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613B1 -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 Google Patents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613B1
KR101868613B1 KR1020160124026A KR20160124026A KR101868613B1 KR 101868613 B1 KR101868613 B1 KR 101868613B1 KR 1020160124026 A KR1020160124026 A KR 1020160124026A KR 20160124026 A KR20160124026 A KR 20160124026A KR 101868613 B1 KR101868613 B1 KR 10186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ilage
nose
septum
nas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029A (ko
Inventor
안태환
Original Assignee
안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환 filed Critical 안태환
Priority to KR102016012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613B1/ko
Priority to CN201780059365.3A priority patent/CN109803608A/zh
Priority to US16/336,882 priority patent/US20190247183A1/en
Priority to PCT/KR2017/009493 priority patent/WO2018062700A2/ko
Publication of KR2018003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10Ceramics or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cartilage reconstruction, e.g. menis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 내부에 삽입시 비주 내에 길게 위치하여 양 단부가 각각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 및 양측 비익연골 사이에 결합 고정되며, 세라믹 재료 또는 내부가 생체의료용 금속으로 보강된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는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삽입물은, 코 내부에 삽입시 비주 내에 길게 위치하는 기둥부, 기둥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로서 기둥부의 일측 단부에서 양갈래로 갈라지며 연장되는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와 제1 및 제2 다리부 사이에 규정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며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기둥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양측 비익연골 사이에 결합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Nasal implant for nasal surgery}
본 발명은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 내부에 삽입시 비주(코기둥) 내에 위치하여 비밸브를 구성하는 골격의 구조 건전성을 개선하는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미용에 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최근 성형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폭되는 추세이다. 특히 코는 얼굴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어서 안면윤곽이나 전체적인 인상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동양인의 경우 서양인에 비해 콧날이 낮고 콧방울이 넓어 전체적으로 얼굴 형상이 넓어 보이는 경향이 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코 수술을 희망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심미적 목적 외에도 부상으로 인하여 코의 일부가 훼손되는 경우 또는 선천적으로나 후천적으로 코의 형상이 자연스럽지 않은 경우 등에 있어서, 콧등을 높이는 융비술, 휜 코끝을 교정하는 교정비성형술, 비주를 보강하여 비밸브를 구성하는 골격의 구조 건전성을 개선하는 비중격 확장판 이식 코수술 등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코 내부의 좁은 기관인 비밸브는 코 내외로 기류가 흐르도록 하여 호흡을 조절하는 코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데, 비중격만곡증 등의 해부학적 선·후천적 이상으로 인해 비밸브가 협착되는 경우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밸브를 구성하는 골격의 구조 건전성을 개선해야 하는데, 이러한 개선 방안의 하나로서 삽입물 이식을 통해 비주를 보강하여 비중격을 확장하는 수술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콧등을 높이는 융비술 등에는 콧등 내부에 길게 삽입되는 인공 재료로서 의학용 실리콘 또는 고어텍스(Gore-Tex)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그 외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roplast I and II(상품명 Medpore)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들 재료는 딱딱한 재질로서 콧등 외부에 위치하여 삽입되어 콧등을 전체적으로 높이는 데에는 적합할지 모르나, 코내부에는 돌출 및 염증반응등의 문제로 비밸브 협착 증상 등을 완화하기 위하여 비주를 보강하는 경우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비주를 보강하여 비중격을 확장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단단한 자가연골(autologous cartilage)을 사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기존에 비주를 보강하는 수술에서는 환자의 비중격연골(鼻中膈軟骨)의 일부를 절개하여 용도에 맞게 가공하거나, 환자로부터 늑연골(肋軟骨)을 채취하여 가공한 뒤 이들 연골을 비주를 보강하는 기둥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비중격연골 또는 늑연골 등의 자가연골을 사용하는 경우, 연골이 균에 감염되어 변형이 일어나거나 녹아 흡수되어 코 형상의 변형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수술시 자가연골 이식을 통해 인위적으로 비주를 높이게 되므로 수술 후 비주 내에 이식된 자가연골에는 원래의 낮은 코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 즉, 하방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들 