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626B1 -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626B1
KR101869626B1 KR1020167021889A KR20167021889A KR101869626B1 KR 101869626 B1 KR101869626 B1 KR 101869626B1 KR 1020167021889 A KR1020167021889 A KR 1020167021889A KR 20167021889 A KR20167021889 A KR 20167021889A KR 101869626 B1 KR101869626 B1 KR 101869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adio
station
signal
macro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288A (ko
Inventor
요시아끼 오따
신이찌로 아이까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7Reselecting an access point between radio units of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하는 기술은, 2원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기지국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1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는 무선국이, 또한 제2 기지국과 제2 통신 채널을 통해서 해당 제1 데이터 통신과 상이한 제2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과 병행해서 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무선국을 해당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에 핸드 오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통신 채널에 계승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데이터 통신을 해당 무선국과 해당 제3 기지국과의 사이의 제3 통신 채널에 계승시킨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RADIO ST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전화 시스템(셀룰러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의 가일층의 고속화·대용량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해서 논의가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나, LTE의 무선 통신 기술을 베이스로 한 LTE-A(LTE-Advanced)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 제안되어 있다.
3GPP에 있어서 완성된 최신의 통신 규격은, LTE-A에 대응하는 Release 11이며, 이것은 LTE에 대응하는 Release 8 및 9를 대폭 기능 확장한 Release 10을 확장한 것이다. 현재는, Release 11을 더 확장한 Release 12의 주요한 부분의 논의가 끝나고, 완성을 향해서 세부 사항이 검토되고 있는 중이다. 이후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LTE」는 LTE 및 LTE-A 외에도, 이들을 확장한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3GPP의 Release 12는 다양한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들의 기술의 하나에 스몰 셀(small cell)이 있다. 스몰 셀이란 비교적 작은 셀을 말하며, 비교적 큰 셀인 매크로 셀(macro cell)에 대한 개념이다. 매크로 셀은 비교적 큰 무선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것에 반해, 스몰 셀은 비교적 작은 무선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셀」이란, 무선 단말기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무선 기지국이 커버하는 범위를 가리키는 용어인데, 무선 기지국과 셀은 거의 대응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셀」을 「무선 기지국」이라고 적절히 바꾸어도 상관없다.
스몰 셀의 도입에 의해 몇 가지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몰 셀이 예를 들어 핫스폿과 같은 통신량이 많은 장소에 배치됨으로써, 매크로 셀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는, 먼 매크로 셀보다도 가까운 스몰 셀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송신 전력을 더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통신 특성이 얻어진다는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스몰 셀은, 현재 또는 장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갖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요소 기술이라고 여겨지고 있으며, 3GPP에 있어서 장래 유망한 기술로서 앞으로도 활발한 논의가 계속되어 나갈 것은 틀림없다.
그런데, 3GPP에 있어서, 스몰 셀에 관련된 기술의 하나로서, 2원 접속(Dual Connectivity)에 관한 검토가 개시되어 있다. 2원 접속은, 무선 단말기가 복수의 무선 기지국에 접속해서 각각과 동시에 통신을 행함으로써, 각각의 무선 기지국과 동시에 서로 다른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2원 접속에 의하면, 무선 단말기가 복수의 무선 기지국 각각과 병행해서 개별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에 2원 접속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원 접속의 일례로서는, 매크로 셀(매크로 기지국(10a)이 형성하는 셀) 내에 복수의 스몰 셀(스몰 기지국(10b)이 형성하는 셀)이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UE: User Equipment)가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의 양쪽에 접속하는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의 양쪽과 서로 다른 정보를 송수신(개별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고속의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GPP에 있어서 2원 접속에 관한 논의는 이제 막 시작되지만, 장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요구되는 고속화·대용량화 등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많은 논의가 거듭되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2원 접속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마찬가지의 논의는 3원 이상의 다원 접속에 있어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 때문에, 본원에서의 2원 접속은 다원 접속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파악해도 되고, 본원에서는 2원 접속을 다원 접속이라 바꾸어도 되는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3GPP TS36.300 V12.0.0(2013-12) 3GPP TS36.211 V12.0.0(2013-12) 3GPP TS36.212 V12.0.0(2013-12) 3GPP TS36.213 V12.0.0(2013-12) 3GPP TS36.321 V12.0.0(2013-12) 3GPP TS36.322 V 11.0.0(2012-09) 3GPP TS36.323 V 11.2.0(2013-03) 3GPP TS36.331 V12.0.0(2013-12) 3GPP TS36.413 V12.0.0(2013-12) 3GPP TS36.423 V12.0.0(2013-12) 3GPP TR 36.842 V12.0.0(2013-12)
상술한 바와 같이, 3GPP에 있어서는 스몰 셀 등에 기초하는 2원 접속에 대해서 논의가 막 시작되었으며, 아직 그다지 깊이 논의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LTE 시스템 등에 대하여 2원 접속을 도입하는 경우에, 세상에는 알려져 있지 않은 어떠한 문제나 곤란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각된다. 특히,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단말기에 대한 이동 제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검토가 거의 행하여지지 않았다. 따라서, 스몰 셀 등에 기초하는 2원 접속을 실현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이동 제어의 구조는, 종래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과제에 이르는 설명에 있어서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몰 셀에 기초해서 행해 왔지만, 이 과제는 매크로 셀도 포함하는 일반적인 셀로 확장할 수 있다. 즉,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가 복수의 셀과의 2원 접속을 실현하기 위해 바람직한 이동 제어의 구조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2원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기지국과 제1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1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는 무선국이, 또한 제2 기지국과 제2 통신 채널을 통해서 해당 제1 데이터 통신과 상이한 제2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과 병행해서 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무선국을 해당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에 핸드 오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통신 채널에 계승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데이터 통신을 해당 무선국과 해당 제3 기지국과의 사이의 제3 통신 채널에 계승시킨다.
본건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2원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2원 접속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기지국 배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문제의 소재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문제의 소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제1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HO Request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HO Request ACK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제2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제3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1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의 제3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의 제4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의 제5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의 제6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각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각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단말기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각 실시 형태에서의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각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면서,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국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별개의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지만, 각 실시 형태를 조합함으로써, 조합의 효과를 얻고, 또한, 유용성을 높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문제의 소재]
먼저,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의 소재를 설명한다. 이 문제는, 발명자가 종래 기술을 자세하게 검토한 결과로서 새롭게 발견한 것이며, 종래는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임에 주의하기 바란다.
또한,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20)를 UE(User Equipment), 기지국(10)(무선 기지국(10))을 eNB(evolved Node B)라고 칭한다. 또한, 본원에서의 무선 단말기(20)는, 무선국과 일반화할 수 있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무선국은, 기지국(10)과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3GPP에 있어서 2원 접속에 관한 논의는 이제 막 시작되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가 복수의 셀과의 2원 접속을 실현하기 위해 바람직한 이동 제어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핸드 오버에 대해서는 특별한 수순 등이 정해져 있지 않다.
여기서, 핸드 오버란, 어떤 기지국(10)에 접속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20)가 당해 기지국(10)이 구성하는 셀로부터 이동하는 경우에, 당해 무선 단말기(20)가 접속하는 기지국(10)을 전환하는 처리를 말한다. 핸드 오버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이동 제어를 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술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의 핸드 오버에는 몇 가지의 종류가 있는데, 이하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핸드 오버인 X2 핸드 오버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단, 본원에서의 핸드 오버의 개념은, X2 핸드 오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 핸드 오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의 핸드 오버는, X2 핸드 오버가 대응 불가능한 경우에 행하여지는 S1 핸드 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이 혼재하는 환경에 있어서는, 상술한 핸드 오버는, 무선 단말기(20)의 매크로 기지국(10a)(매크로 셀)간의 이동에 있어서 실시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무선 단말기(20)의 이동에 따라 당해 무선 단말기(20)가 접속하는 스몰 기지국(10b)의 전환도 행하여지는데, 그것은 상술한 핸드 오버와는 상이한 구조에 기초해서 행하여지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스몰 기지국(10b)의 전환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에 있어서의 캐리어의 전환과 유사한 구조에 기초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데, 여기서는 상세는 생략한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LTE 시스템에서는,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핸드 오버를 위한 특별한 수순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 점에 착안하여,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 규정되어 있는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핸드 오버를 지장 없이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한다.
