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673B1 -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673B1
KR101868673B1 KR1020150189253A KR20150189253A KR101868673B1 KR 101868673 B1 KR101868673 B1 KR 101868673B1 KR 1020150189253 A KR1020150189253 A KR 1020150189253A KR 20150189253 A KR20150189253 A KR 20150189253A KR 101868673 B1 KR101868673 B1 KR 10186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carbon dioxide
temporary storage
heat pip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078A (ko
Inventor
강관구
백종화
강성길
조맹익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8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6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28F1/2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69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in or on a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5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submerged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9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characterised by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2Improving properties related to fluid or fluid transfer
    • F17C2260/021Avoiding over press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8Offshore
    • F17C2270/0128Storage in dep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 Y02C10/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을 위한 임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냉각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저장용기 내부의 액체를 냉각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압축, 팽창 냉각싸이클을 이용하지 않고, 열전소자 및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임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냉각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Device for cooling CO2 inside CO2 temporary storage tank of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본 발명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유발시키는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대규모로 해양지중에 저장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지(포집지)로부터 저장지까지 이송하는데 있어 버퍼 역할을 하는 임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냉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한 해저 지질구조 내에 이산화탄소(CO2)를 격리, 저장시키는 기술(이하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기술'이라 함)은 기후변화 및 교토의정서상의 온실가스 감축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발전소 및 제철소 등 대규모 발생원에서부터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파이프라인이나 선박 등을 통해 수송하여 이를 해양의 퇴적층(유/가스전, 심부 염대수층, 석탄층 등)에 대규모로 수백~수천 년 이상 장기간 저장 및 관리하는 기술을 말한다(참고문헌 : 강성길, 허철, 한국해양환경공학회 논문).
일반적으로 제철소, 발전소 등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상온(atmospheric temperature) 상압(atmospheric pressure)의 기상(vapor)으로 존재하는데, 이를 연간 수십~수백만 톤 이상의 대량으로 해상(offshore)의 저장지까지 이송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부피의 저장용기 또는 매우 큰 직경의 파이프라인이 필요하게 되므로 경제적, 기술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를 가압 및 냉각하여 액상(liquid)이나 초임계(supercritical) 상태로 만든 후,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포집지부터 해상의 저장지까지 이송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각국은 경제적 저비용의 파이프라인 수송이나 장거리 선박 수송 기술개발에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여 매진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을 위해서는 상기 언급된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저장소에 수송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만약 이산화탄소 수송을 위해 선박을 이용할 경우 임시저장탱크가 필수적인데, 이는 선박수송을 위해 이산화탄소를 선박에 적하역(loading/unloading)하는 시간 동안 이산화탄소를 임시 저장할 공간(또는 용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임시저장탱크는 통상 100바 이하의 압력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예상되는 문제 중의 하나로 임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압력이 외부의 열유입(heat ingress)에 의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계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내부의 유체를 저장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압력을 낮추거나, 저장용기의 내부 열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하여 냉각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압력상승에 따라 내부의 유체를 저장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압력을 낮추는 방법은,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 전체 공정을 운영함에 있어 포집, 압축, 수송되는 이산화탄소의 양 중에서 일부를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전체적인 운영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의 내부 열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하여 냉각시키는 방법은, 통상적인 압축, 팽창 냉각싸이클을 이용할 경우, 저장용기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외부의 열교환기로 이송하여 냉각싸이클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냉각한 다음, 다시 저장용기 내부로 주입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압축, 팽창이 포함된 냉각싸이클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변 등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며,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열교환기로 이송한 후 다시 주입하는 과정에서 대기와의 열교환에 의한 열누설로 인해 냉각효율을 일정부분 손해 볼 수밖에 없다. 