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303B1 -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303B1
KR101358303B1 KR1020110103449A KR20110103449A KR101358303B1 KR 101358303 B1 KR101358303 B1 KR 101358303B1 KR 1020110103449 A KR1020110103449 A KR 1020110103449A KR 20110103449 A KR20110103449 A KR 20110103449A KR 101358303 B1 KR101358303 B1 KR 10135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lectricity
crude oil
working fluid
produ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9027A (ko
Inventor
박태근
박상도
이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3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ressure differences or thermal differences occurring in nature
    • F03G7/05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i.e. OTE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해저로부터 원유를 시추하는 제 1 구조물과; 이송라인으로 상기 제 1 구조물과 연결되고, 상기 이송라인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유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생산 시스템과;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원유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 2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은 상기 제 2 구조물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 2 구조물과 독립된 설비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FLOATING MARINE STRUCTURE AND ELECTRICITY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가진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수(海水)의 온도차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해수 온도차 발전 방법(OTEC,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이 대체 에너지의 한 분야로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해수 온도차 발전은 심해의 차가운 바닷물과 표층의 더운 바닷물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해수 흡입 펌프, 증발기, 발전기, 응축기, 드레인 탱크, 그리고 작동유체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선박용 해수 온도차 발전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심해의 찬 바닷물과 더운 표면 해수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을 돌려서 전기를 생산하는 해수 온도차 발전 시설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심해의 찬 바닷물과 표층의 더운 바닷물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해수 온도차 발전은, 심해의 찬 바닷물을 끌어올리기 위해 많은 에너지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심해의 찬 바닷물과 표층의 더운 바닷물 사이의 온도차가 20℃ 내외에 불과하여 전기 생산 효율이 높지 않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10-2011-0081440 (2011. 07. 14. 공개)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10-2009-0016613 (2009. 02. 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저로부터 원유를 시추하는 제 1 구조물과; 이송라인으로 상기 제 1 구조물과 연결되고, 상기 이송라인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유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생산 시스템과;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원유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 2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은 상기 제 2 구조물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 2 구조물과 독립된 설비로 제공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은,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상기 이송라인으로 이송된 상기 원유와 열교환 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액화된 상기 작동 유체를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와; 상기 리저버 탱크로부터 공급된 상기 작동 유체를 열교환 매체로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기화된 상기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생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응축기, 상기 리저버 탱크, 상기 기화기 및 상기 전기 생산 부재를순환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그 내부에 상기 원유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열교환 라인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기는, 상기 리저버 탱크와 연결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 제공되고, 그 내부에 상기 열교환 매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열교환 라인과; 상기 제 2 열교환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열교환 라인으로 상기 열교환 매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재는, 상기 열교환 매체를 저장하며, 상기 제 2 열교환 라인이 연결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열교환 매체를 가열하도록 태양광을 집광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매체는 해수(海水)로 제공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조물은, 해양 플랜트 또는 드릴쉽(Drillship)으로 제공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조물은,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로 제공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순환되는 작동 유체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생산 방법에 있어서, 해저로부터 원유를 시추하고, 시추된 상기 원유를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의 응축기에서 상기 작동 유체를 액화시키는 냉매로 사용하는 전기 생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추된 원유는 해저로부터 시추된 후 바로 상기 응축기로 공급되는 전기 