 및 상기 후방개구를 개방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속도는 상기 차폐실 전방과 후방 사이의 폭과 상기 RFID 리더의 리딩 능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KR1020100135667A 2010-12-27 2010-12-27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19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67A KR101192833B1 (ko) 2010-12-27 2010-12-27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67A KR101192833B1 (ko) 2010-12-27 2010-12-27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94A true KR20120073794A (ko) 2012-07-05
KR101192833B1 KR101192833B1 (ko) 2012-10-18

Family

ID=4670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667A KR101192833B1 (ko) 2010-12-27 2010-12-27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8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430B1 (ko) * 2013-06-12 2014-12-24 자바무선기술(주) 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7096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CN108848641A (zh) * 2018-07-27 2018-11-20 北京蓝天清科控股有限公司 射频识别设备及其外壳组件
US10496857B2 (en) 2017-11-13 2019-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cross-reading of RFID using visible light recognition
KR20210039153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공기막 구조의 원료밀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058A (ja) 2006-09-28 2008-04-10 Toshiba Tec Corp Rfid読取装置およびrfid読取装置の電波出力制御方法
JP2010074669A (ja) 2008-09-19 2010-04-02 Toshiba Tec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印刷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430B1 (ko) * 2013-06-12 2014-12-24 자바무선기술(주) 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7096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KR101869732B1 (ko) * 2016-07-12 2018-07-19 주식회사 유성소프트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US10496857B2 (en) 2017-11-13 2019-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cross-reading of RFID using visible light recognition
CN108848641A (zh) * 2018-07-27 2018-11-20 北京蓝天清科控股有限公司 射频识别设备及其外壳组件
CN108848641B (zh) * 2018-07-27 2024-05-14 北京蓝天清科控股有限公司 射频识别设备及其外壳组件
KR20210039153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공기막 구조의 원료밀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833B1 (ko)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833B1 (ko) Rfid 차폐실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EP2080172B1 (en) Rfid pet door
CN100592104C (zh) 无线监测设备
US9760826B1 (en) Shielded portal for multi-reading RFID tags affixed to articles
US5837982A (en) Antenna for non-contact IC card gate facility
US20080094178A1 (en) Rfid system and rfid method
EP1840849B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housing
CN102054156A (zh) 基于rfid的读出器
US20080258877A1 (en) Secure Self Scan
KR960700783A (ko) 기억매체를 이용하는 유기장(游技場) 시스템(game house system utilizing storage medium)
AU2010290085A1 (en) RFID portal system with RFID tags having various read ranges
US201501368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writing a plurality of transponders
KR20150000891A (ko) 객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5094561A (ja) 挿入口ループアンテナおよび非接触式通信媒体処理装置
JP4489287B2 (ja) 非接触型icタグを用いた在庫管理システム
EP1058911B1 (en) Electronic tag
KR101869732B1 (ko) 차폐실을 이용한 rfid 시스템
CN208850111U (zh) 射频识别设备及其外壳组件
EP2164023B1 (en) Enhanced RFID output control
JP2016028979A (ja) 図書収容装置
JP7419061B2 (ja) 物品仕分システム
EP3667553B1 (en) Rfid reading device and method
CN108848641B (zh) 射频识别设备及其外壳组件
JP6647646B1 (ja) 電子タグ読取装置
CN210381196U (zh) 具有数据传输设备的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