또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변 등의 다양한 장치가 상당한 면적 및 부피를 차지하게 되며, 압축기에서 소음,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시스템의 운전 및 운영에 있어 관리자가 존재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의 경우 압축기 실린더 내부로 액체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등의 제어를 위한 장치들이 추가로 설치되어야만 고장 없이 안전하게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을 위한 임시저장탱크를 건설하여 운영함에 있어서는, 임시저장탱크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충분한 냉각성능을 가지며 회전기기 또는 동력기기의 설치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고장율은 낮추고 운용 가용도는 높일 수 있는 냉각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을 위한 바이패스형 파이프라인 수송공정 안전해석 모의실험 장치(특허출원 제10-2010-01386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을 위한 임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냉각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저장용기 내부의 액체를 냉각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압축, 팽창 냉각싸이클을 이용하지 않고, 열전소자 및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임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냉각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시저장탱크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임시저장탱크의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간 삽입부와 상기 임시저장탱크의 외부로 돌출하여 나온 돌출부로 구분되며, 상기 임시저장탱크 내부의 열을 상기 삽입부로 흡입하여 상기 돌출부를 통해 열전소자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열전소자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며, 상기 열전소자를 냉각하는 냉각용 자켓;
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저장용기 내부의 액체를 냉각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압축, 팽창 냉각싸이클을 이용하지 않고, 열전소자 및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냉각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장치는 임시저장탱크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충분한 냉각성능을 가지며 회전기기 또는 동력기기의 설치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고장율은 낮추고 운용 가용도는 높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시저장탱크 내부의 이산화탄소 냉각 및 압력상승 억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의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10), 열전소자(20) 및 냉각용 자켓(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히트파이프(10)는 임시저장탱크(70)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히트파이프(10)는 임시저장탱크(7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임시저장탱크(70)의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가고(이하, '삽입부(11)'라고 함) 일부는 임시저장탱크(70)의 외부로 돌출하여 나오는(이하, '돌출부(12)'라고 함) 형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삽입부(11)와 돌출부(12)는 각각 히트파이프(10)의 몸체 하부와 상부를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10)의 재질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바, 히트파이프(10)는 기본적으로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히트파이프(10)를 통한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히트파이프(10)는 가급적 열전도율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트파이프(10)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열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열유체의 작동에 따라 열전달이 더욱 원활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열유체의 종류나 특성 등에 대하여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임시저장탱크(70)의 상단에는 플렌지(40)가 설치된다. 플렌지(40)는 히트파이프(10)가 임시저장탱크(70)로 삽입되는 입구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삽입 후의 히트파이프(10)를 임시저장탱크(70)에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임시저장탱크(70)의 내부 하단에는 지지용 서포트(50)가 고정 설치된다. 지지용 서포트(50)는 히트파이프(10)와 결착되어 히트파이프(10)의 움직임이나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지지용 서포트(50)는 홈 형태의 체결구(미도시)를 구비하는바, 히트파이프(10)는 삽입부(11)의 끝단이 체결구에 끼워지거나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지지용 서포트(50)와 결착된다.
임시저장탱크(70) 외부의 열이 내부로 유입되면 임시저장탱크(70)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를 방치하는 경우 임시저장탱크(70) 내부의 압력이 설계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히트파이프(10)는 임시저장탱크(70) 내부의 열을 삽입부(11)로 흡입하여 돌출부(12)를 통해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소한다.
이 경우, 히트파이프(10)의 표면에는 열교환 핀(60)을 장착하여 히트파이프(10)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보면 히트파이프(10)의 삽입부(11) 표면에 다수의 열교환 핀(60)이 장착되어 있는데, 열교환 핀(60)은 히트파이프(10)와 이산화탄소(열원)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임시저장탱크(70) 내부의 열이 삽입부(11)로 흡입(전달)되는 열교환 효율을 한층 높여준다.
열교환 핀(60)은 히트파이프(10)의 표면에 브레이징(brazing) 방식으로 접합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침투 및 팽창 등으로 인해 열교환 핀(60)과 히트파이프(10) 간 접합재가 탈락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징은 이종금속(異種金屬) 또는 동종금속합금(同種金屬合金)을 융점(融點)이 낮은 용제(溶劑)를 녹여서 접합(接着)하는 방법으로, 접합하고자 하는 금속물의 두께가 너무 얇아 용접이 불가능할 경우에 변형 및 용융시키지 않고 접합하는 방법이다. 브레이징은 모재의 고상온도(solidus temperature) 이하로 열을 가하되, 450℃ 이상의 액상온도(liquidus temperature)를 가진 용제로 두 모재를 접합하는 것으로, 일정온도에 이른 용제가 녹으면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두 모재 사이로 스며들어가게 되어 두 모재를 접합하게 된다.