자가연골은 이와 같은 하방 압력에 견디는 강성이 충분하지 않아 수술 후 연골이 휘어지거나 손상되기 쉬우며, 수술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연골이 본래 수술 위치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동양인의 경우 서양인에 비해 콧대가 낮으며 코 중격을 이루는 비중격연골의 크기가 작고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자가연골 이식을 위해 채취할 수 있는 양이 제한적이며, 늑연골을 채취하는 경우 코 이외의 부위를 절개하는 별도의 수술이 필요하고 흉터가 생긴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38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밸브의 기능 개선 등을 위해 비주를 보강하는 코 수술을 함에 있어서 환자의 자가연골 대신 사용되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하여, 환자의 연골이나 다른 신체부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이화된 절차로 코 수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의 감염으로부터 취약하고 강성이 충분하지 않은 자가연골 대신 균의 감염으로부터 안전하고 강성이 충분한 인공 삽입물을 제공함으로써, 수술 후에도 환자의 코의 형상 및 기능이 변함 없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로서, 기둥부; 기둥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로서, 기둥부의 일측 단부에서 양갈래로 갈라지며 연장되는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와, 제1 및 제2 다리부 사이에 규정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는, 제1 고정부; 및 기둥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기둥부는 코 내부에 삽입시 비주 내에 길게 위치하기에 적합하고, 제1 고정부는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고, 제2 고정부는 양측 비익연골 사이에 결합 고정되기에 적합한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1 고정부는, 제1 및 제2 다리부 사이의 고정홈에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가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인공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1 다리부에는 제1 다리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제2 다리부에는 제2 다리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제1 관통구멍의 중심축과 제2 관통구멍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2 고정부에는 제2 고정부를 관통하는 제3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3 관통구멍은 기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인공 삽입물은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기둥부는 제1 재료로 형성된 외피재부 및 제2 재료로 형성된 심재부로 구성되고, 외피재부는 심재부의 표면을 둘러싸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1 재료는 세라믹 재료인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1 재료는 지르코니아(zirconia) 재료인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2 재료는 생체의료용 금속인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1 고정부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봉합사를 제1 관통구멍,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 및 제2 관통구멍에 통과시켜 봉합하는 것에 의해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봉합사는 체내에서 분해되어 소멸되며, 제1 및 제2 관통구멍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과 일체로 유착될 수 있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2 고정부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봉합사를 일측 비익연골, 복수의 제3 관통구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타측 비익연골에 통과시켜 봉합하는 것에 의해 양측 비익연골 사이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봉합사는 체내에서 분해되어 소멸되며, 제3 관통구멍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과 일체로 유착될 수 있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기둥부는 원통형 혹은 사각 판형으로 구성되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기둥부의 직경은 2mm 내지 3mm인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인공 삽입물의 길이는 1cm 내지 5cm인 인공 삽입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은 비중격만곡증 등의 해부학적 선·후천적 이상으로 인해 비밸브가 협착되는 경우 비주를 보강하여 비밸브를 구성하는 골격의 구조 건전성을 개선함으로써 비밸브의 협착을 해소하고, 결과적으로 코 내 기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의할 경우, 비주를 보강하기 위해 환자의 비중격연골 또는 늑연골을 채취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가연골을 보존하여 해당 자가연골의 고유한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의할 경우, 자가연골인 늑연골을 채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 수술 과정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고, 코 이외에 추가적으로 늑골 주변의 피부를 절개할 필요가 없으므로 환자의 늑골 주변에 흉터를 남기지 않고도 코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은, 균의 감염에 의하더라도 흡수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비중격연골 또는 늑연골보다 강성이 우수한 세라믹 재료 또는 생체의료용 금속으로 구성됨으로써, 수술 후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거나 수술 