먼저, 종래의 LTE 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는 기술인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은,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의 사이의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인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를 복수 묶어서 사용함으로써, 고속·대용량의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다. LTE 시스템에서 서포트되고 있는 대역폭은 최대 20MHz라는 제한이 있는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도입에 의해, 예를 들어 20MHz의 CC를 2개 묶음으로써 40MHz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은, 3GPP의 Release 10에서 도입된 요소 기술의 하나이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은, 단적으로 말하면, 단일한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병행적으로 사용해서 서로 다른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2원 접속은, 복수의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가 병행적으로 서로 다른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과 2원 접속은, 개재하는 기지국(10)이 1개인지 복수인지와 같은 큰 차이는 있지만, 1개의 무선 단말기(20)가 복수의 서로 다른 무선 통신을 병행적으로 행하는 점에서는 공통되고 있어, 서로 유사한 기술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3GPP의 Release 10에서 도입된 요소 기술이며, 이미 핸드 오버의 수순도 확립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중의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핸드 오버의 수순을 사용하여,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핸드 오버를 지장 없이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기로 한다. 본원에서는 편의상, 이러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한 핸드 오버 수순을 사용한 2원 접속에 대한 핸드 오버 수순을, 편의상 「참고 기술」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참고 기술을 검토하기 위한 준비로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20)와 기지국(10)과의 사이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이 혼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2원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의 배치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20)가 무선 기지국(10)에 접속하고 있다는 것은,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과 동기를 취할 수 있음과 함께 필요한 설정이 완료됨으로써, 무선 단말기(20)와 무선 기지국(10)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접속 관리를 위한 기능인 RRC(Radio Resource Control)가 규정되어 있고, 이러한 접속 상태는 RRC_CONNECTED 상태라고 불린다. 한편, 무선 단말기(20)가 무선 기지국(10)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는 RRC_IDLE 상태라고 불린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20)가 무선 기지국(10)에 접속하고 있을 때(RRC_CONNECTED 상태일 때),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채널로서는, 상향의 데이터 채널인 상향 물리 공유 채널과 하향의 데이터 채널인 하향 물리 공유 채널이 규정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 채널은, 소위 유저 데이터의 송수신 외에, RRC 신호(L3 신호) 등의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에도 사용된다.
무선 단말기(20)와 무선 기지국(10)과의 사이에는, 이러한 데이터 채널 상에, 복수의 계층을 포함하는 논리적인 통신로가 구축되어 있다. 이 논리적인 통신로(커넥션)는 베어러(Bearer)라고 불린다. 각 베어러에 있어서는 각각 상이한 데이터 통신(유저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포함함)이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상이한 데이터 통신」이란, 간단히 물리적인 무선 신호가 상이하다는 취지가 아니라, 통신되는 데이터 내용 그 자체(데이터의 콘텐츠에 상당하고, 변조 전 또는 복조 후의 데이터 내용이라 바꿀 수도 있음)가 상이하다는 취지인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어 베어러인 SRB(Signalling Radio Bearer)와 데이터 베어러인 DRB(Data Radio Bearer)의 2종류가 규정되어 있다. SRB는, C-Plane(Control Plane)이라고 불리는 소위 제어 플레인에 대응하고 있고, RRC 신호 등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논리적인 통신로이다. DRB는, U-Plane(User Plane)이라고 불리는 소위 유저 플레인(데이터 플레인)에 대응하고 있고, 유저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논리적인 통신로이다. 여기서, 플레인이란 베어러의 다발에 상당하는 개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이 혼재하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2원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이 혼재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가 무선 기지국(10)에 접속하는 경우, 먼저 무선 단말기(20)는 매크로 기지국(10a)에 접속한다(RRC_CONNECTED 상태). 이때, 무선 단말기(20)와 매크로 기지국(10a)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제어 베어러가 설정되고, 제어 플레인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와 매크로 기지국(10a)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 상에 데이터 베어러가 설정되고, 유저 플레인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어 베어러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LTE 시스템에 있어서 SRB0, SRB1 및 SRB2의 3종류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베어러에 대해서는, 최초로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고, 그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추가나 삭제가 행하여진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1개의 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최대 11개의 데이터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20)가 매크로 기지국(10a)에 접속한 후, 매크로 기지국(10a)은, 필요에 따라, 무선 단말기(20)를 2원 접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10a)은, 스몰 기지국(10b)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무선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매크로 기지국(10a)과의 접속을 유지한 채 또한 스몰 기지국(10b)과 접속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에 2원 접속한 상태가 된다.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개시하면,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10a)을 통해서 통화를 확실하게 행함과 함께, 스몰 기지국(10b)으로부터 스트리밍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20)와 스몰 기지국(10b)의 사이에는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데이터 플레인만이 접속되고, 데이터 베어러만이 설정된다. 무선 단말기(20)와 스몰 기지국(10b)의 사이에는 제어 플레인의 접속이나 제어 베어러의 설정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것은,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 단말기(20)에 대한 RRC는 하나만이라고 규정되고 있는 것에 따른다.
따라서,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는, 매크로 기지국(10a)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 상에 제어 베어러 및 데이터 베어러가 설정됨과 함께, 제어 플레인 및 유저 플레인이 접속된다. 또한, 2원 접속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20)는, 스몰 기지국(10b)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 상에 데이터 베어러만이 설정됨과 함께, 유저 플레인만이 접속된다. 단, 2원 접속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 유저 플레인을 1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 유저 플레인의 접속 및 데이터 베어러의 설정을 스몰 기지국(10b)과의 사이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2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상위 장치인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GW(Serving Gateway)(30), 2개의 매크로 기지국(10a)(MeNB: Macro evolved node B)인 제1 매크로 기지국(10a1)(MeNB1)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MeNB2), 2개의 스몰 기지국(10b)(SeNB: Small evolved node B)인 제1 스몰 기지국(10b1)(SeNB1)과 제2 스몰 기지국(10b2)(SeNB2) 및 무선 단말기(20)(UE: 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다. MME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관리를 행하는 엔티티이며, 제어 플레인의 종단 장치로서 기능한다. SGW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 상위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게이트웨이 기능을 제공하는 엔티티의 하나이며, 데이터 플레인의 종단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2 등에서, 각 기지국(10)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라고 불리며, 각 기지국(10)과 상위 장치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S1 인터페이스라고 불린다.
도 2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서로 인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이 구성하는 셀은, 제1 스몰 기지국(10b1)이 구성하는 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구성하는 셀은, 제2 스몰 기지국(10b2)이 구성하는 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스몰 기지국(10b1)과 제2 스몰 기지국(10b2)도, 서로 인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이 혼재하는 전형적인 케이스에 있어서는, 스몰 기지국(10b)은, 1개의 매크로 기지국(10a)에 종속한다고 여겨지고 있고, 도 2는 이러한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2원 접속은 매크로 기지국(10a)의 관리 하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도 2의 경우에는 매크로 기지국(10a)은, 관리 하의 스몰 기지국(10b)의 상황(혼잡 정도 등)을 순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3에,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상위 장치인 MME와 SGW(30), 2개의 매크로 기지국(10a)인 제1 매크로 기지국(10a1)(MeNB1)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MeNB2), 1개의 스몰 기지국(10b)인 제1 스몰 기지국(10b1)(SeNB1), 및 무선 단말기(20)(UE)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와 비교하면, 스몰 기지국(10b)의 수 및 배치가 상이하다.
도 3에서도,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서로 인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몰 기지국(10b)이 구성하는 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이 구성하는 셀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구성하는 셀에 걸쳐 있는 것으로 한다.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이 혼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스몰 기지국(10b)을 배치함으로써, 매크로 기지국(10a)의 셀 단(端)을 커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래적으로는 도 3과 같은 기지국(10) 배치(셀 설계)를 행하는 오퍼레이터(통신 사업자)가 나타나는 것도 충분히 상정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경우에는 복수의 매크로 기지국(10a)이 스몰 기지국(10b)을 관리하게 되기 때문에, 매크로 기지국(10a)이 스몰 기지국(10b)의 상황(혼잡 정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지국(10)간의 정보 교환이 필요해진다.