히트파이프(10)의 돌출부(12) 외곽에는 열전소자(20)가 설치된다. 열전소자(20)는 돌출부(12)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돌출부(12)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싼다. 그리고 열전소자(20)의 외곽에는 냉각용 자켓(30)이 설치된다. 냉각용 자켓(30)은 열전소자(20)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열전소자(20)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싼다. 냉각용 자켓(30)의 몸체 내부로는 냉각수가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시저장탱크(70) 내부의 열은 히트파이프(10)의 돌출부(1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데, 이렇게 방출된 열은 곧바로 열전소자(20)에 전달되며, 냉각용 자켓(30)은 냉각수의 냉열을 이용하여 열전소자(20)를 냉각한다. 이러한 냉각용 자켓(30)의 작용에 따라 히트파이프(10)의 돌출부(12)는 냉각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며, 그 결과 고온 영역에 해당하는 히트파이프(10)의 삽입부(11)에서 저온 영역에 해당하는 히트파이프(10)의 돌출부(12)로 향하는 열의 전달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70)는 선박과 파이프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역할을 하며, 따라서 해안가에 위치한다. 따라서 냉각용 자켓(30)에 사용될 냉각수로, 주변 해역의 해저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저온 해수 또는 심층수를 냉각용 자켓(30) 내부에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열전소자(20)의 냉각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냉각용 자켓(30)은 냉각수 공급관(미도시)과 연결된다. 물론 이 경우 냉각수 공급관은 해안가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장치는 종래 저장용기 내부의 액체를 냉각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압축, 팽창 냉각싸이클을 이용하지 않고, 열전소자(20) 및 히트파이프(10)를 이용하여 임시저장탱크(70)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냉각하는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변 등의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임시저장탱크(70)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충분한 냉각성능을 가지며, 회전기기 또는 동력기기의 설치를 최소화하여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장치의 고장율은 낮추고 운용 가용도는 높일 수 있다. 특히 복합 진공 단열재의 출현 등으로 인해 대규모 저장용기용 단열재의 성능이 향상되는 추세에 맞춰 소규모/소용량/소형 저장용기용 냉각 장치가 필요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장치가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히트파이프 11 : 삽입부
12 : 돌출부 20 : 열전소자
30 : 냉각용 자켓 40 : 플렌지
50 : 지지용 서포트 60 : 열교환 핀
70 : 임시저장탱크

Claims (10)

  1. 해안가에 위치하는 임시저장탱크(70)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임시저장탱크(70)의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간 삽입부(11)와 상기 임시저장탱크(70)의 외부로 돌출하여 나온 돌출부(12)로 구분되며, 상기 임시저장탱크(70) 내부의 열을 상기 삽입부(11)로 흡입하여 상기 돌출부(12)를 통해 열전소자(20)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10);
    상기 돌출부(12)의 표면에서, 상기 돌출부(12)의 수직 길이 방향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돌출부(12)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열전소자(20);
    상기 열전소자(20)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열전소자(20)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고, 몸체 내부로는 냉각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냉각수의 냉열을 이용하여 상기 열전소자(20)를 냉각하는 냉각용 자켓(30); 및
    상기 히트 파이프(10)의 표면을 따라 나사선 형태로 장착되되, 브레이징 방식으로 접합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10)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주는 다수의 열교환 핀(60);을 포함하며,
    상기 해안가로부터 연장된 냉각수 공급관을 통해 주변 해역의 해저로부터 상기 냉각용 자켓(30) 내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저온 해수 또는 심층수는 상기 냉각수로써 이용되고, 또한
    상기 냉각용 자켓(30)을 통해 상기 돌출부(12)의 냉각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고온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삽입부(11)로부터 저온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돌출부(12)로 향하는 열의 전달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탱크(7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히트파이프(10)를 상기 임시저장탱크(70)에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플렌지(40);
    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탱크(70)의 내부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히트파이프(10)와 결착되어 상기 히트파이프(10)의 움직임이나 진동을 방지하는 지지용 서포트(50);