부위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환자의 코 형상을 변함 없이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수술 후 오랜 기간이 지나더라도 비밸브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은 기둥부의 양측 단부에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기둥부 양측 단부가 모두 코 내부의 대응하는 조직과 결합될 수 있어 코 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은 비주 내에 길게 위치하고, 제1 고정부는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에 고정되며, 제2 고정부는 양측 비익연골 사이에 결합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코 내의 최적의 위치에서 비주를 보강하여 비밸브를 구성하는 골격의 구조 건전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의 제1 고정부는 제1 및 제2 다리부 사이의 고정홈에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가 위치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인공 삽입물의 제1 고정부가 경골(硬骨)인 전비극(前鼻棘) 근방에서, 비중격연골 중 비교적 두껍고 단단한 부분인 후미측부에 견고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은 제1 다리부, 제2 다리부 및 제2 고정부에 각각 제1 내지 제2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수술용 바늘 및 봉합사가 높은 경도의 세라믹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 고정부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은 제3 관통구멍이 기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각 환자별로 상이한 비주의 길이 및 비익연골의 위치에 적절히 대응하여 복수의 제3 관통구멍 중 가장 적합한 위치의 제3 관통구멍을 선택하여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고정부를 비익연골 사이에 위치 적절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1 고정부는 봉합사를 제1 관통구멍,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 및 제2 관통구멍에 통과시켜 봉합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제1 고정부와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가 총 세 겹으로 겹쳐지며 봉합되므로 이들이 더욱 견고히 결합되는 효과도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제2 고정부는 봉합사를 일측 비익연골, 복수의 제3 관통구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타측 비익연골에 통과시켜 봉합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제2 고정부와 양측 비익연골이 총 세 겹으로 겹쳐지며 봉합되므로 이들이 더욱 견고히 결합되는 효과도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봉합사가 체내에서 분해되어 소멸되는 구성을 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관통구멍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과 일체로 유착되어 제1 및 제2 고정부가 각각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 및 양측비익연골 사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삽입물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삽입물이 코 내에 삽입되었을 때의 코 아래쪽에서 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삽입물이 코 내에 삽입되었을 때의 코의 측면에서 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의 평면도.
도 6 내지 9는 코의 내·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의 코 외부는 코뿌리(10)에서 코끝(40)까지 연장되는 콧등(20), 코끝 양쪽에 둥글게 위치하는 콧방울(30), 양측 콧구멍 입구(50), 양측 콧구멍 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코끝(40)을 지지하는 코기둥 역할을 하는 비주(鼻柱, columella, 코기둥)(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의 코 내부는 콧등 부위인 코뼈(鼻骨, nasal bone)(500), 비중격연골(鼻中膈軟骨, septal cartilage)(200), 상측 연골부위(upper lateral cartilage)(400) 및 하측 연골부위(lower lateral cartilage)(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코뼈(500) 부위는 코의 위쪽 1/3을 이루며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있고, 비중격연골(200)은 코의 중앙을 이루는 부위로서 좌우 코안의 경계를 이룸과 동시에 탄성이 좋고 비교적 단단하여 콧등(20)과 코끝(40)을 안쪽에서 지지하며, 형태학적으로 코의 길이 및 높이를 결정하는 중심대의 역할을 한다. 상측 연골부위(400)는 코의 가운데 1/3 부분을 구성하며 코뼈(500)와 콧방울(3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비익연골(鼻翼軟骨, alar cartilage)(300, 300a, 300b) 이라고 지칭되기도 하는 하측 연골부위(300)는 도 3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연골(310, 310a, 310b)과 내측연골(320, 320a, 320b)로 이루어지며, 코끝(20)의 형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비(鼻)밸브(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 내부 상단의 천장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기류를 흐르게 하여 코 내부의 통로의 역할을 하는데, 비중격 만곡증 등의 해부학적 선·후천적 이상으로 인해 비밸브(600)가 협착되는 경우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밸브(600)를 구성하는 골격의 구조 건전성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삽입물을 통해 비주(60)를 보강하여 비중격을 확장하는 수술이 이러한 개선 방안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콧등(20)을 높이는 융비술 등에는 콧등(20) 내부에 길게 삽입되는 인공 재료로서 의학용 실리콘 또는 고어텍스(Gore-Tex)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그 