이상의 설명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상술한 참고 기술(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한 핸드 오버 수순을 사용한 2원 접속에 대한 핸드 오버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 2의 기지국(10) 배치에 대하여 참고 기술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도 5에, 도 3의 기지국(10) 배치에 대하여 참고 기술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것들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수순에 따라 행해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도 5에 기초하여 참고 기술의 설명을 행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먼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 및 제1 스몰 기지국(10b1)과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에서 RRC_CONNECTED 상태로 되어 있음과 함께,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제어 플레인과 유저 플레인이 접속되어 있다. 도 5A 내지 5D 및 기타 동종의 도에서는, 점에 의한 해칭 부분이 제어 플레인을 나타내고 있고, 사선에 의한 해칭 부분이 유저 플레인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의 제어 플레인에는 3개의 제어 베어러인 SRB0, SRB1 및 SRB2가 설정되어 있고,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의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A 내지 5D 및 기타 동종의 도에서는, 화살표가 베어러(제어 베어러 또는 데이터 베어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플레인 및 각 베어러는, 무선 단말기(20)와 MME/SGW(30)와의 사이를 쌍방향으로 접속하는 것임에 유의하기 바란다(도면에서는 각 기지국(10)에서 분단되어 있는 것처럼도 보이지만 그렇지 않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한편,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유저 플레인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의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1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10a)이 어느 데이터 베어러를 스몰 기지국(10b)으로 내놓을지는 설계적 사항이지만, 예를 들어 스트리밍과 같이 대용량이면서 또한 즉시성이 요구되는 데이터 베어러를 스몰 기지국(10b)으로 옮기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DRB1은 예를 들어 이러한 데이터 베어러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한 것으로 한다.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메저먼트 리포트 등에 기초하여 핸드 오버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드 오버의 결정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어떻게 취급할지가 문제가 된다. 먼저, 하나의 방안으로서는,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베어러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핸드 오버처)에 그대로 계승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는 무선 단말기(20)의 제어 플레인은 아직 제1 매크로 기지국(10a1)(핸드 오버원)에 있기 때문에, 그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오버의 결정에 기초하여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베어러를 일단 계승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의 2원 접속은 일단 종료되고,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만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예시되는 참고 기술은 상술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한 기존의 핸드 오버 수순에 따르는 것인데, 특히 도 5B에서 이 기존의 핸드 오버 수순을 답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중의 무선 단말기(20)는, 핸드 오버 시에, 주된 캐리어인 PCell(Primary Cell)이 종속 캐리어인 SCell(Secondary Cell)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베어러를 일단 계승한다. 이에 따라서, 도 5B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베어러를 일단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도 5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도 5B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에서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인 DRB1을 계승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모든 제어 베어러 및 데이터 베어러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 경유로 집약되어,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을 개재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가 접속하는 제어 플레인 및 유저 플레인이 제1 매크로 기지국(10a1) 경유로 집약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의 제어 플레인에는 3개의 제어 베어러인 SRB0, SRB1 및 SRB2가 설정되어 있고,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의 유저 플레인에는 2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 및 DRB1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으로부터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에서 RRC_CONNECTED 상태가 됨과 함께,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제어 플레인과 유저 플레인이 접속된다.
이때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베어러(구체적으로는 DRB0과 DRB1)에 관한 각종 속성(데이터 베어러의 ID나 데이터 베어러에 있어서의 서비스 레벨 등의 파라미터)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DRB0과 DRB1의 계승을 행한다. 또한, 제어 베어러(구체적으로는 SRB0, SRB1 및 SRB2)에 대해서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에 새롭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의 제어 플레인에는 3개의 제어 베어러인 SRB0, SRB1 및 SRB2가 설정되어 있고,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유저 플레인에는 2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 및 DRB1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던 데이터 베어러인 DRB0 및 DRB1의 계승에 대해서, 보다 정확하게 설명한다. 핸드 오버 시의 수속에 의해,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가 RRC_CONNECTED 상태로 되고,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을 통해서 제어 플레인 및 데이터 플레인이 접속된다. DRB0과 DRB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이 데이터 채널에 계승되는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 베어러(DRB0과 DRB1)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으로부터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계승된다고 설명했지만, 이 계승은, 당해 데이터 베어러에 비교적 상위층에서 설정되는 각종 속성(데이터 베어러의 ID나 데이터 베어러에 있어서의 서비스 레벨 등의 파라미터)을 계승한다는 취지의 것임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에 반해, 종래의 LTE 시스템의 규정에 의하면, 무선 접속의 비교적 하위층(구체적으로는 L2에 상당하는 PDPC층이나 RLC층)에 있어서는, 핸드 오버 시에 각 베어러(데이터 베어러와 제어 베어러)에 대하여 재확립(re-establishment)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무선 단말기(20)의 2원 접속을 개시시키는 것을 결정한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2원 접속을 위해서 무선 단말기(20)에 추가하는 접속처를, 제1 스몰 기지국(10b1)으로 결정한 것으로 한다. 핸드 오버의 직전(도 5A)까지 무선 단말기(20)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접속하고 있었다는 것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무선 품질은 비교적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이들 결정을 행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추정된다.
또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메저먼트 리포트 등에 기초하여 이들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예를 들어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 의한 핸드 오버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이들 결정을 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2원 접속 개시의 결정에 기초하여,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2원 접속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원 접속 시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는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데이터 플레인만이 접속된다. 여기서 도 5D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일례로서, 자국에 설정되어 있는 2개의 데이터 베어러 중 DRB1을 제1 스몰 기지국(10b1)으로 옮기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DRB1이 대용량이면서 또한 즉시성이 요구되는 데이터 베어러라고 한다면, 이것이 스몰 기지국(10b)으로 옮겨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추정된다.
데이터 베어러가 옮겨진 결과,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의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1이 설정되게 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의 제어 플레인에는 3개의 제어 베어러인 SRB0 내지 SRB2가 설정되어 있고,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이 설정되게 된다.
참고 기술의 수순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참고 기술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한 기존의 핸드 오버 수순을 사용해서 2원 접속에 대한 핸드 오버를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참고 기술에 의해,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한 기존의 핸드 오버 수순을 사용해서 2원 접속에 대한 핸드 오버를 지장없이 실현할 수도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참고 기술에 대해서 고찰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 기술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 당초에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대해 설정되어 있던 데이터 베어러가(도 5A), 일단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 집약된다(도 5B). 그리고, 그 후에 당해 데이터 베어러는 핸드 오버에 의해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있어서 계승되고(도 5C), 또한 당해 데이터 베어러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으로 옮겨진다(도 5D).
여기서, 당초의 단계(도 5A)에서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에 착안하면, 당초의 단계와 최종적인 단계(도 5D)에서는 동일하지만, 도중의 단계(도 5B 내지 도 5C)에서는 승계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참고 기술에 있어서는, 핸드 오버 전의 단계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데이터 베어러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에 대하여, 핸드 오버 시에 장황한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핸드 오버 시에 장황한 처리가 행하여지면, 핸드 오버에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순간 단절 등의 우려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장황한 처리는, 본래는 불필요한 처리 부하나 시그널링이 행하여지는 것으로도 이어진다. 이것은 기지국(10)에 있어서도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도 5에 기초하여 문제의 소재를 설명했지만, 이것과 거의 마찬가지로, 도 4에 기초하여 문제의 소재를 설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도 4에서는 도 5와는 달리, 2대의 스몰 기지국(10b)이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당초의 단계(도 4A)와 최종적인 단계(도 5D)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가 동일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도 4의 예는, 도 5의 예와 비교하면 잠재하는 문제는 크지 않지만, 핸드 오버 처리에 장황한 부분이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되고 있어, 도 5의 예와 마찬가지의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매크로 기지국(10a)(매크로 셀)과 스몰 기지국(10b)(스몰 셀)과의 2원 접속에 기초해서 행해 왔지만, 본원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기지국(10)(셀)으로 확장할 수 있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마스터 셀과 슬레이브 셀, 앵커 셀과 어시스팅 셀, 프라이머리 셀과 세컨더리 셀 등에 있어서도, 본원 발명은 당연히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원에서, 각각의 셀(기지국(10))의 호칭에 대해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LTE 통신 시스템과 같이 제어 플레인과 데이터 플레인의 양쪽이 접속되어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10)이 주된 기지국(10)이며, 추가적으로 데이터 플레인을 접속해서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10)이 종속 기지국(10)이라면, 이 의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호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신의 표준화 동향에서는, 2원 접속과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조합이 가능하고, 주된 통신 리소스를 제공하는 셀 군을 「마스터 셀 그룹(MCG)」, 추가적인 통신 리소스를 제공하는 셀 군을 「세컨더리 셀 그룹(SCG)」이라고 칭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는 LTE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상기 문제는 LTE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기 바란다. 즉, 상기 문제는, 조건만 갖추어지면,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일례로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 매크로 기지국(10a)과 스몰 기지국(10b)에 2원 접속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20)가 다른 매크로 기지국(10a)에 핸드 오버하는 경우의 수순으로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한 기존의 핸드 오버 수순을 이용하는 것(상술한 참고 기술)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된 참고 기술에 의하면, 핸드 오버 시에 장황한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게 되어, 순간 단절 등의 우려가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문제는, 발명자가 종래 기술을 자세하게 검토한 결과로서 새롭게 알아낸 것이며, 종래는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이다. 이후에서는, 이 2원 접속시의 핸드 오버에 수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의 각 실시 형태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제1 기지국(10)(예를 들어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 제1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인 PDSCH나 PUSCH)을 통해서 제1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데이터 베어러인 DRB0)을 행하고 있는 무선국(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이, 제2 기지국(10)(예를 들어 제1 스몰 기지국(10b1))과 제2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제1 스몰 기지국(10b1)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인 PDSCH나 PUSCH)을 통해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과 상이한 제2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데이터 베어러인 DRB1)을 상기 제1 데이터 통신과 병행해서 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10)이, 상기 무선국을 상기 제1 기지국(10)으로부터 제3 기지국(10)(예를 들어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1 통신 채널에 계승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데이터 통신을 상기 무선국과 상기 제3 기지국(10)과의 사이의 제3 통신 채널(예를 들어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인 PDSCH나 PUSCH)에 계승시키는 무선 통신 방법이다.