생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유의 시추는 해양 플랜트 또는 드릴쉽(Drillship)에서 이루어지는 전기 생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추된 원유는 이송라인을 통해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로 제공되고,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은 상기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에 제공되는 전기 생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응축기의 열교환 매체로 시추된 저온의 원유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해수 온도차 발전 시스템(OTEC System)에서 열교환 매체로 심해의 해수를 사용함에 따른 고비용 저효율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추된 원유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흡열하므로, 시추된 저온 원유의 처리 공정 등을 위해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열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화기의 열교환 매체로 가열된 해수를 이용하되, 해수의 가열방식으로 태양열 집광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화기의 열교환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가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급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부유식 해상 구조물(1)은 제 1 구조물(10), 전기 생산 시스템(30), 그리고 제 2 구조물(50)을 가진다. 제 1 구조물(10)은 해상에서 부유하며, 라이저(11)를 통해 해저 바닥(Sea Bed) 아래에 위치한 유정(WELL)으로부터 원유를 시추한다. 시추된 원유는 제 1 구조물(10)에 제공된 저장고(13)에 일시 저장된다. 일 예로, 제 1 구조물(10)은 해양 플랜트(Plant)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구조물(10)은 드릴쉽(Drillship)일 수 있다. 전기 생산 시스템(30)은 제 1 구조물(10)로부터 이송된 저온의 원유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이송라인(20)은 제 1 구조물(10)의 저장고(13)와 전기 생산 시스템(30)을 연결하며, 저장고(13)에서 전기 생산 시스템(30)으로 저온의 원유를 이송한다. 이와 달리, 이송라인(20)은 라이저(11)와 전기 생산 시스템(30)을 연결할 수도 있다. 제 2 구조물(50)은 해상에서 부유하며, 전기 생산 시스템(30)을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한 원유를 전달받아 처리 및 저장한다. 제 2 구조물(50)은 카고 탱크(51)를 가진다. 전기 생산 시스템(30)을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한 원유는 카고 탱크(51)에 저장된다. 이와 달리, 전기 생산 시스템(30)을 거친 원유는 처리 설비(53)를 통해 별도의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카고 탱크(51)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2 구조물(50)은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일 수 있다. 전기 생산 시스템(30)은 제 2 구조물(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기 생산 시스템(30)은 제 2 구조물(50)로부터 독립된 별개의 설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기 생산 시스템(30)은 응축기(100), 리저버 탱크(200), 기화기(300), 그리고 전기 생산 부재(400)를 가진다. 응축기(100), 리저버 탱크(200), 기화기(300), 그리고 전기 생산 부재(400)는 서로 연결된다. 응축기(100)는 작동 유체를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시킨다. 일 예로, 작동 유체는 암모니아가스 또는 엘피지(LPG, Liquefied Petroleum Gas) 등과 같이 23℃ 내외에서 끓고 4℃ 내외에서 액화되는 가스일 수 있다. 응축기(100)는 하우징(110)과 제 1 열교환 라인(120)을 가진다. 하우징(110)은 작동 유체가 상변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 1 열교환 라인(120)은 하우징(110) 내에 제공된다. 제 1 열교환 라인(120)은 그 내부에 저온의 원유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리저버 탱크(200)는 응축기(100)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응축기(100)와 리저버 탱크(200) 사이에는 펌프(P1)가 제공될 수 있다. 기화기(300)는 열교환 매체를 이용하여 리저버 탱크(200)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작동 유체를 기화시킨다. 일 예로, 열교환 매체는 해수(海水)로 제공된다. 기화기(300)는 몸체부(310), 제 2 열교환 라인(320), 그리고 공급부재(330)를 가진다. 몸체부(310)는 리저버 탱크(200)와 연결된다. 몸체부(310)는 리저버 탱크(200)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를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 2 열교환 라인(320)은 몸체부(310) 내에 제공된다. 제 2 열교환 라인(320)은 그 내부에 열교환 매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공급부재(330)는 제 2 열교환 라인(320)에 연결된다. 공급부재(330)는 제 2 열교환 라인(320)으로 열교환 매체를 공급한다.
도 3은 도 2의 공급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공급부재(330)는 용기부(331)와 덮개부(333)를 가진다. 용기부(331)는 상부가 개방된 통으로 제공된다. 일 예로, 용기부(33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덮개부(333)는 용기부(331)의 상부에 결합된다. 덮개부(333)는 용기부(331) 내의 열교환 매체를 가열하도록 태양광을 집광한다. 일 예로, 덮개부(333)는 태양광을 투과시켜 온실효과를 일으킬 수 있도록 유리 재질 등으로 형성된 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부(331)의 일측에는 열교환 매체가 인입되는 인입라인(335)이 제공되고, 타측에는 가열된 열교환 매체가 인출되는 인출라인(337)이 제공된다. 인입라인(335)에는 조절밸브(미도시)가 제공되어 용기부(331) 내로 인입되는 열교환 매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인출라인(337)은 제 2 열교환 라인(320)과 연결된다. 인출라인(337)과 제 2 열교환 라인(320) 사이에는 펌프(P2)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공급부재(330)는 해수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용기부(331)의 외벽에는 단열재 또는 에어 튜브(air tube)가 더 제공되어 용기부(331) 내부에서 외부로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전기 생산 부재(400)는 터빈(410)과 제너레이터(420)를 가진다. 기화기(300)에서 공급된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는 터빈(41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터빈(410)에 연결된 제너레이터(420)에서 전기가 발생한다. 제너레이터(420)에서 발생된 전기는 축전기(미도시) 등에 저장된다. 터빈(410)을 회전시킨 작동 유체는 응축기(100)로 전달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전기 생산 과정을 설명한다.