외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roplast I and II(상품명 Medpore)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들 재료는 딱딱한 재질로서 콧등(20) 외부에 위치하여 삽입되어 콧등(20)을 전체적으로 높이는 데에는 적합할지 모르나, 코 내부에는 돌출 및 염증 반응등의 문제로 비밸브 협착 증상 등을 완화하기 위하여, 비주(60) 내에 삽입되어 코끝(40)을 수직으로 지탱하는 용도로서는 적용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비주(60)를 보강하여 비중격을 확장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단단한 자가연골(autologous cartilage)을 사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비주(60)를 보강하는 수술에서는 환자의 비중격연골의 일부를 절개하여 용도에 맞게 가공하거나, 환자로부터 늑연골(肋軟骨, costal cartilage)을 채취하여 가공한 뒤 이들 연골을 비주(60) 내에 삽입하여 비주를 보강하는 기둥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비중격연골 또는 늑연골과 같은 자가연골을 사용하는 경우, 자가연골이 균에 감염되어 변형이 일어나거나 녹아 흡수되어 코 형상의 변형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술시 자가연골 이식을 통해 인위적으로 비주(60)를 연장하여 코끝(40)을 높이게 되므로 수술 후 비주(60) 내의 자가연골에는 원래의 낮은 코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 즉, 하방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들 자가연골은 이와 같은 하방 압력에 견디는 강성이 충분하지 않아 수술 후 자가연골이 휘어지거나 손상되기 쉬우며, 수술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자가연골이 본래 수술 위치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비중격연골을 이식하는 경우,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해 콧대가 낮고 코 중격을 이루는 비중격연골의 크기가 작고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이식을 위해 채취할 수 있는 자가연골의 양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고, 비중격연골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데 얇은 부분을 채취하여 보강하면 코끝(40)을 지지하는 힘이 약해지고, 두꺼운 부분을 채취하여 보강하면 남아있는 비중격연골의 지주가 약화되어 콧등(20)을 지지하지 못하고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늑연골을 이식하는 경우, 늑연골을 채취하는 별도의 수술이 필요한데 이로 인해 환자의 신체에 부가적인 흉터와 통증이 수반될 수밖에 없고, 전체적인 수술 시간과 노력이 더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코 수술 환자의 상당수는 여성인데 이들 여성 환자들은 늑골 주위에 흉터가 생기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강하여 늑연골을 채취하는 수술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빈번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밸브(600)의 기능 개선 등을 위해 비주(60)를 보강하는 코 수술을 함에 있어서 환자의 자가연골 대신 사용되는 인공 삽입물을 제공하여, 환자의 연골이나 다른 신체부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이화된 절차로 코 수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의 감염으로부터 취약하고 강성이 충분하지 않은 자가연골 대신 균의 감염으로부터 안전하고 강성이 충분한 인공 삽입물을 제공함으로써, 수술 후에도 환자의 코의 형상 및 기능이 변함 없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100)의 평면도가, 도 2b에는 도 1의 인공 삽입물(100)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100)은 전체적으로 대략 ‘Y’자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서, 코 내에 삽입되었을 때 비주 내에 길게 위치하는 기둥부(110), 기둥부(11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120) 및 기둥부(1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부(110)와 제2 고정부(130)는 예컨대 원통형으로 길게 연장되며 이때, 기둥부(110)와 제2 고정부(130)의 직경(D)은 대략 2mm 내지 4mm 일 수 있다. 기둥부 및 제2 고정부는 곧게 직선으로 뻗은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주(60) 외측 표면을 따라 어느 정도 만곡된 곡선을 따르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고정부(120), 기둥부(110) 및 제2 고정부(130)을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인공 삽입물(100)의 길이(L)는 1cm 내지 5cm일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고정부(120)는 기둥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Y’자 형상으로 양갈래로 갈라지며 연장되는 제1 다리부(122) 및 제2 다리부(124)와, 상기 제1 및 제2 다리부 사이에 규정되는 고정홈(125)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다리부는 대략 원통형이거나 대체적으로 납작한 판의 형태일 수 있고, 도 2a의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그 단면의 폭(또는 직경)(d)이 기둥부(110) 및 제2 고정부(130)의 단면의 폭(또는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20)의 제1 다리부(122)에는 제1 다리부(122)를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126)이 형성되고, 제2 다리부(124)에는 제2 다리부(124)를 관통하는 제2 관통구멍(128)이 형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 관통구멍(126, 128)은 관통 방향 및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술용 바늘과 봉합사가 제1 및 제2 관통구멍(126, 128)을 한번에 관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130)는 기둥부(110)의 타측 단부 즉, 제1 고정부(120)가 연결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연결되며, 제2 고정부(130)에는 제2 고정부(130)를 관통하는 제3 관통구멍(132)이 형성된다.