도 6A 내지 도 6B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전제나 용어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한 「문제의 소재」를 답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그것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에서,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2원 접속하고 있다. 도 6A는 도 5A와 동일한 상태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을 통해서 제어 플레인과 유저 플레인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일례로서, 제어 플레인에는 3개의 제어 베어러인 SRB0, SRB1 및 SRB2가 설정되어 있고,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을 통해서 유저 플레인이 접속되어 있고, 일례로서,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1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한 것으로 한다.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메저먼트 리포트 등에 기초하여 핸드 오버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핸드 오버의 결정에 기초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으로부터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한다. 이때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계승하지 않고,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계승시킨다. 즉, 도 6B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그 상태에서 계속(유지)시킨 채,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계승시킨다.
도 6A로부터 도 6B에 이르는 처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핸드 오버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에서 RRC_CONNECTED 상태로 됨과 함께,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제어 플레인과 유저 플레인이 접속된다.
이때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베어러(구체적으로는 DRB0)에 관한 각종 속성(데이터 베어러의 ID나 데이터 베어러에 있어서의 서비스 레벨 등의 파라미터)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DRB0의 승계를 행한다. 또한, 제어 베어러(구체적으로는 SRB0, SRB1 및 SRB2)에 대해서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 무선 단말기(20)와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에 새롭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의 제어 플레인에는 3개의 제어 베어러인 SRB0, SRB1 및 SRB2가 설정되어 있고,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데이터 베어러(DRB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으로부터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으로 승계된다고 설명했지만, 이 승계는, 당해 데이터 베어러에 비교적 상위층에서 설정되는 각종 속성(데이터 베어러의 ID나 데이터 베어러에 있어서의 서비스 레벨 등의 파라미터)을 계승한다는 취지의 것임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에 반해, 종래의 LTE 시스템의 규정에 따라, 무선 접속의 비교적 하위층(구체적으로는 L2에 상당하는 PDPC층이나 RLC층)에서는, 계승된 각 베어러(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베어러 DBR0과 제어 베어러 DBR0 내지 DBR2)에 대하여 재확립(re-establishment)이 행하여진다.
한편, 핸드 오버 전에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설정되어 있던 데이터 베어러인 DRB1은, 핸드 오버가 종료되어도 그대로 계속(유지)된다. 그 때문에, 도 6에서의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도 5와는 달리,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DRB1)를 계승하지 않는다.
여기서, 주의해야 하는 것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유지되는 데이터 베어러(DRB1)에 대해서는, 무선 접속의 비교적 하위층(구체적으로는 PDPC층이나 RLC층)에 있어서 재확립(re-establishment)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LTE 시스템의 규정에 의하면, 무선 접속의 비교적 하위층(구체적으로는 PDPC층이나 RLC층)에서는, 핸드 오버 시에 각 베어러(데이터 베어러와 제어 베어러)에 대하여 재확립(re-establishment)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유지되는 데이터 베어러(DRB1)에 대해서는, 이 종래 규정의 예외로서 취급하게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가 핸드 오버할 때, 제1 매크로 기지가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일단 계승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5A 내지 도 5D에 나타내는 참고 기술과 비교해서 적은 수순으로 핸드 오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2원 접속 중의 단말기(20)에 의한 핸드 오버를 단축화할 수 있어, 핸드 오버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에 수반하는 순간 단절 등의 우려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는, 2원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는 종래에는 없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상술한 도 3의 기지국(10) 배치를 전제로 하는 실시 형태이며, 제1 실시 형태를 LTE 시스템에 구체적으로 적용한 실시 형태의 일례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의 그 밖의 전제나 용어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한 「문제의 소재」나 제1 실시 형태를 답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그것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정상계의 처리 시퀀스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이후의 마찬가지의 시퀀스도에 있어서는, 상위 장치인 MME/SGW(30)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도 7 및 이후의 마찬가지의 시퀀스도에 있어서는, 데이터 베어러에 대해서는 적절히 도시하고 있지만, 제어 베어러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7의 S101에서,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 및 제1 스몰 기지국(10b1)과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0을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1을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S101에서 나타내는 2원 접속은, 소정의 타이밍(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S110)까지는 유지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S102에서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 대하여 메저먼트 리포트(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한다. 메저먼트 리포트는, 각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참조 신호에 기초하는 당해 각 기지국(10)에 대한 측정 결과가 포함되어 있다. S102의 메저먼트 리포트에는, 예를 들어 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각각에 대한 측정 결과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S103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일례로서, S102의 메저먼트 리포트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기(20)를 핸드 오버(HO)시키는 것을 결정한다. 여기에서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일례로서, 무선 단말기(20)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한 것으로 한다.
이때 S104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핸드 오버를 요구하는 X2 메시지인 HO Request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송신한다. 여기서, HO Request는 LTE 시스템에서 규정된 X2 메시지인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을 일부 수정한 것을 사용한다.
도 8에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HO Request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에서는, 각 정보 요소의 명칭(IE/Group Name)과 Presence가 병기되어 있다. 또한, 각 명칭에 첨부된 기호 ">"의 개수는, 당해 정보 요소의 계층의 깊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Presence란, 각 정보 요소가 필수(M: Mandatory)인지 옵션인지(O: Option)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 밑줄이 부가된 개소가, 종래의 HO Request에 추가된 부분에 상당하고 있다. 종래의 HO Request와의 차이는 크게 나누어서 2점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핸드 오버원의 기지국(10)은, 서빙 기지국(10)(또는 간단히 서빙)이라고 불리며, 핸드 오버처의 기지국(10)은, 타깃 기지국(10)(또는 간단히 타깃)이라고 불리므로, 이하에서도 이 호칭을 사용한다.