제 1 구조물(10)은 해저로부터 원유를 시추하고, 전기 생산 시스템(30)은 시추된 원유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제 2 구조물(50)은 전기 생산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된 원유를 처리 및 저장한다. 이 때, 전기 생산 시스템(3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기 생산 부재(400)를 거친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는 응축기(100)에서 액체 상태로 상변환된다. 응축기(100) 내의 열교환 매체는 제 1 구조물(10)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원유이다. 해저 바닥(Sea Bed) 아래에 위치한 유정(WELL)으로부터 시추된 원유는 0℃에 가까운 저온 상태이므로 응축기(100) 내의 작동 유체로부터 흡열하는 냉매로 활용될 수 있다. 저온의 원유는 제 1 구조물(10)의 저장고(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이송라인(20)을 통해 응축기(1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송라인(20)은 제 1 구조물(10)의 라이저(11)에 직접 연결되고, 시추되는 원유는 직접 응축기(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응축기(100)를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한 원유는 이송라인(21)을 통해 제 2 구조물(50)의 카고 탱크(51)로 전송된다. 응축기(100)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는 리저버 탱크(200)로 전송된다. 리저버 탱크(200)에 저장된 액상의 작동 유체는 기화기(300)로 전송된다. 기화기(300)로 전송된 액상의 작동 유체는 기화기(300) 내에서 기체 상태로 상변환된다. 기화기(300) 내의 열교환 매체는 공급부재(330)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해수이다. 공급부재(330)에서 기화기(300)로 고온의 해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해수면 상의 해수는 인입라인(335)을 통해 공급부재(330)의 용기부(331) 내로 공급되고, 덮개부(333)를 통해 집광된 태양열은 온실효과 등으로 용기부(331) 내의 해수(海水)를 가열시킨다. 일정 온도로 가열된 해수는 용기부(331)의 인출라인(337)을 거쳐 기화기(300)의 제 2 열교환 라인(320)으로 제공된다. 제 2 열교환 라인(320)을 통과하면서 작동 유체로 열을 공급한 해수(海水)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에 검출장치를 제공하여, 배출되는 해수의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해상오염을 방지한다.
기화기(300)에서 기체 상태로 상변환된 작동 유체는 전기 생산 부재(400)의 터빈(410)으로 공급되어 터빈(41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터빈(410)에 연결된 제너레이터(420)에서 전기가 생산된다. 생산된 전기는 별도의 축전기에 저장될 수 있다. 터빈(410)을 회전시킨 작동 유체는 다시 응축기(100)로 보내져 액체 상태로 상변환된다. 작동 유체는 응축기(100), 리저버 탱크(200), 기화기(300), 그리고 전기 생산 부재(400)를 거쳐 다시 응축기(100)로 되돌아오면서 하나의 사이클(Cycle)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응축기(100)의 열교환 매체로 시추된 저온의 원유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해수 온도차 발전 시스템(OTEC System)에서 열교환 매체로 심해의 해수를 사용함에 따른 고비용 저효율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즉, 해저 바닥(Sea Bed)에서 원유를 시추하는 과정에서, 시추된 원유가 가지고 있는 저위상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해수 온도차 발전 시스템을 완성하므로, 종래 해수 온도차 발전 시스템에서 심해의 해수를 해상으로 운반하기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추된 원유가 응축기(100)를 통과하면서 흡열하므로, 종래 시추된 원유의 처리 공정 등을 위해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열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화기(300)의 열교환 매체로 가열된 해수를 이용하되, 해수의 가열방식으로 태양열 집광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화기(300)의 열교환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부유식 해상 구조물
10 : 제 1 구조물
30 : 전기 생산 시스템
50 : 제 2 구조물
51 : 카고 탱크
53 : 처리 설비
100 : 응축기
200 : 리저버 탱크
300 : 기화기
400 : 전기 생산 부재

Claims (12)

  1.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해저로부터 원유를 시추하는 제 1 구조물과;
    이송라인으로 상기 제 1 구조물과 연결되고, 상기 이송라인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유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생산 시스템과;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원유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 2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은 상기 제 2 구조물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 2 구조물과 독립된 설비로 제공되고,
    상기 전기 생산 시스템은,
    기체 상태의 작동 유체를 상기 이송라인으로 이송된 상기 원유와 열교환 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액화된 상기 작동 유체를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와;
    상기 리저버 탱크로부터 공급된 상기 작동 유체를 열교환 매체로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기화된 상기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생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응축기, 상기 리저버 탱크, 상기 기화기 및 상기 전기 생산 부재를 순환하고,
    상기 기화기는,
    상기 리저버 탱크와 연결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 제공되고, 그 내부에 상기 열교환 매체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열교환 라인과;
    상기 제 2 열교환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열교환 라인으로 상기 열교환 매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가지고,
    상기 공급부재는,