도 2b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3 관통구멍(132)은 제2 고정부(130) 및 기둥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예컨대, 3개) 형성될 수 있다. 비주(60)의 길이(코의 높이)는 환자마다 상이하므로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와 비익연골(300) 사이의 거리가 다양하게 분포하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130)에 제3 관통구멍(132)을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하는 경우, 환자별로 상이한 비주(60)의 길이 및 비익연골(300)의 위치에 적절히 대응하여 복수의 제3 관통구멍(132) 중 가장 적합한 위치의 제3 관통구멍(132)을 선택하여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고정부를 비익연골 사이에 위치 적절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수의 제3 관통구멍(132) 중 두 개 이상의 제3 관통구멍(132)에 봉합사를 통과시켜 제2 고정부(130)를 비익연골(300)에 더욱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3 관통구멍(132)이 복수 형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3 관통구멍(132) 모두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과 유착될 수 있으므로 제3 관통구멍(132)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보다 더 견고하게 제2 고정부(130)를 비익연골(30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인공 삽입물(100)은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공 삽입물(100)을 구성하는 세라믹 재료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이 인체 내에 삽입되는 인공 삽입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서, 예를 들어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세라믹 재료의 추가적인 예로서, 일본 SHOFU Inc. 사가 제조하는 VINTAGE HALO Porcelain powder가 있으며, 그 예시적인 구성 성분(Glass component)은 다음과 같다.
SiO2 : 60 내지 68%
Al2O3 : 15 내지 18%
K20 : 9 내지 11%
Na2O : 7 내지 8%
CaO : 0.5 내지 2%
그 외 : 0 내지 5%
세라믹은 고강도 재료로서, 수술 후 코 내에 이식된 인공 삽입물(100)이 원래의 낮은 코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 즉, 하방 압력을 받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견딜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으므로 수술 후에도 환자의 코의 형상 및 기능이 손상되지 않고 보존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삽입물(100)이 코 내에 삽입되어 주변 조직과 결합 및 고정되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고정부(120)가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와 결합되는 구성을 살펴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20)는 제1 다리부(122)와 제2 다리부(124) 사이에 규정된 고정홈(125)을 포함하는데,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25)에는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가 끼워져 위치할 수 있다.
도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중격연골(200)의 아래쪽에는 단단한 뼈(경골(硬骨))로 이루어진 상악골 전비극(前鼻棘, anterior nasal spine)(700)이 위치하는데,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는 비중격연골(200) 중에서 전비극과 가장 인접한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비중격연골(200)은 부위에 따라 두께나 강도가 상이한 넓은 판 형태의 연골인데, 이 중 후미측부(210)는 비중격연골 중에서 비교적 두께가 두껍고 강도가 높은 부분에 해당하며, 경골인 전비극에 근접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므로, 제1 고정부(120)가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에 결합되는 경우 인공삽입물(100)의 일측 단부가 코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담보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부(120)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봉합사를 제1 관통구멍(126),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 및 제2 관통구멍(128)에 차례로, 또는 역순으로 통과시켜 봉합하는 것에 의해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는 연골(軟骨)이기 때문에 별도의 관통구멍 형성 과정 없이도 수술용 바늘 및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다리부(122, 124)에는 제1 및 제2 관통구멍(126, 128)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바, 봉합사를 이용하여 제1 고정부(120)를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에 결합하는 과정은 매우 간단한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할 경우 제1 고정부(120)와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가 총 세 겹으로 겹쳐지며 봉합되므로 이들이 더욱 견고히 결합되는 효과도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봉합사는 생체에 삽입되므로 인체에 무해해야 