도 8의 HO Request의 종래와의 제1 차이는, 종래의 HO Request는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의 식별자를 포함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HO Request는, 그 외에도,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Target Secondary Cell ID에, 핸드 오버 시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Target Master Cell ID에는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이에 의해,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HO Request를 수신했을 때, 핸드 오버 시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Target Secondary Cell ID 외에, Old Target Secondary Cell ID도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Target Secondary Cell ID와 Old Target Secondary Cell ID의 어떤 경우든, 핸드 오버 시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즉, Target Secondary Cell ID와 Old Target Secondary Cell ID에 동일한 값을 저장한다. 스몰 기지국(10b)의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요소가 2개 존재하는 의의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Target Secondary Cell ID나 Old Target Secondary Cell ID는, 옵션의 정보 요소이다. 이것은,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지 않은 경우(통상의 경우)의 HO Request에 있어서는, 이들 정보 요소는 통지되지 않는(제거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8의 HO Request의 종래와의 제2 차이는, 종래의 HO Request는 서빙의 매크로 기지국(10a)으로부터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으로 승계되는 각 베어러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 형태의 HO Request는 그 외에도,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Secondary E-RABs To Be Setup Item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의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Master E-RABs To Be Setup Item에는 서빙의 매크로 기지국(10a)으로부터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으로 승계되는 각 베어러의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Secondary E-RABs To Be Setup Item은 베어러마다 설정되고, 각각의 Secondary E-RABs To Be Setup Item은 E-RAB ID, E-RAB Level QoS Parameter, DL Forwarding 및 UL GTP Tunnel Endpoint의 각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E-RAB ID는 베어러의 ID이며, E-RAB Level QoS Parameter는 베어러의 서비스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다. 또한, DL Forwarding은 베어러의 하향 통신을 핸드 오버 중에 서빙 기지국(10)으로부터 타깃 기지국(10)에 전송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며, UL GTP Tunnel Endpoint는 베어러의 상향 통신의 종단점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모든 베어러를 그대로 계속(유지)하지 않는 것이 허용되는 것으로 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실시 형태의 타깃 기지국(10)은, 서빙 기지국(10)에 대하여,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를 선택적으로 계승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DL Forwarding 정보 요소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 중에서 그대로 계속하는 것인지 여부를 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Target Secondary Cell ID와 Old Target Secondary Cell ID에 동일한 값이 저장된다. 이 경우, 각 베어러 중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그대로 계속하는 것에 대해서는, DL Forwarding 정보 요소를 설정하지 않는다(즉, 통지되지 않는다). 스몰 기지국(10b)에서 계속되는 베어러에 대해서는, 타깃 기지국(10)에의 하향 통신의 전송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각 베어러 중에서 스몰 기지국(10b)에서 계속하지 않고 타깃 기지국(10)에 승계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DL Forwarding 정보 요소를 설정한다. 스몰 기지국(10b)에서 계속되지 않는 베어러에 대해서는, 타깃 기지국(10)에의 하향 통신의 전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HO Request를 수신했을 때, 핸드 오버 시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 중에서 그대로 계속시키는 것과 타깃이 계승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되는 시퀀스에서는, S104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이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대하여 송신하는 HO Request에 있어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러 DRB1에 대응하는 Secondary E-RABs To Be Setup Item에 포함되는 DL Forwarding 정보 요소를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7 및 이것 이후의 마찬가지의 시퀀스도에 있어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베어러를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2원 접속을 계속한다는 의미에서, DC=true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에 반해,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베어러를 그대로 계속(유지)시키지 않고 타깃 기지국(10)으로 승계시키는 것을, 2원 접속을 해제한다는 의미에서, DC=false라고 표현하고 있다.
다음으로 S105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S104의 HO Request에 기초하여, 2원 접속(DC)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판정)한다.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HO Request의 지정을 그대로 사용해서 이 판정을 행할 수도 있고, 다른 요소를 고려해서 이 판정을 행해도 된다. 다른 요소로서는, 예를 들어 각 기지국(10)에 있어서의 무선 품질이나 혼잡 상황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S105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DC를 OK라 판정).
이때 S106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스몰 기지국(10b)에 대한 설정 등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X2 메시지인 SeNB MOD를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송신한다. SeNB MOD에 대해서는, 상술한 HO Request와 마찬가지의 정보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예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S106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대하여 송신하는 SeNB MOD에 있어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DC=true).
다음으로 S107에서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S106의 SeNB MOD에 기초하여, 2원 접속(DC)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판정)한다.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SeNB MOD의 지정을 그대로 사용해서 이 판정을 행할 수도 있고, 다른 요소를 고려해서 이 판정을 행해도 된다. 다른 요소로서는, 예를 들어 각 기지국(10)에 있어서의 무선 품질이나 혼잡 상황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S107에서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당해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DC를 OK라 판정).
이때 S108에서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스몰 기지국(10b)에 대한 설정 등의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X2 메시지인 SeNB CMP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송신한다. SeNB CMP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HO Request ACK와 마찬가지의 정보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예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S108에서 제1 스몰 기지국(10b1)이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대하여 송신하는 SeNB CMP에 있어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DC=true).
이때 S109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S104의 HO Request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HO Request ACK를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 송신한다. 여기서, HO Request ACK는, LTE 시스템에서 규정된 X2 메시지인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을 일부 수정한 것을 사용한다.
도 9에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HO Request ACK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의 견해에 대해서는 도 8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의 HO Request ACK의 종래와의 차이는, 종래의 HO Request ACK는 서빙의 매크로 기지국(10a)으로부터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에 계승되는 각 베어러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 형태의 HO Request ACK는 그 외에도,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Secondary E-RABs Admitted Item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의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Master E-RABs Admitted Item에는 서빙의 매크로 기지국(10a)으로부터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에 계승되는 각 베어러의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Secondary E-RABs Admitted Item은 베어러마다 설정되고, 각각의 Secondary E-RABs Admitted Item은 E-RAB ID, DL GTP Tunnel Endpoint 및 UL GTP Tunnel Endpoint의 각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E-RAB ID는 베어러의 ID이다. 또한, DL GTP Tunnel Endpoint는 베어러의 하향 통신의 종단점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며, UL GTP Tunnel Endpoint는 베어러의 상향 통신의 종단점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모든 베어러를 그대로 계속(유지)하지 않는 것이 허용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실시 형태의 타깃 기지국(10)은, 서빙 기지국(10)에 대하여,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를 선택적으로 계승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D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 및 U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 중에서 그대로 계속하는 것인지 여부를 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Target Secondary Cell ID와 Old Target Secondary Cell ID에 동일한 값이 저장된다. 이 경우, 각 베어러 중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그대로 계속하는 것에 대해서는, D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 및 U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를 설정하지 않는다(즉, 통지되지 않는다).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되는 베어러에 대해서는, 상향이나 하향의 엔드 포인트의 통지는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각 베어러 중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하지 않고 타깃 기지국(10)에 계승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D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 및 U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를 설정한다.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되지 않는 베어러에 대해서는, 상향이나 하향의 엔드 포인트의 통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서빙의 매크로 기지국(10a)(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이 HO Request ACK를 수신했을 때, 핸드 오버 시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의 각 베어러 중에서 그대로 계속시키는 것과 타깃이 계승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되는 시퀀스에 있어서는, S109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이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대하여 송신하는 HO Request에 있어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러 DRB1에 대응하는 Secondary E-RABs Admitted Item에 포함되는 D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 및 U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를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7의 S110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는, 핸드 오버를 무선 단말기(20)에 통지하는 정보에 상당하는 Mobility Control Info(MCI)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나 Mobility Control Info 정보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존의 것을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단말기(20)는, Mobility Control Info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빙인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접속을 해제한다(Detach). 그리고, 계속해서 무선 단말기(20)는, 타깃인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대한 동기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에서 RRC_CONNECTED 상태가 됨과 함께,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 제어 플레인과 유저 플레인이 접속된다.
이때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베어러(구체적으로는 DRB0)를 계승한다. 이 계승은, S106에서 수신한 SeNB MOD 메시지에 포함되는 베어러의 속성 정보인 Secondary E-RABs To Be setup item에 기초해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의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7의 S111에서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 대하여, S110의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다.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대해서는,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존의 것을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의해, 도 7의 S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및 제1 스몰 기지국(10b1)과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0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1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도 7의 S113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 대하여 UE Context Release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유지하고 있던 UE Context(무선 리소스)를 해방한다. 이에 의해, 핸드 오버 처리가 완료된다.