    상기 열교환 매체를 저장하며, 상기 제 2 열교환 라인이 연결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용기부 내의 상기 열교환 매체를 가열하도록 태양광을 집광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그 내부에 상기 원유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열교환 라인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매체는 해수(海水)로 제공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7.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물은, 해양 플랜트 또는 드릴쉽(Drillship)으로 제공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물은,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로 제공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103449A 2011-10-11 2011-10-11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 KR10135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49A KR101358303B1 (ko) 2011-10-11 2011-10-11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49A KR101358303B1 (ko) 2011-10-11 2011-10-11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027A KR20130039027A (ko) 2013-04-19
KR101358303B1 true KR101358303B1 (ko) 2014-02-11

Family

ID=4843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449A KR101358303B1 (ko) 2011-10-11 2011-10-11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844A (ko) 2014-03-06 2015-09-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및 가스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00065118A (ko) * 2018-11-29 2020-06-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내장 멤브레인 및 냉각 시스템을 이용한 냉매 저장형 수액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20B1 (ko) * 2014-03-07 2016-09-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연료공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875A (ja) * 2000-03-01 2001-09-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化ガスタンカーの冷熱発電装置
JP2009216222A (ja) * 2008-03-12 2009-09-24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液化ガス気化器
KR20100023449A (ko) * 2008-08-22 2010-03-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온도차발전기를 구비하고 있는 선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875A (ja) * 2000-03-01 2001-09-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化ガスタンカーの冷熱発電装置
JP2009216222A (ja) * 2008-03-12 2009-09-24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液化ガス気化器
KR20100023449A (ko) * 2008-08-22 2010-03-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온도차발전기를 구비하고 있는 선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844A (ko) 2014-03-06 2015-09-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플랜트를 이용한 전력 및 가스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00065118A (ko) * 2018-11-29 2020-06-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내장 멤브레인 및 냉각 시스템을 이용한 냉매 저장형 수액기
KR102135056B1 (ko) 2018-11-29 2020-07-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내장 멤브레인 및 냉각 시스템을 이용한 냉매 저장형 수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027A (ko) 201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0875B2 (en) Direct exchange geothermal refrigerant power advanced generating system
US20090217664A1 (en) Submerged Geo-Ocean Thermal Energy System
US20070289303A1 (en) Heat transfer for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US9429145B2 (en) Thermal gradient hydroelectric power system and method
EP2395241A2 (en) Offshore floating platform with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system
CN202971047U (zh) 一种深海能源综合利用系统
JP2014156843A (ja) 地熱発電システム
CN108412716A (zh) 一种海洋能温差发电系统
US8893496B2 (en) Sea water desalination and thermal energy conversion
US9297279B2 (en) Pumping device using vapor pressure for supplying water for power plant
KR101358303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생산 방법
KR20160139311A (ko) Flng의 해수 온도 차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KR20100023449A (ko) 온도차발전기를 구비하고 있는 선박
US20100000214A1 (en) Petroleum-based Thermoelectric Energy Conversion System
US20140260253A1 (en) Thermal energy conversion system for regasification of cryogenic liquids
KR102315033B1 (ko) Flng의 발전 및 담수 생산시스템 및 방법
CN105508160A (zh) 温差发电方法和温差发电设备
CN204386829U (zh) 温差发电设备
WO2012070055A1 (en) Process, system and configuration for integrated ocean energy cum desalination system
RU2650916C1 (ru) Морской энергокомплекс
RU2646684C1 (ru) Плавучий дом
CN113982873B (zh) 钻井平台温差能发电装置及方法
JP2010059803A (ja) 温度差発電装置
US20190360472A1 (en) Energy generating station
CN107100809A (zh) 海底地热源与海水冷能组合发电的方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