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봉합사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수술 이후 소정 기간, 예를 들어 약 6개월의 시간이 경과하면 봉합사는 체내에서 분해되어 소멸되며, 제1 및 제2 관통구멍(126, 128)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 특히,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와 일체로 유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고정부(120)는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에 안정적으로 유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제2 고정부(130)가 양측 비익연골(300a, 300b) 사이에 결합되는 구성을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에 의해 제1 고정부(120)가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에 결합된 인공 삽입물(100)은 비주(60) 내에서 길게 연장되어 제2 고정부(130)가 양측 비익연골(300a, 300b)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고정부(130)는 양측 비익연골(300a, 300b)의 내측연골(320a 320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제2 고정부(130)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봉합사를 일측 비익연골(300a), 복수의 제3 관통구멍(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타측 비익연골(300b)에 차례로, 또는 역순으로 통과시켜 봉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양측 비익연골(300a, 300b)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양측 비익연골(300a, 300b)은 연골(軟骨)이기 때문에 별도의 관통구멍 형성 과정 없이도 수술용 바늘 및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2 고정부(130)에는 하나 이상의 제3 관통구멍(132)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바, 봉합사를 이용하여 제2 고정부(130)를 양측 비익연골(300a, 300b)사이에 결합하는 과정은 매우 간단한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비주(60)의 길이(코의 높이)는 환자마다 상이하므로 비중격연골(200)의 후미측부(210)와 비익연골(300) 사이의 거리가 다양하게 분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2 고정부(130)에는 제3 관통구멍(13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별로 상이한 비주(60)의 길이 및 비익연골(300)의 위치에 적절히 대응하여 복수의 제3 관통구멍(132) 중 가장 적합한 위치의 제3 관통구멍(132)을 선택하여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고정부를 비익연골(300) 사이의 결합함에 있어 최적의 위치에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관통구멍(13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제3 관통구멍(132) 중 두 개 이상의 제3 관통구멍(132)에 봉합사를 통과시켜 제2 고정부(130)를 비익연골(300)에 더욱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나아가, 제3 관통구멍(132)이 복수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제3 관통구멍(132) 모두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과 유착될 수 있으므로 제3 관통구멍(132)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보다 더욱 견고하게 제2 고정부(130)를 비익연골(30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할 경우 제2 고정부(130)와 양측 비익연골(300)이 총 세 겹으로 겹쳐지며 봉합되므로 이들이 더욱 견고히 결합되는 효과도 발휘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봉합사는 생체에 삽입되므로 인체에 무해해야 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봉합사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수술 이후 소정 기간, 예를 들어 약 6개월의 시간이 경과하면 봉합사는 체내에서 분해되어 소멸되며, 제3 관통구멍(132)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 특히, 양측 비익연골(300a, 300b)과 일체로 유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고정부(130)는 양측 비익연골(300a, 300b) 사이에 안정적으로 유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100)에 의할 경우, 기존에 비주(60)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환자의 비중격연골 또는 늑연골을 채취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가연골을 보존하여 해당 자가연골의 고유한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100)에 의할 경우, 자가연골인 늑연골을 채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 수술 과정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고, 코 이외에 추가적으로 늑골 주변의 피부를 절개할 필요가 없으므로 환자의 늑골 주변에 흉터를 남기지 않고도 코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기둥부(110)가 외피재부(112) 및 심재부(114)로 구성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제2 실시예의 구성에 관하여만 설명하고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100)의 기둥부(110)는 제1 재료로 형성된 외피재부(112) 및 제2 재료로 형성된 심재부(114)로 구성된다.