이어서, 도 10에,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준정상계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0에서의 처리의 대부분은 도 7과 중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처리의 흐름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7에서는, S105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S104의 HO Request의 요구를 따라,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결정하고 있다(DC를 OK라 판정). 이에 반해, 도 10의 S205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S204의 HO Request의 요구에는 따르지 않고,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고 있다(DC를 NG라 판정). 이 차이가 의미하는 것은, 도 7에서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 의한 요구(DC=true)를 수용하는 것에 반해, 도 10에서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에 의한 요구(DC=true)를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도 10과 같이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지 않을 경우, 타깃인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DRB1을 계승한다. 따라서, 핸드 오버에 수반하여 무선 단말기(20)의 2원 접속은 해제되고, 핸드 오버 후의 무선 단말기(20)는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에만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0에서는 S206 내지 S211에서, S205의 결정을 따라 처리가 순차 진행된다. 그 결과, 도 10의 S2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만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즉, 2원 접속은 해제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0 및 DRB1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1에,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준정상계의 처리 시퀀스의 다른 일례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1에서의 처리의 대부분은 도 7이나 도 10과 중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처리의 흐름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7에서는, S107에서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S106의 SeNB MOD의 요구에 따라, 제1 스몰 기지국(10b1)에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는 것을 결정하고 있다(DC를 OK라 판정). 이에 반해, 도 11의 S307에서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S306의 SeNB MOD의 요구에는 따르지 않고, 제1 스몰 기지국(10b1)에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고 있다(DC를 NG라 판정). 이 차이가 의미하는 것은, 도 7에서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 및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의한 요구(DC=true)를 수용한 것에 반해, 도 11에서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 및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의한 요구(DC=true)를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도 11과 같이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의 베어러 DRB1을 그대로 계속(유지)하지 않을 경우,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타깃인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DRB1을 계승한다. 따라서, 핸드 오버에 수반하여 무선 단말기(20)의 2원 접속은 해제되고, 핸드 오버 후의 무선 단말기(20)는 타깃의 매크로 기지국(10a)에만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1에서는 S308 내지 S311에서, S307의 결정을 따라 처리가 순차 진행된다. 그 결과, 도 11의 S3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만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즉, 2원 접속은 해제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0 및 DRB1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도 7, 도 10 및 도 11에 예시되는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에 의하면,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가 핸드 오버할 때, 서빙인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이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각 데이터 베어러를 일단 계승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참고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가 해소된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참고 기술과 비교해서 적은 수순으로 핸드 오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순간 단절 등의 우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각 데이터 베어러에 대하여, 제1 스몰 기지국(10b1)에서 그대로 계속시킬지, 또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으로부터 타깃인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으로 계승시킬지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선택적인 판단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각각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의 베어러의 관리를 유연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가 핸드 오버할 때,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이 제1 스몰 기지국(10b1)에서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일단 계승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참고 기술과 비교해서 적은 수순으로 핸드 오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2원 접속 중의 단말기(20)에 의한 핸드 오버를 단축화할 수 있어, 핸드 오버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에 수반하는 순간 단절 등의 우려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는, 2원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는 종래에는 없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는, 상술한 도 2의 기지국(10) 배치를 전제로 하는 실시 형태이며,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실시 형태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의 그 이외의 전제나 용어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한 「문제의 소재」나 상기 각 실시 형태를 답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그것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기초하여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2A에서,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2원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을 통해서 제어 플레인과 유저 플레인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일례로서, 제어 플레인에는 3개의 제어 베어러인 SRB0, SRB1 및 SRB2가 설정되어 있고,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을 통해서 유저 플레인이 접속되어 있고, 일례로서,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1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시키는 것을 결정한 것으로 한다.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메저먼트 리포트 등에 기초하여 핸드 오버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핸드 오버의 결정에 기초하여,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으로부터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한다. 이때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승계하지 않고,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승계시킨다. 즉, 도 12B에서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은,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 DRB0을 그 상태에서 계속(유지)시킨 채, 무선 단말기(20)와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승계시킨다.
또한, 핸드 오버에 수반하여,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몰 기지국(10b2)이,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 DRB1을 계승한다. 제1 스몰 기지국(10b1)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의 관리 하가 아니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에 핸드 오버한 이상, 무선 단말기(20)와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 DBR1을 그대로 계속(유지)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 결과,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 제2 스몰 기지국(10b2)에 2원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을 통해서 제어 플레인과 유저 플레인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제어 플레인에는 3개의 제어 베어러인 SRB0, SRB1 및 SRB2가 설정되어 있고,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0이 설정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와 제2 스몰 기지국(10b2)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을 통해서 유저 플레인이 접속되어 있고, 유저 플레인에는 1개의 데이터 베어러인 DRB1이 설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가 핸드 오버할 때, 제1 매크로 기지국(10a1)이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일단 계승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4A 내지 도 4D에 나타내는 참고 기술과 비교해서 적은 수순으로 핸드 오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에 의한 핸드 오버를 단축화할 수 있어, 핸드 오버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에 수반하는 순간 단절 등의 우려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는, 2원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는 종래에는 없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는, 상술한 도 2의 기지국(10) 배치를 전제로 하는 실시 형태이며, 제3 실시 형태를 LTE 시스템에 구체적으로 적용한 실시 형태의 일례이다. 제4 실시 형태에서의 그 이외의 전제나 용어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한 「문제의 소재」나 상기 각 실시 형태를 답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그것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제4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7,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에 대응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는 각 수순의 설명은 생략하고, 요점을 설명하는 것에 그친다.
예를 들어 도 13의 S405 내지 S409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2 스몰 기지국(10b2),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순서대로, 2원 접속의 계속 또는 해제의 결정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도 13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2 스몰 기지국(10b2),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모두가 2원 접속의 계속(DC=OK)을 결정하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이에 반해, 도 14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2 스몰 기지국(10b2),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모두가 2원 접속의 해제(DC=NG)를 결정하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또한, 도 15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이 2원 접속의 계속을 결정하고 있지만, 제2 스몰 기지국(10b2)과 제1 스몰 기지국(10b1)이 2원 접속의 해제를 결정하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또한, 제1 스몰 기지국(10b1)만이 2원 접속의 해제를 결정하는 경우는 상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HO Request 메시지에 있어서는 Target Secondary Cell ID와 Old Target Secondary Cell ID에 동일한 값을 저장하고 있었지만,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상이한 값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Target Secondary Cell ID에는 핸드 오버 후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행하는 스몰 기지국(10b)(금회의 경우에는 제1 스몰 기지국(10b1))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한편, Old Target Secondary Cell ID에는 핸드 오버 전에 무선 단말기(20)가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스몰 기지국(10b)(금회의 경우에는 제2 스몰 기지국(10b2))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핸드 오버의 전후에서 스몰 기지국(10a)도 바뀌므로, 이렇게 한 것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HO Request의 정보 요소를 이하와 같이 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Target Secondary Cell ID와 Old Target Secondary Cell ID에 상이한 값이 저장된다. 이 경우, 각 베어러 중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하는 것에 대해서는, DL Forwarding 정보 요소를 설정한다.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된다고 해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몰 기지국(10b)이 전환되기 때문에, 하향 통신의 전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각 베어러 중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하지 않고 타깃 기지국(10)에 계승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DL Forwarding 정보 요소를 설정하지 않는다(즉, 통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는, DL Forwarding 정보 요소의 설정 룰이 반대가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HO Request ACK의 D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 및 U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를 이하와 같이 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Target Secondary Cell ID와 Old Target Secondary Cell ID에 상이한 값이 저장된다. 이 경우, 각 베어러 중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하는 것에 대해서는, D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 및 U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를 설정한다.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된다고 해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몰 기지국(10b)이 전환되기 때문에, 상향이나 하향의 엔드 포인트 통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각 베어러 중에서 스몰 기지국(10b)에 있어서 계속하지 않고 타깃 기지국(10)에 계승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D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 및 U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를 설정하지 않는다(즉, 통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는, D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 및 UL GTP Tunnel Endpoint 정보 요소의 설정 룰이 반대가 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도 13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S415에서,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과 2원 접속을 행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0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와 제2 스몰 기지국(10b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1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4 또는 도 15에서는, S515 또는 S6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만 접속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즉, 2원 접속은 해제된다). 이때, 무선 단말기(20)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의 사이의 데이터 채널(상향은 PUSCH, 하향은 PDSCH) 상에서 데이터 베어러 DRB0 및 DRB1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에,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처리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3 내지 도 15에 대응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각 수순의 설명은 생략하고, 요점을 설명하는 것에 그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과 도 13 내지 도 15는, 제1 스몰 기지국(10b1)과 제2 스몰 기지국(10b2)의 도면 중의 위치가 바뀌어 있는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도 16의 S705 내지 S709에서,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제2 스몰 기지국(10b2)의 순서대로, 2원 접속의 계속 또는 해제의 결정을 행하고 있다. 이 결정의 순서가, 도 16 내지 도 18과 도 13 내지 도 15의 차이이다.
도 16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제2 스몰 기지국(10b2)의 모두가 2원 접속의 계속(DC=OK)을 결정하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이에 반해, 도 17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제2 스몰 기지국(10b2)의 모두가 2원 접속의 해제(DC=NG)를 결정하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또한, 도 18은, 제2 매크로 기지국(10a2)과 제1 스몰 기지국(10b1)이 2원 접속의 계속을 결정하고 있지만, 제2 스몰 기지국(10b2)이 2원 접속의 해제를 결정하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또한, 제1 스몰 기지국(10b1)만이 2원 접속의 해제를 결정하는 경우는 상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상을 정리하면,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2원 접속 중의 무선 단말기(20)가 핸드 오버할 때, 제1 매크로 기지가 제1 스몰 기지국(10b1)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베어러를 일단 계승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참고 기술과 비교해서 적은 수순으로 핸드 오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2원 접속 중의 단말기(20)에 의한 핸드 오버를 단축화할 수 있어, 핸드 오버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에 수반하는 순간 단절 등의 우려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 형태는, 2원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이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는 종래에는 없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지만,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서 무선 기지국(10)이나 무선 단말기(20)에 의해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있어서의 정보 요소명이나 파라미터명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음에 유의한다. 또한, 파라미터의 배치(순서)가 상이하거나, 임의적인(옵셔널한) 정보 요소나 파라미터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도, 본원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은,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
다음으로 도 19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를 갖는다.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함)은 셀 C10을 형성하고 있다. 무선 단말기(20)는, 셀 C10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무선 기지국(10)이나 무선 단말기(20)를 무선국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주의하기 바란다.