    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서포트(50)는 홈 형태의 체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히트파이프(10)는 상기 삽입부(11)의 끝단이 상기 체결구에 끼워지거나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용 서포트(50)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10)는 내부에 열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KR1020150189253A 2015-12-30 2015-12-30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KR10186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53A KR101868673B1 (ko) 2015-12-30 2015-12-30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53A KR101868673B1 (ko) 2015-12-30 2015-12-30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78A KR20170079078A (ko) 2017-07-10
KR101868673B1 true KR101868673B1 (ko) 2018-06-18

Family

ID=5935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253A KR101868673B1 (ko) 2015-12-30 2015-12-30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6594B (zh) * 2022-06-07 2023-08-25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二氧化碳封存方法
CN115790074B (zh) * 2022-12-07 2024-04-09 武汉理工大学 一种基于微通道换热器的二氧化碳海洋封存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483A (ja) * 2004-10-13 2006-04-27 Toyota Industries Corp 圧力容器
JP2009092160A (ja) * 2007-10-10 2009-04-30 Honda Motor Co Ltd 燃料ガスタンク
KR101017282B1 (ko) * 2010-06-08 2011-02-28 구효홍 순환식 에어 워터 생성을 활용한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03B1 (ko) 2009-06-25 2011-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503271B1 (ko) * 2013-07-18 2015-03-1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히트파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483A (ja) * 2004-10-13 2006-04-27 Toyota Industries Corp 圧力容器
JP2009092160A (ja) * 2007-10-10 2009-04-30 Honda Motor Co Ltd 燃料ガスタンク
KR101017282B1 (ko) * 2010-06-08 2011-02-28 구효홍 순환식 에어 워터 생성을 활용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78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1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ing large pipe
US20100139272A1 (en)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System
WO2016210035A1 (en) Underwater container cooling via external heat exchanger
BRPI0807508A2 (pt) Ambiente de processo submersível para processamento submarino, e, método para processamento submarino.
US201703505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iodically charging ocean vessel or other system using thermal energy conversion
US9581358B2 (en) Multi-phase passive thermal transfer for subsea apparatus
KR101868673B1 (ko)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이산화탄소 냉각 장치
CN107735355A (zh) 液态氢用流体装卸装置
CN109416150A (zh) 用于密封隔热罐的气体穹顶构造
KR101271759B1 (ko) 원유 운반선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배출 감소 장치
JP2022003293A (ja) 地熱発電装置
CN101542224B (zh) 从气流中的其他气体捕捉并去除气体
KR20140096446A (ko) 유증기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03133821B (zh) 一种冻结管隔热装置
US20100000214A1 (en) Petroleum-based Thermoelectric Energy Conversion System
US20120180899A1 (en) Sytem and method for liquefying a fluid and storing the liquefied fluid
CN110308175B (zh) 一种液氦贮存以及液氦温区下多层绝热材料测试的装置
KR101804643B1 (ko)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용 임시저장탱크 내부 액체층 온도 성층화 억제 장치
KR101358303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
KR101708549B1 (ko) 액화 이산화탄소 화물창 온도제어를 위한 열사이폰 장치
KR101160146B1 (ko) 선박의 복합 화물창 구조
KR101239334B1 (ko) 흡착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저장장치, 이를 구비한 수송선 및 저장소
JP6955945B2 (ja) 液面検知装置、液面検知方法、アダプターキット、凍結物の製造システム、及び凍結物の製造方法
KR20100122734A (ko) 메탄하이드레이트 채굴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20130340970A1 (en) L & K Crude Max Reco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