심재부(114)를 형성하는 제2 재료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이 인체 내에 삽입되는 인공 삽입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체의료용 금속 재료로서, 강도가 높고 내부식성이 탁월한 티타늄 합금, 코발트 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생체의료용 재료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독일 DeguDent GmbH사가 제조하는 StarLoy N 이 있으며, 그 구성 성분(composition on ingredients)은 다음과 같다.
nickel : 61.0%
chromium : 25.8%
molybdenum : 11.0%
Silicium : 1.5%
tungsten : 0 내지 1.0%
aluminium : 0 내지 1.0%
또한, 외피재부(112)를 형성하는 제1 재료는 앞선 제1 실시예에서 인공 삽입물(100)을 형성하는 세라믹 재료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 또는 일본 SHOFU Inc. 사가 제조하는 VINTAGE HALO Porcelain powder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기둥부(110)는 생체의료용 금속 재료인 제2 재료에 세라믹 재료인 제1 재료를 코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종래 알려진 확산법, 용사법, 화학증착법 등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 기둥부(110)의 심재부(11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즉, 제1 고정부(120) 및 제2 고정부(130)는 모두 외피재부(112)와 동일한 세라믹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부(110)의 심재부(114)가 생체의료용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삽입물(100)의 강성은 더욱 강화되어, 수술 후 원래의 낮은 코 상태로 돌아가려는 하방 압력 및 외부 충격에 견디는 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술 후에도 환자의 코의 형상 및 기능이 손상 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일부의 실시예일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 코뿌리 20: 콧등
30: 콧방울 40: 코끝
50: 콧구멍 60: 비주(코기둥)
100: 인공 삽입물 110: 기둥부
112: 외피재부 114: 심재부
120: 제1 고정부 122: 제1 다리부
124: 제2 다리부 125: 고정홈
126: 제1 관통구멍 128: 제2 관통구멍
130: 제2 고정부 132: 제3 관통구멍
200: 비중격연골 210: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
300: 비익연골 310: 외측연골
320: 내측연골 400: 상측 연골부위
500: 코뼈 600: 비밸브
700: 전비극

Claims (18)

  1.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로서,
    제1 재료로 형성된 외피재부 및 상기 외피재부로 둘러싸인 제2 재료로 형성된 심재부로 구성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로서, 상기 기둥부의 일측 단부에서 양갈래로 갈라지며 연장되는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다리부 사이에 규정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기둥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비중격연골(鼻中膈軟骨, septal cartilage)의 후미측부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비주(鼻柱, columella) 내에 길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삽입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양측 비익연골(鼻翼軟骨, alar cartilage) 사이에 결합 고정되기 위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삽입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다리부 사이의 상기 고정홈에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가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삽입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에는 상기 제1 다리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다리부에는 상기 제2 다리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구멍의 중심축과 상기 제2 관통구멍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는 인공 삽입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를 관통하는 제3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인공 삽입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통구멍은 상기 기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는 인공 삽입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은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는 인공 삽입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세라믹 재료인 인공 삽입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지르코니아(zirconia) 재료인 인공 삽입물.
  11. 제1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생체의료용 금속인 인공 삽입물.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봉합사를 상기 제1 관통구멍, 상기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 및 상기 제2 관통구멍에 통과시켜 봉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비중격연골의 후미측부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삽입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봉합사는 체내에서 분해되어 소멸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관통구멍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과 일체로 유착될 수 있는 인공 삽입물.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 봉합사를 일측 비익연골, 상기 복수의 제3 관통구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타측 비익연골에 통과시켜 봉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양측 비익연골 사이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삽입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봉합사는 체내에서 분해되어 소멸되며, 상기 제3 관통구멍은 생체 조직에 의해 채워져 주변 조직과 일체로 유착될 수 있는 인공 삽입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인공 삽입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직경은 2mm 내지 3mm인 인공 삽입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삽입물의 길이는 1cm 내지 5cm인 인공 삽입물.