무선 기지국(10)은, 유선 접속을 통해서 네트워크 장치(3)(MME/SGW(30)를 포함)와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 장치(3)는, 유선 접속을 통해서 네트워크(2)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10)은, 네트워크 장치(3) 및 네트워크(2)를 통해서, 다른 무선 기지국(10)과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단말기(20)와의 무선 통신 기능과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분리해서 별도 장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RRH(Remote Radio Head),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BBU(Base Band Unit)라 칭한다. RRH는 BBU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것들의 사이는 광파이버 등으로 유선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은, 매크로 무선 기지국(10), 피코 무선 기지국(10) 등의 소형 무선 기지국(10)(마이크로 무선 기지국(10), 펨토 무선 기지국(10) 등을 포함) 외에, 다양한 규모의 무선 기지국(10)이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사용되는 경우, 당해 중계국(무선 단말기(20)와의 송수신 및 그 제어)도 본원의 무선 기지국(1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통신으로 무선 기지국(10)과 통신을 행한다.
무선 단말기(20)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각종 장치나 기기(센서 장치 등) 등의 무선 단말기(20)이면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과 무선 단말기(20)와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사용되는 경우, 당해 중계국(무선 기지국(10)과의 송수신 및 그 제어)도 본 명세서의 무선 단말기(2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네트워크 장치(3)는, 예를 들어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이들 각 구성 부분이,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장치(3)는,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에 의해 실현된다. 네트워크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부는 인터페이스 회로, 제어부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실현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 무선 단말기(20)의 각 구성 요소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상기 실시 형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를, 무선 기지국(10), 무선 단말기(20)의 외부 장치로서 네트워크나 케이블 경유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
이어서, 도 20 내지 도 21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20은,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예를 들어 무선 송신부(11)와, 무선 수신부(12)와, 제어부(13)와, 기억부(14)와, 통신부(15)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 송신부(11)와 무선 수신부(12)를 통합해서 무선 통신부(16)라고 칭한다.
무선 송신부(1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무선 송신부(11)는, 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무선 신호(하향의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송신부(1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무선 단말기(20)에 적합한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부(1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8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이 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송신하고 있는 각 무선 신호를 들 수 있다. 무선 송신부(1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이 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송신하는 모든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12)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12)는, 무선 단말기(20)로부터 무선 신호(상향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1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무선 단말기(20)에 의해 송신되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부(1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8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각 무선 신호를 들 수 있다. 무선 수신부(1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이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13)는, 무선 단말기(20)에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무선 송신부(11)에 출력한다. 제어부(13)는, 무선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무선 수신부(12)로부터 입력한다. 제어부(13)는, 후술하는 기억부(14)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13)는, 후술하는 통신부(15)와의 사이에서, 다른 무선 기지국(10) 등을 상대로 송수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13)는 이들 이외에도 무선 기지국(10)에서의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3)가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8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이 송수신하고 있는 각 신호에 대한 제어 및 각 무선 기지국(10)이 행하고 있는 각 처리에 대한 제어를 들 수 있다. 제어부(13)가 제어하는 처리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이 실행하는 모든 처리에 관한 제어를 포함한다.
기억부(14)는,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의 기억을 행한다. 기억부(14)가 기억하는 각종 정보는,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에 있어서 기억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15)는, 유선 신호 등(무선 신호라도 상관없음)을 통해서, 다른 무선 기지국(10) 등을 상대로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5)가 송수신하는 유선 신호 등은,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이 다른 무선 기지국(10)이나 상위 장치(MME/SGW(30)를 포함)를 상대로 송수신하는 모든 유선 신호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5)가 송신하는 유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8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이 다른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에 대하여 송신하고 있는 각 유선 신호를 들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가 수신하는 유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8에서 각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이 다른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으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각 유선 신호를 들 수 있다. 통신부(15)가 송수신하는 유선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각 무선 기지국(10) 사이나 각 무선 기지국(10)과 상위 장치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유선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은, 무선 송신부(11)나 무선 수신부(12)를 통해서 무선 단말기(20) 이외의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다른 무선 기지국(10)이나 중계국)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해도 상관없다.
도 21은, 무선 단말기(2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무선 송신부(21)와, 무선 수신부(22)와, 제어부(23)와, 기억부(24)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 송신부(21)와 무선 수신부(22)를 통합해서 무선 통신부(25)라고 칭한다.
무선 송신부(2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무선 송신부(21)는, 각 무선 기지국(10)에 대하여 무선 신호(상향의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송신부(2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각 무선 기지국(10)에 적합한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부(2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8에서 무선 단말기(20)가 각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에 대하여 송신하고 있는 각 무선 신호를 들 수 있다. 무선 송신부(2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단말기(20)가 각 무선 기지국(10)에 대하여 송신하는 모든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22)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22)는, 각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무선 신호(하향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2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각 무선 기지국(10)에 의해 송신되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부(2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8에서 무선 단말기(20)가 각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함)으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각 무선 신호를 들 수 있다. 무선 수신부(2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단말기(20)가 각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23)는, 각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무선 송신부(21)에 출력한다. 제어부(23)는, 각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무선 수신부(22)로부터 입력한다. 제어부(23)는, 후술하는 기억부(24)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23)는 이들 이외에도 무선 단말기(20)에서의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3)가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8에서 무선 단말기(20)가 송수신하고 있는 각 신호에 대한 제어 및 무선 단말기(20)가 행하고 있는 각 처리에 대한 제어를 들 수 있다. 제어부(23)가 제어하는 처리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단말기(20)가 실행하는 모든 처리에 관한 제어를 포함한다.
기억부(24)는,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의 기억을 행한다. 기억부(24)가 기억하는 각종 정보는,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무선 단말기(20)에 있어서 기억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20)는, 무선 송신부(21)나 무선 수신부(22)를 통해서 무선 기지국(10) 이외의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해도 상관없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도 22 내지 도 23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22는, 무선 기지국(10)(제1 매크로 기지국(10a1), 제2 매크로 기지국(10a2), 제1 스몰 기지국(10b1) 및 제2 스몰 기지국(10b2)을 포함)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111)를 구비하는 RF(Radio Frequency) 회로(112)와, 프로세서(113)와, 메모리(114)와, 네트워크 IF(Interface)(115)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버스를 통해서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11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본원에서는, 프로세서(113)를 디지털 전자 회로로 실현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ing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을 들 수 있다.
메모리(114)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밖에, 무선 기지국(10)은 도시하지 않은 보조 기억 장치(하드 디스크 등)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무선 기지국(10)의 기능 구성과 도 22에 나타내는 무선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무선 송신부(11) 및 무선 수신부(12)(또는 무선 통신부 16)는, 예를 들어 RF 회로(112), 또는 안테나(111) 및 RF 회로(11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13), 메모리(114),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기억부(14)는, 예를 들어 메모리(114)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부(15)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IF(115)에 의해 실현된다.
도 23은, 무선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는,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121)를 구비하는 RF(Radio Frequency) 회로(122)와, 프로세서(123)와, 메모리(124)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버스를 통해서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본원에서는, 프로세서(123)를 디지털 전자 회로로 실현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ing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을 들 수 있다.
메모리(124)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무선 단말기(20)의 기능 구성과 도 23에 나타내는 무선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무선 송신부(21) 및 무선 수신부(22)(또는 무선 통신부 25)는, 예를 들어 RF 회로(122), 또는 안테나(121) 및 RF 회로(12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3)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23), 메모리(124),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기억부(24)는, 예를 들어 메모리(124)에 의해 실현된다.