KR1020160124026A 2016-09-27 2016-09-27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KR10186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26A KR101868613B1 (ko) 2016-09-27 2016-09-27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CN201780059365.3A CN109803608A (zh) 2016-09-27 2017-08-30 鼻手术用人工插入物
US16/336,882 US20190247183A1 (en) 2016-09-27 2017-08-30 Prosthesis for nose surgery
PCT/KR2017/009493 WO2018062700A2 (ko) 2016-09-27 2017-08-30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26A KR101868613B1 (ko) 2016-09-27 2016-09-27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29A KR20180034029A (ko) 2018-04-04
KR101868613B1 true KR101868613B1 (ko) 2018-06-19

Family

ID=6176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026A KR101868613B1 (ko) 2016-09-27 2016-09-27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247183A1 (ko)
KR (1) KR101868613B1 (ko)
CN (1) CN109803608A (ko)
WO (1) WO20180627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4850B8 (en) * 2016-11-03 2024-07-03 Spirox, Inc. Minimally invasive nasal implants
KR102061194B1 (ko) * 2018-09-21 2020-02-20 안태환 코 수술용 삽입물
KR102344360B1 (ko) * 2018-09-21 2021-12-29 안태환 다공성 상호 연결 구조를 갖는 코 수술용 삽입물
KR101999501B1 (ko) * 2019-03-06 2019-07-11 송형민 코 성형용 콧기둥 보형물
KR102411627B1 (ko) * 2021-11-09 2022-06-22 오해석 코 성형용 리프팅 실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76A (ko) * 1999-04-06 2000-11-15 박병윤 코 인조삽입물
KR101362100B1 (ko) * 2013-06-28 2014-02-12 유현석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KR101443820B1 (ko) 2014-05-15 2014-09-26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메쉬 구조를 갖는 코 보형물
KR101445298B1 (ko) * 2014-01-15 2014-09-29 (주)이마스타덴탈허브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505385B1 (ko) * 2014-10-06 2015-03-25 이규식 코 성형용 연골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0730B2 (en) * 2006-09-25 2010-08-24 Iyad Saidi Nasal implant introduced through a non-surgical injection technique
KR100883175B1 (ko) * 2007-06-11 2009-02-10 정영철 코끝 성형술을 용이하게 하는 비연골기둥보조장치
KR101028248B1 (ko) * 2010-06-09 2011-04-1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수술용 봉합사 제조방법
KR101103845B1 (ko) 2011-06-23 2012-01-06 문형진 코 성형용 보형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76A (ko) * 1999-04-06 2000-11-15 박병윤 코 인조삽입물
KR101362100B1 (ko) * 2013-06-28 2014-02-12 유현석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KR101445298B1 (ko) * 2014-01-15 2014-09-29 (주)이마스타덴탈허브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443820B1 (ko) 2014-05-15 2014-09-26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메쉬 구조를 갖는 코 보형물
KR101505385B1 (ko) * 2014-10-06 2015-03-25 이규식 코 성형용 연골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29A (ko) 2018-04-04
CN109803608A (zh) 2019-05-24
WO2018062700A2 (ko) 2018-04-05
US20190247183A1 (en) 2019-08-15
WO2018062700A3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613B1 (ko)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US6709451B1 (en) Channeled vascular stent apparatus and method
ES2231956T3 (es) Protesis de valvula cardiaca.
ES2647919T3 (es) Implantes de suministro de fármaco
EP2921138B1 (en) Implant system for treating sinusitis or allergic rhinitis
US9089446B2 (en) Coronary artery vascular stent with medicine carrying slots
US20070270899A1 (en) Implant for spreading the nasal wings
US9895252B2 (en) Septal implant
JP2003509112A (ja) 慢性的静脈機能不全の脈管治療
US11160631B2 (en) Instruments and methods for surgical sizing and marking
US20060025867A1 (en) Lip implant,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insertion
US9211190B2 (en) Flex anchor for attaching a prosthesis to bone
DE102008012438A1 (de) Mechanische Aortenklappe für die endovaskuläre Implantation
US20140303713A1 (en) Tubular Graft
JP2019524220A (ja) 緑内障治療装置および方法
KR102061194B1 (ko) 코 수술용 삽입물
US9452058B2 (en) Artificial implant for carpometacarpal joint
RU2627351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наружного носового клапана при его дисфункции
KR20200034652A (ko) 코 수술용 삽입물
JP2018130409A (ja) 人工弁
CN116546941A (zh) 用于骨盆和髋部成形术的植入物
RU156774U1 (ru) Биологический протез для репротезирования клапанов сердца
CN217040260U (zh) 髓内钉
JP2015181784A (ja) 鼻腔用の留置物
CN115153965A (zh) 人工心脏瓣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