1 : 무선 통신 시스템 2 : 네트워크
3 : 네트워크 장치 10 : 무선 기지국
C10 : 셀 20 : 무선 단말기

Claims (16)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국이 상기 무선국에 대한 1차 기지국인 제1 기지국 및 상기 무선국에 대한 2차 기지국인 제2 기지국에 대해 이중 접속성을 갖는 경우, 및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국에 대한 상기 1차 기지국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으로 상기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2차 기지국을 변경하지 않는 취지의 요청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상기 제3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2차 기지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신호를 상기 제3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의 접속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트랜스퍼하지 않고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삭제
  4.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제3 기지국; 및
    무선국을 포함하고,
    무선국이 상기 무선국에 대한 1차 기지국인 제1 기지국 및 상기 무선국에 대한 2차 기지국인 제2 기지국에 대해 이중 접속성을 갖는 경우, 및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국에 대한 상기 1차 기지국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제3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2차 기지국을 변경하지 않는 취지의 요청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제3 기지국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제3 기지국은 상기 2차 기지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무선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의 접속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트랜스퍼하지 않고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삭제
  7. 제1 기지국으로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국이 상기 무선국에 대한 1차 기지국인 제1 기지국 및 상기 무선국에 대한 2차 기지국인 제2 기지국에 대해 이중 접속성을 갖는 경우, 및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국에 대한 상기 1차 기지국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3 기지국으로 상기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3 기지국에 송신한 후에, 상기 제3 기지국이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에, 상기 제3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2차 기지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신호를 수신하고 - 상기 제3 기지국은 상기 2차 기지국을 변경하지 않는 취지의 요청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됨 -,
    상기 무선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의 접속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트랜스퍼하지 않고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
  9. 삭제
  10. 제2 기지국으로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국이 상기 무선국에 대한 1차 기지국인 제1 기지국 및 상기 무선국에 대한 2차 기지국인 제2 기지국에 대해 이중 접속성을 갖는 경우 및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국에 대한 상기 1차 기지국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이 수신한 후에, 상기 2차 기지국을 변경하지 않는 취지의 요청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상기 제3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3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기지국이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2차 기지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신호가 상기 제3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된 경우, 상기 무선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의 접속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트랜스퍼하지 않고, 상기 핸드오버가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제2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
  12. 삭제
  13. 제3 기지국으로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국이 상기 무선국에 대한 1차 기지국인 제1 기지국 및 상기 무선국에 대한 2차 기지국인 제2 기지국에 대해 이중 접속성을 갖는 경우, 및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국에 대한 상기 1차 기지국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2차 기지국을 변경하지 않는 취지의 요청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2차 기지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무선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의 접속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트랜스퍼하지 않고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3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기지국.
  15. 삭제
  16. 무선국으로서,
    상기 무선국에 대한 1차 기지국인 제1 기지국 및 상기 무선국에 대한 2차 기지국인 제2 기지국에 상기 무선국이 이중 접속을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국이 상기 이중 접속을 행하며, 상기 무선국의 상기 1차 기지국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3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제1 신호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으로 송신되고,
    상기 제3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2차 기지국을 변경하지 않는 취지의 요청을 나타내는 제2 신호가 상기 제3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되고,
    상기 제3 기지국이 제2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 상기 2차 기지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신호가 상기 제3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되고,
    상기 무선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의 접속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 트랜스퍼하지 않고, 상기 핸드오버가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무선국.
KR1020167021889A 2014-01-31 2014-01-3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KR101869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00539 WO2015114687A1 (ja) 2014-01-31 2014-01-31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無線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704A Division KR101862530B1 (ko) 2014-01-31 2014-01-3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288A KR20160107288A (ko) 2016-09-13
KR101869626B1 true KR101869626B1 (ko) 2018-06-20

Family

ID=537563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889A KR101869626B1 (ko) 2014-01-31 2014-01-3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KR1020177035704A KR101862530B1 (ko) 2014-01-31 2014-01-3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704A KR101862530B1 (ko) 2014-01-31 2014-01-31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12909B2 (ko)
EP (1) EP3101947A4 (ko)
JP (1) JP6589191B2 (ko)
KR (2) KR101869626B1 (ko)
CN (2) CN110139329B (ko)
WO (1) WO2015114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26B1 (ko) * 2014-01-31 2018-06-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CN106134253B (zh) * 2014-03-20 2019-11-29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BR112016022354A2 (pt) * 2014-03-28 2017-08-15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Aparelho de transferência e método de transferência
CN107113671B (zh) * 2014-12-30 2020-06-05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执行无senb变化的menb间切换的方法和装置
CN113411850B (zh) * 2015-01-16 2023-08-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切换方法和设备
KR102057979B1 (ko) 2015-01-26 2019-12-2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CN106559916A (zh) * 2015-09-29 2017-04-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建立辅助信令链路的方法及其装置、基站及终端
US10433224B2 (en) * 2016-12-02 2019-10-01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data transmissions after a handover
US11212717B2 (en) * 2017-05-05 2021-1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lit signalling radio bearer in handover
EP3413682B1 (en) 2017-05-31 2020-09-09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secondary node change in dual connectivity
CN109429281B (zh) * 2017-08-28 2020-07-3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双连接架构的业务切换方法、终端及基站
US11516681B2 (en) * 2018-05-17 2022-11-2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lay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1919462A (zh) * 2018-08-03 2020-1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保证数传输可靠性的方法及装置、网络设备
US11363504B2 (en) 2018-12-17 2022-06-14 Sercomm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handover control method thereof
CN109842901B (zh) * 2018-12-17 2022-04-19 中磊电子股份有限公司 基地台及其换手控制方法
CN117560728A (zh) * 2022-08-04 2024-02-1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保持辅节点不变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3074A (ja) * 2012-04-16 2013-10-28 Ntt Docomo Inc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07213D0 (en) * 2009-04-27 2009-06-10 Sharp Kk Relay apparatus and method
KR101083542B1 (ko) * 2009-10-16 2011-11-14 주식회사 팬택 소형 기지국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WO2011156769A1 (en) * 2010-06-10 2011-12-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configuration and handover procedures for fuzzy cells
US8619654B2 (en) * 2010-08-13 2013-12-31 Intel Corporation Base station selection method for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US9525992B2 (en) * 2011-06-03 2016-12-20 Apple Inc. Wireless system selection based on data connectivity
PL2823661T3 (pl) 2012-03-07 2021-05-17 Ntt Docomo, Inc. Sposób i urządzenie w warstwie fizycznej i łącza dla łączności mobilnej
US9295020B2 (en) * 2012-03-26 2016-03-22 Harri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registration and maintenance of wireless clients via a proxy wireless network service
CN106332198B (zh) * 2012-05-18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转发的方法、设备及通讯系统
JP2014096664A (ja) * 2012-11-08 2014-05-22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3916917B (zh) * 2013-01-06 2018-08-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承载分离场景下进行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US20160021581A1 (en) * 2013-01-17 2016-01-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placement
EP2946598B1 (en) * 2013-01-18 2017-0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signaling assistance
EP3072339B1 (en) * 2013-11-20 2019-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synchronization
KR101869626B1 (ko) 2014-01-31 2018-06-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3074A (ja) * 2012-04-16 2013-10-28 Ntt Docomo Inc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aft *
ZTE Corporation, "Discussion on handover procedure for small cell", R2-140114, 2014.01.27 *
ZTE Corporation, "Discussion on handover procedure for small cell", R2-140114, 2014.01.27.(FTP:http://www.3gpp.org/ftp/tsg_ran/WG2_RL2/TSGR2_85/doc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37924A1 (en) 2016-11-17
KR20160107288A (ko) 2016-09-13
EP3101947A4 (en) 2017-01-11
JP6589191B2 (ja) 2019-10-16
CN105981440A (zh) 2016-09-28
US20210235352A1 (en) 2021-07-29
EP3101947A1 (en) 2016-12-07
JPWO2015114687A1 (ja) 2017-03-23
CN110139329B (zh) 2021-07-23
WO2015114687A1 (ja) 2015-08-06
US11012909B2 (en) 2021-05-18
KR101862530B1 (ko) 2018-06-29
KR20170140442A (ko) 2017-12-20
CN110139329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626B1 (ko)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무선국
KR102174932B1 (ko) 이중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012896B2 (en)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of
CN109076383B (zh) 用于由终端配置双连接的方法及其装置
CN107852658B (zh) 基站设备及其方法
JP720747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無線端末、及びこれらの通信制御方法
US94679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andovers
US20170325276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6149928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局
JP6886400B2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201502822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ual connection establishment
US11490438B2 (en) Protocols and architectures for NR-NR dual connectivity (NR-DC)
CN110062466B (zh) 通信系统、无线电站、核心网络、及其方法
JP2020031453A (ja) 基地局及びデータ転送方法
CN107302773B (zh) 连接的建立方法、装置及系统
CN116250282A (zh)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KR10224649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셀 네트워크 구축 방법 및 장치
US11601841B2 (en) Radio st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9803390B (zh) 消息、策略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JP2019180096A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JP2022170559A (ja) ユーザ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22170542A (ja) 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